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137Y1 -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137Y1
KR200402137Y1 KR20-2005-0024143U KR20050024143U KR200402137Y1 KR 200402137 Y1 KR200402137 Y1 KR 200402137Y1 KR 20050024143 U KR20050024143 U KR 20050024143U KR 200402137 Y1 KR200402137 Y1 KR 2004021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hutter
emergency exit
bracket
s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국
Original Assignee
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 filed Critical 정국
Priority to KR20-2005-0024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1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1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1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2Sealing joint between adjacent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 E06B2009/155Slats connected by separate elements
    • E06B2009/1566Rigid elements, e.g. hinges, hooks o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방화셔터와 비상구의 틈새로 화염 및 연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기밀하게 차단할 수 있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방화셔터의 슬래트와 비상구의 슬래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슬래트 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절곡부를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자석을 구비한 지지브래킷과;
상기 지지브래킷에 방화셔터와 비상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한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A bracket for fireproof shutter emergency door}
본 고안은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방화셔터와 비상구의 틈새로 화염 및 연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의 통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인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백화점, 쇼핑몰, 대회의장 등)에는 소방법에 의해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셔터는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시험과 차연성시험을 통해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여러 요건(자동방화셔터 및 방화문의 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232호)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셔터(F)가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으로 인해 작동되어 특정공간을 봉쇄하는 경우에 봉쇄된 공간에 남아 있는 사람들의 신속한 피난을 위해 비상구(E)가 설치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비상구(E)와 방화셔터(F)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1)은 방화셔터의 슬래트(Slat)(F1) 단부를 보강하면서 연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에 설치된 비상구용 브래킷은 대부분 얇은 철판이거나 또는 철판에 합성수지재가 몰딩된 구조이므로 화재 발생시 고열에 의해 철판이 열변형되고 합성수지재는 쉽게 연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방화셔터의 내열성과 차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비상구의 정상적인 개폐도 어렵게 되는 등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되었다.
특히, 비상구가 철재 방화셔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내화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고 녹슬거나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유연성을 갖는 내열유리섬유재로 이루어진 스크린셔터일 경우에는 종래의 비상구용 브래킷을 적용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발생시 연소되거나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염 및 차연성을 향상시키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철재 뿐만 아니라 스크린 형태의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비상구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면서 방화셔터와 비상구가 긴밀하면서도 용이하게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기밀부재가 구비된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화셔터의 슬래트와 비상구의 슬래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슬래트 단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을 ┓형으로 절곡형성한 절곡부를 가지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지지브래킷의 일면에 부착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여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쪽 지지브래킷 전면을 커버하며 방화셔터와 비상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부착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기밀부재는 아크릴계 섬유를 소성 탄화시킨 라스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이 설치된 비상구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은 지지브래킷(10)과 기밀부재(20)로 대별되어 방화셔터(F)와 비상구(E)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지지브래킷(10)은 기밀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방화셔터 슬래트(F1)의 단부에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일측을 ┓형으로 절곡한 절곡부(11)가 형성되고,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일면으로는 자석(1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브래킷(10)의 절곡부(11)는 방화셔터가 감김시 이의 동작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즉 각 방화셔터(F)의 밴딩부(F2)와 밴딩부(F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자석(13)은 지지브래킷(10)의 표면 또는 표면에 요홈을 형성하여 삽입 설치하며, 강한 자기력으로 비상구의 개폐단부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비상구(E)가 긴밀하게 닫힐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방화셔터(F)가 흔들리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비상구(E)가 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비상구(E)가 철재가 아닌 불연성 섬유재의 스크린셔터로 구성된 경우 스크린셔터의 테두리에 금속재 와이어(W)를 구비함으로써 자석(13)의 자력에 의해 차폐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20)는 화재발생시 화염이나 연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불연성 섬유재로 하여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쪽 지지브래킷 전면을 커버하면서 지지브래킷(10)의 절곡부(11)와 동일하게 꺾임된 형태로 스크루(S)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지지브래킷(10)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기밀부재(20)의 부착은 일반 접착재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밀부재(20)의 상하단부는 지지브래킷(10)의 상하단을 외향으로 감쌀 수 있도록 여유 길이를 가지며 구비된다. 이는 지지브래킷(10)이 방화셔터의 슬래트(F1)에 각각 설치될 때에 지지브래킷(10) 각각이 상호 간에 긴밀하게 설치되지 못하므로, 지지브래킷(10)이 설치된 후에도 유연성을 갖는 기밀부재(20)의 상하단부가 상호 약간 중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가일층 향상된 기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밀부재(20)는 내열성 및 내화성이 우수하여 공기 중에서는 타거나 녹지 않는 특수 아크릴 섬유를 소성 탄화시킨 라스탄으로 형성한다. 이때 라스탄으로 두께는 어느정도 쿠션을 가지도록 3~6mm 정도가 적당하다.
따라서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이 화재발생시 연소되거나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염 및 연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방화셔터와 비상구 사이의 틈새가 불연성섬유 소재로 차폐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시에도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이 연소되거나 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차단하여 기밀성을 극대화하고, 이를 통해 방화셔터의 차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지지브래킷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스크린 형태의 섬유소재로 이루어진 비상구의 경우, 이를 열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기 전까지 비상구가 기밀하게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화셔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이 설치된 비상구의 개폐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브래킷 11: 절곡부
13: 자석 20: 기밀부재
E: 비상구 F: 방화셔터
F1: 슬래트 F2: 밴딩부
S: 스크루 W: 와이어

Claims (2)

  1. 방화셔터의 슬래트와 비상구의 슬래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의 슬래트 단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일측을 ┓형으로 절곡형성한 절곡부를 가지는 지지브래킷과;
    상기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지지브래킷의 일면에 부착 구비되는 자석과;
    상기 절곡부를 포함하여 비상구의 슬래트와 맞닿는 쪽 지지브래킷 전면을 커버하며 방화셔터와 비상구 사이의 틈새를 차단할 수 있도록 부착 설치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아크릴계 섬유를 소성 탄화시킨 라스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KR20-2005-0024143U 2005-08-22 2005-08-22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KR2004021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43U KR200402137Y1 (ko) 2005-08-22 2005-08-22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143U KR200402137Y1 (ko) 2005-08-22 2005-08-22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137Y1 true KR200402137Y1 (ko) 2005-11-25

Family

ID=43703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143U KR200402137Y1 (ko) 2005-08-22 2005-08-22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1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784B1 (ko) * 2006-02-22 2007-07-03 주식회사 월드에프엔에스 일체형 자동 방화셔터
KR100858024B1 (ko) 2008-04-22 2008-09-10 (주)전방재엔지니어링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20230000295U (ko) * 2021-07-30 2023-02-08 김상근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784B1 (ko) * 2006-02-22 2007-07-03 주식회사 월드에프엔에스 일체형 자동 방화셔터
KR100858024B1 (ko) 2008-04-22 2008-09-10 (주)전방재엔지니어링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차단구조
KR20230000295U (ko) * 2021-07-30 2023-02-08 김상근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200497704Y1 (ko) 2021-07-30 2024-01-31 김상근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JP5654966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US8656683B2 (en) Shutter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75189A (ja) 防火戸
KR20190012440A (ko) 철제 방화문
KR100754921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100563186B1 (ko) 방화셔터
KR200395943Y1 (ko) 방화셔터의 차연성(기밀성)을 향상시킨 난연가스켓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10073191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100722289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JP7240964B2 (ja) 防火建具
JP5770660B2 (ja) 窓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200392816Y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100666510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JP6975517B2 (ja) 排煙突出し窓
KR100770211B1 (ko)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
KR100722288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JP2015140542A (ja) 遮熱シート防火設備
JP6401851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JP6355704B2 (ja) 窓シャッター装置
JP6271681B2 (ja) 窓シャッターのガイドレールの防火構造
KR100666499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