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186B1 -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186B1
KR100563186B1 KR1020050042003A KR20050042003A KR100563186B1 KR 100563186 B1 KR100563186 B1 KR 100563186B1 KR 1020050042003 A KR1020050042003 A KR 1020050042003A KR 20050042003 A KR20050042003 A KR 20050042003A KR 100563186 B1 KR100563186 B1 KR 100563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bracket
coupling
shutte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472A (ko
Inventor
박갑일
박지성
Original Assignee
박갑일
박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일, 박지성 filed Critical 박갑일
Priority to KR102005004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186B1/ko
Publication of KR2005006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186B1/ko
Priority to JP2008509946A priority patent/JP4793946B2/ja
Priority to PCT/KR2006/001883 priority patent/WO20061239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염,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방화셔터의 틈새로 연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화셔터의 설치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방하셔터에서는 경첩 간의 쉬운 결합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2경첩브래킷에 형성한 변형방지결합수단과; 상기 비상탈출문브래킷이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밀하게 연속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브래킷에 형성한 보강결합수단과; 상기 앤드브래킷 간에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앤드브래킷에 형성한 앤드브래킷결합수단과; 상기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의 용이한 설치를 위한 고정판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차연성이 향상되고, 방화셔터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비상탈출문의 처짐 현상도 방지하고, 화재와 충격에 따른 변형이 방지될 수 있는 등 견고한 방화셔터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방화셔터, 비상탈출문, 경첩, 브래킷, 슬래트.

Description

방화셔터{Fire closure shutter}
도 1은 일반적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a는 종래의 방화셔터에 설치된 경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A부 확대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3a는 종래의 앤드브래킷이 비상탈출문에 설치된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C부 확대 평단면도,
도 3c는 도 3b의 D-D'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과 비상탈출문브래킷 및 앤드브래킷이 설치된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경첩과 그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E-E'선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브래킷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F부 확대 우측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앤드브래킷과 그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앤드브래킷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7c는 도 7b의 G-G′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비상탈출문브래킷의 제2브래킷에 자석이 내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경첩과 앤드브래킷이 설치된 다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a,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비상자동잠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중 앤드브래킷 부근에 비상자동잠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방화셔터의 정면도와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경첩 200,300 : 제1,2경첩브래킷
210,310 : 고정판 220,320 : 보스
221,321 : 체결구멍 230 : 힌지판
240 : 상부차연판 250,350 : 제1,2결합블록
251,351 : 결합홈 260 : 하부차연판
261,361 : 결합돌기 330 : 커버
360 : 하부차연편 400 : 비상탈출문브래킷
500,600 : 제1,2브래킷 510,610 : 앤드바
511,611 : 결합편 512,612 : 결합홈
520,620 : 고정판 530,630 : 보스
531,631 : 체결구멍 540,640 : 차단판
541,641 : 보강부 542, 642 : 단턱
613,713 : 통공 650 : 자석
700 : 앤드브래킷 710 : 앤드바
711 : 결합편 712 : 결합홈
720 : 고정판 730 : 보스
731 : 체결구멍 800 : 비상자동잠금장치
810 : 케이스 811 : 걸림돌기
812 : 부시 813 : 핀구멍
815 : 고정브래킷 820 : 차단봉
821 : 스프링턱 822 : 널링
823 : 핀결합홈 830 : 스프링
840 : 캡 850 : 부시
860 : 핀 D : 비상탈출문
D1,S1 : 슬래트 D2 : 밴딩부
D3,S3 : 엠보싱 S : 방화셔터
S2 : 밴딩부 N : 나사
P : 기둥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화염, 연기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셔터의 틈새로 연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화셔터의 설치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셔터의 역할을 하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소방법에 의해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특히, 대구지하철 화재참사나 각종 건물의 화재사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건물을 빠져나가지 못한 사람은 유독가스와 화염에 그대로 노출된다. 따라서 방화셔터는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시험과 파열시험을 통해 내화성(耐火性), 내파열성(耐破裂性), 차연성(遮煙性)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해야만 하며, 이러한 요건은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방화셔터는 단순히 방화셔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래트뿐만 아니라,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 등과 같은 부품의 경우에도 내열성, 내파열성, 차연성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도 1은 이와 같은 방하셔터의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경첩(10)은 방화셔터(S)에 비상탈출문(D)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힌지 기능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탈출문브래킷(40)은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비상탈출문(D) 슬래트(D1)의 단부 보강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며, 앤드브래킷(70)은 방화셔터(S)의 슬래트(S1)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슬래트(S1)의 보강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이러한 방화셔터의 구성 요소 중 경첩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종래의 경첩(10)은 통상 미도시된 핀과 스프링에 의해 제1,2경첩브래킷(20)(30)이 힌지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먼저, 경첩(10)의 제1경첩브래킷(20)은 방화셔터(S)의 슬래트(S1)에 스폿(Spot)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1)과, 절곡편(23)이 형성된 상부차연판(22)과, 하부차연판(2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경첩브래킷(30)은 스폿(Spot)용접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과, 측면차연편(32), 하부차연편(33)이 일체로 형 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S)에 설치되는 경첩(10)은 주물 공정을 통해 생산되는 특성상 그 냉각과정에서 제2경첩브래킷(30)의 측면차연편(32)이 쉽게 변형되므로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탈출문(D)의 밴딩부(D2)와 밀착되지 못하고 틈새가 발생되고, 그 조립작업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2경첩브래킷(30)의 측면차연편(32)은 돌출된 얇은 판 형상이므로 형상의 특성상 그 냉각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등 쉽게 변형되었으며, 변형된 측면차연판(32)을 교정하지 않고 조립할 경우, 도 2a와 도 2b에서와 같이 비상탈출문(D)의 밴딩부(D2) 측면과 밀착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방화셔터(S)의 차연 기능과 조립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측면차연판(32)의 변형을 교정하기 위하여 햄머 등을 통해 변형된 측면차연판(32)을 일일이 타격하여 교정하였으나, 주물 생산되는 제2경첩브래킷(30)의 특성상 모든 측면차연판(32)을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교정하여야 하며, 이로 인하여 경첩(10)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다수의 경첩(10)을 방화셔터(S)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경첩(10) 상호간에 손쉬운 결합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다수의 경첩(10)을 일일이 그 위치를 조정하면서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S)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설치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 1에서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도시한 비상탈출문브래킷(40)은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는 것으로, 방화셔터(S)의 슬래트(S1) 단부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단부에 제1,2브래킷(50)(60)이 각각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S)에 설치된 비상탈출문브래킷(40)은 대부분 얇은 철판에 합성수지재가 몰딩된 구조이므로 화재 발생시 화염에 의해 합성수지재가 연소되거나 쉽게 열 변형되고, 제1,2브래킷(50)(60)도 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방화셔터(S)의 내열성과 차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비상탈출문(D)의 정상적인 개폐도 어렵게 되는 등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각각 설치될 때에 비상탈출문브래킷(40) 상호간에 기밀하게 설치되지 못하므로 비상탈출문브래킷(40)이 설치된 후에도 비상탈출문(D)이 전체적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다수의 슬래트(D1)는 밴딩부(D2)를 통해 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밴딩부(D2)에는 원활한 결합을 위해 비교적 큰 결합공차를 설정하게 되며, 이러한 결합공차는 다수의 슬래트(D1)가 결합된 이후, 비상탈출문(D)이 자중에 의해 처지게 되는 현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이 보다 기밀하게 결합된다면 비상탈출문(D)의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종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은 상호 기밀하게 결합되지 못하므로 슬래트(D1)간의 결합공차를 보정할 수 없었으 며, 이로 인하여 자중에 의해 비상탈출문(D)이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비상탈출문(D)의 하단부에 별도의 처짐방지부재를 추가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을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에 설치과정에서 비상탈출문브래킷(40) 상호간에 손쉬운 결합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을 일일이 그 위치를 조정하면서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비상탈출문브래킷(40)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설치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도 1에서 부분적으로 상세하게 도시한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70)은 방화셔터(S)의 모든 슬래트(S1) 양단부에 설치되지 않고, 하나 건너 하나씩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다수의 슬래트(S1)가 좌우로 슬라이딩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70)은 하나 건너 하나씩 슬래트(S1)에 설치되는 구조상 차연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방화셔터(S)의 슬래트(S1)의 양단부도 견고하게 보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도 3a는 비상탈출문이 방화셔터의 좌측 단부에 설치된 종래의 다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이와 같은 방화셔터(S)는 전술한 종래의 구성과 마찬 가지로 경첩(10), 앤드브래킷(70)을 방화셔터(S)에 설치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나, 비상탈출문(D)의 단부에 앤드브래킷(71)이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71)은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탈출문(D)을 닫는 경우에 소음 발생을 다소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앤드브래킷(71)이 슬래트(D1)의 밴딩부(D2)를 커버하지 못하므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연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방화셔터(S)의 앤드브래킷(71)은 화염의 의해 쉽게 연소 및 변형되어 차연 기능을 상실하고, 앤드브래킷(71)의 변형으로 인하여 비상탈출문(D)의 개폐와 방화셔터(S)의 작동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앤드브래킷(71)을 각각 설치할 때에 앤드브래킷(71) 상호간에 기밀하게 설치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비상탈출문브래킷(40)에서와 같이 앤드브래킷(71)이 설치된 후에도 비상탈출문(D)이 전체적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화셔터(S)는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어 방화셔터(S) 뿐만 아니라 방화셔터(S)의 비상탈출문(D)도 열 변형되며, 이 과정에서 비상탈출문(D)에 설치된 경첩(10) 내부의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부품들이 녹거나 심하게 변형 및 파손되어 비상탈출문(D)이 저절로 개방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화셔터(S)는 화재발생시 화염에 매우 취약하여 연기 및 화염의 확산을 제대로 방지할 수 없는 심각한 결함이 발생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종래의 방화셔터(S)는 상기한 경첩(10), 비상탈출문브래킷(40), 앤드브래킷(70)(71)이 설치되므로 틈새가 많이 발생되어 차연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각 부품들의 설치가 간편하고 손쉽게 이루어질 수 없었으며, 비상탈출문(D)의 처짐 현상도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화셔터(S)는 화재시 화염에 의해 상기한 부품들이 변형 또는 연소되는 등 방화셔터(S)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S)의 기본적인 역할인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제대로 차단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셔터의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을 기밀하게 설치하므로 방화셔터의 차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비상탈출문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의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을 손쉽게 설치하므로 방화셔터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화셔터의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이 갖는 형상과 기밀한 결합구조에 의해 화재와 충격에도 변형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견고한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재발생시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을 자동으로 록킹하므로 비상탈출문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힌지 결합된 제1,2경첩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경첩과 제1,2브래킷으로 이루어진 비상탈출문브래킷 및 앤드브래킷이 고정판설치수단을 통해 설치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경첩 간의 쉬운 결합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경첩브래킷의 상부차연판에 결합홈을 갖는 제1결합블록을 형성하고, 제1경첩브래킷의 하부차연판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제2경첩브래킷에 제1경첩브래킷의 제1결합블록과 대응되게 결합홈을 갖는 제2결합블록을 형성하고, 제2경첩브래킷의 하부차연편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비상탈출문브래킷은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러 비상탈출문브래킷이 서로 기밀하게 연속 결합할 수 있도록 제1,2브래킷에 형성된 각각의 앤드바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고, 제1,2브래킷에 형성된 각각의 차단판에는 보강부와 단턱을 형성하며; 상기 앤드브래킷은 맞물림 결합을 통해 앤드브래킷 간에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앤드바의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힌지 결합된 제1,2경첩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경첩과 앤드브래킷이 고정판설치수단을 통해 설치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경첩 간의 쉬운 결합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경첩브래킷의 상부차연판에 결합홈을 갖는 제1결합블록을 형성하고, 제1경첩브래킷의 하부차연판에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제2경첩브래킷에 제1경첩브래킷의 제1결합블록과 대응되게 결합홈을 갖는 제2결합블록을 형성하고, 제2경첩브래킷의 하부차연편에는 결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앤드브래킷은 맞물림 결합을 통해 앤드브래킷 간에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앤드바의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과 결합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별로 구분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과 비상탈출문브래킷 및 앤드브래킷이 설치된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S)에는 강재(鋼材)의 경첩(100), 비상탈출문브래킷(400), 앤드브래킷(700)이 설치된다.
먼저, 도 5a에서 도시한 경첩(100)은 비상탈출문(D)의 개폐를 위해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S1)(D1)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크게 제1경첩브래킷(200)과 제2경첩브래킷(300), 고정판설치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경첩브래킷(200)은 방화셔터(S)의 슬래트(S1)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210)과, 힌지 결합을 위한 상하부 힌지판(230)과, 상부 힌지판(230)의 상방에 형성한 상부차연판(240)과, 하부 힌지판(230)의 하방에 형성한 하부차연판(260)으로 형성된다.
제2경첩브래킷(300)은 미도시된 핀과 스프링을 통해 통상적인 구조로 상기한 제1경첩브래킷(200)과 힌지 결합되며, 방화셔터(S)의 슬래트(S1)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310)과, 상기 상하부 힌지판(230) 사이에 위치되는 커버(330)와, 커버(330)의 하방에 형성한 하부차연편(36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2경첩브래킷(200)(300)은 도 5a,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분이 냉각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다른 경첩(100)과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1경첩브래킷(200) 중 상부차연판(240)의 일측에 결합홈(251)이 형성된 제1결합블록(25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차연판(260)에는 결합돌기(261)를 형성한다. 또한 제2경첩브래킷(300) 중 커버(330)의 상방에 결합홈(351)을 갖는 제2결합블록(350)을 일체로 형성하고, 하부차연편(360)에는 결합돌기(361)를 형성한다.
고정판설치수단은 제1,2경첩브래킷(200)(300)을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S1)(D1)에 손쉽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예로 제1,2경첩브래킷(200)(300)의 고정판(210)(310)에 체결구멍(221)(321)이 형성된 다수의 보스(220)(320)를 형성하여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에 형성된 엠보싱(D3)(S3)과 나사(N)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첩(100)이 설치된 방화셔터(S)는 도 5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결합블록(250)(350)과 결합돌기(261)(361)의 결합에 의해 다수의 경첩(100)을 결합 설치하므로 경첩(100)을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방화셔터(S)의 설치작업도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제2경첩브래킷(300)에 결합홈(351)이 형성된 제2결합블록(350)을 형성하므로 그 형상의 특성상 주물 생산 및 냉각과정에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5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경첩브래킷(300)이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고정 설치될 때에, 밴딩부(D2)와 밀착되므로 방화셔터(S)의 차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변형되지 않는 제2결합블록(350)으로 인하여 종래의 교정 작업이 불필요하며, 제2경첩브래킷(300)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도 6a에서 도시한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은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크게 제1브래킷(500), 제2브래킷(600), 고정판설치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브래킷(500)은 방화셔터(S)의 슬래트(S1)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앤드바(510)와, 상기한 앤드바(5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하되 방화셔터(S)의 슬래트(S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520)과, 상기한 앤드바(51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차단판(540)으로 구성된다.
제2브래킷(600)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측면에 밀착 설치되는 앤드바(610)와, 상기한 앤드바(6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하되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620)과, 상기한 앤드바(610)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 는 차단판(64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1,2브래킷(500)(600)은 휨 변형을 방지하면서 다수의 제1,2브래킷(500)(600)이 서로 기밀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제1,2브래킷(500)(600)의 앤드바(510)(610)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511)(611)과 결합홈(512)(612)을 대응되게 형성하고, 제1,2브래킷(500)(600)의 차단판(540)(640)에는 절곡된 형상의 보강부(541)(641)와 단턱(542)(642)를 형성한다.
고정판설치수단은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의 제1,2브래킷(500)(600)을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S1)(D1)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예로 제1,2브래킷(500)(600)의 고정판(520)(620)에 결합구멍(531)(631)이 형성된 다수의 고정판(520)을 형성하여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의 엠보싱(D3)(S3)과 나사(N)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이 설치된 방화셔터(S)는 도 6a,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브래킷(500)(600)의 앤드바(510)(610)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511)(611)과 결합홈(512)(612)이 형성되므로 다른 제1,2브래킷(500)(600)의 결합편(511)(611) 및 결합홈(512)(612)과 맞물리는 형태로 기밀하고 용이하게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결합편(511)(611)과 결합홈(512)(612)은 라운드 형상의 특성과 맞물리는 형태의 결합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차단하므로 그 기밀성 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 사이의 틈새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의 차폐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연기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판(540)(640)의 상하 단부에 단턱(542)(642)을 형성하여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이 상호 기밀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합편(511)(611) 및 결합홈(512)(612)과 함께 단턱(542)(642)이 갖는 형상과 맞물림 결합의 특성상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차단하며, 이로 인하여 기밀성을 강화시켜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의 차연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이 보다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슬래트(D1)간의 결합공차를 보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다수의 슬래트(D1)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비상탈출문(D)의 처짐 현상도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511)(611)과 결합홈(512)(612)이 맞물림 결합되므로 방화셔터(S)의 권취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며, 작업자가 다수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을 단순히 결합하는 작업으로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의 설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은 차단판(540)(640)에 절곡된 형상의 보강부(541)(641)를 형성하므로 방화셔터(S)나 비상탈출문(D)이 흔들릴 경우, 또는 비상탈출문(D)이 열리거나 닫혀질 때 발생하는 흔들림이나 충격에도 차단판(540)(640)이 변형되지 않고 그 형상 및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은 무방향성이므로 도 6a에 도시된 방법이외에 제1브래킷(500)을 비상탈출문(D)에 설치하고 제2브래킷(600)을 방화셔터(S)에 설치할 수 있으며, 상하 그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 설치할 수도 있는 등 설치 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7a,7b,7c에서 도시한 앤드브래킷(700)은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양단에 설치되어 슬래트(D1)의 보강 및 차연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앤드바(710), 고정판(720), 고정판설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앤드바(710)는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측면에 밀착 설치되고, 고정판(720)은 앤드바(7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앤드바(710)은 다른 앤드브래킷(700)과 기밀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711)과 결합홈(712)을 형성한다.
그리고 고정판설치수단은 앤드브래킷(700)을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예로 앤드브래킷(700)의 고정판(720)에 체결구멍(731)이 형성된 다수의 보스(730)를 형성하여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형성된 엠보싱(D3)과 나사(N) 체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앤드브래킷(700)이 설치된 방화셔터(S)는 도 7a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앤드바(710)의 상하부에 단부가 라운드 형상인 결합편(711)과 결합홈(712)을 형성하므로 다른 앤드브래킷(700)의 결합편(711) 및 결합홈(712)과 용이하고 기밀하게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결합편(711)과 결합홈(712)은 라운드 형상의 특성과 맞물리는 형태의 결합으로 인해 공기의 흐름을 최대한 차단하므로 방화셔터(S)의 기밀성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7b, 7c에서와 같이 다수의 앤드브래킷(100)이 결합되더라도 결합된 부분에 틈새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앤드브래킷(100)의 차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연기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5a,6a,7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100), 비상탈출문브래킷(400), 앤드브래킷(700)의 각 고정판(210)(310)(520)(620)(720)에 고정판설치수단인 다수의 보스(220)(320)(530)(630)(730)를 형성하므로 작업자가 경첩(100), 비상탈출문브래킷(400), 앤드브래킷(700)을 방화셔터(S)의 슬래트(S1) 또는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설치할 때에 그 위치를 일일이 조절하지 않고, 슬래트(S1)에 형성된 엠보싱(S3)에 끼운 후, 나사(N)로 체결시키게 된다. 따라서 방화셔터(S)의 전체 설치작업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2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S)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다른 구 성은 도 6a에서 도시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비상탈출문브래킷(400) 중 일부 제2브래킷(600)의 차단판(640)에 자석(650)을 내장시킨 것이다.
따라서 자석(650)이 내장된 일부 제1,2브래킷(500)(600)의 차단판(540)(640)은 비상탈출문(D)이 닫혀진 경우, 자성에 의해 서로 밀착되며, 사용자가 비상탈출문(D)을 열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기 전까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비상탈출문(D)의 개폐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제3실시예>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비상탈출문(D)이 방화셔터(S)의 일측단에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경우 방화셔터(S)에는 경첩(100)과 앤드브래킷(700)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셔터(S)는 제1실시예서 설명한 경첩(100) 및 앤드브래킷(700)이 갖는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갖는 것 이외에,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앤드브래킷(700)이 보다 기밀하게 결합 설치되므로 종래기술과는 달리 비상탈출문(D)을 구성하는 슬래트(D1)간의 결합공차를 보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다수의 슬래트(D1)가 자중에 의해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비상탈출문(D)의 처짐 현상도 방지하게 된다.
<제4실시예>
도 10a, 10b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자동잠금장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자동잠금장치(800)는 크게 케이스(810), 차단봉(820), 차단봉푸시수단, 캡(840), 잠금부재인 부시(85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810)는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우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양측에는 고정브래킷(815)이 구비되어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차단봉(820)은 화재발생시 인출되어 비상탈출문(D)의 개방을 방지하는 것으로, 스프링턱(821)과 널링(Nurling, 822)을 형성하여 상기한 케이스(810)에 삽입 설치한다.
차단봉푸시수단은 차단봉(820)을 탄성 가압하여 케이스(810)의 외부로 밀어내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일 예로 케이스(810)의 좌측부에 걸림돌기(811)를 형성하고, 케이스(810)의 내측에는 상기한 걸림돌기(811)에 걸려지는 부시(812)를 삽입하며, 부시(812)와 상기한 차단봉(820)의 스프링턱(821) 사이에는 스프링(830)을 설치하였다.
캡(840)은 케이스(810)의 입구에 체결 설치되는 것으로, 차단봉(820)과 삽입 결합된다.
잠금부재는 차단봉(820)의 이송을 강제로 제어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그 일예로 연질의 납으로 이루어진 부시(850)을 차단봉(820)의 널링(822) 부분과 캡(840) 사이에 압입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비상탈출문(D)에 4개의 비상자동잠금장치(800)를 설치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비상탈출문(D)의 크기 등에 따라 그 수를 가감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자동잠금장치(800)는 도 10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의 경우, 부시(850)와 차단봉(820)의 널링(822)이 억지 결합된 상태 를 지속하므로 스프링(830)의 탄성 가압에도 차단봉(820)이 비상탈출문(D)의 앤드바(610)에 형성된 통공(613) 측으로 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화셔터(S)의 비상탈출문(D)은 정상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반면, 도 10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화염 등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고, 이에 따라 연납재질인 부시(850)는 자연적으로 녹게 된다. 이에 따라 차단봉(820)은 스프링(830)의 탄성 가압에 의해 비상탈출문(D)에 형성된 브래킷(400)의 통공(613)을 통과하여 인출되고, 비상탈출문(D)은 인출된 차단봉(820)으로 인해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염에 의해 방화셔터(S)의 경첩(100) 중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부품이 열 변형 또는 파손되더라도 자동 인출된 차단봉(820)으로 인하여 비상탈출문(D)의 개방을 강제로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a, 11b는 본 발명의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800)의 또 다른 설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상탈출문(D)이 방화셔터(S)의 측단에 설치된 경우 비상자동잠금장치(800)를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 단부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봉(820)은 화재발생시 앤드브래킷(700)의 앤드바(713)에 형성된 통공(713)을 통과한 후 기둥(P)에 내측에 걸려지므로 비상탈출문(D)의 개방을 방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비상자동잠금장치(800)는 도 10a, 10b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각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경첩(100), 비상탈출문브래킷(400), 앤드브래킷(700)은 강재(鋼材)에 의해 각각 일체로 주물 가공되므로 강도가 강화되어 화재발생시 화염에도 열 변형되지 않고,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문(D)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람직한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변형을 방지한 경첩, 맞물림 보강 결합되는 비상탈출문브래킷, 기밀하게 맞물림 결합되는 앤드브래킷을 통해 기밀하게 결합 설치되므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방화셔터의 차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비상탈출문의 처짐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다수의 경첩과 비상탈출문 브래킷을 보다 손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와 제1,2경첩브래킷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의 기밀한 결합ㅇ에 의해 충격 또는 화염에도 변형되지 않는 견고한 방화셔터를 실현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에 고정판설치수단을 형성하므로 전체적으로 방화셔터의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비상탈출문브래킷 중 일부 제2브래킷의 차단판에 자석을 설치하므로 비상탈출문이 닫혀진 경우, 사용자가 비상탈출문을 열기 위해 물리적인 힘을 가하기 전까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비상자동잠금장치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비상탈출문이 저절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므로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힌지 결합된 제1,2경첩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경첩과 제1,2브래킷으로 이루어진 비상탈출문브래킷 및 앤드브래킷이 고정판설치수단을 통해 설치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경첩(100)은 경첩(100) 간의 쉬운 결합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경첩브래킷(200)의 상부차연판(240)에 결합홈(251)을 갖는 제1결합블록(250)을 형성하고, 제1경첩브래킷(200)의 하부차연판(260)에 결합돌기(261)를 형성하며, 상기 제2경첩브래킷(300)에 제1경첩브래킷(200)의 제1결합블록(250)과 대응되게 결합홈(351)을 갖는 제2결합블록(350)을 형성하고, 제2경첩브래킷(300)의 하부차연편(360)에는 결합돌기(361)를 형성하며;
    상기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은 휨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여러 비상탈출문브래킷(400)이 서로 기밀하게 연속 결합할 수 있도록 제1,2브래킷(500)(600)에 형성된 각각의 앤드바(510)(610)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511)(611)과 결합홈(512)(612)을 형성하고, 제1,2브래킷(500)(600)에 형성된 각각의 차단판(540)(640)에는 보강부(541)(641)와 단턱(542)(642)을 형성하며;
    상기 앤드브래킷(700)은 맞물림 결합을 통해 앤드브래킷(700) 간에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앤드바(710)의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711)과 결합홈(7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2. 힌지 결합된 제1,2경첩브래킷으로 이루어진 경첩과 앤드브래킷이 고정판설치수단을 통해 설치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경첩(100)은 경첩(100) 간의 쉬운 결합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경첩브래킷(200)의 상부차연판(240)에 결합홈(251)을 갖는 제1결합블록(250)을 형성하고, 제1경첩브래킷(200)의 하부차연판(260)에 결합돌기(261)를 형성하며, 상기 제2경첩브래킷(300)에 제1경첩브래킷(200)의 제1결합블록(250)과 대응되게 결합홈(351)을 갖는 제2결합블록(350)을 형성하고, 제2경첩브래킷(300)의 하부차연편(360)에는 결합돌기(361)를 형성하며;
    상기 앤드브래킷(700)은 맞물림 결합을 통해 앤드브래킷(700) 간에 기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앤드바(710)의 상하부에 라운드 형상의 결합편(711)과 결합홈(712)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래킷(600)은 차단판(640)에 자석(6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설치수단은 제1,2경첩브래킷(200)(300), 제1,2브래킷(500)(600), 앤드브래킷(700)에 형성된 고정판(210)(310)(520)(620)(720)에 체결구멍(221)(321)(531)(631)(731)을 갖는 보스(220)(320)(530)(630)(730)를 다수 형성하여 상기 방화셔터(S) 또는 비상탈출문(D)에 형성된 엠보싱(S3)(D3)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셔터(S)에는 화재발생시 비상탈출문(D)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자동잠금장치(80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잠금장치(800)는 방화셔터(100) 중 비상탈출문(D)의 슬래트(D1)에 고정 설치하는 케이스(810)와;
    스프링턱(821)과 널링(822)을 형성하여 케이스(810)에 삽입한 차단봉(820)과;
    상기 차단봉(820)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810)에 설치한 차단봉푸시수단과;
    상기 케이스(810)의 입구에 결합한 캡(840)과;
    상기 차단봉(820)의 널링(822) 부분과 캡(840) 사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열기에 의해 용융되므로 차단봉(820)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잠금부재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차단봉푸시수단은 케이스(810)의 일측부에 형성한 걸림돌기(811)과;
    상기 걸림돌기(811)에 걸려지며 차단봉(820)과 삽입 결합되는 부시(812)와;
    상기 부시(812)와 차단봉(820)의 스프링턱(821)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830)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 차단봉(820)의 널링(822) 부분과 캡(840) 사이에 화염에 쉽게 녹는 연질의 납 재질인 부시(850)를 압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KR1020050042003A 2005-05-19 2005-05-19 방화셔터 KR100563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03A KR100563186B1 (ko) 2005-05-19 2005-05-19 방화셔터
JP2008509946A JP4793946B2 (ja) 2005-05-19 2006-05-19 防火シャッター
PCT/KR2006/001883 WO2006123914A1 (en) 2005-05-19 2006-05-19 Fire closure sh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003A KR100563186B1 (ko) 2005-05-19 2005-05-19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72A KR20050065472A (ko) 2005-06-29
KR100563186B1 true KR100563186B1 (ko) 2006-03-21

Family

ID=3725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003A KR100563186B1 (ko) 2005-05-19 2005-05-19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37B1 (ko) * 2005-05-19 2006-09-01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102451991B1 (ko) 2021-09-30 2022-10-0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안전 방화 셔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173B1 (ko) * 2007-06-13 2008-06-11 장종복 방화셔터용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8537B1 (ko) * 2005-05-19 2006-09-01 박갑일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102451991B1 (ko) 2021-09-30 2022-10-07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창 안전 방화 셔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72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1633B1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100563186B1 (ko) 방화셔터
KR101592149B1 (ko) 도어 장치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102188406B1 (ko)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KR20170127142A (ko) 방화차열 및 단열 결로방지형 방화문
KR101101935B1 (ko) 단열체가 마련된 방화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54921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JP2020090786A (ja) 建具用面材及び建具
KR102258077B1 (ko) 방화문의 결합구조
KR100722289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KR200392816Y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100722288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경첩
KR100748276B1 (ko) 방화셔터용 경첩
KR100770211B1 (ko) 방화셔터용 앤드브래킷
KR100618537B1 (ko)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403227Y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JP4793946B2 (ja) 防火シャッター
JP7390245B2 (ja) 段窓
JP4321822B2 (ja) 窓用換気ステー
JP7390242B2 (ja) 保持金具及び建具
KR100755001B1 (ko) 방화셔터용 역경첩
KR10073191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문용 차연스토퍼
KR100577980B1 (ko) 방화셔터용 역경첩
KR102528081B1 (ko) 방화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