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265B1 -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 Google Patents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265B1
KR102279265B1 KR1020210000100A KR20210000100A KR102279265B1 KR 102279265 B1 KR102279265 B1 KR 102279265B1 KR 1020210000100 A KR1020210000100 A KR 1020210000100A KR 20210000100 A KR20210000100 A KR 20210000100A KR 102279265 B1 KR102279265 B1 KR 10227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ent
fire
bracke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Original Assignee
이원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1020210000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42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with a fire retardant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내화 도어; 건물의 개구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내화 도어; 상기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내화 도어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실내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고 화재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외부로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 내화 도어가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에 체결되는 제2 브라켓;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DOUBLE DOOR FIRE DOOR WITH FIREPROOF FUNCTION}
본 발명은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도어에서 연기 및 불꽃이 방화문과 방화문 사이에서 발생되게 된다.
크기가 작은 문의 경우에는 변형이 적어서 큰 문제가 되지 아니하나, 통상 쌍도어는 문짝이 크기 때문에 문짝의 변형에 의해 틈이 발생되고, 특히 화재 발생 시 문짝의 힘이 커서 연기 및 불꽃이 나오고, 그 불꽃이 외부로 보이면 절대로 안 된다.
특히, 크기가 큰 문짝을 1000℃ 이상으로 가열될 경우 문짝의 상부 및 하부 부분에 변형이 심하여 화재 발생 시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9-0003132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7583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방화문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도 연기 및 화연 불꽃이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방화문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은,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내화 도어; 건물의 개구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내화 도어; 상기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내화 도어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실내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고 화재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외부로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2 내화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제2 내화 도어가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밀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화 도어는,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 도어 전판; 상기 제1 도어 전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 도어 후판; 건물의 개구부에 상기 제1 도어 후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도어 후판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경첩; 및 상기 제1 도어 전판과 상기 제1 도어 후판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1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어 전판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제1 전면;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전면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전면 일측 절곡부; 및 상기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어 후판은, 상기 제1 전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후면;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후면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후면 일측 절곡부; 및 상기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은, 상기 제1 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경첩은, 상기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은, 상기 제1 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함께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체결면; 상기 제1 체결면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1 전단 절곡부; 및 상기 제1 체결면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1 후단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내화 도어는,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2 도어 전판; 상기 제2 도어 전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도어 후판; 건물의 개구부에 상기 제2 도어 후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도어 후판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경첩; 및 상기 제2 도어 전판과 상기 제2 도어 후판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2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어 전판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제2 전면;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전면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전면 일측 절곡부; 및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어 후판은, 상기 제2 전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2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후면;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후면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후면 일측 절곡부; 및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은, 상기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 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경첩은,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은, 상기 제2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상기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함께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제2 체결면; 상기 제2 체결면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2 전단 절곡부; 및 상기 제2 체결면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2 후단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도어 후판은,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 단열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단열 밀폐 부재와 대향하며 설치되는 제2 단열 밀폐 부재; 및 상기 제1 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체결면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간격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면의 다른 일측면과 상기 제1 전단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2 브라켓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의 전단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밀착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도어 전판은, 상기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3 단열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상기 제3 단열 밀폐 부재와 대향하며 설치되는 제4 단열 밀폐 부재; 및 상기 제2 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체결면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간격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면의 일측면과 상기 제2 후단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1 브라켓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의 후단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밀착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방화문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도 연기 및 화연 불꽃이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방화문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내화 도어와 제2 내화 도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10)은, 제1 내화 도어(100), 제2 내화 도어(200), 제1 브라켓(300) 및 제2 브라켓(400)(도 2 참조)을 포함한다.
제1 내화 도어(100)는,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제2 내화 도어(200)와 대향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일부를 개폐하며, 일측에 제1 브라켓(300)이 설치된다.
제2 내화 도어(200)는, 건물의 개구부의 다른 일측에 제1 내화 도어(100)와 대향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며, 다른 일측에 제2 브라켓(400)이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내화 도어(200)는, 전면 및 후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H)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제2 내화 도어(200)와 대향하는 제1 내화 도어(100)의 일측을 따라 설치된다.
제2 브라켓(400)은, 제1 브라켓(30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내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제1 내화 도어(100)와 제2 내화 도어(200)의 변형을 방지하고 화재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외부로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내화 도어(100)와 대향하는 제2 내화 도어(200)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제2 내화 도어(200)가 제1 내화 도어(100)와 밀착됨에 따라 제1 브라켓이 제2 브라켓(400)에 밀착되어 진다. 즉, 도 2,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고 화재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외부로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2 내화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제1 브라켓이 상기 제2 브라켓과 밀착되어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10)은, 일반적으로 문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제2 내화 도어(200)와 평소에는 닫아놓고 사용을 하지 아니하다가 보다 넓은 공간이 필요한 경우 열어서 개폐하기 위한 제1 내화 도어(100)로 이루어지는 쌍문형 방화문으로서, 제1 내화 도어(100)와 제2 내화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브라켓(300) 및 제2 브라켓(400)에 의한 제1 내화 도어(100)와 제2 내화 도어(200)의 체결을 통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방화문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도 연기 및 화연 불꽃이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방화문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제1 내화 도어와 제2 내화 도어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내화 도어(100)는, 제1 도어 전판(110), 제1 도어 후판(120), 제1 경첩(130) 및 제1 단열재(140)를 포함한다.
제1 도어 전판(110)은, 제1 내화 도어(100)에서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어 전판(110)은, 제1 전면(111), 제1 전면 일측 절곡부(112) 및 제1 전면 타측 절곡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면(111)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한다.
제1 전면 일측 절곡부(112)는,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1 전면(111)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112a, 112b)으로 형성된다.
제1 전면 타측 절곡부(113)는, 제2 내화 도어(200)와 대향하는 제1 전면(11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113a, 113b)으로 형성된다.
제1 도어 후판(120)은, 제1 도어 전판(1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도어 후판(120)은, 제1 후면(121), 제1 후면 일측 절곡부(122) 및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를 포함한다.
제1 후면(121)은, 제1 전면(111)과 대향하며 제1 단열재(14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1 후면 일측 절곡부(122)는,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1 후면(121)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122a, 122b)으로 형성된다.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는, 제2 내화 도어(200)와 대향하는 제1 후면(12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123a, 123b, 123c)으로 형성된다.
제1 경첩(130)은, 건물의 개구부에 제1 도어 후판(120)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1 도어 후판(120)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첩(130)은, 제1 후면 일측 절곡부(122)의 첫 번째 절곡면(122a)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일측 절곡부(122)의 첫 번째 절곡면(122a)은, 1 전면 일측 절곡부(112)의 첫 번째 절곡면(112a)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1 경첩(130)이 방화문의 일측에서 편심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단열재(140)는, 제1 도어 전판(110)과 제1 도어 후판(1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1 단열재(140)는, 일반적으로 방화문의 단열재료로 사용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10)는, 제1 전면 일측 절곡부(112)의 두 번째 절곡면(112b)과 제1 후면 일측 절곡부(122)의 두 번째 절곡면(122b)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전면 타측 절곡부(113)의 첫 번째 절곡면(113a)과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의 세 번째 절곡면(123c)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전면 타측 절곡부(113)의 두 번째 절곡면(113b)과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의 두 번째 절곡면(123b)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내화 도어(200)는, 제2 도어 전판(210), 제2 도어 후판(220), 제2 경첩(230) 및 제2 단열재(240)를 포함한다.
제2 도어 전판(210)은, 제2 내화 도어(200)에서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도어 전판(210)은, 제2 전면(211),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 및 제2 전면 타측 절곡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면(211)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한다.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는, 제1 내화 도어(100)와 대향하는 제2 전면(211)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211a, 211b, 211c)으로 형성된다.
제2 전면 타측 절곡부(213)는,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2 전면(21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213a, 213b)으로 형성된다.
제2 도어 후판(220)은, 제2 도어 전판(210)의 후단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도어 후판(220)은, 제2 후면(221), 제2 후면 일측 절곡부(222) 및 제2 후면 타측 절곡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후면(221)은, 제2 전면(211)과 대향하며 제2 단열재(24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2 후면 일측 절곡부(222)는, 제1 내화 도어(100)와 대향하는 제2 후면(221)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222a, 222b)으로 형성된다.
제2 후면 타측 절곡부(223)는,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2 후면(22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223a, 223b)으로 형성된다.
제2 경첩(230)은, 건물의 개구부에 제2 도어 후판(220)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제2 도어 후판(220)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첩(230)은, 제2 후면 타측 절곡부(223)의 첫 번째 절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후면 타측 절곡부(223)의 첫 번째 절곡면은, 제2 전면 타측 절곡부(213)의 첫 번째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제2 경첩(230)이 방화문의 다른 일측에서 편심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단열재(240)는, 제2 도어 전판(210)과 제2 도어 후판(22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 단열재(240)는, 일반적으로 방화문의 단열재료로 사용되는 재질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10)은,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의 두 번째 절곡면(212b)과 제2 후면 일측 절곡부(222)의 두 번째 절곡면(222b)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되고,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의 세 번째 절곡면(212c)과 제2 후면 일측 절곡부(222)의 첫 번째 절곡면(222a)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되고, 제2 전면 타측 절곡부(213)의 두 번째 절곡면(213b)과 제2 후면 타측 절곡부(223)의 두 번째 절곡면(223b)이 리벳(R)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300)은, 제1 체결면(310), 제1 전단 절곡부(320) 및 제1 후단 절곡부(330)를 포함한다.
제1 체결면(310)은, 제1 전면 타측 절곡부(113)의 첫 번째 절곡면(113a)에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의 세 번째 절곡면(123c)과 함께 리벳(R)에 의해 체결된다.
제1 전단 절곡부(320)는, 제1 체결면(310)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320a, 320b)을 형성한다.
제1 후단 절곡부(330)는, 제1 체결면(310)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330a, 330b)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전단 절곡부(320)의 두 번째 절곡면(320b)와 제2 전단 절곡부(420)의 두 번째 절곡면(420b)간의 간격(t3)과, 제1 전단 절곡부(320)의 두 번째 절곡면(320b)과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의 두 번째 절곡면(212b) 간의 간격(t4)은 동일하게 일정한 가격(예를 들어, 5mm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2 후단 절곡부(430)의 두 번째 절곡면(430b)과 제1 후단 절곡부(330)의 두 번째 절곡면(330b)간의 간격(t2)과, 제2 후단 절곡부(430)의 두 번째 절곡면(430b)과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의 두 번째 절곡면(123b) 간의 간격(t1)은 동일하게 일정한 가격(예를 들어, 5mm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 브라켓(400)은, 제2 체결면(410), 제2 전단 절곡부(420) 및 제2 후단 절곡부(430)를 포함한다.
제2 체결면(410)은, 제2 후면 일측 절곡부(222)의 첫 번째 절곡면(222a)에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의 세 번째 절곡면(212c)과 함께 리벳(R)에 의해 체결된다.
제2 전단 절곡부(420)는, 제2 체결면(410)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420a, 420b)을 형성한다.
제2 후단 절곡부(430)는, 제2 체결면(410)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430a, 430b)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브라켓(300)과 제2 브라켓(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이 닫힘에 따라 서로 맞물려 밀착됨으로써, 제1 내화 도어(100)와 제2 내화 도어(20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내화 도어(100)와 제2 내화 도어(200)의 체결을 통하여 화재 발생으로 인하여 방화문의 온도가 1000℃ 이상으로 가열된 경우에도 연기 및 화연 불꽃이 외부에서 안 보이도록 방화문의 변형을 최소화시켜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방화문의 내화 성능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20)의 제1 도어 후판(120)은, 제1 후면 타측 절곡부(123)의 첫 번째 절곡면(123a)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 단열 밀폐 부재(12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브라켓(300)은, 제2 단열 밀폐 부재(340) 및 제1 간격 지지체(350)를 더 포함한다.
제2 단열 밀폐 부재(340)는, 제1 후단 절곡부(330)의 두 번째 절곡면(330b)의 일측면에 제1 단열 밀폐 부재(124)와 대향하며 설치된다.
즉, 제1 단열 밀폐 부재(124)와 제2 단열 밀폐 부재(340)는,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는 제2 후단 절곡부(430)의 두 번째 절곡면(430b)의 일측 및 다른 일측과 밀착되어 이격 공간으로 화염 또는 열기가 방화문을 관통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로부터 실외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간격 지지체(350)는, 제1 후단 절곡부(330)의 두 번째 절곡면(330b)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1 체결면(310)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제1 후단 절곡부(330)의 두 번째 절곡면(330b)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제2 단열 밀폐 부재(340)를 제1 단열 밀폐 부재(124) 방향으로 밀착시켜 제1 단열 밀폐 부재(124)와 제2 단열 밀폐 부재(340)에 의한 기밀 성능을 향상시켜 준다.
그리고, 제1 브라켓(300)은, 제1 체결면(310)의 다른 일측면과 제1 전단 절곡부(320)의 첫 번째 절곡면(320a)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되, 제2 브라켓(400)이 밀착됨에 따라 제2 브라켓(400)의 전단(즉, 410의 전단)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361)을 형성하는 제1 밀착 경사부(360)를 더 포함한다.
즉, 제1 브라켓(300)은, 제2 체결면(410)의 전단을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제3 단열 밀폐 부재(214)와 제4 단열 밀폐 부재(440)에 의한 기밀 성능이 보다 강력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도어 전판(210)은, 제2 전면 일측 절곡부(212)의 첫 번째 절곡면(212a)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3 단열 밀폐 부재(214)를 더 포함한다.
제2 브라켓(400)은, 제4 단열 밀폐 부재(440) 및 제2 간격 지지체(450)를 더 포함한다.
제4 단열 밀폐 부재(440)는, 제2 전단 절곡부(420)의 두 번째 절곡면(420b)의 다른 일측면에 제3 단열 밀폐 부재(214)와 대향하며 설치된다.
제2 간격 지지체(450)는, 제2 전단 절곡부(420)의 두 번째 절곡면(420b)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2 체결면(410)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제2 브라켓(400)은, 제1 체결면(310)의 일측면과 제2 후단 절곡부(430)의 첫 번째 절곡면(430a)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되, 제1 브라켓(300)이 밀착됨에 따라 제1 브라켓(300)의 후단(즉, 410의 후단)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밀착 경사부(4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3 단열 밀폐 부재(214), 제4 단열 밀폐 부재(440) 및 제2 밀착 경사부(460는, 상술한 제1 단열 밀폐 부재(124), 제2 단열 밀폐 부재(340) 및 제1 밀착 경사부의 구성요소와 대칭 구조로서 해당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00: 제1 내화 도어
200: 제2 내화 도어
300: 제1 브라켓
400: 제2 브라켓

Claims (19)

  1.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내화 도어;
    건물의 개구부의 다른 일측에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나머지 일부를 개폐하는 제2 내화 도어;
    상기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내화 도어의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은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함께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제1 체결면, 상기 제1 체결면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1 전단 절곡부, 및 상기 제1 체결면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1 후단 절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브라켓; 및
    실내 공간에서 화재 발생시 상기 제1 내화 도어와 상기 제2 내화 도어의 변형을 방지하고 화재에 따라 발생된 화염이 외부로 비추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2 내화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제1 브라켓이 상기 제2 브라켓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화 도어는,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1 도어 전판;
    상기 제1 도어 전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1 도어 후판;
    건물의 개구부에 상기 제1 도어 후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도어 후판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1 경첩; 및
    상기 제1 도어 전판과 상기 제1 도어 후판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1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전판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제1 전면;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전면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전면 일측 절곡부; 및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후판은,
    제1 전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1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후면;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후면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후면 일측 절곡부; 및
    제2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1 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1 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5. 제4항에 있어서,
    제1 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제1 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첩은,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설치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은,
    제1 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화 도어는,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면을 형성하는 제2 도어 전판;
    상기 제2 도어 전판의 후단에 설치되는 제2 도어 후판;
    건물의 개구부에 상기 제2 도어 후판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도어 후판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제2 경첩; 및
    상기 제2 도어 전판과 상기 제2 도어 후판 사이의 이격 공간에 설치되는 제2 단열재;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 전판은,
    실내 공간으로 향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제2 전면;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전면의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3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전면 일측 절곡부; 및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 후판은,
    제2 전면과 대향하며 상기 제2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2 후면;
    제1 내화 도어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후면의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후면 일측 절곡부; 및
    건물의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2 후면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으로 형성되는 제2 후면 타측 절곡부;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고, 제2 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과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이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3. 제11항에 있어서, 제2 경첩은,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설치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은,
    제2 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보다 길게 형성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제2 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에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세 번째 절곡면과 함께 리벳에 의해 체결되는 제2 체결면;
    상기 제2 체결면의 전단으로부터 다른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2 전단 절곡부; 및
    상기 제2 체결면의 후단으로부터 일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뒤, 다시 전단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2 개의 절곡면을 형성하는 제2 후단 절곡부;를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후판은,
    제1 후면 타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 단열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1 브라켓은, 제1 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단열 밀폐 부재와 대향하며 설치되는 제2 단열 밀폐 부재; 및
    상기 제1 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1 체결면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1 간격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체결면의 다른 일측면과 제1 전단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되, 제2 브라켓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2 브라켓의 전단이 다른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다른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밀착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 전판은,
    제2 전면 일측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3 단열 밀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제2 브라켓은 제2 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다른 일측면에 상기 제3 단열 밀폐 부재와 대향하며 설치되는 제4 단열 밀폐 부재; 및
    상기 제2 전단 절곡부의 두 번째 절곡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제2 체결면과의 간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제2 간격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제1 체결면의 일측면과 제2 후단 절곡부의 첫 번째 절곡면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되, 제1 브라켓이 밀착됨에 따라 상기 제1 브라켓의 후단이 일측 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전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밀착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KR1020210000100A 2021-01-04 2021-01-04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KR10227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00A KR102279265B1 (ko) 2021-01-04 2021-01-04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00A KR102279265B1 (ko) 2021-01-04 2021-01-04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9265B1 true KR102279265B1 (ko) 2021-07-16

Family

ID=7715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100A KR102279265B1 (ko) 2021-01-04 2021-01-04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2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38Y1 (ko) 2002-02-08 2002-05-17 엄장섭 방화문
KR200459029Y1 (ko) * 2011-08-01 2012-03-22 노유학 도어조립체
KR20180022334A (ko) * 2016-08-24 2018-03-06 김양섭 복합기능을 갖는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KR20190027395A (ko) * 2017-09-06 2019-03-15 (주)엘지하우시스 방화문
KR20190003132U (ko) 2019-07-18 2019-12-20 김성배 매립형 방화문
KR102188406B1 (ko) * 2020-03-13 2020-12-08 김성배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38Y1 (ko) 2002-02-08 2002-05-17 엄장섭 방화문
KR200459029Y1 (ko) * 2011-08-01 2012-03-22 노유학 도어조립체
KR20180022334A (ko) * 2016-08-24 2018-03-06 김양섭 복합기능을 갖는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프레임
KR20190027395A (ko) * 2017-09-06 2019-03-15 (주)엘지하우시스 방화문
KR20190003132U (ko) 2019-07-18 2019-12-20 김성배 매립형 방화문
KR102188406B1 (ko) * 2020-03-13 2020-12-08 김성배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7543A (en) Door
US8042316B2 (en) Fireproof door
KR101923643B1 (ko) 양개형 방화문 변형 방지 장치
NO337192B1 (no) Karmstykke for dører, vinduer og lignende, samt en branndør innbefattende slike karmstykker.
JP2013127167A (ja) 建具
KR102279265B1 (ko) 내화 기능을 갖는 쌍도어 방화문
JP2013127169A (ja) 建具
KR20170112500A (ko) 결로 방지용 방화문
JPS6175189A (ja) 防火戸
KR20090008933A (ko) 방화문
CN108049763A (zh) 一种铝合金防火密封窗
JP5653896B2 (ja) 建具
KR101883978B1 (ko) 방화문 변형 방지장치
CN205876106U (zh) 一种防火门
CN207988805U (zh) 一种塑钢防火窗
KR102270855B1 (ko) 방화문 조립체
JP2015178711A (ja) ドア
KR102493007B1 (ko) 슬라이딩 창호
JP6975517B2 (ja) 排煙突出し窓
CN208816027U (zh) 一种抗变形的防火钢门
JP2015092060A (ja) 建具
CN204984175U (zh) 三层钢板钢质隔热防火门扇
JPH07293078A (ja) 火災時における戸の反り防止構造及び反り防止具
JP6735153B2 (ja) 開き戸用の戸枠構造
TWI735132B (zh) 防火防煙斷熱門片及具備該門片之捲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