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794B1 -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 Google Patents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794B1
KR101013794B1 KR1020080117798A KR20080117798A KR101013794B1 KR 101013794 B1 KR101013794 B1 KR 101013794B1 KR 1020080117798 A KR1020080117798 A KR 1020080117798A KR 20080117798 A KR20080117798 A KR 20080117798A KR 101013794 B1 KR101013794 B1 KR 101013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creen
coupled
smok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137A (ko
Inventor
강해근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주)예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예건테크 filed Critical (주)예건테크
Priority to KR1020080117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7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9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하도록 하는 방화 스크린이 개시된다. 방화 스크린은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어 상기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회동판과,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1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2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결속돌기와, 상기 제2 회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속시키는 결속 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Firestop screen with built in exit door}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 통로를 차단하여 화염, 연기, 유독가스 등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방화셔터가 사용되고 있다.
방화셔터는 다수의 폭이 좁고 긴 금속판을 서로 물려 문틀 상부의 셔터박스에 마련된 구동장치로 감아 올려 여닫는 철제문으로, 소정부에 비상구를 만들고, 개방된 후에도 자동으로 닫혀지는 비상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비상문은 방화셔터가 내려진 후에도 인명의 긴급구조 내지는 비상탈출을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설교통부에서는 자동방화셔터 및 비상문의 기준;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5-232호를 고시함으로서, 방화셔터 및 비상문이 성능과 안전성의 평가 및 인적 또는 물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화재상황을 가정한 내화 시험과 차연성 시험 등을 통해 내화성, 내충격성, 차연성 등의 여러 요건을 충족시켜 제작하되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화셔터의 비상문은 셔터에 일정 크기의 비상구를 형성하 고, 셔터의 비상구에 비상문을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져, 피난 시간의 지연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 가스 등을 차단하고, 피난자의 피난이 용이하도록 한 방화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방화 스크린은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어 상기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회동판과,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1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2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결속돌기와, 상기 제2 회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속시키는 결속 링을 포함한다.
상기 방화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에 봉합되고 상기 제2 스크린에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차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 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차연 회동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판과, 일단부가 상기 절곡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와, 일단부가 상기 차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직선 이동되도록 구속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2 스크린의 폐쇄에 따라 상기 제2 회동판에 접촉되어 상기 차연 회동판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방화 스크린은 상기 제1 스크린에 봉합되고 상기 제2 스크린에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차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차연 회동판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 절곡판과, 상기 제1 절곡판으로부터 절곡되는 제2 절곡판과, 일단부가 상기 제1 절곡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곡판은 상기 제2 스크린의 폐쇄에 따라 상기 제2 회동판에 접촉되어 상기 차연 회동판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연기 및 유독가스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피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은 사람이 지나는 통로 및 출입구와 같은 장소(이하, '설치장소'라 함.)에 설치되며, 승강부(110), 제1 스크린(130), 제2 스크린(150) 및 좌판부(170)를 구비한다.
승강부(110)는 권취축(111), 구동모터(113) 및 가이드 레일(115)을 구비한다. 구동모터(113)는 평상시 설치장소의 상부에서 권취축(111)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감아 올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설치장소를 지나는 사람들의 통행을 보장하며, 화재 발생시 권취축(111)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하강시켜 화재 발생지역을 차단하도록, 권취축(111)과 함께 설치장소의 상부에 구비된다.
가이드 레일(115)은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설치장소에서 수직 하강되도록 설치장소의 일측벽 및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스크린(130)은 설치장소의 일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하강되도록 설치되며, 제2 스크린(150)은 설치장소의 일측벽과 대향되는 타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하강되도록 설치된다. 하강된 제1 스크린(130)은 설치장소의 내측에 배치되며, 하강된 제2 스크린(150)은 설치장소의 외측에서 제1 스크린(130)과 일부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내화성 및 차연성을 갖춘 직물소재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을 직물 소재로 구비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00)의 건물과의 미적 조화, 방화 스크린(100)의 제작공정의 단순화, 방화 스크린(100)의 경량화에 따른 장비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좌판부(170)는 제1 회동판(171), 제2 회동판(173) 및 지지판(175)을 구비한다.
지지판(175)은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의 설치를 위한 격벽(175a)과,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하강됨에 따라 설치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175b)을 구비한다. 격벽(175a)은 제1 회동판(171)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1 격벽(175aa)과, 제2 회동판(173)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2 격벽(175ab)과,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이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제3 격벽(175ac)을 포함한다. 제3 격벽(175ac)의 두께는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이 중첩되어 접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회동판(171)은 제1 회동판(171)과 제1 격벽(175aa)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체결판(171a)에 의해 제1 스크린(13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1 회동판(171)은 제2 회동판(173) 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첩(177)에 의해 지지판(175)에 결합되어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상향 회동가능하다.
제2 회동판(173)은 제2 회동판(173)과 제2 격벽(175ab)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체결판(173a)에 의해 제2 스크린(15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2 회동판(173)은 제1 회동판(171) 측으로 기울어진 제2 경첩(179)에 의해 지지판(175)에 결합되어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상향 회동가능하다.
격벽(175a)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평상시 자기력에 의해 제3 격벽(175ac)에 각각 흡착되도록 하는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를 각각 포함한다.
제3 격벽(175ac)은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을 정렬위치로 안내하는 제1 정렬돌기(175c)와 제2 정렬돌기(175d)를 포함한다.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는 제1 정렬돌기(175c)와 제2 정렬돌기(175d)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정렬홈(171b')과 제2 정렬홈(173b')를 각각 포함한다.
한편, 제1 회동판(171)의 회동단부에는 제2 회동판(173) 측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절곡되는 결속돌기(171d)가 형성되며, 제2 회동판(173)에는 제1 회동판(171)이 격벽(175a)에 흡착됨에 따라 결속돌기(171d)와 동축을 이루는 결속링(173d)이 결합된다.
결속링(173d)은 제1 회동판(171)이 제1 자기부재(171b)에 의해 격벽(175a)의 정렬위치에 흡착되고, 제2 회동판(173)이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해 격벽(175a)의 정렬위치에 흡착될 때, 결속돌기(171d)가 삽입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을 설치장소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스크린(130)이 개방되도록 하여 제1 스크린(130)을 피난을 위한 비상문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작동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좌판부(170)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 레일(115)을 따라 설치장소에 대해 수직 하강된다. 이때,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해 제3 격벽(175ac)에 흡착되어 있으며, 결속돌기(171d)는 결속링(173d)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화재 발생지역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화재 발생지역의 압력이 팽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설치장소의 내측은 건물의 안쪽이고, 설치장소의 외측은 건물의 외측이 된다. 따라서 피난자는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피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설치장소의 내측으로부터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압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지역을 차단하고 있는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은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그 중심부가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휘어진다.
이때,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의 하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 회동판(171)과, 제2 회동판(173)은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의 휘어짐에 따라 제1 자기부재(171b)와 제2 자기부재(173b)에 의한 흡착이 해제되고, 격벽(175a)을 뛰어넘어 화재 발생지역 반대방향 상향 회동된다.
도 6a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a 를 참조하면, 결속링(173d)에 삽입되지 않았던 결속돌기(171d)는 화재가 발생되 고 점차 시간이 흐름에 따라 결속링(173d)에 삽입된다. 즉, 화재가 발생되고 점차 시간이 흐르면, 제1 스크린(130) 및 제2 스크린(150)이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휘어진다. 제1 회동판(171)은 제1 자기부재(171b)에 의해 제3 격벽(175ac)의 정렬위치에 흡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치장소의 외측으로 상향 회동된다. 이에 따라 결속링(173d)에 결속돌기(171d)가 삽입되어, 제1 스크린(130)이 제2 스크린(150)으로부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화재 발생지역의 피난자는 제1 스크린(130)을 설치장소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피난할 수 있다.
도 6b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에서 제1 스크린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결속돌기(171d)가 결속링(173d)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스크린(130)을 설치장소의 내측으로 가압하면, 제1 스크린(130)의 하단에 결합된 제1 회동판(171)은 설치장소의 내측으로 회동된다. 이때, 결속돌기(171d)는 결속링(173d)에서 빠져나와,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의 결속상태가 해제되고, 제1 스크린(130)이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화 스크린(100)은 화재 발생시 제1 스크린(130)과 제2 스크린(150)이 결속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염 및 연기를 차단시킨다. 반면, 화재 발생지역의 피난자는 제1 스크린(130)을 당겨,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또한 방화 스크린(100)은 제1 스크린(130) 전체를 비상문으로 사용함으로써, 한 번에 많은 피난자들이 대피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a)에 대해 첨부된 도면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a)의 구성 중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요소 중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0)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술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일부를 간략하게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a)은 차연 스크린(210)및 차연 스크린 개폐부(230)를 구비한다.
차연 스크린(210)은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화재로 인한 연기가 화재 발생 지역 반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차연 스크린(210)은 제1 스크린(130)에 봉합되고, 제2 스크린(150)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제1 스크린(130)과 중첩되는 제2 스크린(15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연 스크린 개폐부(230)는 차연 회동판(231a), 절곡판(231b) 탄성체(233) 및 가이드 바(235)를 구비한다.
차연 회동판(231a)와 절곡판(231b)의 절곡부는 지지판(175)에 힌지 결합된다. 차연 회동판(231a)은 차연 스크린(2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절곡판(231b)은 차연 회동판(231a)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된다. 탄성체(233)는 일단부가 절곡 판(231b)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격벽(175a)에 결합되어 제2 스크린(210)의 개폐에 따라 신축된다.
가이드 바(235)는 일단부가 차연 회동판(231a)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격벽(175a)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35a)에 구속되어 가이드 홈(235a)을 따라 직선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닫힐 때, 제2 회동판(173)은 가이드 바(235)에 접촉되며, 가이드 바(235)를 가압한다. 이때, 제2 회동판(173)의 가압에 의해 가이드 바(235)의 타단부는 직선 이동된다. 가이드 바(235)의 타단부과 결합된 차연 회동판(231a)은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되며, 차연 스크린(210)은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개방됨에 따라 탄성체(233)는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압축되어 절곡판(231b)을 격벽(175a) 측으로 당긴다. 차연 회동판(231a)은 절곡판(231b)와 연동되며,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된다. 차연 회동판(231a)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차연 회동판(231a)의 회동에 따라 개방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 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화 스크린(100a)은 차연 스크린(210)과, 차연 스크린 개폐부(240)를 구비한다.
차연 스크린 개폐부(240)는 차연 스크린(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241a)과, 차연 회동판(241a)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는 제1 절곡판(241b)과, 제1 절곡판(241b)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는 제2 절곡판(241c)을 포함한다.
제1 절곡판(241b)과 제2 절곡판(241c)의 절곡부는 지지판(175)에 힌지 결합된다. 탄성체(233)는 일단부가 제1 절곡판(241b)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격벽(175a)에 결합되어 제2 스크린(210)의 개폐에 따라 신축된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닫힐 때, 제2 회동판(173)은 제2 절곡판(241c)에 접촉되며, 제2 절곡판(241c)을 가압한다. 이때, 제2 회동판(173)의 가압에 의해 제2 절곡판(241c)은 격벽(175a) 측으로 회동된다. 차연 회동판(241a)은 제2 절곡판(241c)과 연동되어 제2 스크린(150) 측으로 회동된다.
차연 회동판(241a)의 회동에 따라 차연 스크린(210)은 제2 스크린(150)을 감싸는 형태로 폐쇄되어, 화재 발생지역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가 화재 발생지역의 반대 방향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스크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2 스크린(150)이 개방될 때, 탄성체(233)는 격벽(175a) 측으로 압축되어 제1 절곡판(241b)을 격 벽(175a) 측으로 당긴다. 차연 회동판(241a)은 제1 절곡판(241b)와 연동되며, 제2 스크린(150)의 반대 측으로 회동된다. 차연 회동판(241a)에 결합된 차연 스크린(210)은 차연 회동판(241a)의 회동에 따라 개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도 1에 표기된 I-I'선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b는 도 5에 표기된 Ⅱ부의 화재 발생시 상태에서 제1 스크린을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일부를 간략하게 타나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차연 스크린 개폐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닫힐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크린이 개방될 때의 차연 개폐부의 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방화 스크린 110 : 승강부
130 : 제1 스크린 150 : 제2 스크린
170 : 좌판부

Claims (3)

  1. 설치장소의 일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1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과 일부 중첩되어 상기 일측벽에 대향되는 타측벽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설치장소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2 스크린과,
    상기 제1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는 제2 회동판과,
    상기 제1 회동판 및 상기 제2 회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1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1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 측으로 기울어진 힌지축을 가지고 상기 지지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합시키는 제2 경첩과,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결속돌기와,
    상기 제2 회동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회동판의 회동에 따라 상기 결속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제1 회동판과 상기 제2 회동판을 결속시키는 결속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에 봉합되고 상기 제2 스크린에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차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차연 회동판으로부터 연장되어 절곡되는 절곡판과,
    일단부가 상기 절곡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와,
    일단부가 상기 차연 회동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직선 이동되도록 구속되는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는 상기 제2 스크린의 폐쇄에 따라 상기 제2 회동판에 접촉되어 상기 차연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린에 봉합되고 상기 제2 스크린에 중첩되는 차연 스크린과,
    상기 차연 스크린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에 힌지 결합되는 차연 회동판과,
    상기 차연 회동판으로부터 절곡되는 제1 절곡판과,
    상기 제1 절곡판으로부터 절곡되는 제2 절곡판과,
    일단부가 상기 제1 절곡판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린의 개폐에 따라 신축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절곡판은 상기 제2 스크린의 폐쇄에 따라 상기 제2 회동판에 접촉되어 상기 차연 회동판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KR1020080117798A 2008-11-26 2008-11-26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1013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798A KR101013794B1 (ko) 2008-11-26 2008-11-26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798A KR101013794B1 (ko) 2008-11-26 2008-11-26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37A KR20100059137A (ko) 2010-06-04
KR101013794B1 true KR101013794B1 (ko) 2011-02-14

Family

ID=4236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798A KR101013794B1 (ko) 2008-11-26 2008-11-26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7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03A (ko) * 2002-07-31 2004-02-11 최두현 대본 혹은 영상의 유사성과 사람의 인지 능력을 고려한동영상 파일 인코딩 방법
KR200411903Y1 (ko) * 2005-12-26 2006-03-21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60098517A (ko) * 2005-03-03 2006-09-19 임동현 스크린 셔터의 비상문장착을 위한 경첩
KR20070109037A (ko) * 2006-05-09 2007-11-15 강연구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20080007917A (ko) *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903A (ko) * 2002-07-31 2004-02-11 최두현 대본 혹은 영상의 유사성과 사람의 인지 능력을 고려한동영상 파일 인코딩 방법
KR20060098517A (ko) * 2005-03-03 2006-09-19 임동현 스크린 셔터의 비상문장착을 위한 경첩
KR200411903Y1 (ko) * 2005-12-26 2006-03-21 하나이앤지 주식회사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70109037A (ko) * 2006-05-09 2007-11-15 강연구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20080007917A (ko) * 2006-07-19 2008-01-23 김태운 방화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137A (ko) 201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466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개폐장치
KR100842219B1 (ko)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구조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KR200428452Y1 (ko) 방화 스크린 장치
KR101013794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101995687B1 (ko) 문턱이 없는 방화 스크린셔터
KR20060109711A (ko) 방화스크린장치
KR100963500B1 (ko) 비상구가 형성된 방화 스크린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KR20080007917A (ko) 방화 스크린 장치
JP3357844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JP3939105B2 (ja) 耐火性シートを用いた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0423391Y1 (ko) 방화 셔터
KR200300570Y1 (ko) 방화용 셔터에 설치되는 비상탈출문의 처짐방지장치
KR20110096308A (ko)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KR20170021608A (ko)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KR200372117Y1 (ko)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JP4791081B2 (ja) 防火用スクリ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