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205B1 -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 Google Patents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205B1
KR102393205B1 KR1020210135713A KR20210135713A KR102393205B1 KR 102393205 B1 KR102393205 B1 KR 102393205B1 KR 1020210135713 A KR1020210135713 A KR 1020210135713A KR 20210135713 A KR20210135713 A KR 20210135713A KR 102393205 B1 KR102393205 B1 KR 102393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raight
sealing member
frame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주)한국방화문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방화문, 최영수 filed Critical (주)한국방화문
Priority to KR102021013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06B3/362Double winged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4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 F16J15/403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by means of fluid by changing the state of mat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2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 E06B2003/26321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arrangements reducing the heat transmission, other than an interruption in a metal section with additional prefab insulating materials in the hollow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문을 닫았을 때 방화문을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화재 발생시 높은 열과 압력에도 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의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은,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12)과, 상기 도어 프레임(12)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로 구성된 도어 프레임부(10);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본체(22)와, 상기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로 구성된 도어부(20); 및
상기 도어 프레임부(10)에 대하여 도어부(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부(10)와 도어부(20)를 연결하는 도어 힌지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힌지부와 인접한 도어 본체의 전면패널에 제1 기밀날개가 도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어 힌지부와 인접한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회전시켰을 때 회전공간 내부로 회전 인입되는 제1 기밀날개를 단속하는 제1날개단속편이 상기 회전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간의 타측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회전시켰을 때 도어 본체의 전면패널이 실링부재에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본체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Fire doors reinforced with gap tightness}
본 발명은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화문을 닫았을 때 방화문을 구성하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고, 화재 발생시 높은 열과 압력에도 도어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구성의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염이나 연기가 다른 공간(대피 공간)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할 목적으로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및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출입구(또는 개구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방화문은 문의 일종으로서 사람의 통행이 가능하지만, 화재 시 다른 공간으로 화염이나 연기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처럼 방화문은 화재 시 화염이나 연기의 전파를 최소화하고 피난 경로를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시설로서, 관련 법령에 따르면 모든 건축물에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필수 시설에 해당된다.
상기 방화문은 크게 양문형(두 개의 도어로 구성)과 단문형(하나의 도어로 구성)으로 구분되며, 출입구(또는 개구부)의 면적에 따라 둘 중 적절한 것으로 적용된다.
일반적인 방화문의 구성은, 출입구(또는 개구부)의 벽체(또는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사각 링 모양의 도어 프레임과, 도어 프레임의 양 측부에 대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도어, 그리고 도어 프레임에 대한 도어가 상기 출입구를 개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둘 사이를 연결한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화문은 화재에 노출되더라도 연소, 용융, 깨짐, 열분해, 폭발, 또는 열화되는 것에 대해 충분한 내성이 있어야 하며, 고온의 화염과 높은 압력에도 뒤틀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방화문은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내열성 강재로 구성하되 표면에 내열성 도료를 입히고, 그 안에 단열성 충진재를 채워 구성한다.
그러나, 도어와 도어 프레임이 단순히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된 구성의 종래 대부분의 방화문은, 도어 개폐 시 도어 프레임과의 간섭을 없애기 위해 적용되는 약간의 설계 마진으로 인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도어와 도어 프레임 사이에 미세하게 틈이 생길 수 밖에 없었고, 이에 화재 시 고온의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그 틈을 통해 대피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와 도어 프레임을 단순히 하나 이상의 힌지로 연결시킨 종래 구성은, 힌지가 설치된 부분에서만 부분적으로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 시 고온의 화염이나 고온 화염에 의한 높은 압력을 견뎌내지 못하고 도어의 가장자리 부분(힌지가 설치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이 쉽게 뒤틀리거나 휘는 등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26939호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등록일자 2020.06.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6634호 '방화문' (등록일자 2020.03.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사이의 틈을 기밀하게 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온의 화염이나 유해가스가 대피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한 도어의 뒤틀림이나 휨 변형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은,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12)과, 상기 도어 프레임(12)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C)로 구성된 도어 프레임부(10);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본체(22)와, 상기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22a)과 후면패널(22b) 사이의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C)로 구성된 도어부(20); 및
상기 도어 프레임부(10)에 대하여 도어부(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부(10)와 도어부(20)를 연결하는 도어 힌지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힌지부(30)와 인접한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22a)에 제1 기밀날개(28)가 도어 본체(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어 힌지부(30)와 인접한 도어 프레임(12)에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회전공간(14) 내부로 회전 인입되는 제1 기밀날개(28)를 단속하는 날개단속편(18)이 상기 회전공간(1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간(14)의 타측에는 실링부재(29)가 삽입되는 실링수용홈(15)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22a)이 실링부재(29)에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구성하여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도어 프레임(12)은, 도어 본체(22)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도어 프레임(12)을, 회전공간(14)을 갖고 일측에 날개단속편(18)이 형성되며, 타측에 실링홈 내측벽(15a)이 절곡 형성된 전면 프레임(13a)과; 상기 전면 프레임(13a)에 조립되어 내측에 단열성 충진재(C)를 충진하고, 타측에 상기 실링홈 내측벽(15a)과 마주하는 실링홈 외측벽(15b)을 절곡 성형하면서, 상기 실링홈 내측벽(15a)에 선단부를 서로 맞붙게 작업해 실링수용홈(15)이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13b)이 조립되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 프레임(12)의 실링수용홈(15)에는, 삽입된 실링부재(29)가 측면을 가압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실링고정구(15c)가 돌출 성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20)는, 양문형 또는 단문형 도어일 수 있다.
또, 상기 도어부(20)는, 전면패널(22a)과, 후면패널(22b)을 서로 맞붙여 시밍(seaming)작업하되, 제1 기밀날개(28)는 전면패널(22a) 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면서 도어 본체(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해 시밍 작업하여, 상기 도어 본체(22)가 도어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밀날개(28)가 날개단속편(18)에 걸려져 단속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29)는, 중공형 개스킷(gasket)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29)는,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의 내부에 써멀 왁스(thermal wax)(29b)가 봉입된 구성일 수 있다.
또, 상기 실링부재(29)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는 두 종류의 얇은 도전성 금속판을 포개어 붙인 열변형부(29c) 일면에 개스킷이 부착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20)에는, 도어 본체(22)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내부의 개스킷이 하단으로 인출되어, 상기 도어 프레임(12) 중 하부 도어 프레임(12b)의 상부면과 긴밀히 접하도록 구성된 로워 실 유닛(lower seal unit)(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워 실 유닛(40)은, 하면부가 개방된 함체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어 본체(22)의 하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실 케이스(42)와; 상기 실 케이스(42)의 내부에 배치되며, 실 케이스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단을 구비하는 입력레버(44)와; 일면에 상기 개스킷(48)이 부착되며, 실 케이스(42)에 대한 상기 입력레버(44)의 도어 본체(22) 폭 방향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도어 본체(22)의 높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입력레버(44)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46) 및; 상기 가동부재(46) 및 입력레버(44)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S)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도어를 닫았을 때 제1 기밀날개가 날개단속편에 걸려지고 실링수용홈에 구비된 실링부재에 도어본체가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를 닫았을 때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이 이중으로 완벽하게 차단됨으로써, 대피 공간으로의 고온 화염이나 유해 가스의 유입을 확실하게 방지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닫았을 때 제1날개단속편에 제1기밀날개가 단속되면서 도어에 대한 도어 프레임의 지지면적을 증대시켜,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서 높은 열과 압력에 대한 내변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의 열림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의 닫힘상태를 도시한 평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실링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인 도어 프레임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의 하단부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워 실 유닛의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구성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도어 프레임부(10) 및 도어부(2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부(10)는 출입구(E)의 벽체(또는 벽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각, 바람직하게는 사각 링 모양의 도어 프레임(12)을 포함하며, 도어부(20)는 상기 출입구(E)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치 또는 구성되는 도어 본체(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출입구(E)를 완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완전히 개방된 도어부(20)가 벽면 또는 벽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벽면 또는 벽체에 매립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벽체에 도어 프레임 및 도어부 매입공간을 형성한다.
또, 상기 도어부(20)가 완전 개방상태에서는 도어 본체(22)가 벽체에 마주하게 위치하는데, 이때, 도어 본체(22)의 표면 훼손을 방지할 수 있게 벽체에 기밀패드(F)를 부착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부(10)는 구체적으로, 도어 프레임(12) 및 그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C)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 프레임(12)은 상부와 하부 도어프레임(12b) 및 이들 상부와 하부 도어프레임(12b)에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호 간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측면 도어 프레임(12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측면 도어 프레임(12)은, 회전공간(14)을 갖고 일측에 날개단속편(18)이 형성되며, 타측에 실링홈 내측벽(15a)이 절곡 형성된 전면 프레임(13a)과, 상기 전면 프레임(13a)에 조립되어 내측에 단열성 충진재(C)를 충진하고, 타측에 상기 실링홈 내측벽(15a)과 마주하는 실링홈 외측벽(15b)을 절곡 성형하면서, 상기 실링홈 내측벽(15a)에 선단부를 서로 맞붙게 작업해 실링수용홈(15)이 형성되는 후면 프레임(13b)을 조립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3a)은, 도어 힌지부(30)에 조립된 도어부(20)의 제1 기밀날개(28)가 회전공간(14)으로 삽입 회전되면서, 제1 기밀날개(28)가 날개단속편(18)의 내측면에 걸려져 도어부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며, 후면 프레임(13b)은, 내부에 단열성 충진재(C)가 충진되면서 벽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체 구조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 프레임(13b)은, 실링수용홈 형상을 갖게 실링홈 외측벽(15b)을 절곡 형성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13a)의 실링홈 내측벽(15a)에 실링홈 외측벽(15b)의 선단을 서로 맞붙여 도어 프레임(12)의 길이 방향으로 시밍(seaming) 작업함으로써, 도어 프레임(12)의 전면으로 실링수용홈(15)이 완성되고, 상기 실링수용홈(15) 내에 실링부재(29)를 조립한다.
또한, 전면 프레임(13a)은, 실링부재(29)의 저면에서부터 측면까지 실링부재(29)의 돌출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전면직선부(131a), 제1 전면직선부(131a)의 일단으로부터 실링부재(29)의 돌출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 전면직선부(132a), 제2 전면직선부(132a)의 일단으로부터 실링부재(29)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된 제1 전면곡선부(133a), 제1 전면곡선부(133a)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되, 제1 전면직선부(131a)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3 전면직선부(134a), 제3 전면직선부(134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실링부재(29)의 반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4 전면직선부(135a), 제4 전면직선부(135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제2 전면직선부(132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전면직선부(136a), 제5 전면직선부(136a)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실링부재(29)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6 전면직선부(137a), 제6 전면직선부(137a)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만곡지게 연장된 제2 전면곡선부(138a), 제2 전면곡선부(138a)의 일단으로부터 제5 전면직선부(136a)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7 전면직선부(139a), 제7 전면직선부(139a)의 일단으로부터 제4 전면직선부(135a)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제4 전면직선부(135a)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8 전면직선부(140a) 및 제8 전면직선부(140a)의 일단으로부터 실링부재측(29)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9 전면직선부(141a)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프레임(13b)은, 제1 전면직선부(131a)의 저면에서부터 실링부재(29)의 측면까지 실링부재(29)의 돌출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후면직선부(131b), 제1 후면직선부(131b)의 일단으로부터 제2 전면직선부(132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 후면직선부(132b), 제2 후면직선부(132b)의 일단으로부터 실링부재(29)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된 제1 후면곡선부(133b), 제1 후면곡선부(133b)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되, 제1 후면직선부(131b)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3 후면직선부(134b) 및 제3 후면직선부(134b)의 일단으로부터 실링부재(29)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4 후면직선부(135b)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도어 프레임(12)은, 일측 저면이 제9 전면진선부(141a)의 내측면에 접하고, 타측 저면이 제4 후면직선부(135b)의 내측면에 접하게 구성되어 전면 프레임(13a)과 후면 프레임(13b)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날개단속편(18)은, 제6 전면직선부(137a), 제2 전면곡선부(138a) 및 제7 전면직선부(138a)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수용홈(15)에 조립된 실링부재(29)는, 도어부(20)로 상기 출입구(E)를 폐쇄했을 때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22a)과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해 출입구를 통한 화염이나 유해가스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부(10)에는 상기 도어 힌지부(30)를 매개로 도어부(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때, 도어부(20)는 상기 출입구(E)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치 또는 구성되는데 상기 도어 본체(22)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C)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 본체(22)의 강성보강을 위해 내설되는 복수의 보강 프레임(도시 생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어 본체(22)의 내부에 강성보강을 위해 설치되는 상기 복수의 보강 프레임은 도어 본체의 길이 방향(높이 방향)으로 도어 본체(22)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균등 또는 불균등 간격으로 설치되거나, 도어 본체(22)의 폭 방향을 따라 균등 또는 불균등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웃하는 보강 프레임사이로 상기 단열성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 상기 도어 프레임(12) 및 도어 본체(22)에 채워지는 상기 단열성 충진재(C)는, 강성 보강 및 양호한 기밀성 확보를 위해 가능하다. 특히 화재 시 고온의 열이 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중간에서 차단하는 열차단재로서의 역할을 주요하게 수행한다. 이러한 단열성 충진재로는 열전도율이 낮고 높은 내열성을 갖는 비금속 물질, 예컨대 유리 섬유(glass fiber)가 바람직하다.
도어부(20)는 양문형(도어 본체가 두 개)과 단문형(도어 본체가 하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출입구(E)의 면적에 따라 둘 중 적절한 것이 채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도어 프레임(12)에 대해 두 개의 도어 본체(22)가 같은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의 양문형 방호문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어부(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어 힌지부(30)를 통해 상기 도어 프레임부(10)에 대하여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도어 힌지부(30)는 도어 프레임(12)에 대하여 도어부(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부(10)와 도어부(20)를 연결한다. 이때, 도어 힌지부(30)는 도어 프레임(12)과 인접한 도어 본체(22)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하나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12)과 인접한 도어 본체(22)의 일측면에는 도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제1 기밀날개(28)가 형성되어, 도어 본체(22)가 회전(도어의 폐쇄 회전) 하면 도어 프레임(12)에 구비된 날개단속편(18)에 상기 제1 기밀날개(28)가 면 지지되면서 걸려져 단속된다.
이때, 제1 기밀날개(28)와 날개단속편(18)은 상호 대향되는 요철 형상을 갖고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기밀날개(28)와 날개단속편(18)이 상호 접하는 과정에서 상기 요철형상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과 함께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해 기밀성을 증대시켜 높은 열과 압력에 대한 내변형성이 높아지고 유해가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출입구(E)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제1 기밀날개(28)와 날개단속편(18)이 상호 면으로 접하면서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새를 차단한다.
또, 상기 도어부(20)의 도어 본체(22)는, 전면패널(22a)과, 후면패널(22b)을 서로 맞붙여 시밍(seaming)작업하되, 제1 기밀날개(28)는 전면패널(22a) 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된다.
즉, 도어 본체(22)는 바람직하게 평면에서 본 단면 모양이 '-'자 모양인 전면패널(22a)과, 평면에서 본 단면모양이 시계방향으로 눕혀지는']' 자 모양인 후면패널(22b)을 상호 접합 또는 결합시킨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22a)과 후면패널(22b)의 양측 단부는 도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맞붙여 시밍(seaming)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는데, 일측에 제1 기밀날개(28)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2 기밀날개(27)가 폭 방향으로 연장 성형된다.
상기 제1 기밀날개(28)는 구체적으로 도어 본체(22)의 일측면에 폭 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된 얇은 판상체 구조를 갖고 있는데, 상기 전면패널(22a)과 후면패널(22b)의 일측면을 길이 방향으로 시밍 작업하여, 상기 도어 본체(22)가 도어 힌지부(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밀날개(28)가 날개단속편(18)에 걸려져 단속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기밀날개(28)는 전면패널(22a) 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면서 도어 본체(2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해 시밍 작업하여, 상기 도어 본체(22)가 도어 힌지부(30)를 중심으로 출입구를 폐쇄하는 회전이동 시 상기 도어 본체(22)가 출입구(E) 방향과 직각으로 위치하며 제1 기밀날개(28)가 회전공간(14) 내로 삽입 회전하며 날개단속편(18)에 걸려져 단속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공간(14)의 타측에 구비된 실링수용홈(15)내에 조립된 실링부재(29)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도어 본체(22)의 전면패널(22a)이 실링부재(29)에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 프레임(12)과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새가 차단한다.
상기 실링부재(29)는 도 3의 (a)와 같이 일반적인 중공형 개스킷(gasket)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3의 (b)와 같이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29a)의 내부에 써멀 왁스(29b)가 봉입된 구성일 수 있다. 참고로, 써멀 왁스는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팽창하고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면 수축되는, 즉 온도에 따라 부피가 변하는 열감음형 물질로 구성된 소재를 의미한다.
삭제
실링부재(29)의 또 다른 예로서 도 3의 (c)에서와 같이 열변형부(29c) 일면에 개스킷(48)을 부착시킨 구성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열변형부(29c)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얇은 도전성 금속판(p1,p2)을 포개어 붙인 구성, 예컨대 바이메탈(Bimetal)과 같은 구성으로서, 열이 가해지면 상기 실링부재(29)를 전술한 실링수용홈(15) 측에 더욱 강하게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열변형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12)의 실링수용홈(15)에는, 삽입된 실링부재(29)의 측면을 가압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실링고정구(15c)가 실링홈 내측벽(15a) 또는 실링홈 외측벽(15b) 중 어느 하나에 돌출 성형되게 구성하여, 삽입된 실링부재(29)의 분리방지 및 전면부의 탄력성을 향상시켜 도어 본체(22)와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한편, 도어부(20) 개폐 시 도어 프레임부(10)와의 간섭회피를 위해, 도어 본체(22)의 일측면이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다각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물론 도면의 예시와 같은 다각형 구조로 국한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후면패널(22b)의 모서리가 회전공간(14)의 일측에 위치한 날개단속편(18)에 간섭되지 않도록 모따기 또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양문형 도어인 경우 출입구(E)를 완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도어부(20)를 회전시켰을 때 상기 도어부(20)의 마주하는 선단이 상호 면 지지될 수 있게 도어 본체(22)의 폭 방향으로 제2 기밀날개(27)가 절곡 형성되게 구성한다.
상기 제2 기밀날개(27)는 도어 본체(22)가 서로 마주하는 전면패널(22a) 또는 후면패널(22b)에 각각 설치되어, 출입구 완전 폐쇄시 상기 제2 기밀날개(27)가 도어 본체(22)의 전,후면에 각각 면 지지될 수 있다.
또, 도어 본체(22)의 제2 기밀날개(27)에 기밀패드(F)가 구비되어 양문형 도어부(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기밀날개(27)가 서로 겹쳐지는 내측에 기밀패드(F)가 긴밀하게 접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 본체(22) 사이의 틈을 차단하고 대피 공간으로의 고온 화염이나 유해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기밀패드(F)는 고온에도 변형되지 않는 발포성 수지나 연질의 고무,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화문(100)은 도어 본체(22)의 하단에 부착되는 로워 실 유닛(lower seal unit)(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로워 실 유닛(40)은 상기 출입구(E)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2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내부의 개스킷(48)이 하단으로 인출되고, 인출된 개스킷(48)이 하부 도어 프레임(12b)의 상부면과 긴밀히 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워 실 유닛(40)은 바람직하게 하면부가 개방된 함체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어 본체(22)의 하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실 케이스(seal case)(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 케이스(42)의 내부에 이러한 실 케이스(4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실 케이스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단을 구비하는 입력레버(44)를 구비한다.
실 케이스(42) 내에 위치하는 입력레버(44) 부분은, 상기 실 케이스(42) 내에서 가동부재(46)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가동부재(46)는 그 일면(도면상 하면)에 ㅅ아기 개스킷(48)이 부착되고, 실 케이스(42)에 대한 상기 입력레버(44)의 도어 본체(22) 폭 방향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도어 본체(22)의 높이 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입력레버(44)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도 6의 (a)와 같이 실 케이스(42)에 힌지 결합된 하나 이상의 회전링크(45)를 통해 입력레버(44)와 상기 가동부재(46)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출입구(E)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 본체(22)를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도어 본체(22)에 의해 상기 입력단(44a)이 측면 도어 프레임(12)에 닿는 순간부터 상대적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아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입력레버(44)는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하게되고, 이에 연동하여 회전링크(45)가 회전운동을 하며, 결국 입력레버(44)와 대향 배치된 상기 가동부재(46)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가동부재(46)의 개스킷(48)이 실 케이스(42) 하단으로 인출되고 하부 도어 프레임(12b)의 상부면과 긴밀히 접하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b)에서와 같이 입력레버(44)와 가동부재(46)는 캠(cam)방식으로 상호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레버(44)에 구동캠(49a)이 설치되고, 가동부재(46)에 대응되는 종동캠(49b)이 설치됨으로써, 입력단(44a)에 작용하는 힘으로 입력레버(44)가 일측으로 직선운동을 하면, 구동캠(49a)이 종동캠(49b)을 눌러 가동부재(46)가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물론, 로워 실 유닛(40)의 작동 매커니즘이 도 6의 (a)에 도시된 회전링크 방식이나, 도 6의 (b)에 도시된 캠 방식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입력레버(44)의 수평방향 직선 운동을 가동부재(46)의 수직방향 직선 운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만 하면 되므로 다양한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6에서 미 설명 부호 (S)는 가동부재 및 상기 입력레버가 원래의 상태(가동부재는 실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이며, 입력레버는 상기 입력단이 실 케이스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가리킨다.
따라서, 본 발명인 방화문(100)은 도어에 형성된 기밀날개가 도어를 닫았을 때 실링부재에 긴밀하게 맞물려 도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이 완벽하게 차단된다. 이로 인해 대피 공간으로의 고온 화염이나 유해가스의 유입이 확실하게 방지 또는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화문(100)은 기밀날개가 도어를 닫았을 때 날개단속편에 단속되면서 도어에 대한 도어 프레임의 지지면적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힌지가 설치된 부분에서만 도어가 도어프레임에 지지되는 종래의 구성에 비해 높은 열과 압력에 대한 내변형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도어 프레임부 12 : 도어 프레임
12a : 측면 도어 프레임
13a : 전면 프레임 13b : 후면 프레임
14 : 회전공간 15 : 실링수용홈
15a : 실링홈 내측벽 15b : 실링홈 외측벽
15c : 실링고정구 18 : 날개단속편
20 : 도어부 22 : 도어 본체
22a : 전면패널 22b : 후면패널
27 : 제2 기밀날개 28 : 제1 기밀날개
29 : 실링부재 30 : 도어 힌지부
40 : 로워 실 유닛 42 : 실 케이스
44 : 입력레버 45 : 회전링크
46 : 가동부재 48 : 개스킷
100 : 방화문 E : 출입구
C : 충진재

Claims (10)

  1.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과, 상기 도어 프레임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로 구성된 도어 프레임부;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의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성 충진재로 구성된 도어부; 및
    상기 도어 프레임부에 대하여 도어부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도어 프레임부와 도어부를 연결하는 도어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힌지부와 인접한 도어 본체의 전면패널에 제1 기밀날개가 도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도어 힌지부와 인접한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회전시켰을 때 회전공간 내부로 회전 인입되는 제1 기밀날개를 단속하는 날개단속편이 상기 회전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간의 타측에는 실링부재가 삽입되는 실링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부를 회전시켰을 때 도어 본체의 전면패널이 실링부재에 긴밀하게 접하여 도어 프레임과 도어 본체 사이의 틈새가 차단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은,
    도어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측면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도어 프레임은,
    회전공간을 갖고 일측에 제1날개단속편이 형성되며, 타측에 실링홈 내측벽이 절곡 형성된 전면프레임과;
    내측에 단열성 충진재를 충진하고, 타측에 상기 실링홈 내측벽과 마주하는 실링홈 외측벽을 절곡 성형하면서, 상기 실링홈 내측벽에 선단부를 서로 맞붙게 작업해 실링수용홈이 형성되는 후면프레임이 조립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실링수용홈에는,
    삽입된 실링부재가 측면을 가압하여 분리를 방지하는 실링고정구가 돌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도어부는, 양문형 또는 단문형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부는,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을 서로 맞붙여 시밍(seaming)작업하되, 제1 기밀날개는 전면패널 보다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면서 도어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해 시밍 작업하여, 상기 도어 본체가 도어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기밀날개가 날개단속편에 걸려져 단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중공형 개스킷(gask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실링부재는,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의 내부에 써멀 왁스(thermal wax)가 봉입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는 두 종류의 얇은 도전성 금속판을 포개어 붙인 열변형부 일면에 개스킷이 부착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도어부에는,
    도어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며,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내부의 개스킷이 하단으로 인출되어, 도어 프레임 중 하부 도어 프레임의 상부면과 긴밀히 접하도록 구성된 로워 실 유닛(lower seal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 실 유닛은,
    하면부가 개방된 함체 모양으로 형성되며, 도어 본체의 하단에 폭 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실 케이스와;
    상기 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실 케이스의 일측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입력단을 구비하는 입력레버와;
    일면에 상기 개스킷이 부착되며, 실 케이스에 대한 상기 입력레버의 도어 본체 폭 방향 직선운동에 연동하여 도어 본체의 높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도록 상기 입력레버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된 가동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 및 입력레버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은,
    상기 실링부재의 저면에서부터 측면까지 상기 실링부재의 돌출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전면직선부;
    상기 제1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의 돌출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 전면직선부;
    상기 제2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된 제1 전면곡선부;
    상기 제1 전면곡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되, 상기 제1 전면직선부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3 전면직선부;
    상기 제3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실링부재의 반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4 전면직선부;
    상기 제4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2 전면직선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5 전면직선부;
    상기 제5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실링부재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6 전면직선부;
    상기 제6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향 만곡지게 연장된 제2 전면곡선부;
    상기 제2 전면곡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5 전면직선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7 전면직선부;
    상기 제7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4 전면직선부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되, 상기 제4 전면직선부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8 전면직선부; 및
    상기 제8 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9 전면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은,
    상기 제1 전면직선부의 저면에서부터 상기 실링부재의 측면까지 상기 실링부재의 돌출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후면직선부;
    상기 제1 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2 전면직선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 후면직선부;
    상기 제2 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방향으로 만곡지게 연장된 제1 후면곡선부;
    상기 제1 후면곡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되, 상기 제1 후면직선부의 위치보다 길게 연장된 제3 후면직선부; 및
    상기 제3 후면직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실링부재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4 후면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도어 프레임은,
    일측 저면이 상기 제9 전면직선부의 내측면에 접하고, 타측 저면이 상기 제4 후면직선부의 내측면에 접하게 구성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단속편은,
    상기 제6 전면직선부, 상기 제2 전면곡선부 및 상기 제7 전면직선부의 조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35713A 2021-10-13 2021-10-13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KR102393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13A KR102393205B1 (ko) 2021-10-13 2021-10-13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5713A KR102393205B1 (ko) 2021-10-13 2021-10-13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205B1 true KR102393205B1 (ko) 2022-05-03

Family

ID=8159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5713A KR102393205B1 (ko) 2021-10-13 2021-10-13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32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923A (zh) * 2022-07-01 2022-10-11 瀚斯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事故快开装置
CN116513368A (zh) * 2023-07-05 2023-08-01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舱室微压的密封装置及工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750U (ko) * 2010-03-09 2011-09-16 이명현 방화문
KR102086634B1 (ko) 2019-05-23 2020-04-24 박곤섭 방화문
KR102126939B1 (ko) 2019-01-18 2020-06-25 정성수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102188406B1 (ko) * 2020-03-13 2020-12-08 김성배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KR102259665B1 (ko) * 2020-09-21 2021-06-02 (주)한국방화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750U (ko) * 2010-03-09 2011-09-16 이명현 방화문
KR102126939B1 (ko) 2019-01-18 2020-06-25 정성수 전후방 결로방지부가 구비된 방화문
KR102086634B1 (ko) 2019-05-23 2020-04-24 박곤섭 방화문
KR102188406B1 (ko) * 2020-03-13 2020-12-08 김성배 90° 및 180° 개폐가능한 매립형 방화문
KR102259665B1 (ko) * 2020-09-21 2021-06-02 (주)한국방화문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62923A (zh) * 2022-07-01 2022-10-11 瀚斯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事故快开装置
CN115162923B (zh) * 2022-07-01 2023-09-05 瀚斯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事故快开装置
CN116513368A (zh) * 2023-07-05 2023-08-01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舱室微压的密封装置及工作方法
CN116513368B (zh) * 2023-07-05 2023-08-29 常州耐普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舱室微压的密封装置及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3205B1 (ko)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US11767704B2 (en) Pivot roof window with sash comprising vacuum insulated glass unit overlapping bottom frame profile
KR102259665B1 (ko) 틈새 기밀성이 보강된 방화문
KR102075487B1 (ko) 복합 기능성 방화문
KR101831565B1 (ko) 창호용 가스켓
EP0149385B1 (fr) Dispositif de montage d'une vitre pour porte de four
KR101103951B1 (ko) 문틀용 후레임
KR200396315Y1 (ko) 출입문의 차연구조물
KR20190002640U (ko) 현관 방화문 장치
JP2023129624A (ja) 複合建具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US3099259A (en) Gasketing arrangement for oven door
KR20220054012A (ko) 슬라이딩 창호
KR101731038B1 (ko) 단열 및 기밀성능을 갖는 미서기 창호의 가변형 기밀장치
KR101757872B1 (ko) 방화문용 기밀부재
KR101576524B1 (ko) 방화문
JP3720902B2 (ja) 換気装置
KR20210109964A (ko) 모헤어 대체 가능한 창호용 가스켓
KR102215183B1 (ko) 상부 기밀장치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KR200347425Y1 (ko) 풍지판
EP2515043B1 (fr) Foyer comportant un dispositif d'étanchéité
EP0079254A1 (fr) Système d'isolation des ouvertures de façade d'un immeuble
JPH0331832Y2 (ko)
KR20100025039A (ko) 도어 시스템
JP7039342B2 (ja) 建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