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878B1 - 방화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방화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878B1
KR100695878B1 KR1020050031989A KR20050031989A KR100695878B1 KR 100695878 B1 KR100695878 B1 KR 100695878B1 KR 1020050031989 A KR1020050031989 A KR 1020050031989A KR 20050031989 A KR20050031989 A KR 20050031989A KR 100695878 B1 KR100695878 B1 KR 10069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human body
locking devic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711A (ko
Inventor
강연구
Original Assignee
강연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연구 filed Critical 강연구
Priority to KR102005003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87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3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 E04D13/035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 E04D13/0358Sky-lights; Domes; Ventilating sky-lights characterised by having movable parts the parts moving, in their own plane, e.g. rolling or sliding, or moving in parallel planes with or without an additional movement, e.g. both pivoting and roll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4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 E05F2017/007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with means for interlocking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내부 화재시 연소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명을 대피시키기 위한 도어부가 형성된 방화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부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방화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스크린, 인체감지센서, 솔레노이드, 잠금장치

Description

방화스크린장치 { FIRE SCREEN APPARATUS }
도 1은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부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 방화스크린, 700 : 도어부,
710 : 비상구, 720 : 지지부,
721 : 메인웨이트, 730 : 제1도어,
731 : 제1웨이트, 732 : 제1홀,
735, 745 : 거리센서, 740 : 제2도어,
741 : 제2웨이트, 742 : 제2홀,
750 : 돌기, 751 : 고정홈,
752 : 걸쇠, 753 : 가력부재(솔레노이드),
770 : 인체감지센서, 781 : 탄성단자,
782 : 중간접촉체, 783 : 전선.
본 발명은 건물 내부 화재시 연소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인명을 대피시키기 위한 도어부가 형성된 방화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도어부를 잠그거나 해제하는 방화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시에 건물내의 연소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 바닥 면적 또는 방에 용도에 따라 방화구역 또는 방연구획을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피난경로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관점에서 방화격벽과 방연수직벽 혹은 방화셔터, 방화문 등의 설비가 계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방화셔터는 방화성능을 갖는 철재셔터이고, 다수의 슬릿이 결합한 구조의 전동권취식으로 상부에 권취된 셔터를 하강시켜 건물의 출입구 또는 통로를 차폐할 수 있다.
방화셔터는 그 구조상 셔터 그 자체에 피난통로인 방화문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셔터를 내려 입구를 막은 상태로 사람이 통과할 수 없어, 피난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방화셔터 가까이에 사람이 통행할 수 있는 방화문을 설치하게 된다.
또한, 방화 방연을 막기 위해 각각의 구획마다 일률적으로 다수의 칸막이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건물 벽면과 디자인상의 고려와 비상시의 피난의 용이성, 평상시의 사용공간, 실시비용 등을 다면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내열성이 강하면서 유연한 직물제의 스크린을 이용하여 우수한 방화 및 방연성능을 발휘하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비상구가 함께 형성된 방화스크린 장치를 연구 개발하고 있다.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1193호에 기재된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샤프트(200)와, 정/역모터(300)와, 제1차폐막(410)과 제2차폐막(420)으로 이루어진 내화스크린(400)과, 상기 내화스크린(400)의 양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자세한 구조는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를 참조하기 바라며, 이하 그 작동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면 정/역모터(300)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정/역모터(300)에 연결되어 있는 권취샤프트(200)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권취샤프트(200)에 권취되어 있는 내화 스크린(400)이 한 쌍의 레일(510,520)을 따라 하강 하게 된다.
상기 내화 스크린(400)의 하강에 의해 화재가 발생된 곳은 방화 및 방연될 수 있도록 밀폐되게 된다.
이때, 화재가 발생된 곳에 있는 사람이 상기 내화 스크린(400)을 통해 탈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화 스크린(40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제1차폐막(410)을 밀어서 개방시켜야 한다.
상기 제1차폐막(410)은 제1힌지(414)에 의해 내화 스크린(400)의 바깥쪽 대각선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1차폐막(410)이 제2차폐막(420)의 제1링크(423)를 밀게되어 이에 의해 상기 제1차폐막(410)의 외측에 설치된 제2차폐막(420)은 내화 스크린(400)의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제1차 및 제2차폐막(410,420)은 완전히 개방되어 사람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람이 통과하고 난 후, 상기 제1차폐막(410)은 상기 제1힌지(414)에 설치된 제1탄성부재(415)의 탄성력에 의해 역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역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차폐막(410)은 제2차폐막(420)의 제2링크(424)를 내화 스크린(400)의 내측으로 밀게되어, 상기 제1 및 제2차폐막(410,420)은 상기 내화 스크린(400)에 대해 폐쇄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차폐막(410,420)은 제1 및 제2자석(413,427)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되며, 상기 제1차폐막(410)의 일측에 형성된 홀(412)이 상기 내화 스크린(400)의 돌기(431)에 결합됨으로서, 상기 제1차폐막(410)은 들뜨거나 벌려지지 않으면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에서, 상기 제1차폐막(410)의 하부에는 제1웨이트(4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웨이트(411)의 일단에는 홀(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412)의 일측에는 제1자석(4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자석(413)은 상기 내화스크린(400)의 하부에 설치된 메인웨이트(430)에 부착되어 상기 제1차폐막(410)의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사람이 상기 제1차폐막(41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제1자석(413)은 상기 메인웨이트(430)로부터 탈락된다.
상기 홀(412)은 상기 내화스크린(400)의 하부에 설치된 돌기(431)에 끼움 결합되며, 이에 의해 상기 제1차폐막(410)은 화재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들뜨거나 개방되지 않아 연기가 새기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2차폐막(420)의 일측에는 제2자석(427)이 설치되어 상기 제2폐막(420)의 폐쇄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방화스크린장치는 제1차폐막(410)과 메인웨이트(430), 제1차폐막(410)과 제2차폐막(420)이 각각 자석(413,427)만으로 결합되어 있어서 그 결합력이 약하다.
따라서 화재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쉽게 탈락되어 방화 및 방연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제1차폐막(410) 및 제2차폐막(420)은 화재발생지역에서 탈출통로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지역에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제1차폐막(410) 및 제2차폐막(420)이 쉽게 탈락되어 완벽한 방화 및 방연이 이루어지지 못하 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도어가 쉽게 개방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사람이 대피할 경우에는 도어가 쉽게 개방되어,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방화 및 방연이 우수한 방화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장치는 권취샤프트와; 상기 권취샤프트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권취샤프트에 의해 권취되며 도어부가 형성된 방화스크린과; 상기 도어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장치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는, 비상구와; 상기 비상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어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제1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홀에 상기 돌기가 관통된다.
이때, 상기 가력부재는 푸시타입 솔레노이드이고,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에 상기 걸쇠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 사이에는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일정시간 후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가 상호 인접하다고 측정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의 중첩부위를 덮는 제2도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도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제2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홀에 상기 돌기가 관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는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일정시간 후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상호 인접하다고 측정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잠그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잠금장치 등에 관하여 특징이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권취샤프트(200)와; 상기 권취샤프트(200)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권취샤프트(200)에 의해 권취되며 도어부(700)가 형성된 방화스크린(600)과; 상기 도어부(7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장치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77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770)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내화스크린(600)의 양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수단(500)과, 베이스프레임(1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권취샤프트(200)와 모터와 가이드수단(500)과 베이스프레임(120)은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다만, 상기 권취샤프트(200)의 일측에는 동력전달수단이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잠금장치와 인체감지센서(7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전원에 직접 접속된 탄성단자(781)와, 상기 탄성단자(781)와 접촉하며 상기 권취샤프트(200)를 감싸고 있는 중간접촉체(782)와, 상기 중간접촉체(782)와 상기 잠금장치 및 인체감지센서(770)를 연결하는 전선(783)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취샤프트(200)가 회전하여 상기 방화스크린(600)을 권취할 경우 상기 권취샤프트(200)에 장착된 중간접촉체(782)도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중간접촉체(782)와 상기 탄성단자(781)가 지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또한 회전에 따른 전선(783)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화스크린(600)은 상기 권취샤프트(200)에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권취샤프트(200)가 회전함에 따라 권취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방화스크린(600)에는 도어부(70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부(700)는 비상구(710)와, 지지부(720)와, 제1도어(7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상구(710)는 화재 발생시 사람이 탈출하기 위한 통로로써 상기 제1도어(730)를 개방하면 형성되고, 상기 제1도어(730)는 상기 방화스크린(600)을 "L"자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720)는 상기 비상구(710)를 지지하는 방화스크린(600)의 일부분으로써 상기 제1도어(730)의 세로 절개선 안쪽부위와 일부 중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제1도어(730)가 상기 지지부(720)와 중첩되어 상기 비상구(710)를 개폐한다.
이때, 상기 제1도어(730)를 필요에 따라 일측만이 방화스크린(600)에 연결된 "ㄷ"형태로 절개할 수도 있다.
상기 방화스크린(600)의 하부에는 메인웨이트(7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도어(730)의 하부에는 제1웨이트(731)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종래기술과 그 구조가 유사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이때, 제1웨이트(731)에는 하술하는 돌기(750)가 삽입되도록 돌기(75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홀(7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도어부(70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장치로써, 돌기(750)와 걸쇠(752)와 가력부재(75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기(750)는 상기 제1도어(730)와 겹쳐지는 상기 지지부(720)의 하부에 장착된 메인웨이트(721)에 장착되며, 상기 돌기(750)에는 고정홈(75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홈은(751)은 상기 걸쇠(752)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면 충분하고, 홈이 아닌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걸쇠(752)는 상기 고정홈(751)에 삽입되는 것으로써, 상기 제1도어(730)의 제1웨이트(731) 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력부재(753)는 상기 걸쇠(752)가 상기 고정홈(751)에 삽입되도록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제1웨이트(731)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가력부재(753)는 솔레노이드 장치임이 바람직하고, 상기 걸쇠(752)에는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 상기 가력부재(753)에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 상기 압축스프링이 상기 걸쇠(752)를 밀어 상기 걸쇠(752)가 항상 상기 고정홈(751)에 삽입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력부재(753)를 내부에 스프링이 장착된 푸시타입의 솔레노이드(753) 장치로 하여 상기 푸시타입 솔레노이드(753)에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 솔레노이드(753)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걸쇠(752)가 밀려 상기 고정홈(751)에 삽입되도록 하고,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753)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을 압축하여 걸쇠(752)가 고정홈(75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는 돌기(750)에 모터를 장착하여 돌기(750)를 회전시켜 제1도어(730)가 잠금 또는 해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력부재(753)는 메인웨이트(721)에 장착되고 상기 걸쇠(752)와 와이어로 연결되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상기 가력부재(753)에 의해 상기 걸쇠(752)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방화스크린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도어(730)의 제1웨이트(731)에는 거리센서(735)가 장착되는데,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지지부(720)와 상기 제1도어(73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제1웨이트(731)와 상기 지지부(720)의 하단에 설치된 메인웨이트(721)의 상호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제1도어(730)의 제1웨이트(731)가 아닌 상기 지지부(720) 하단의 메인웨이트(72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제1도어(730)의 제1탄성힌지(414)로부터 멀리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도어(730)와 상기 지지부(720)가 최소한의 간극을 가지고 완전하게 접하였는지를 더욱 정확화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메인웨이트(721)와 제1웨이트(731)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써, 버튼형식의 스위치가 상기 메인웨이트(721) 또는 제1웨이트(731)에 장착되어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는 상기 방화스크린(600)에 접근하는 사람을 감지하는 센서로써, 상기 메인웨이트(721) 및/또는 제1웨이트(731)에 장착되는데 그 위치 는 상기 도어부(700) 근처에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는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정전기 또는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를 메인웨이트(721)와 제1웨이트(731)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방화스크린을 기준으로 양측의 사람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정전기 또는 일정범위 내에서는 온도를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로부터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부(700)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부(700)를 통해 사람이 탈출할 수 있는 시간을 미리 설정하여 그 일정시간 후에 상기 거리센서(735)에 의해 상기 지지부(720)와 제1도어(730)가 상호 인접하다고 측정되면 상기 잠금장치로 다시 도어부(700)를 잠그도록 한다.
그 외, 상기 제1웨이트(731)와 메인웨이트(721)의 제1탄성힌지(414)에 의한 경사힌지 결합은 종래기술과 동일한바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부(700)는 화재발생지역에서 탈출통로방향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는 화재발생지역 방향으로 장착하고, 상기 돌기(750)는 탈출통로방향으로 장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는 탈출통로방향에도 장착하여 소방관 등이 화재발생지역으로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평상시에는 방화스크린(600)은 권취샤프트(200)에 권취되어 있고, 이때에는 상기 가력부재(753) 및 인체감지센서(770)에 전력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걸쇠(752)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750)의 고정홈(751)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모터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권취샤프트(200)가 회전하며, 권취샤프트(200)에 권취된 상기 방화스크린(600)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방화스크린(600)이 하강 완료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770)와 잠금장치에는 전력이 인가된다.
화재구역 내에 사람이 있어 외부로 탈출하고자 상기 방화스크린장치로 이동하면, 상기 메인웨이트(721)에 장착된 인체감지센서(770)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제어부에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가력부재(753) 즉 솔레노이드(753)를 가동시켜 걸쇠(752)가 후퇴하게 된다.
걸쇠(752)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잠금장치는 해제상태가 되고, 사람이 제1도어(730)를 밀면서 비상구(710)를 통해 외부로 나간다.
이때, 상기 인체감지센서(770)와 제어부와 잠금장치의 연계동작은 사람이 제1도어(730)를 밀기 전에 모두 이루어져야한다.
사람이 화재구역 밖으로 나가면, 상기 제1도어(730)는 제1탄성힌지(414)에 의해 역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도어(730)가 역회전하여 제1홀(732)에 상기 돌기(750)가 다시 삽입되고 제1도어(730)가 지지부(720)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거리센서(735)가 제1웨이트(731)와 메인웨이트(72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센서(735)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53)에 전기를 차단하여 상기 걸쇠(752)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750)의 고정홈(75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이 화재지역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할 경우에만 제1도어(730)가 개방되어 사람이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고, 그 외에는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제1도어(730)가 잠겨 화재로 인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제1도어(73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재발생지역이 아닌 탈출통로방향에서 사람이 상기 방화스크린장치에 접근할 때도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어부(700)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어부(700)에 제2도어(740)가 더 형성된 것 인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2도어(740)는 상기 비상구(710)를 중심으로 상기 제1도어(73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720)와 제1도어(730)의 중첩부위를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도어(740)의 하부에는 제2웨이트(74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웨이트(741)의 단면은 'L'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2웨이트(741)에는 하부에는 장홈(4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홈(422)과 메인웨이트(721)는 제1, 2링크(423,4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장홈(422)과 제1,2링크(423,424)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웨이트(741)가 상기 메인웨이트(721)와 제2탄성힌지(425)로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 구조도 종래기술과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웨이트(741)에는 상기 제1웨이트(731)와 마찬가지로 상기 돌기(7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7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제2홀(74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장치는 상기 제2웨이트(74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웨이트(741)에는 거리센서(74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거리센서(745)는 상기 제1도어(730)와 제2도어(74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센서(745)는 상기 제1웨이트(731)와 상기 지지부(720)의 하단에 설치된 메인웨이트(721)의 상호 거리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거리센서(745)는 상기 제2도어(740)의 제2웨이트(741)가 아닌 상 기 제1도어(730)의 제1웨이트(73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거리센서(745)는 상기 제2도어(740)의 제2탄성힌지(425)로부터 멀리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1도어(730)와 제2도어(740)가 최소한의 간극을 가지고 완전하게 접하였는지를 더욱 정확화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거리센서(745)는 제2도어(740) 뿐만 아니라, 제1실시예와 같이 제1도어(730)에도 장착하여 즉, 두 개의 거리센서(735, 745)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거리센서(735)는 상기 제1웨이트(731)와 상기 지지부(720)의 하단에 설치된 메인웨이트(721)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써, 버튼형식의 스위치가 상기 제1웨이트(731) 또는 상기 지지부(720)의 하단에 설치된 메인웨이트(721)에 장착되어 잠금장치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거리센서(745)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알아본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도어(740)의 작동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하여 사람이 방화스크린장치 가까이로 오면, 상기 인체감지센서(770)를 통해 주어진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한다.
이때, 사람이 제1도어(730)를 밀면 상기 제1도어(730)는 제1탄성힌지(414)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하는 제1도어(730)가 제2도어(740)의 제1링크(423)를 밀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도어(730)의 외측에 설치된 제2도어(740)는 방화스크린(600)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제1 및 제2도어(730,740)는 완전히 개방되어 사람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사람이 화재구역 밖으로 나가면, 상기 제1도어(730)는 제1탄성힌지(414)에 의해 역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도어(730)는 제2도어(740)의 제2링크(424)를 지지부(720) 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 제1도어(730)의 제1웨이트(731)에 형성된 제1홀(732)에 상기 돌기(750)가 삽입되고, 그 후에 상기 제2도어(740)의 제2웨이트(741)에 형성된 제2홀(742)에 상기 돌기(7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도어(730)와 상기 제2도어(740)가 인접하게 되면, 상기 거리센서(745)가 제1도어(730)와 제2도어(74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상기 거리센서(745)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부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753)에 전기를 차단하여 상기 걸쇠(752)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돌기(750)의 고정홈(75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람이 방화스크린장치에 접근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화재지역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자할 경우에만 제1도어(730) 및 제2도어(740)가 용이하게 개방되어 사람이 빨리 탈출·이동할 수 있고, 그 외에는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제1도어(730) 및 제2도어(740)가 잠겨 화재로 인한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상기 제1도어(730) 및 제2도어(74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감지센서를 방화스크린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하기 때문에 화재가 어는 쪽에서 발생하든 화재지역에 있는 사람이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고,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되지 않으면 잠금장치에 의해 도어가 잠겨지므로 방화 및 방연 성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인 방화스크린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화스크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잠금장치를 장착함으로써 화재로 인해 발생되는 풍압에 의해 도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방화 및 방연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부가 화재발생지역에서 탈출통로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화재발생지역에서 도어부에 풍압이 가해진다하여도 상기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와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함으로써, 화재구역으로부터 사람이 밖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으며, 그 외에는 도어부를 잠금으로써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체감지센서가 방화스크린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바, 어느 쪽에서 화재가 발생하든지 잠금장치 등이 작동하여 화재지역으로부터 사람이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다.
둘째, 잠금장치를 돌기와 걸쇠의 체결 구조로 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고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하다.
셋째, 가력부재를 푸시타입 솔레노이드로 함으로써, 잠금장치의 잠금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 걸쇠가 고정홈에 삽입되도록 밀게 함으로써, 상기 도어부를 잠그기 위해 전원을 지속적으로 인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람이 감지된 경우에만 전원을 인가하므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넷째, 거리센서를 장착함으로써, 사람이 비상구를 통해 탈출하고 난 후에 잠금장치가 정확하게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제2도어를 장착함으로써, 방화 및 방연을 더욱 견고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6)

  1. 권취샤프트와;
    상기 권취샤프트를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권취샤프트에 의해 권취되며 도어부가 형성된 방화스크린과;
    상기 도어부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잠금장치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를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상기 도어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비상구와; 상기 비상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어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도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제1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홀에 상기 돌기가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부재는 푸시타입 솔레노이드이고,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에 상기 걸쇠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 사이에는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일정시간 후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가 상호 인접하다고 측정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비상구와; 상기 비상구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중첩되어 상기 비상구를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지지부와 제1도어의 중첩부위를 덮는 제2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돌기와; 상기 돌기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에 힘을 가하는 가력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도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제2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홀에 상기 돌기가 관통되며,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 사이에는 상호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일정시간 후 상기 거리센서에 의해 상기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상호 인접하다고 측정되면 상기 잠금장치를 잠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스크린장치.
KR1020050031989A 2005-04-18 2005-04-18 방화스크린장치 KR10069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989A KR100695878B1 (ko) 2005-04-18 2005-04-18 방화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989A KR100695878B1 (ko) 2005-04-18 2005-04-18 방화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11A KR20060109711A (ko) 2006-10-23
KR100695878B1 true KR100695878B1 (ko) 2007-03-19

Family

ID=3761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989A KR100695878B1 (ko) 2005-04-18 2005-04-18 방화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8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101571436B1 (ko) * 2015-04-27 2015-11-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372B1 (ko) * 2009-07-10 2010-09-06 (주) 신진도아스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843Y1 (ko) * 2000-07-07 2000-12-15 주식회사다이나믹테크놀로지 도난경보시스템
KR200331193Y1 (ko) * 2003-07-24 2003-10-22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화이어 가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843Y1 (ko) * 2000-07-07 2000-12-15 주식회사다이나믹테크놀로지 도난경보시스템
KR200331193Y1 (ko) * 2003-07-24 2003-10-22 주식회사 예건 도어스 시스템 화이어 가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67B1 (ko) 2007-06-21 2008-01-03 이세일 방화 스크린셔터의 피난문 자동폐쇄 및 밀폐보강구조
KR200471680Y1 (ko) * 2013-10-24 2014-03-07 허현 신변 안전부스
KR101571436B1 (ko) * 2015-04-27 2015-11-24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79713B1 (ko) 2016-06-14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711A (ko) 2006-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KR101774830B1 (ko) 매립형 양여닫이 방화문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KR100944392B1 (ko) 비상탈출용 여닫이 문을 구비한 미서기식 방화유리 자동문
KR20060109400A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0597058B1 (ko) 슬라이드식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KR100542792B1 (ko) 대형 건축물의 방화셔터 강화구조
JP2003293658A (ja) 折戸および遮煙防火設備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0621207B1 (ko) 방화셔터
KR20220130661A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20110099514A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110064803A (ko) 방화스크린셔터의 비상문 고정장치
KR100987888B1 (ko) 방화용 스크린 셔터
JP7066501B2 (ja) 防水シャッター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JP2004076330A (ja) 遮煙シャッター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200372117Y1 (ko)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JP2010068946A (ja) 吊下げ式引戸用防火装置
KR102592500B1 (ko)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탈출장치
CN213683799U (zh) 一种防火卷闸门
JP4173318B2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装置
KR200403273Y1 (ko) 방화스크린의 비상문 개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