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06B1 -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 Google Patents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406B1
KR102188406B1 KR1020200031264A KR20200031264A KR102188406B1 KR 102188406 B1 KR102188406 B1 KR 102188406B1 KR 1020200031264 A KR1020200031264 A KR 1020200031264A KR 20200031264 A KR20200031264 A KR 20200031264A KR 102188406 B1 KR102188406 B1 KR 102188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ame
bent
door fram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김종원
Original Assignee
김성배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배,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성배
Priority to KR102020003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 화염이나 열풍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화염 차단력을 향상시킨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화문은 문짝과 문틀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문틀의 걸림부(140)와 문짝의 체결부(240)를 구비하고, 방화문이 닫힌 경우, 문짝의 체결부가 문틀의 걸림부에 갈고리 형상으로 맞물리게 되어(갈고리 맞물림 구조), 연속되는 세 개의 화염통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문은 화염이 발생되더라도 화염이 3개의 미세 화염 통로를 연속해서 경유하는 과정에서 소멸되므로 화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에 가압력이 가해져 문짝 체결부의 일부가 벌어지더라도 갈고리 구조의 특성상 나머지 부분이 더 밀착되어 상호간에 지지하므로 문짝과 문틀 간의 결합력(내구성)을 높이고 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Buried swing type fire door capable of Opening and Shutting with 90°and 180°}
본 발명은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90° 및 180° 개폐가능하고,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 화염이나 열풍에 의해 발생되는 가압력으로 문틀과 문짝 사이의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화염 차단력을 향상시킨 매립형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가정 및 사무실 등의 현관에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의 전달을 방지할 목적으로 철판으로 구성된 방화문을 설치하고 있다.
특히, 사람들의 출입이 잦은 건물의 출입구 등과 같은 통로에 방화문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며, 따라서 통상적으로 건물의 통로에는 화재로 인한 연기의 발생이나 온도의 상승이 있을 때에만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하는 매립형 방화문이 설치된다.
매립형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통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람들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하지만, 화재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방화문이다.
이러한 매립형 방화문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문짝이 통로에 매립되어 있다가 화재발생시 자동폐쇄장치에 의하여 문짝이 자동으로 닫혀 통로를 폐쇄한다.
도 1은 빌딩이나 사무실에 공급되는 종래 매립형 방화문 구조이다. 도 1의 방화문은 문짝(3)의 상단과 하단에 오토파워 힌지(1)가 삽입되고, 바닥에는 힌지(1)를 고정하는 걸쇠가 매립된다. 도 1과 같이, 오토파워 힌지를 사용하는 경우, 방화문의 (힌지 회동에 따른) 회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틀과 방화문 사이에 틈(도 1에서 화살표 표시)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틈을 통해 화염이나 연기가 쉽게 내부로 침투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공개특허 10-2017-0012846호는 문틀과 문짝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방화문은 방화문이 닫혔을 때 문틀(27)과 문짝(34)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으나(도 2a)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에 가압력이 가해져 열 변형되는 경우(도 2b), 문짝과 문틀 사이에 화염이나 연기 유입될 정도의 틈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이 열변형되는 경우에도 화염이나 연기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매립형 방화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문틀(100) 및 문짝(200) 세트를 각각 구비하여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매립형 방화문은
벽체에 고정되며, 문틀 전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철판이 절곡되며 문짝이 회전하는 공간(11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본체(120),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문짝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0), 상기 연장부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향하는 걸림부(140),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문짝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스켓이 장착되도록 절곡된 요홈부(150)를 구비하는 문틀(100)과
철판으로 형성된 문짝 본체(210), 상기 문짝 본체의 상하단에 위치하여 문짝을 회동시키는 힌지(220), 상기 문짝의 내측면에서 상기 문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0), 상기 연장부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문짝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걸림부(140)와 맞물려지는 체결부(240) 및 상기 문짝 본체의 외주면 테두리에서 반대편 문짝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밀폐부(250) 및 본체 본체의 내측면에서부터 상기 공간(110)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140)와 맞물려지는 체결부(240)를 포함하는 문짝(200)을 포함하고,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 상기 걸림부와 상기 체결부는 갈고리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갈고리 맞물림 구조는 연속되는 세 개의 화염통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방화문은 문짝과 문틀 상단에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는 문틀의 걸림부(140)와 문짝의 체결부(240)를 구비하고, 방화문이 닫힌 경우, 문짝의 체결부가 문틀의 걸림부에 갈고리 형상으로 맞물리게 되어(갈고리 맞물림 구조), 연속되는 세 개의 화염통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화문은 화염이 발생되더라도 화염이 3개의 미세 화염 통로를 연속해서 경유하는 과정에서 소멸되므로 화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에 가압력이 가해져 문짝 체결부의 일부가 벌어지더라도 갈고리 구조의 특성상 나머지 부분이 더 밀착되어 상호간에 지지하므로 문짝과 문틀 간의 결합력(내구성)을 높이고 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빌딩이나 사무실에 공급되는 종래 매립형 방화문 구조이다.
도 2는 공개특허 10-2017-0012846호의 방화문 틈새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문짝이 180° 열려 있는 평면도이다.
도 8과 도9는 은 화염과 열풍에 의한 문짝 변형 전과 후의 틈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문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방화문의 정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문짝이 90° 열려 있는 평면도이고, 도 8은 화염과 열풍에 의한 문짝 변형 전과 후의 틈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양여닫이 매립형 방화문은 통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문틀(100) 및 문짝(200)을 세트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통로(1)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화재 발생시에는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한다.
본 발명의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은 통로의 양 벽에 설치되는 각각 설치되는 문틀(100)과 상기 각각의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문짝(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화문은 천장측에 설치되는 상부문틀(101), 통로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 문틀(10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짝은 통로의 양 벽에 매립되어 고정되며, 화재시 자동으로 고정이 해제되어 자동으로 닫힌다.
상기 문틀(100)은 벽체에 고정되며, 문틀 전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철판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문틀은 공간(110), 본체(120), 연장부(130), 걸림부(140) 및 요홈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110)은 문짝(240)으로부터 돌출된 연장부(230)와 체결부(24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본체(120)는 문틀의 전체 형상을 유지하며, 특별한 형상 구조가 정해진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는 철판을 절곡한 사각형상 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문짝이 설치되는 측에는 철판이 덧대지 않은 공간(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30)는 상기 본체의 일측(벽방향)으로부터 공간(110) 또는 문짝 방향으로 연장되는 철판이다.
상기 걸림부(140)는 상기 연장부(130)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본체 방향으로 향하는 철판이다.
상기 걸림부(140)는 상기 연장부(130)와 함께 요홈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140)는 제 1 절곡부(141)와 제 2 절곡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141)의 길이는 10~12mm, 바람직하게는 11mm이다.
상기 제 2 절곡부(142)의 길이는 9~11mm, 바람직하게는 10mm이다.
상기 요홈부(150)는 상기 공간(110)을 사이에 두고 걸림부(140)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상기 요홈부(150)는 상기 연장부(130)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문틀 본체로부터 문짝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스켓(G)이 장착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상기 요홈부에 삽입된 가스켓은 문틀과 문짝 사이 틈과 상기 공간(110)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문짝(200)은 문짝 본체(210), 힌지(220), 연장부(230), 체결부(240) 및 밀폐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문짝 본체는 두 개의 철판으로 외면틀을 형성하고 내부에 내화재를 충진할 수 있다. 상기 문짝으로 공지된 방화문용 문짝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문짝은 90°, 180°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힌지(220)는 방화문의 상단과 하단에 삽입되어 문짝을 회동시킨다. 바닥에는 힌지를 고정하는 걸쇠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30)는 상기 문짝의 내측면에서 상기 문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체결부(240)는 상기 연장부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문짝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걸림부(140)와 맞물려진다.
상기 체결부(240)는 제 3 절곡부(241)와 제 4 절곡부(2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절곡부(241)의 길이는 13~15mm, 바람직하게는 14mm이다.
상기 제 4 절곡부(242)의 길이는 9~11mm, 바람직하게는 10mm이다.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 본 발명의 상기 걸림부와 상기 체결부는 갈고리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갈고리 맞물림 구조는 연속되는 세 개의 화염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과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화염 통로는 제 1 내지 제 3 화염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화염 통로(A)는 상기 문짝의 연장부(230)와 상기 제 2 절곡부(142)의 사이 공간이다.
상기 제 2화염 통로(B)는 상기 제 2 절곡부(142)와 제 4 절곡부(242)의 사이 공간이다.
상기 제 3 화염통로(C)는 상기 제 4 절곡부(242)와 상기 문틀의 연장부(130)의 사이 공간이다.
상기 제 1 화염 통로(A)는 1~2mm, 바람직하게는 1.5mm의 미세 화염갭(S1, flame gap)과 11~12mm 의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화염 통로(B)는 2~4mm의 미세 화염갭(S2, flame gap)과 8~10mm, 바람직하게는 9mm의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화염 통로(C)는 2~3mm의 미세 화염갭(S3, flame gap)과 15~20mm의 길이(L3)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화문은 화염이 발생되더라도 화염이 3개의 미세 화염 통로를 연속해서 경유하는 과정에서 소멸되므로 화염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문은 문짝의 체결부가 문틀의 걸림부에 갈고리 형상으로 맞물리게 되어(갈고리 맞물림 구조),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에 가압력이 가해져 문짝 체결부의 일부가 벌어지더라도 갈고리 구조의 특성상 나머지 부분이 더 밀착되어 상호간에 지지하므로 문짝과 문틀 간의 결합력(내구성)을 높이고 틈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종래 방화문에는 문틀과 문짝 측면 사이에 열변형으로 인한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화재 안전핀이 복수 개 구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방화문은 문짝과 문틀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체결부와 걸림부의 맞물림 구조로 인해 화재 안전핀 없이도 문틀과 문짝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통로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하는 문틀(100) 및 문짝(200) 세트를 각각 구비하고,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문틀(100)은 벽체에 고정되며, 문틀 전체 형상을 유지하도록 철판이 절곡되며 문짝이 회전하는 공간(110)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본체(120), 상기 본체의 일측으로부터 문짝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0), 상기 연장부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본체 방향으로 향하는 걸림부(140),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부터 문짝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스켓이 장착되도록 절곡된 요홈부(150)를 구비하고,
    상기 문짝(200)은 철판으로 형성된 문짝 본체(210), 상기 문짝 본체의 상하단에 위치하여 문짝을 회동시키는 힌지(220), 상기 문짝의 내측면에서 상기 문틀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30), 상기 연장부에서 두 번 절곡되어 단부가 상기 문짝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걸림부(140)와 맞물려지는 체결부(240) 및 상기 문짝 본체의 외주면 테두리에서 반대편 문짝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밀폐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140)는 제 1 절곡부(141)와 제 2 절곡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240)는 제 3 절곡부(241)와 제 4 절곡부(242)를 포함하고,
    방화문이 닫혔을 경우, 상기 제 2 절곡부(142)가 상기 체결부(240)와 연결부(230)로 형성되는 요홈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4 절곡부(242)가 걸림부(140)와 연결부(130)로 형성되는 요홈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140)와 상기 체결부(240)는 갈고리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고,
    화염이나 열풍 등으로 문짝에 가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문짝 체결부의 일부가 벌어지더라도 상기 체결부(240)가 상기 걸림부(140)에 밀착 지지되어 문짝과 문틀 간의 결합력을 높이고 틈의 발생을 줄이며,
    상기 갈고리 맞물림 구조는 연속되는 세 개의 제 1 내지 제 3 화염통로를 형성하여 화염이나 연기 유입을 차단하고,
    상기 제 1 화염 통로(A)는 상기 문짝의 연장부(230)와 상기 제 2 절곡부(142)의 사이 공간으로서, 1~2mm의 미세 화염갭(S1, flame gap)과 11~12mm 의 길이(L1)를 가지고,
    상기 제 2화염 통로(B)는 상기 제 2 절곡부(142)와 제 4 절곡부(242)의 사이 공간으로서, 2~4mm의 미세 화염갭(S2, flame gap)과 8~10mm의 길이(L2)를 가지고,
    상기 제 3 화염통로(C)는 상기 제 4 절곡부(242)와 상기 문틀의 연장부(130)의 사이 공간으로서, 2~3mm의 미세 화염갭(S3, flame gap)과 15~20mm의 길이(L3)를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1264A 2020-03-13 2020-03-13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KR102188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64A KR102188406B1 (ko) 2020-03-13 2020-03-13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64A KR102188406B1 (ko) 2020-03-13 2020-03-13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406B1 true KR102188406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64A KR102188406B1 (ko) 2020-03-13 2020-03-13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65B1 (ko) * 2021-01-04 2021-07-16 이원용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KR102393205B1 (ko) * 2021-10-13 2022-05-03 (주)한국방화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KR102462447B1 (ko) 2022-06-14 2022-11-03 (주)동광명품도어 내화성능 향상을 위하여 팽창성 발포제를 적용한 이중 틈새 차단 방화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966A (ko) * 2011-03-02 2012-09-12 최원겸 화염속도진행 저지용 방화문
KR101923643B1 (ko) * 2018-04-20 2018-11-29 이명현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9966A (ko) * 2011-03-02 2012-09-12 최원겸 화염속도진행 저지용 방화문
KR101923643B1 (ko) * 2018-04-20 2018-11-29 이명현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65B1 (ko) * 2021-01-04 2021-07-16 이원용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KR102393205B1 (ko) * 2021-10-13 2022-05-03 (주)한국방화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KR102462447B1 (ko) 2022-06-14 2022-11-03 (주)동광명품도어 내화성능 향상을 위하여 팽창성 발포제를 적용한 이중 틈새 차단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406B1 (ko)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KR101923643B1 (ko)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KR101744219B1 (ko)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건축 소방용 방화문
KR20050088941A (ko)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200001031U (ko) 방화문의 투시창 프레임 구조
KR20200079859A (ko) 방화문 장치
KR101592149B1 (ko) 도어 장치
EP1571285A2 (en) Security frame with sliding armour-plate on the shutter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KR102318949B1 (ko) 밀폐형 바람막이를 구비한 양여닫이 방화문
KR20190003132U (ko) 매립형 방화문
KR20190012440A (ko) 철제 방화문
KR101883978B1 (ko) 방화문 변형 방지장치
CN108868511A (zh) 一种双向开启的阻燃防火门
US4160421A (en) Fire door assembly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KR100754921B1 (ko)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KR100563186B1 (ko) 방화셔터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JPH05133170A (ja) 防火戸
JP6379316B2 (ja) 建具
JPS6129910Y2 (ko)
KR100717137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 구조
KR20100025039A (ko) 도어 시스템
KR102270855B1 (ko) 방화문 조립체
US8544896B2 (en) Stop device for preventing opening of deformed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