KR200464519Y1 -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 Google Patents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519Y1
KR200464519Y1 KR2020100013451U KR20100013451U KR200464519Y1 KR 200464519 Y1 KR200464519 Y1 KR 200464519Y1 KR 2020100013451 U KR2020100013451 U KR 2020100013451U KR 20100013451 U KR20100013451 U KR 20100013451U KR 200464519 Y1 KR200464519 Y1 KR 2004645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ipe
fire
circula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884U (ko
Inventor
안병득
Original Assignee
안병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득 filed Critical 안병득
Priority to KR2020100013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51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8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8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5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5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층건물의 배관(10)상에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개별층마다 배관(10)의 일지점 감싸도록 설치되고, 배관(10)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22)을 지니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 상에 스프링(44)에 탄지된 상태로 수용되고, 배관(10)의 화재시 탄성력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20)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30)은 반원형통공(32)과 절곡편(38)을 지니고, 상기 본체(20)와 차단판(30)은 핀부재(46)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멈춤공(26)(36)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아파트를 비롯한 복합주거건물에서 베란다의 수지제 배관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피 시간을 연장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재차단용 댐퍼기구{Damper device for blocking fire}
본 고안은 화재차단용 댐퍼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를 비롯한 복합주거건물에서 베란다의 수지제 배관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피 시간을 연장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아파트, 주상복합 건물, 오피스텔과 같은 복합주거건물에 있어서 베란다를 통하여 화재가 급속하게 확산되어 인명 피해가 커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동화재탐지기와 같은 설비에 앞서서 방화댐퍼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기구가 우선적으로 설치되기도 한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92913호의 "화재차단용 셔터"에 의하면, 격벽(1)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덕트(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2) 내부에 한쌍의 안내대(3)를 설치하여 슬라이드공(4)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이드공(4) 상에는 절첩 가능한 셔터(5)를 위치시켜 상측을 덕트(2) 상에 고정하며, 상기 안내대(3)에 연결고리(6,7)를 부착하고, 이들 상간에 약70℃ 온도에서 탈리되는 휴즈(8)를 장치하여 상기 셔터(5)를 절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일측 연결고리(6)는 안내대(3) 상에 핀(9)이 결합되도록 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선박 등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 화재시에는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한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55716호의 "방화 댐퍼"에 의하면, 원통 형상의 본체(2) 내측에 설치된 고정핀(3)에 차단판(4)을 설치하고, 차단판(4)에는 화재발생 시 본체(2)의 내부를 차단할 수 있게 인장스프링(5)과 방화퓨즈(6)의 양 단부를 차단판(4)과 본체(2)의 내측에 고정한 일반적인 방화 댐퍼(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4)의 양 측면에는 평상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본체(2)의 축 방향과 평행하게 고정한 상태일 때 실내 쪽이 볼록하고, 배기비트(22) 쪽이 오목한 반구형 구성의 유도구(8)를 결합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방화 댐퍼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함과 아울러 배기비트로부터의 풍압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배풍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에 의하면 각층의 베란다를 통하여 수직으로 연결된 수지제 배관에 착화된 화염이 다른 층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으므로 보다 완전하게 화재를 차단한다는 측면에서 개선의 필요성이 증대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아파트를 비롯한 복합주거건물에서 베란다의 수지제 배관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피 시간을 연장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복층건물의 배관상에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개별층마다 배관의 일지점을 감싸도록 설치 가능한 구조이고, 배관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을 지니는 본체; 및 상기 본체 상에 스프링에 탄지된 상태로 수용되고, 배관의 화재시 탄성력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차단판은 반원형통공과 절곡편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와 차단판은 핀부재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멈춤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면에는 배관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을 지닌 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를 비롯한 복합주거건물에서 베란다의 수지제 배관을 통하여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여 대피 시간을 연장하고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기구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댐퍼기구의 작동전후를 나타내는 도식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복층건물의 배관(10)상에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복층건물은 아파트, 주상복합 건물, 오피스텔과 같은 복합주거건물 외에 모든 종류의 2층 이상 건물을 포함한다. 배관(10)은 주로 수지제의 배수관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화재시 열에 의하여 조기에 용융되는 모든 소재의 관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10)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22)을 지니는 본체(20)가 상기 건물의 개별층마다 배관(10)의 일지점을 감싸도록 설치 가능한 구조이다. 본체(2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기밀을 위해서 용접을 병용할 수도 있다. 본체(20)의 중앙에는 배관(10)이 긴밀하게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원형통공(22)을 형성한다. 본체(20)의 상면에서 적어도 대향하는 2변에 플랜지와 함께 장착공(24)을 형성한다. 장착공(24)은 복층건물에서 배관(10)이 위치하는 장소(베란다 등)에 고정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 및 도 2는 사각형 구조의 본체(20)를 나타내고, 도 4는 원형 구조의 본체(20′)를 나타낸다. 본체(20)(20′)의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는 설치장소의 여건에 따라서 선택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배관(10)의 화재시 탄성력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판(30)이 상기 본체(20) 상에 스프링(44)에 탄지된 상태로 수용된다. 차단판(30)은 본체(20)와 동일한 금속판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본체(20)의 내부에 긴밀하게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차단판(30)은 반원형통공(32)과 절곡편(38)을 지니는 구조이다. 차단판(30)의 일측을 커팅하여 반원형통공(32)을 형성하고, 타측을 벤딩하여 절곡편(38)을 형성한다. 반원형통공(32)은 배관(10)의 일측에 맞물리도록 본체(20)의 원형통공(22)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스프링(44)은 차단판(30)의 일방향 슬라이딩 운동을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일단이 차단판(30)에 연결된다.
이때, 본 고안의 차단판(30)은 도시처럼 2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1개를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절곡편(38)에 형성된 체결공(34)을 이용하여 양측의 차단판(30)을 스프링(44)으로 연결하는 반면, 도시에는 생략되나, 후자의 경우 상기 절곡편(38)의 체결공(34)과 본체(20)의 일지점 사이에 스프링(44)을 연결한다. 전자는 화재시 작동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후자는 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본체(20)와 차단판(30)은 핀부재(46)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멈춤공(26)(36)을 구비한다. 제품 출하시 차단판(30)이 스프링(44)의 탄성력을 이기고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멈춤공(26)(36)을 형성하고 핀부재(46)를 삽입한다. 핀부재(46)는 일반적인 핀을 사용하지만 경우에 따라 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면에는 배관(10)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52)을 지닌 커버(50)를 더 구비한다. 커버(50)는 본체(20)와 동일한 금속판을 이용하여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며, 중앙에 본체(20)의 원형통공(22)과 동일한 크기의 원형통공(52)을 형성한다. 본체(20) 상에 커버(50)를 장착하면 화재시 기밀력 유지에 유리하면서 운반과 취급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서, 원형 구조를 지닌 본체(20′)의 경우 안내판(28)을 부착하여 차단판(30)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한다. 이와 같은 안내판(28)은 도 1 및 도 2의 사각형 본체(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사용에 있어서, 도 2처럼 본체(20)와 차단판(30)의 조립이 완료되고 커버(50)를 덮은 상태에서 복층건물의 배관(10)상에 설치하고, 핀부재(46)를 모두 제거하면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차단판(30)이 배관(10)에 밀착된다. 이후 화재가 발생하여 배관(10)이 용융되면 차단판(30)이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하여 전진하면서 배관(10)에 의한 유로가 차단되어 화염이나 유독가스의 전파를 상당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물론 화재가 진압된 이후에 본체(20)와 차단판(30)에 손상이 없다면 배관(10)을 교체하고 재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배관 20: 본체
22: 원형통공 24: 장착공
26: 멈춤공 28: 안내판
30: 차단판 32: 반원형통공
34: 체결공 36: 멈춤공
38: 절곡편 44: 스프링
46: 핀부재 50: 커버
52: 원형통공 54: 장착공

Claims (5)

  1. 복층건물의 배관(10)상에서 화재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개별층마다 배관(10)의 일지점을 감싸도록 설치 가능한 구조이고, 배관(10)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22)을 지니는 본체(20); 및
    상기 본체(20) 상에 스프링(44)에 탄지된 상태로 수용되고, 배관(10)의 화재시 탄성력으로 유로를 차단하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30)은 반원형통공(32)과 절곡편(38)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와 차단판(30)은 핀부재(46)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멈춤공(26)(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개방된 면에는 배관(10)을 통과시키는 원형통공(52)을 지닌 커버(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KR2020100013451U 2010-12-27 2010-12-27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KR2004645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51U KR200464519Y1 (ko) 2010-12-27 2010-12-27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451U KR200464519Y1 (ko) 2010-12-27 2010-12-27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84U KR20120004884U (ko) 2012-07-05
KR200464519Y1 true KR200464519Y1 (ko) 2013-01-08

Family

ID=4685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451U KR200464519Y1 (ko) 2010-12-27 2010-12-27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5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46B1 (ko) * 2014-04-19 2014-11-05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염확산 방지용 댐퍼의 시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62A (ja) 1999-12-28 2001-07-10 Ota Kosan:Kk 防火用ダン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162A (ja) 1999-12-28 2001-07-10 Ota Kosan:Kk 防火用ダンパー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846B1 (ko) * 2014-04-19 2014-11-05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화염확산 방지용 댐퍼의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884U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0813A1 (en) A ceiling panel
US20110180278A1 (en) Fire containment devices and components therefor
KR200464519Y1 (ko) 화재차단용 댐퍼기구
Kumm et al. EPS insulated façade fires from a fire and rescue perspective
JP2010236677A (ja) 配管用耐火部材
JP4881202B2 (ja) 防火アタッチメント
NZ541764A (en) Fire damper with rotary valve, to respond to selected condition to close, with sealing provided in closed position
JP2010190034A (ja) 排水配管構造
KR102460991B1 (ko) 신속한 화재차단기능의 내화충전구조를 가진 슬리브
KR101262824B1 (ko) 방화구획체의 구조
KR101923631B1 (ko) 방화성능이 구비된 내진용 입상관 고정장치
JP6431416B2 (ja) 冷媒配管系の防火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耐火キャップの脱落防止装置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101143881B1 (ko) 건물 화재 진압용 소방 쿨러 시스템
US6761225B2 (en) Security disposition against fire applicable for delaying, retaining, controlling and extinguishing the action of fire by means of moisture, with water as its basic extinguishing element
KR102547778B1 (ko) 외장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샌드위치 패널
KR101678190B1 (ko)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CN220750350U (zh) 一种一体化防火风管
KR101152259B1 (ko) 입상관 홀더가 구비된 고열가스 차단형 입상관용 댐퍼
JP4932605B2 (ja) 棟換気材
KR102533135B1 (ko) 창틀프레임
KR20240058552A (ko) 방화용 입상배관 고정장치
JP3175735U (ja) 衝撃吸収型仕切防煙垂壁
KR102074891B1 (ko) 철판구조보강클램프가 일체로 구비된 배관 고정 캡형 내화재
KR200419168Y1 (ko) 층간 방화 차단 장치
KR102518265B1 (ko) 풀링 핸들 와이어 로프용 관통 피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