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207B1 - 방화셔터 - Google Patents

방화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207B1
KR100621207B1 KR1020040089303A KR20040089303A KR100621207B1 KR 100621207 B1 KR100621207 B1 KR 100621207B1 KR 1020040089303 A KR1020040089303 A KR 1020040089303A KR 20040089303 A KR20040089303 A KR 20040089303A KR 100621207 B1 KR100621207 B1 KR 100621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fire
emergency
doo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092A (ko
Inventor
장종복
Original Assignee
장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복 filed Critical 장종복
Priority to KR1020040089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207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으로 회전샤프트(112)를 설치하고 회전샤프트(112)의 일측에 모터(111)를 결합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좌우측에 하향으로 설치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홈(121)을 형성시킨 수직가이드(120)와, 상기 저장부(110)의 회전샤프트(112)에 결합하여 귄회되게하고 소정위치에 탈출용 비상구(131)를 형성하되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형성시킨 셔터(130)와, 상기 셔터(130)의 비상구(131)를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불연소재로된 화연차단막으로 형성시킨 비상문(140)과, 상기 셔터(130)와 비상문(140)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표시부(150), 및 상기 경고표시부(150)에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로 구성하여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탈출문을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정확하게 동작하고 화재지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안전루트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쉽게 비상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셔터 및 비상문을 형성하므로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하며 이상발생시 신속하게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방화셔터{FIRE SHUTT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권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문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문 닫힌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하측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로울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다른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전원공급부 접점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보강철심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방화셔터 110 : 저장부
111 : 모터 112 : 회전샤프트
113 : 지지대 120 : 수직가이드
121 : 슬라이드홈 130 : 셔터
131 : 비상구 132 : 차단날개
133 : 하부프레임 134 : 가이드돌출부
135 : 보강부 136 : 야광도포부
137 : 보강철심 138 : 로울러
140 : 비상문 141 : 지지프레임
142 : 보강철심 143 : 닫힘수단
144 : 착탈 수단 145 : 손잡이
150 : 비상표시부 151 : 음향신호부
152 : 빛신호부 153 : 보호블록
160 : 전원공급부 161 : 전선
162 : 고정접점 163 : 가동접점
본 발명은 방화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이 발생하여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보다 안전하게 화재발생지역을 차단하고 화재지역 내의 사람들이 신속하게 탈출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셔터를 연선 화염차단막으로 형성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설치된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서,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여 발화지점으로부터 진화되는 것을 방지되게 하는 장치이며, 화재공간 및 방화공간 내의 사람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문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화재발생에 의한 연기 및 유독가스 등으로 인하여 시야공간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는 상태의 화재공간 내에서는 방화셔터의 기능으로 위해요인의 진화를 방지되게 할 수는 있으나 제한 사용되는 비상탈출문만으로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기에는 상당한 애로점이 많았다.
즉, 연기나 유독가스 등에 의해 식별력이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요인 및 비상유도의 표시 부재(不在) 등으로 비상탈출문을 쉽게 찾을 수 없어 안전사고를 당하는 경우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재 및 정전 등에 의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방지하기 위하여 안전강화장치들을 채택 사용하거나 그에 따른 강화시책을 추진 또는 계획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방화셔터는 금속으로된 연결플레이트를 다수개 연접하여 절곡될 수 있도록 결합시킨 급속 방화셔터를 형성하므로 제작 및 설치가 까다롭고 코스트가 상승될 뿐만아니라 장기 설치시 오동작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외관이 주변시설과 어울리지 않아 흉물스러운 결점이 발생되며 이상발생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탈출문을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정확하게 동작하고 화재지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안전루트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쉽게 비상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하여 주변시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상발생시 신속하게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화셔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화셔터는 설치위치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샤프트를 설치하고 회전샤프트의 일측에 모터를 결합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좌우측에 하향으로 설치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홈을 형성시킨 수직가이드와, 상기 저장부의 회전사프트에 결합하여 귄회되게 하고 소정위치에 탈출용 비상구를 형성하되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형성시킨 셔터와, 상기 셔터의 비상구를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불연소재로된 화연차단막으로 형성시킨 비상문과, 상기 셔터와 비상문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표시부, 및 상기 경고표시부에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권회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문 열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비상문 닫힌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하측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가이드로울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다른 전원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전원공급부 접점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의 보강철심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셔터(100)는 설치위치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샤프트(112)를 설치하고 회전샤프트(112)의 일측에 모터(111)를 결합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좌우측에 하향으로 설치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홈(121)을 형성시킨 수직가이드(120)와, 상기 저장부(110)의 회전샤프트(112)에 결합하여 귄회되게하고 소정위치에 탈출용 비상구(131)를 형성하되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형성시킨 셔터(130)와, 상기 셔터(130)의 비상구(131)를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불연소재로된 화연차단막으로 형성시킨 비상문(140)과, 상기 셔터(130)와 비상문(140)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표시부(150), 및 상기 경고표시부(150)에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로 구성한다.
상기 저장부(110)는 회전샤프트(112)를 지지하는 지지대(113)를 구비한다.
상기 셔터(130)는 소정위치에 비상구(131)를 형성하되 비상구(131)의 가장자리에 차단날개(132)를 형성하여 화재발생시 화염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화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셔터(130)의 하단에는 "T"자형의 하부프레임(133)을 결합하되 어느 정도 무게를 갖도록 하되 하부프레임(133)의 양측단에 로울러(138)를 각각 부착하여 수직가이드(120)에 삽입하므로 셔터(13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한다.
이 경우 수직가이드(120)의 형성은 로울러(138)에 대응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셔터(130)의 좌우측에는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을 더 형성하여 보강부(13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고 더욱이 이러한 보강부(135)는 비상구(131) 등에도 형성시켜 사용할 수 도 있다.
더불어, 셔터(130)의 비상구(131) 가장자리에는 야광도포부(136)를 형성하여 정전시에도 누구나 쉽게 비상구(13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셔터(130)의 양측단은 수직가이드(120)의 슬라이드홈(121)에 삽입되어 상하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셔터(130)의 하단에 결합된 하부프레임(133)의 양측단에 가이드돌출부(134)를 형성하여 수직가이드(134)의 슬라이드홈(121)에 삽입되게 하여 셔터(130)의 상하이동이 원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셔터(130)는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 사이에 보강철심(137)을 삽입하여 그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비상문(140)은 셔터(130)를 절개하여 형성하되 절개부분에 지지프레임(141)을 결합하여 그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비상문(140)에는 다수개의 닫힘수단(143)을 결합하여 자유상태에서 비상문(140)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한다.
여기서 닫힘수단(140)은 여러 가지 소재로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횡으로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비상문(140)을 보강하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비상문(140)에는 닫힘 상태에서 비상구(131)와 완전 밀착을 위하여 착탈수단(144)을 구비한다.
이러한 착탈수단(140)은 비상구(131)의 차단날개(132)와 비상문(140)의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시키되 자석을 부착하여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상문(140)은 소정위치에 손잡이(145)를 구비한다.
나아가, 비상문(140)은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 사이에 보강철심(142)을 삽입하여 그 강도를 보강하여 사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비상표시부(150)는 음량신호부(151)와 빛신호부(152) 등으로 구성하여 작동시 경고 및 안내 방송과 빛을 발산하여 화재지역의 사람들이 소리와 빛에 의해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빛신호부(152)는 LED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비상표시부(150)의 좌우에는 보호블록(153)을 각각 부착하여 권회 산태에서 비상표시부(1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전선(161)을 수직가이드(120)의 하단까지 늘어뜨리 고 다시 상측으로 올려 비상표시부(150)에 접속하므로 전선(161)의 꼬임 없이 원활하게 전원 공급하게 된다.
나아가, 비상표시부(160)는 일반적인 무접점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고정접점(162)과 가동접점(163)을 수직가이드(120)의 상측과 셔터(130)의 하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하거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 등이 발생되면 열감지센서나 연기감지센서에 의하여 화재를 감지하게되고 이때 모터(111)를 제어하여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인 방화셔터(100)가 하강하여 화재지역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비상표시부(150)에서 경고 및 안내방송을 실시하면서 안내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 화재지역의 사람들을 방화셔터(100)의 비상문(140)으로 유도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상문(140)의 주변 셔터(130)에 야광도포부(136)가 형성되어 비상문(140)의 위치 식별이 더욱 더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탈출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방화셔터(100)의 비상탈출문(140)은 판스프링으로된 닫힘수단(143)으로 탄력설치되어 사람들이 대피 후 자유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비상문(140)의 닫힘수단(143)은 사람이 밀어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셔터(130)와 비상문(140)을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형성하므로 제작 및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코스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셔터는 설치위치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샤프트(112)를 설치하고 회전샤프트(112)의 일측에 모터(111)를 결합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좌우측에 하향으로 설치하되 수직으로 슬라이드홈(121)을 형성시킨 수직가이드(120)와, 상기 저장부(110)의 회전샤프트(112)에 결합하여 귄회되게하고 소정위치에 탈출용 비상구(131)를 형성하되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형성시킨 셔터(130)와, 상기 셔터(130)의 비상구(131)를 형성되어 이를 개폐하는 불연소재로된 화연차단막으로 형성시킨 비상문(140)과, 상기 셔터(130)와 비상문(140)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표시부(150), 및 상기 경고표시부(150)에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로 구성하여 화재 등 기타 위해요인에 방화셔터가 작동되면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는 사람들이 비상탈출문을 누구나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화재지역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정확하게 동작하고 화재지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즉 안전루트를 제공하여 사람들이 쉽게 비상출구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안전장소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특히 불연소재로된 화염차단막으로 셔터 및 비상문을 형성하므로 외관을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간편하고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어 코스트를 저감하며 이상발생시 신속하게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설치위치의 상측에 수평으로 회전샤프트(112)가 설치되고, 회전샤프트(112)의 일측에 모터(111)가 결합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의 좌우측에 하향으로 설치되고, 수직으로 슬라이드홈(121)이 형성된 수직가이드(120)와, 상기 저장부(110)의 회전샤프트(112)에 결합되어 귄회되고, 소정위치에 불연소재의 화염차단막이 형성된 탈출용 비상구(131)가 구비된 셔터(130)와, 상기 셔터(130)의 비상구(131)에 구성되고, 비상구(131)를 개폐시키는 불연소재의 화염차단막으로 이루어진 비상문(140)과, 상기 셔터(130)와 비상문(140)에 설치되어 경고신호를 발생하는 경고표시부(150), 및 상기 경고표시부(15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60)가 구성된 방화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130)는 비상구(131)의 가장자리에 차단날개(132)가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프레임(133)이 결합되며, 셔터(130)의 좌우측에 불연소재의 화염차단막이 더 구비된 보강부(135)와,
    상기 셔터(130)와 비상문(140)은 불연소재의 화염차단막 사이에 삽입된 보강철심(137,142)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130)의 비상구(131) 가장자리에는 야광도포부(136)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130)의 하단에는 하부프레임(133)을 결합하되, 어느 정도 무게를 갖도록 하고, 하부프레임(133)의 양측단에 로울러(138)를 각각 부착하여 수직가이드(120)에 삽입함으로서 셔터(130)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140)은 가장자리에 지지프레임(141)을 결합하고 다수개의 판스프링이 포함된 닫힘수단(143)을 결합하여 자유상태에서 비상문(140)이 항상 닫힌 상태를 유지할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7.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문(140)에는 닫힘 상태에서 비상구(131)와 완전 밀착을 위하여 착탈수단(144)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140)은 비상구(131)의 차단날개(132)와 비상문(140)의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시키되, 자석을 부착하여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표시부(150)는 음량신호부(151) 및 빛신호부(152)로 구성하여 작동시 경고 및 안내 방송과 빛을 발산하여 화재지역의 사람들이 소리와 빛에 의해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되, 빛신호부(152)에는 LED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0. 제2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표시부(150)의 좌우에는 보호블록(153)을 각각 부착하여 권회 상태에서 비상표시부(150)에 가해지는 압력을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전선(161)을 수직가이드(120)의 하단까지 늘어뜨리고, 다시 상측으로 올려 비상표시부(150)에 접속하므로 전선(161)의 꼬임 없이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12. 제2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표시부(160)는 고정접점(162)과 가동접점(163)을 수직가이드(120)의 상측과 셔터(130)의 하측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하거나 리미트스위치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셔터.
KR1020040089303A 2004-11-04 2004-11-04 방화셔터 KR10062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03A KR100621207B1 (ko) 2004-11-04 2004-11-04 방화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303A KR100621207B1 (ko) 2004-11-04 2004-11-04 방화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092A KR20060040092A (ko) 2006-05-10
KR100621207B1 true KR100621207B1 (ko) 2006-09-13

Family

ID=3714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303A KR100621207B1 (ko) 2004-11-04 2004-11-04 방화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2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532A (ko)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10020281A (ko)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IT202000028358A1 (it) * 2020-11-25 2022-05-25 Pllquadro S R L S Sistema integrato di gestione delle pareti esterne di un edificio durante un’emergenz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784B1 (ko) * 2006-02-22 2007-07-03 주식회사 월드에프엔에스 일체형 자동 방화셔터
KR101221702B1 (ko) * 2010-04-05 2013-01-11 김동선 비금속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진 비상도어를 구비한 철재방화셔터
KR200475239Y1 (ko) * 2010-07-20 2014-11-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수밀형 슬라이딩 도어
KR200483229Y1 (ko) * 2011-11-08 2017-04-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슬라이딩방식 풍우밀 도어
KR101451890B1 (ko) * 2013-06-12 2014-10-22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패스도어가 구비된 캔버스 도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78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기억 용량이 제어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23412A (ko) * 2001-09-13 2003-03-19 윤선기 한약 추출 후 잔여분을 재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제조방법
KR20030063470A (ko) * 2000-12-27 2003-07-28 인텔 코오퍼레이션 미리 기억된 가중치를 사용하는 가중치 랜덤 패턴 시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378A (ko) * 1999-09-13 2001-04-06 윤종용 기억 용량이 제어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30063470A (ko) * 2000-12-27 2003-07-28 인텔 코오퍼레이션 미리 기억된 가중치를 사용하는 가중치 랜덤 패턴 시험
KR20030023412A (ko) * 2001-09-13 2003-03-19 윤선기 한약 추출 후 잔여분을 재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3532A (ko)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10020281A (ko)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IT202000028358A1 (it) * 2020-11-25 2022-05-25 Pllquadro S R L S Sistema integrato di gestione delle pareti esterne di un edificio durante un’emergenz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092A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730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100621207B1 (ko) 방화셔터
KR102150060B1 (ko) 건축물용 방화문
CN109372401A (zh) 一种防火门结构
JP2006200343A (ja) 遮煙用避難扉付袖扉連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101890068B1 (ko) 식별용 led 장치를 구비한 방화셔터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60109711A (ko) 방화스크린장치
JP5345470B2 (ja) 開閉体装置
KR20100088440A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210002050U (ko)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KR100567213B1 (ko) 방화셔터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JP2010144446A (ja) 開閉体装置
KR19990032707A (ko) 방화방연 셔터의 안전강하 연동제어기
KR200372117Y1 (ko) 방화 스크린의 비상구 차단장치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KR20110096308A (ko) 띠장의 덧댐 구조에 의하여 비상문의 임의 벌어짐을 방지토록 되는 방화셔터
CN210845037U (zh) 楼梯间防烟结构
KR102540492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대피가이드 시스템
KR102556541B1 (ko) 천장 매립형 방화문
KR200461400Y1 (ko) 제연 커튼 겸용 투시형 방화셔터
KR200423381Y1 (ko) 투시형 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