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565B1 - 창호용 가스켓 - Google Patents

창호용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565B1
KR101831565B1 KR1020170156048A KR20170156048A KR101831565B1 KR 101831565 B1 KR101831565 B1 KR 101831565B1 KR 1020170156048 A KR1020170156048 A KR 1020170156048A KR 20170156048 A KR20170156048 A KR 20170156048A KR 101831565 B1 KR101831565 B1 KR 101831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window frame
blocking
window
f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기석
Original Assignee
배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기석 filed Critical 배기석
Priority to KR1020170156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out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창호용 가스켓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창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창호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에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의해 휘어지며 제1차단부재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측면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타측면이 제1차단부재의 끝단에 의해 보다 강하게 밀착되어 공간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창호용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호용 가스켓{gasket}
본 발명은 창호용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건물의 자연채광, 실외 관망 및 환기 목적으로 아파트, 다가구 주택과 같은 건물에 설비된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의 기본적 구조는, 건물의 벽에 창호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레일프레임과, 레일프레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창호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한 쌍의 창호프레임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그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된다. 특히, 공간에 의해 단열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호프레임에 설치되어 공간을 밀폐시키는 모헤어가 설치된다.
그러나, 모헤어는 수많은 털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시간이 지나면, 손상될 뿐만 아니라, 털과 털 사이마다 먼지가 쌓이게 되어, 미세가루로 부셔져 날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창호시공이 이루어진지 오래된 가정에서는 오래된 모헤어의 털 손상으로 부서지고, 미세가루로 실내에 유입될 뿐만 아니라, 건강상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12923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의해 휘어지며 제1차단부재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측면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타측면이 제1차단부재의 끝단에 의해 보다 강하게 밀착되어 공간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창호용 가스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단부를 일정길이마다 절단하여 차단날개를 형성시킴으로써, 창호프레임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차단부가 휘어지는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공간의 개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밀폐력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휘어지는 부분의 최소화로 차단부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창호용 가스켓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호용 가스켓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창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창호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에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제2차단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이격되는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폭보다 더 큰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일단부가 휘어지며 상기 제1차단부재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측면 사이로 삽입되고, 일단부의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되 일단부의 타측면이 상기 제1차단부재의 끝단에 가압되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의 끝단에 결합되며,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대향하는 외측면에 상측면과 하측면이 개구되도록 내입된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홈의 내부 양측으로 내입된 날개홈이 형성된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하측면에 상기 돌기홈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양측면에 상기 날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으로부터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일단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을 향하도록 구비된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공간의 내부로 절곡된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끝단이 제1지지부재가 구비된 창호프레임으로 절곡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을 열압착시켜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비직선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비직선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절단되되, 제1차단부재의 절단위치와 제2차단부재의 절단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절단되어 다수개의 제1차단날개 및 제2차단날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은,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절곡된 위치에서 절단되고, 다른 하나는 일정길이의 사이에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극세사천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차단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차단부재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마주하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의 관통공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만곡진 '(' 또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의해 휘어지며 제1차단부재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측면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차단부재의 일단부 타측면이 제1차단부재의 끝단에 의해 보다 강하게 밀착되어 공간을 이중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창호용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차단부를 일정길이마다 절단하여 차단날개를 형성시킴으로써, 창호프레임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차단부가 휘어지는 길이가 짧게 이루어져 공간의 개방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밀폐력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휘어지는 부분의 최소화로 차단부재의 파손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창호용 가스켓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이 구비된 창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고정부가 보조프레임에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고정부와 보조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이 구비된 창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밀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창호용 가스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창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공간을 통해서 찬바람, 미세먼지, 벌레 및 소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이 구비된 창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고정부가 보조프레임에 착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고정부와 보조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이 구비된 창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정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의 밀착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러한 창호용 가스켓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 차단부(20)를 포함한다.
먼저, 고정부(10)는, 창호프레임(30)의 수직창틀에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10)는 후술할 보조프레임(5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0)의 일측면에는 후술할 차단부(20)가 구비된다.
이때, 고정부(1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후술할 차단부(20)의 제1차단부재(21)와 제2차단부재(22)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되, 관통공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관통공은 비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공은, 물결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의 관통공은,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고정부(10)는, 길이방향의 관통공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만곡진 '(' 또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차단부(20)는 고정부(10)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차단부(20)는, 고정부(10)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창호프레임(30)에 밀착되어 공간을 밀폐한다.
이때, 차단부(20)는,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된 만곡진 형태로 구비되는 동시에, 도 8을 참조하면,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20)는, 고정부(10)의 일측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차단부재(21)와, 제1차단부재(21)의 사이에 구비되고 창호프레임(30)에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2차단부재(22)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 쌍의 창호프레임(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1차단부재(21)와 제2차단부재(22)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되어,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될 수 있는 찬바람, 미세먼지, 벌레 및 소음 등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부재(21)와 제2차단부재(22)는, 연한 재질의 연질성질을 갖고,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차단부재(21)와 제2차단부재(22)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는 0.5mm ~ 1.2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1차단부재(21)는, 고정부(1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으로부터 이격되되 후술할 제2차단부재(22)의 두께보다 작게 이격되는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차단부재(21)는, 마주하는 창호프레임(30)에 닿지는 않게 이격되되, 제2차단부재(22)의 두께보다 작게 이격되는 제1폭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제2차단부재(22)는, 고정부(10)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 사이의 폭보다 더 큰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는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에 의해 일단부가 휘어지며 제1차단부재(21)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 측면 사이로 삽입된다. 그러면,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에 밀착되는 동시에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 타측면이 제1차단부재(21)의 끝단에 가압되며 밀착된다.
이는, 제2차단부재(22)의 양측에 제1차단부재(21)가 각각 구비됨으로써,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가 어느 방향으로 휘어져도 제1차단부재(21)에 의해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 타측면이 가압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가 좌우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제1차단부재(21)의 끝단에 의해 눌리면서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부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에 보다 강하게 밀착된다.
또한, 제1차단부재(21) 및 제2차단부재(22)는, 고정부(10)의 관통공에 삽입되되 고정부(10)의 타측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부(10)의 타측면을 열압착시키면 고정부(10)의 타측면과 관통공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1차단부재(21) 및 제2차단부재(22)는, 비직선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비직선으로 고정된다.
특히, 제1차단부재(21) 및 제2차단부재(22)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절단되되, 제1차단부재(21)의 절단위치와 제2차단부재(22)의 절단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절단되어 다수개의 제1차단날개(23) 및 제2차단날개(24)로 분리된다.
또한, 제1차단부재(21)와 제2차단부재(22)는, 관통공에 대응되게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차단부재(21) 및 제2차단부재(22) 중 어느 하나는, 절곡된 위치에서 절단되고, 다른 하나는 일정길이의 사이에서 절단된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제1차단부재(21)는, 일정길이 사이에 절단되어 중간부가 절곡된 제1차단날개(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차단부재(22)는, 절곡된 부분이 차단되어 절곡부분이 없는 제2차단날개(24)가 형성된다.
이때, 제1차단날개(23)와 제2차단날개(24)는,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부(20)는, 밀착부재(40)를 더 포함한다.
밀착부재(40)는, 극세사천(41)으로 이루어져 제2차단부재(22)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구비되되 제2차단부재(22)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마주하는 창호프레임(30)에 밀착된다.
이때, 밀착부재(40)는,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으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차단부재(22)에 냉기의 전달이 차단되어 연질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부재(40)는, 극세사천(41)을 제2차단부재(22)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42)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은, 보조프레임(50)을 더 포함한다.
보조프레임(50)은, 공간에 구비되도록 창호프레임(30)의 수직창틀의 끝단에 결합되며,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에 대향하는 외측면에 상측면과 하측면이 개구되도록 내입된 돌기홈(51)이 형성되며, 돌기홈(51)의 내부 양측으로 내입된 날개홈(52)이 형성된다.
이때, 고정부(10)는, 하측면에 돌기홈(51)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11) 및 슬라이딩돌기(11)의 양측면에 날개홈(52)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날개(12)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0)는, 보조프레임(50)으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50)은, 창호프레임(30)의 수직창틀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일단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을 향하도록 구비된 제1지지부재(53)와, 제1지지부재(53)의 일단이 공간의 내부로 절곡되며, 돌기홈(51)과 날개홈(52)이 형성된 제2지지부재(54) 및 제2지지부재(54)의 끝단이 제1지지부재(53)가 구비된 창호프레임(30)으로 절곡되어 창호프레임(30)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55)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부(10)는, 제2지지부재(54)의 외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부(20)는, 제2지지부재(54)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30) 사이의 틈을 밀폐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는 창호용 가스켓은, 단열부재(60)를 더 포함한다.
단열부재(60)는, 보조프레임(50)의 내부에 삽입된다. 즉, 절곡되어 형성되는 보조프레임(50)은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된 부분은 창호프레임(30)으로 밀폐된다. 이에 따라, 창호프레임(30)과 보조프레임(50)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단열부재(60)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창호프레임(3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단열부재(60)와 차단부(20)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단열이 이루어지며, 외부의 공기 유입을 차단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차단부(20)는 차단날개와 같이 차단부(20)재가 다수개로 절단됨으로써, 창호프레임(30)이 좌우로 이동됨에 따라, 휘어지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보다 차단부(20)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가스켓은 제1접착부재(70) 및 제2접착부재(80)를 더 포함한다.
제1접착부재(70)는, 양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고정부(10)의 타측면에 구비되어, 고정부(10)의 착탈이 가능하다.
제2접착부재(80)는, 양측면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고정부(10)의 수직창틀의 외측면과 제1지지부재(53)의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프레임(50)의 착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고정부 11 : 슬라이딩돌기
12 : 슬라이딩날개 20 : 차단부
21 : 제1차단부재 22 : 제2차단부재
23 : 제1차단날개 24 : 제2차단날개
30 : 창호프레임 40 : 밀착부재
41 : 극세사천 42 : 부착부재
50 : 보조프레임 51 : 돌기홈
52 : 날개홈 53 : 제1지지부재
54 : 제2지지부재 55 : 제3지지부재
60 : 단열부재 70 : 제1접착부재
80 : 제2접착부재

Claims (10)

  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창호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용 가스켓에 있어서,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에 구비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마주보는 또 다른 창호프레임에 밀착되어 상기 공간을 밀폐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1차단부재와, 상기 제1차단부재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창호프레임에 일단부가 밀착되는 제2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에 의해 이중으로 밀폐되고,
    상기 공간에 구비되도록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의 끝단에 결합되며,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대향하는 외측면에 상측면과 하측면이 개구되도록 내입된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기홈의 내부 양측으로 내입된 날개홈이 형성된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하측면에 상기 돌기홈으로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돌기의 양측면에 상기 날개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으로부터 착탈가능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창호프레임의 수직창틀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일단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을 향하도록 구비된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의 일단이 상기 공간의 내부로 절곡된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의 끝단이 제1지지부재가 구비된 창호프레임으로 절곡되어 상기 창호프레임에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외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와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고,
    상기 보조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창호프레임과 보조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되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에 일부 노출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을 열압착시켜 상기 고정부의 타측면과 상기 관통공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은,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비직선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비직선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2차단부재의 일단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극세사천 및 상기 극세사천을 제2차단부재에 부착시키는 부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천이 마주하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창호용 가스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제2차단부재의 두께보다 작게 이격되는 제1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사이의 폭보다 더 큰 제2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일단부가 휘어지며 상기 제1차단부재의 끝단과 마주보는 창호프레임 측면 사이로 삽입되고, 일단부의 일측면이 마주보는 창호프레임에 밀착되되 일단부의 타측면이 상기 제1차단부재의 끝단에 가압되며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스켓.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마다 절단되되, 제1차단부재의 절단위치와 제2차단부재의 절단위치가 서로 중첩되지 않게 절단되어 다수개의 제1차단날개 및 제2차단날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스켓.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관통공은,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와 제2차단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게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재 및 제2차단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절곡된 위치에서 절단되고, 다른 하나는 일정길이의 사이에서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스켓.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길이방향의 관통공 중심부가 볼록하게 돌출되어 만곡진 '(' 또는 ')'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길이마다 절곡되어 지그재그형 비직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용 가스켓.
KR1020170156048A 2017-11-22 2017-11-22 창호용 가스켓 KR101831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48A KR101831565B1 (ko) 2017-11-22 2017-11-22 창호용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048A KR101831565B1 (ko) 2017-11-22 2017-11-22 창호용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1565B1 true KR101831565B1 (ko) 2018-02-22

Family

ID=6138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048A KR101831565B1 (ko) 2017-11-22 2017-11-22 창호용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15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KR102034471B1 (ko) * 2018-08-09 2019-10-21 서은섭 문틈 밀폐용 방풍구 제조장치
KR2019012834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20220112966A (ko) * 2021-02-05 2022-08-12 (주)아이티엠산업 차양 구조물용 몰딩바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9433U (ko) * 1973-07-10 1975-04-03
JPS53120840U (ko) * 1977-03-04 1978-09-26
JPS58112846A (ja) * 1981-12-23 1983-07-05 ジエラルド・ケスラ− ウエザ−ストリツプ及びその押出し成形方法
JPS58126389U (ja) * 1982-02-19 1983-08-27 北海道ベ−クライト商事株式会社 断熱内窓
JPH07119367A (ja) * 1993-10-28 1995-05-09 Ykk Architect Prod Kk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部気密構造
JPH08165861A (ja) * 1994-12-14 1996-06-25 Tostem Corp 引き違い窓装置
JP2003008440A (ja) * 2001-06-19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d変換器
JP2004169314A (ja) * 2002-11-18 2004-06-17 Tachikawa Blind Mfg Co Ltd 引戸の光洩れ防止装置
JP2006225880A (ja) * 2005-02-15 2006-08-31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竪タイト材
JP2009052333A (ja) * 2007-08-28 2009-03-12 Ykk Ap株式会社 合成樹脂製引違いサッシ
KR20130110284A (ko) * 2012-03-29 2013-10-10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필링 피스
KR20130117277A (ko) * 2012-04-18 2013-10-25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1484009B1 (ko) * 2012-06-05 2015-01-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보조풍지부재를 구비한 풍지판
KR20160012688A (ko) * 2014-07-25 2016-02-03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160144827A (ko) * 2015-06-09 2016-12-19 박준석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JP2017015301A (ja) * 2015-06-30 2017-01-19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断熱開口部の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9433U (ko) * 1973-07-10 1975-04-03
JPS53120840U (ko) * 1977-03-04 1978-09-26
JPS58112846A (ja) * 1981-12-23 1983-07-05 ジエラルド・ケスラ− ウエザ−ストリツプ及びその押出し成形方法
JPS58126389U (ja) * 1982-02-19 1983-08-27 北海道ベ−クライト商事株式会社 断熱内窓
JPH07119367A (ja) * 1993-10-28 1995-05-09 Ykk Architect Prod Kk 内動片引き窓の召合せ部気密構造
JPH08165861A (ja) * 1994-12-14 1996-06-25 Tostem Corp 引き違い窓装置
JP2003008440A (ja) * 2001-06-19 2003-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d変換器
JP2004169314A (ja) * 2002-11-18 2004-06-17 Tachikawa Blind Mfg Co Ltd 引戸の光洩れ防止装置
JP2006225880A (ja) * 2005-02-15 2006-08-31 Sankyo Tateyama Aluminium Inc 竪タイト材
JP2009052333A (ja) * 2007-08-28 2009-03-12 Ykk Ap株式会社 合成樹脂製引違いサッシ
KR20130110284A (ko) * 2012-03-29 2013-10-10 (주)엘지하우시스 창호용 필링 피스
KR20130117277A (ko) * 2012-04-18 2013-10-25 (주) 에이에이치씨 시스템창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KR101484009B1 (ko) * 2012-06-05 2015-01-19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보조풍지부재를 구비한 풍지판
KR20160012688A (ko) * 2014-07-25 2016-02-03 곽재문 3중 단열구조 미서기창
KR20160144827A (ko) * 2015-06-09 2016-12-19 박준석 슬라이딩 창호용 바람막이
JP2017015301A (ja) * 2015-06-30 2017-01-19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断熱開口部の開閉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344A (ko) * 2018-05-08 2019-11-18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102081269B1 (ko) * 2018-05-08 2020-02-25 주식회사 창문에안전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101998675B1 (ko) * 2018-07-11 2019-07-10 대림산업 주식회사 방화문
KR102034471B1 (ko) * 2018-08-09 2019-10-21 서은섭 문틈 밀폐용 방풍구 제조장치
KR20220112966A (ko) * 2021-02-05 2022-08-12 (주)아이티엠산업 차양 구조물용 몰딩바
KR102551600B1 (ko) * 2021-02-05 2023-07-05 (주)아이티엠산업 차양 구조물용 몰딩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565B1 (ko) 창호용 가스켓
KR101588288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우수한 미닫이 창호
KR10091999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슬라이드 창호
KR101342062B1 (ko) 기밀성 슬라이딩 창호
KR101508484B1 (ko) 기밀성이 향상된 레일 은폐형 미서기창
US20090249694A1 (en) Removable storm window system
KR101485125B1 (ko) 복합창 시스템
US2545906A (en) Multiple glass sheet glazing unit having enclosed angled metal slats
KR101470909B1 (ko) 기능성 단열 창호
KR101807465B1 (ko)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101558869B1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1395139B1 (ko) 창호의 유리창 지지장치
GB2466780A (en) Mechanism for sealing edges of a roller blind
US4156988A (en) Air-water sealing system for metal windows and other improvements
KR20210109964A (ko) 모헤어 대체 가능한 창호용 가스켓
KR101336583B1 (ko) 창문의 고기밀 구조
KR101896484B1 (ko) 복합 단열 시스템 도어
KR101902892B1 (ko) 방풍구가 구비된 미닫이 창호
KR101459653B1 (ko) 유리온실의 용마루 결합구조
KR100987102B1 (ko) 실링부재 일체형 창호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CN210195621U (zh) 嵌入式密封固定隔窗和新风系统
KR20230159053A (ko) 창호용 방풍 시공구조
KR102656449B1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CN218780201U (zh) 一种断桥窄勾企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