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991B1 - 안전 방화 셔터 - Google Patents
안전 방화 셔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1991B1 KR102451991B1 KR1020210129621A KR20210129621A KR102451991B1 KR 102451991 B1 KR102451991 B1 KR 102451991B1 KR 1020210129621 A KR1020210129621 A KR 1020210129621A KR 20210129621 A KR20210129621 A KR 20210129621A KR 102451991 B1 KR102451991 B1 KR 1024519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shutter
- rail
- fastening
- buil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36—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obsta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안전 방화 셔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상기 제2 수직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단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 방화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 시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안전 방화 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fire shutter)는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특정 공간 내부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셔터의 역할을 하는 반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에는 소방법에 의해 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특히, 대구지하철 화재참사나 각종 건물의 화재사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건물을 빠져나가지 못한 사람은 유독가스와 화염에 그대로 노출된다. 따라서 방화셔터는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시험과 파열시험을 통해 내화성(耐火性), 내파열성(耐破裂性), 차연성(遮煙性)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해야만 하며, 이러한 요건은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방화셔터는 단순히 방화셔터를 구성하는 다수의 슬래트뿐만 아니라, 경첩, 비상탈출문브래킷, 앤드브래킷 등과 같은 부품의 경우에도 내열성, 내파열성, 차연성 등의 요건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방화 셔터의 전단 및 후단을 동시에 다단으로 체결 고정시켜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서도 방화 셔터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안전 방화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는,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상기 제2 수직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단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의 유무를 탐지하며,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이 있음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동작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화 셔터는, 건물의 개구부를 닫은 후 화재 발생 공간으로부터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의 비상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는, 상기 구동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레일은, 상기 제2 수직 레일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 본체; 상기 방화 셔터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셔터 슬라이딩홈; 및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개구부를 닫고 있는 상기 방화 셔터가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화 셔터의 전단 및 후단을 동시에 체결하는 셔터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고정부는,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후면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녹아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체결을 해제하는 체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을 따라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곡선형 프레임;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을 지지하는 셔터 지지대; 상기 전단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키는 프레임 거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고정부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가 상기 체결 블록이 위치하는 상기 셔터 슬라이딩홈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체결 블록이 위치하는 상기 셔터 슬라이딩홈을 경유한 뒤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열기 이동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셔터 고정부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를 상기 체결 블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열기 이동 통로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체결 블록을 경유하면서 연장 형성되는 열기 전도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 블록은,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기 전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도록 PVC 재질로 제작되는 블록 바디; 및 상기 열기 전도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의 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전도관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개구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방화셔터의 차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방화 셔터의 처짐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수직 레일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셔터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수직 레일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셔터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10)는 제1 수직 레일(100), 제1 수직 레일(100), 제2 수직 레일(200), 구동부(300) 및 방화 셔터(400)를 포함한다.
제1 수직 레일(100)은 제2 수직 레일(200)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300)의 일측을 지지하며, 방화 셔터(400)의 일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방화 셔터(400)의 일측의 이동을 유도한다.
제2 수직 레일(200)은 제1 수직 레일(100)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구동부(300)의 타측을 지지하며, 방화 셔터(400)의 타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방화 셔터(400)의 타측의 이동을 유도한다.
구동부(300)는 제1 수직 레일(100)과 제2 수직 레일(200)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방화 셔터(400)를 권취해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300)는 방화 셔터(400)를 권취하기 위한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다.
방화 셔터(400)는 상단이 구동부(300)에 설치되어 구동부(300)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되어 건물의 개구부를 차단하기 위한 벽체를 형성하면서 일측이 제1 수직 레일(10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제2 수직 레일(20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화 셔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개구부를 닫은 후 화재 발생 공간으로부터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의 비상 도어(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10)는 건물의 개구부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방화셔터의 차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방화 셔터의 처짐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방화 셔터(20)는, 제1 수직 레일(100), 제1 수직 레일(100), 제2 수직 레일(200), 구동부(300), 방화 셔터(400), 동작 감지 센서(500) 및 알림 스피커(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수직 레일(100), 제1 수직 레일(100), 제2 수직 레일(200), 구동부(300) 및 방화 셔터(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동작 감지 센서(500)는 구동부(3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의 유무를 탐지하며,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이 있음이 감지되면 이를 구동부(3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300)는 동작 감지 센서(500)로부터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이 있음이 감지되었음이 통지되면 사람이 화재 발생 지역으로부터 모두 대피할 때까지 방화 셔터(400)가 개구부를 닫지 못하도록 구동을 정지시키거나, 구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알림 스피커(600)는 구동부(3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린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수직 레일의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수직 레일(100)은 레일 본체(110), 셔터 슬라이딩홈(120) 및 다수 개의 셔터 고정부(130-1 내지 13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수직 레일(200)은 후술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 레일(100)과 대칭 구조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 레일(100)의 레일 본체(110), 셔터 슬라이딩홈(120) 및 셔터 고정부(130)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레일 본체(110)는 제2 수직 레일(200)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부(300)의 일측을 지지하며, 내측면을 따라 셔터 슬라이딩홈(120)이 연장 형성된다.
셔터 슬라이딩홈(120)은 방화 셔터(400)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수직 레일(200)과 대향하는 레일 본체(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셔터 고정부(130)는 레일 본체(11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130-1 내지 130-N)가 설치되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화재 발생시 개구부를 닫고 있는 방화 셔터(400)가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 셔터(400)의 전단 및 후단을 동시에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셔터 고정부(130)는 열기가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전달됨에 따라 상측에 위치한 것(130-1)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한 것(130-N)까지 차례로 구동되어 방화 셔터(400)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체결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수직 레일(100)은, 방화 셔터(400)의 전단 및 후단을 동시에 체결하여 방화 셔터(40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방화 셔터(400)가 파손되거나 뒤틀려 발생되는 틈으로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가 화재가 발생되지 아니한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셔터 고정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셔터 고정부(130)는 제1 체결부(131), 제2 체결부(132) 및 체결 블록(133)을 포함한다.
제1 체결부(131)는 레일 본체(110)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레일 본체(110)의 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방화 셔터(400)의 전면을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1)는 곡선형 프레임(1311), 셔터 지지대(1312), 프레임 지지 스프링(1313) 및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프레임(1311)은 레일 본체(110)의 전단 내측을 따라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S1)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전단 안착홈(S1)에 삽입 배치되며, 전단에 셔터 지지대(1312)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셔터 지지대(13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지지 스프링(1313)을 압축시키면서 전단 안착홈(S1)으로 삽입되며,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에 의해 전단 안착홈(S1)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셔터 지지대(1312)는 체결 블록(133)이 녹아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이 체결 블록(133)으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지지 스프링(1313)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전단 안착홈(S1)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셔터 지지대(1312)는 곡선형 프레임(131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곡선형 프레임(1311)이 전단 안착홈(S1)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 셔터(400)의 전면에 안착되어 방화 셔터(400)의 전면을 지지한다.
프레임 지지 스프링(1313)은 전단 안착홈(S1)의 내측에 설치되어 전단 안착홈(S1)으로 삽입된 상태의 곡선형 프레임(1311)의 후단을 지지한다.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는 일단이 곡선형 프레임(1311)의 후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체결 블록(133)에 설치되어 곡선형 프레임(1311)이 전단 안착홈(S1)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1)는 화재 진압 후 방화 셔터(40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곡선형 프레임(1311)을 전단 안착홈(S1)으로 삽입시킨 뒤 다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레일 본체(110)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해 삽입된 뒤 셔터 지지대(1312)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 삽입되어 셔터 지지대(1312)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핀(13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체결부(132)는 제1 체결부(131)와 대향하면서 레일 본체(110)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레일 본체(110)의 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방화 셔터(400)의 후면을 체결한다.
여기서, 제2 체결부(132)는 상술한 제1 체결부(131)와 대칭 구조로서, 제1 체결부(131)의 곡선형 프레임(1311), 셔터 지지대(1312), 프레임 지지 스프링(1313) 및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 등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체결 블록(133)은 레일 본체(1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가 레일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녹아 제1 체결부(131)와 제2 체결부(132)가 레일 본체(110)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체결을 해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셔터 고정부(130)는 열기 이동 통로(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기 이동 통로(134)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가 체결 블록(133)이 위치하는 셔터 슬라이딩홈(120)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 본체(110)의 전단으로부터 체결 블록(133)이 위치하는 셔터 슬라이딩홈(120)을 경유한 뒤 레일 본체(110)의 후단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셔터 고정부(130)는 열기 전도관(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기 전도관(135)은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를 체결 블록(133)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열기 이동 통로(134)를 따라 설치되되, 체결 블록(133)을 경유하면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셔터 고정부(130)는, 레일 본체(11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화 재 발생 시 방화 셔터(400)의 전단 및 후면을 동시에 체결하여 방화 셔터(400)가 뒤틀려 화염, 연기, 또는 유독가스가 유출될 수 있는 틈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체결 블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체결 블록(133)은 블록 바디(1331) 및 전도관 안착홈(1332)을 포함한다.
블록 바디(1331)는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가열된 열기 전도관(135)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도록 PVC 재질로 제작된다.
전도관 안착홈(1332)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기 전도관(135)이 안착될 수 있도록 블록 바디(1331)의 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관 안착홈(1332)은 열기 전도관(135)에 의한 열전달 효율성을 향상시켜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 1324)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레임 거치 와이어(1314, 1324)가 체결되는 위치 주변(1333, 1334)을 둘러싸고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안전 방화 셔터
100: 제1 수직 레일
200: 제2 수직 레일
300: 구동부
400: 방화 셔터
500: 동작 감지 센서
600: 알림 스피커
100: 제1 수직 레일
200: 제2 수직 레일
300: 구동부
400: 방화 셔터
500: 동작 감지 센서
600: 알림 스피커
Claims (7)
-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수직 레일;
상기 제1 수직 레일과 상기 제2 수직 레일에 의해 지지되어 건물의 개구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부; 및
상단이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됨에 따라 일측이 상기 제1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타측이 상기 제2 수직 레일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건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방화 셔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수직 레일은,
상기 제2 수직 레일과 대향하면서 건물의 개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레일 본체;
상기 방화 셔터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 레일과 대향하는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셔터 슬라이딩홈; 및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화재 발생시 개구부를 닫고 있는 상기 방화 셔터가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방화 셔터의 전단 및 후단을 동시에 체결하는 셔터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 고정부는,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을 체결하는 제1 체결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향하면서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 내측에 설치되며, 화재 발생 시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후면을 체결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체결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에 의해 녹아 상기 제1 체결부와 상기 제2 체결부가 상기 레일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체결을 해제하는 체결 블록;을 포함하는, 안전 방화 셔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의 유무를 탐지하며, 건물의 개구부 주변에 사람이 있음이 감지되면 이를 상기 구동부로 전달하는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구동부의 전단 또는 후단에 설치되어 건물의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알림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화 셔터는,
건물의 개구부를 닫은 후 화재 발생 공간으로부터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힌지 구조의 비상 도어가 형성되는, 안전 방화 셔터. - 삭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 내측을 따라 둥글게 절곡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둥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에 삽입 배치되는 곡선형 프레임;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됨에 따라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에 안착되어 상기 방화 셔터의 전면을 지지하는 셔터 지지대;
상기 전단 안착홈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후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곡선형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 블록에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프레임이 상기 전단 안착홈으로부터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거치시키는 프레임 거치 와이어;를 포함하는, 안전 방화 셔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고정부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가 상기 체결 블록이 위치하는 상기 셔터 슬라이딩홈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 본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체결 블록이 위치하는 상기 셔터 슬라이딩홈을 경유한 뒤 상기 레일 본체의 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열기 이동 통로; 및
화재 발생에 따른 열기를 상기 체결 블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열기 이동 통로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체결 블록을 경유하면서 연장 형성되는 열기 전도관;을 더 포함하는, 안전 방화 셔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블록은,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해 가열된 상기 열기 전도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녹을 수 있도록 PVC 재질로 제작되는 블록 바디; 및
상기 열기 전도관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 바디의 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전도관 안착홈;을 포함하는, 안전 방화 셔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621A KR102451991B1 (ko) | 2021-09-30 | 2021-09-30 | 안전 방화 셔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9621A KR102451991B1 (ko) | 2021-09-30 | 2021-09-30 | 안전 방화 셔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1991B1 true KR102451991B1 (ko) | 2022-10-07 |
Family
ID=8359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9621A KR102451991B1 (ko) | 2021-09-30 | 2021-09-30 | 안전 방화 셔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199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3186B1 (ko) | 2005-05-19 | 2006-03-21 | 박갑일 | 방화셔터 |
KR20200021566A (ko) * | 2018-08-20 | 2020-03-02 | 김기대 |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
KR102112661B1 (ko) * | 2019-10-24 | 2020-05-20 | 주식회사 화이어캅스 | 방화 셔터 장애물 감지 및 통보 장치 |
KR102154233B1 (ko) * | 2020-02-10 | 2020-09-09 | 주식회사 대광도어 |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
-
2021
- 2021-09-30 KR KR1020210129621A patent/KR1024519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3186B1 (ko) | 2005-05-19 | 2006-03-21 | 박갑일 | 방화셔터 |
KR20200021566A (ko) * | 2018-08-20 | 2020-03-02 | 김기대 | 차열 성능을 향상시킨 방화셔터 |
KR102112661B1 (ko) * | 2019-10-24 | 2020-05-20 | 주식회사 화이어캅스 | 방화 셔터 장애물 감지 및 통보 장치 |
KR102154233B1 (ko) * | 2020-02-10 | 2020-09-09 | 주식회사 대광도어 | 방화문용 열 변형 방지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08453B2 (en) |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 |
KR100551633B1 (ko)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 |
US820990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sealing around door | |
KR102451991B1 (ko) | 안전 방화 셔터 | |
TWM496677U (zh) | 防火捲門之捲幕箱布幕氣密結構改良 | |
JP4789763B2 (ja) |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 |
KR100789767B1 (ko) |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 |
KR100618537B1 (ko) | 방화셔터용 비상자동잠금장치 | |
KR101995687B1 (ko) |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 |
KR20080109160A (ko) |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 |
KR20080010578A (ko) | 안전 방범창 | |
KR200402137Y1 (ko) |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 |
KR102331180B1 (ko) | 개선된 가스배출구조를 갖는 방화문 | |
JP2004251021A (ja) | スクリーン装置 | |
KR20060005311A (ko) | 방화셔터용 차폐부재 | |
JPH11200722A (ja) | 通風機能付きドア | |
JP3097543B2 (ja) |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防煙区画構造 | |
JP3146979B2 (ja) |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装置 | |
JP6563775B2 (ja) | 防煙装置 | |
KR20050065469A (ko) | 방화셔터용 비상탈출문 브래킷 | |
NL2037117B1 (nl) | Brandklepsamenstel voor luchtkanaal, alsmede luchtkanaal met leidingsecties en een brandklepsamenstel | |
CN218479753U (zh) | 一种防火密封门窗 | |
KR100666510B1 (ko) |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 | |
KR101900844B1 (ko) | 방화문용 제연장치 | |
KR200422310Y1 (ko) | 방화셔터용 체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