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440A -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 Google Patents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440A
KR20100088440A KR1020090007669A KR20090007669A KR20100088440A KR 20100088440 A KR20100088440 A KR 20100088440A KR 1020090007669 A KR1020090007669 A KR 1020090007669A KR 20090007669 A KR20090007669 A KR 20090007669A KR 20100088440 A KR20100088440 A KR 2010008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stopper
fire protection
fire
deformatio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714B1 (ko
Inventor
임윤묵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7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7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통로의 상측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수납부의 내부에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부; 일 단부가 탄성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탄성부가 일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타 단부가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열감지 센서와 같은 전기적 장치가 없이 구성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해지고,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전기적 장치의 고장, 오작동의 염려가 없이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화재의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경우, 통로의 상부는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화장치, 방화셔터, 형상변형소재

Description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FIREPROOF APPARATUS USING MATERIAL CAPABLE OF TRANSFORMING SHAPE}
본 발명은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형상변형소재로 구성된 스토퍼가 구비된 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지하철이나 터널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불이나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장치로서 방화셔터 또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방화셔터의 경우 주로 건물 복도 등 통로의 천장부에 설치되며, 셔터박스라 불리는 수납부에 다수의 슬래트(slat)로 이루어진 셔터판이 권취되어 수납되어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건물 등에 화재가 발생하면 수납부에 권취되어 있던 셔터판이 배출되며, 배출된 셔터판이 건물의 통로 등을 차단하여 연기나 불의 확산을 방지한다.
종래의 방화셔터는 화재의 발생시에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열감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방화셔터가 전기식으로 구동되어 셔터판이 하방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방화셔터는 센서가 고장나거나 전기공급의 문제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하여도 방화셔터가 자동적으로 구동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가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구조도 복잡하기 때문에 연결구조 사이에서 단락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방화셔터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사람이 미처 대피하기 전에 방화셔터가 작동하여, 방화셔터 작동 후 대피가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건물과 지하철 역 등의 복도에는 일반적인 문 이외에 방화문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방화문은 평상시에는 늘 개방된 상태로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사람이 직접 그 방화문을 닫아 계단을 통한 화재의 확산을 방지한다. 방화셔터와는 달리 자동으로 작동되지 않고 사람이 직접 열고 닫아야 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즉각적인 대응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서작동방식의 경우에도 전술한 문제점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형상변형소재로 구성된 스토퍼를 이용하여 방화장치를 별도의 전자적 구동장치 없이 작동시키고자 한다.
둘째, 방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설치 및 관리를 간편히 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화재의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통로의 상부는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통로의 상측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수납부의 내부에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부; 일 단부가 탄성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탄성부가 일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타 단부가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방화부는 탄성부의 둘레에 권취되며, 권취된 내측 일 단부가 탄성부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탄성부는 토션바 스프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방화부는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스토퍼는 방화부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고,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의 통로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수납부의 내부에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 일 단부가 탄성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탄성부가 일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수납부의 외부로 배출되어 통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방화부는 탄성부의 둘레에 권취되며, 권취된 내측 일 단부가 탄성부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방화부는 판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방화부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탄성부 및 스토퍼는 방화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수납부 내부에 배치되며, 일 단부에 수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이탈방지부를 구비하고, 타 단부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무게추에 의해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스토퍼는 방화부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고,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일 측부가 구조물의 통로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부가 방화부에 배치되어 방화부가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힌지부; 방화부의 회동을 저지하고, 방화부가 가압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도록 방화부와 접하며, 구조물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스토퍼는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와 접하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방화부가 탄성힌지부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어 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있어서, 방화부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탄성힌지부 및 스토퍼는 방화부의 분할된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열감지 센서와 같은 전기적 장치가 없이 구성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용이해지고, 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전기적 장치의 고장, 오작동의 염려가 없이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화재 발생시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화재의 정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경우, 통로의 상부는 화염과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 탄성부(200), 방화부(300) 및 스토퍼(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00)는 건물, 지하철 역, 공항, 터널 등에 있는 복도, 계단 등 통로의 상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탄성부(200), 방화부(300) 등을 수용할 공간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200)는 수납부(100)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용수철, 토션바 스프링 등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토션바 스프링이란 비틀었을 때 강성(剛性)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려는 성질을 이용한 스프링 강재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200)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되어 가압상태에 있다. 방화부(300)가 탄성부(200)의 둘레에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토션바 스프링을 탄성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토션바 스프링은 비틀려서 가압된 상태로 수납부(1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부(300)는 그 일 단부가 탄성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수납부(10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화부(300)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 또는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화부(300)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 단부가 탄성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부(200)의 둘레에 권취되며, 타 단부는 탄성부(200)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수납부(100)의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화부(300)가 탄성부(200) 둘레에 권취되는 구조로 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셔터(shutter)구조라고도 불리우는,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slat, 310)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400)는 방화부(300)의 일측이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300)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 퍼(400)는 정해진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는 크게 형상기억소재와 형상소멸소재로 나눌 수 있는데, 형상기억소재로는 형상기억합금와 형상기억수지 등을, 형상소멸소재로는 온도감지용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기억소재란 전이온도 이하에서 변형하여도 전이온도 이상이 되면 변형 이전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는 소재를 의미하며, 수지나 합금 등 다양한 재료가 이러한 소재로 활용된다.
형상소멸소재란 연소되면 소실되는 소재를 의미하며, 온도감지용 수지는 열이 가해져서 특정한 녹는점에 도달하면 연소되면서 소실되는 수지를 의미한다.
이러한 형상변형소재의 성분을 조절하여 형상이 변형하는 전이온도(스토퍼가 형상소멸소재인 경우 녹는점, 이하 동일)를 설정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후 화염 및 연기를 차단하고 사람이 대피할 필요가 있어 방화장치를 작동시킬 필요가 있는 소정의 온도를 전이온도로 설정한다.
방화부(300)의 하방배출을 저지하기 위해 방화부(300)를 걸고 있던 스토퍼(400)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300)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400)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스토퍼(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일측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온에서는 ㄴ자 형태로 형성되어 방화부(300)의 일 단부가 걸려 있고, 소정의 온도에서는 점선과 같이 일(一)자 형태로 펴지면서 방화부(300)의 일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제작되었다. 다만, 본 발명의 스토퍼(400)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 로서 당해 실시형태와 같은 변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변형에 의하여 방화부(300)가 수납부(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다른 형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즉 건물, 지하철 역, 공항 등 건축구조물 또는 터널 등의 토목구조물 내부에 있는 복도, 계단 등의 통로 상측에 설치된다.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400)에 전달되고, 스토퍼(400)에 가해지는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스토퍼(400)는 그 형상이 도 1의 점선이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스토퍼(400)의 형상이 이와 같이 변형되면, 방화부(300)의 하방배출을 막고 있던 스토퍼(400)가 방화부(300)를 막지 못하게 되면서 스토퍼(400)는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된다.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400)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된다. 방화부(300)의 하방배출을 막고 있던 스토퍼(400)가 소실되었으므로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된다.
방화부(3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200)에 권취되어 가압받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즉 감겨있던 방화부(300)가 풀리면서 수납부(10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방화부는 통로를 막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수납부(100), 탄성부(200), 방화부(300) 및 복수 개의 스토퍼(400a, 400b, 40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실시예는 수납부(100), 탄성부(200), 방화부(300) 등 기본 구성요소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기본적인 작동원리도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서는 스토퍼(40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스토퍼(400a, 400b, 400c)가 방화부(300)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며, 스토퍼의 배치 높이가 높을수록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더 낮은 스토퍼가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스토퍼부터 아래방향으로 각각 400a, 400b, 400c라고 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를 각각 T400a, T400b, T400c라고 하면 설정온도가 T400a < T400b < T400c가 되도록 스토퍼를 배치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상부로 번지면서 확대되고, 공기보다 가벼운 유독가스와 같은 연기도 상부로 확산되며, 사람은 통로를 통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재 의 정도에 따라 방화부(300)가 통로를 상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막게 된다.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에 전달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최상측의 스토퍼(400a)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T400a)에 도달하면, 그 스토퍼(400a)는 그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되면서 방화부(300)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면 권취되어 있던 방화부(300)는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즉 감겨있던 것이 탄성부(200)에서 풀리면서 하측으로 하강하다가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에 걸려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 경우 방화부(300)가 통로의 상부를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의 온도가 T400b에 도달하면,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도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그러면 스토퍼(400b)에 걸려 있던 방화부(300)가 또다시 하측으로 하강하다가 최하측의 스토퍼(400c)에 걸려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 경우 방화부(300)는 통로의 하부를 제외한 상당부분을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보다 더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이 마련된다(도 2 참조).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최하측의 스토퍼(400c)의 온도가 T400c에 도달하면, 최하측의 스토퍼(400c)도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 게 되어 방화부(300)는 바닥까지 배출되면서 완전히 통로를 막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경우에도 비상시에 방화부(300)를 들어올려 탈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400)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토퍼(400)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될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화재의 정도에 따라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되어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면 화염 및 연기의 확산 방지와 인명 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 탄성부(200), 방화부(300) 및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00)는 건물, 지하철 역, 공항, 터널 등에 있는 복도, 계단 등 통로의 측면에 배치되며, 그 내부에 탄성부(200), 방화부(300) 등을 수용할 공간이 구비된다. 수납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측면에만 구비될 수도 있고, 대향되는 양측면에 모두 배치(미도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200)는 수납부(100)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용수철, 토션바 스프링 등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탄성부(200)는 탄성변형된 상태로 배치되어 가압상태에 있다.
방화부(300)가 탄성부(200)의 둘레에 권취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토션바 스프링을 탄성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토션바 스프링은 비틀려서 가압된 상태로 수납부(100)에 설치된다. 수납부(100)가 대향되는 양측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탄성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부(300)는 그 일 단부가 탄성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화부(300)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 또는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의 가로방향이란 통로의 일 측벽면에서 타 측벽면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板)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통로를 폐쇄할 수 있는 크기로 구비된다. 판(板) 형상의 방화부(300)는 그 일 단부가 탄성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단부가 탄성부(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탄성부(200)의 둘레에 권취되며, 타 단부는 탄성부(200)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방화부(300)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방화부(300)는 일반적으로 셔터(shutter)구조라고도 불리우는,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slat, 310)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수납부(100)가 대향되는 양측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방화부(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300)의 일측이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300)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00)의 소재 및 기술의 주요 특징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수납부(100)가 대향되는 양측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즉 건물, 지하철 역, 공항 등 건축구조물 또는 터널 등 토목구조물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400)에 전달되고, 스토퍼(400)에 가해지는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스토퍼(400)는 그 형상이 일(一)자 형태에서 ㄴ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스토퍼(400)의 형상이 이와 같이 변형되면, 스토퍼(400)는 방화부(300)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토퍼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될 것이다.
방화부가 제1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200)에 권취되어 가압받는 형태로 구비 되는 경우(미도시)에는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즉 감겨있던 방화부가 풀리면서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된다. 배출된 방화부는 통로를 막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의 대향되는 양측면에 모두 수납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 경우 기본구성요소, 작동원리는 상술한 일측면에 수납부를 구비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통로가 양측면에서 배출되는 방화부로 막아지는 형태로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 복수 개의 방화부(300a, 300b, 300c), 방화부(300a, 300b, 300c)에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탄성부(200a, 200b, 200c) 및 스토퍼(400a, 400b, 40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4 실시예는 수납부(100), 탄성부(200), 방화부(300) 등 기본 구성요소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고, 그 기본 작동원리도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제4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화부(300a, 300b, 300c)에 대응하여 탄성부(200a, 200b, 200c)가 구비된다. 스토퍼(400a, 400b, 400c) 역시 방화부에 대응하여 구비되어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며, 스토퍼의 배치 높이가 높을수록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더 낮은 스토퍼가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스토퍼부터 아래방향으로 각각 400a, 400b, 400c라고 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를 T400a, T400b, T400c라고 하면 설정온도가 T400a < T400b < T400c가 되도록 스토퍼를 배치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상부로 번지면서 확대되고, 공기보다 가벼운 유독가스와 같은 연기도 상부로 확산되며, 사람은 통로를 통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재의 정도에 따라 방화부(300)가 통로를 상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막게 된다.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에 전달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최상측의 스토퍼(400a)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T400a)에 도달하면, 그 스토퍼(400a)는 그 형상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一)자 형태에서 ㄴ자 형태로 변형되면서 방화부(300a)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면 최상측 스토퍼(400a)는 그에 대응되는 방화부(300a)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되고, 방화부(300a)는 건물 통로 등의 최상부를 막게 된다. 이 경우 방화부(300)가 통로의 상부를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의 온도가 T400b에 도달하면,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도 일(一)자 형태에서 ㄴ자 형 태로 변형하게 되면서 방화부(300b)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러면 중간의 스토퍼(400b)는 그에 대응하는 방화부(300b)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게 되고, 방화부(300b)는 건물통로의 상부와 중간부까지 막게 된다.
이 경우 방화부(300)는 통로의 하부를 제외한 상당부분을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보다 더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이 마련된다.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최하측의 스토퍼(400c)의 온도가 T400c에 도달하면, 최하측의 스토퍼(400c)도 일(一)자 형태에서 ㄴ자 형태로 변형되면서 방화부(300c)가 걸리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방화부(300)는 바닥까지 배출되어 완전히 통로를 막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토퍼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통로 가로방향으로 배출될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화재의 정도에 따라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되어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면 화염 및 연기의 확산 방지와 인명 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 이탈방지부(330)와 무게추(340)를 구비한 방화부(300) 및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00)는 건물, 지하철 역, 공항, 터널 등에 있는 복도, 계단 등 통로의 상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방화부(300) 등을 수용할 공간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부(300)는 수납부(100) 내부에 배치되며, 일 단부에 이탈방지부(330)를 구비하고, 타 단부에 무게추(340)를 구비한다. 방화부(300)는 화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난연성 또는 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330)는 방화부(300)의 일 단부에 돌출형성되어 있어, 무게추(340)가 구비된 방화부(300)의 타 단부가 수납부(100) 하방으로 배출되어도 이탈방지부(330)가 구비된 일 단부는 수납부(100)의 배출구 부분에 걸리어, 방화부(300)가 수납부(10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300)의 일 단부의 모서리에 수납부(100)의 배출구 폭의 길이보다 직경이 큰 구를 고정한 형태로 실시하고 있으나, 이탈방지부는 당해 실시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변형에 의하여 방화부(100)가 수납부(100)로부터 완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형태들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340)는 스토퍼(400)의 변형으로 방화부(300)가 걸리지 않게 된 후 방화부(300)의 일 단부가 수납부(100) 하방으로 배출될 때 그 일 단부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원활히 자유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5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300)의 일 단부에 막대 형태로 구비되어 있으나, 무게추는 당해 실시형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변형에 의하여 방화부(100)의 일 단부를 원활히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다른 형태들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방화부(300)는 일반적으로 셔터(shutter)구조라고도 불리우는,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slat, 310)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스토퍼(400)는 방화부(300)의 일측이 걸리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300)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400)의 소재 및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제5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즉 건물, 지하철 역, 공항 등 건축구조물 또는 터널 등 토목구조물 내부에 있는 복도, 계단 등의 통로 상측에 배치된다.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400)에 전달되고 스토퍼(4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스토퍼(400)는 그 형상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스토퍼(400)의 형상이 이와 같이 변형되면, 스토퍼(400)가 방화부(300)를 막지 못하게 되면서 스토퍼(400)는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 자 형태의 스토퍼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토퍼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하방으로 배출될 것이다.
방화부(300)는 무게추(340)의 무게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 때 방화부(3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부(330)가 수납부(100)의 배출구에 걸리게 되어 방화부(300)가 수납부(100)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수납부(100)의 하부로 하강한 방화부(300)는 구조물의 통로 계단 등을 막게 되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방화부(300)가 제1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200)에 권취되어 가압받는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즉 감겨있던 방화부(300)가 풀리면서 수납부(10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제5 실시예 역시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스토퍼(400a, 400b, 400c)가 방화부(300)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며, 스토퍼의 배치 높이가 높을수록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더 낮은 스토퍼가 배치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작동원리는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300), 탄성힌지부(500) 및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화부(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 통로의 일 측면에 탄성힌지부(500)에 의해 배치되며, 탄성힌지부(500)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 통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부가 구조물의 통로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부가 상기 방화부(300)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탄성힌지부(500)는 힌지축에 스프링 등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일반적인 여닫이형 창문, 문 등에 사용되는 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5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의 일측면과 방화부(300)에 90°를 이룬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로의 일측면과 방화부(300)에 180°를 이룬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탄성힌지부(500)를 적용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부(300)의 회동을 저지하고 방화부(300)가 가압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하도록 방화부(300)와 접하여 구조물 측면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스토퍼의 소재 및 작동원리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스토퍼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해 실시형태와 같은 변형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변형에 의하여 방화부(300)가 복도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는 다른 형태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구조물, 즉 건물, 지하철 역, 공항 등 건축구조물 또는 터널 등 토목구조물 내부의 통로에 설치된다.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400)에 전달되고, 스토퍼(400)의 온도가 상승하여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면 스토퍼(400)는 그 형상이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스토퍼(400)의 형상이 이와 같이 변형되면, 방화부(300)와 접하고 있던 스토퍼(400)가 방화부(300)와 접하지 않게 되면서 스토퍼(400)는 방화부(300)를 더 이상 벽면에 고정시킬 수 없게 된다. 그렇게 되면 탄성힌지부(500)에 의해 가압받던 방화부(300)는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통로를 폐쇄하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토퍼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통로를 폐쇄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진 방화부(300a, 300b, 300c), 방화부(300)의 분할된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탄성힌지부(500a, 500b, 500c) 및 스토퍼(400a, 400b, 40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7 실시예는 방화부, 탄성힌지부 등 기본 구성요소가 제6 실시예와 동일하 고, 그 기본적인 작동원리도 제6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제7 실시예는 스토퍼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방화부(300a, 300b, 300c)에 대응하여 탄성힌지부(500a, 500b, 500c) 및 스토퍼(400a, 400b, 400c)가 구비되어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며, 스토퍼의 배치 높이가 높을수록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더 낮은 스토퍼가 배치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배치된 스토퍼부터 아래방향으로 각각 400a, 400b, 400c라고 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를 T400a, T400b, T400c라고 하면 설정온도가 T400a < T400b < T400c가 되도록 스토퍼를 배치하는 것이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은 상부로 번지면서 확대되고, 공기보다 가벼운 유독가스와 같은 연기도 상부로 확산되며, 사람은 통로를 통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함으로써 화재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재의 정도에 따라 방화부(300)가 통로를 상부에서부터 단계적으로 막게 된다.
구조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기가 스토퍼에 전달되고,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가 가장 낮은 최상측의 스토퍼(400a)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T400a)에 도달하면 그 스토퍼(400a)는 그 형상이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그러면 최상측 스토퍼(400a)는 그에 대응하는 방화부(300a)의 회동을 저지하지 못하고, 방화부(300a)는 탄성힌지부(500a)에 의해 가압되어 회동된다. 그러면 방화부(300)는 통로의 상부를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된다.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의 온도가 T400b에 도달하면, 중간에 위치한 스토퍼(400b)도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그러면 중간의 스토퍼(400b)는 그와 대응하는 방화부(300b)의 회동을 저지하지 못하고, 방화부(300b)는 탄성힌지부(500b)에 의해 회동되어 건물 통로 등의 중간부까지 막게 된다.
이 경우 방화부(300)는 통로의 하부를 제외한 상당부분을 막게 되어 상부로 확산되는 화염과 연기를 보다 더 차단할 수 있게 되고, 방화부(300) 아래에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는 약간의 공간이 마련된다. 그 후 화재가 더 확대되어 온도가 올라가서 T400c에 도달하면 최하측의 스토퍼(400c)도 ㄴ자 형태에서 일(一)자 형태로 변형하게 된다.
최하측의 스토퍼(400c)는 그에 대응하는 방화부(300c)의 회동을 저지하지 못하고, 방화부(300c)가 탄성힌지부(500c)에 의해 회동하여 바닥까지 폐쇄하게 된다. 방화부(300a, 300b, 300c)가 완전히 통로를 막고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400)가 형상소멸소재, 즉 온도감지용 수지라면 ㄴ자 형태의 스토퍼가 녹는점에 이르게 되어 연소하다가 소실되므로, 이 경우에는 스 토퍼가 소실되면서 방화부(300)가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통로를 폐쇄할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화재의 정도에 따라 통로의 상부는 방화부를 설치되어 화재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되, 통로의 하부는 사람이 대피하기 위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면 화염 및 연기의 확산 방지와 인명 대피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셔터 구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 및 제7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납부
200 : 탄성부
300 : 방화부
330 : 이탈방지부
340 : 무게추
310 : 슬래트
400 : 스토퍼
500 : 탄성힌지부

Claims (20)

  1. 구조물 통로의 상측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탄성부;
    일 단부가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탄성부가 일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타 단부가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탄성부의 둘레에 권취되며, 권취된 내측 일 단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토션바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 용한 방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스토퍼는 방화부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고,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7. 구조물의 통로의 대향되는 양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내부에 가압된 상태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
    일 단부가 상기 탄성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탄성부가 일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수납부의 외부로 배출되어 통로 가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탄성부의 둘레에 권취되며, 권취된 내측 일 단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해 가압받도록 배치되어 통로의 가로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토션바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스토퍼는 방화부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4. 구조물의 통로 상측에 배치된 중공의 수납부;
    수납부 내부에 배치되며, 일 단부에 수납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된 이탈방지부를 구비하고, 타 단부에 무게추를 구비하여 무게추에 의해 수납부의 하방으로 배출되는 방화부; 및
    기 설정된 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형상변형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화부의 일측이 걸리도록 배치되어, 수납된 방화부의 하방배출을 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형상변형소재의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방화부가 걸리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수납된 방화부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양 단부가 상호체결되는 슬래트가 복수 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어 권취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스토퍼는 방화부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구조물 측면에 이격배치되고,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8. 통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방화부;
    일 측부가 구조물의 통로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타 측부가 상기 방화부에 배치되어 방화부가 통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힌지부;
    상기 방화부의 회동을 저지하고, 방화부가 가압된 상태로 벽면에 고정되도록 방화부와 접하며, 구조물 측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기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방화부와 접하지 않도록 스토퍼의 형상이 변형되어, 방화부가 탄성힌지부의 가압에 의해 회동되어 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부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힌지부 및 스토퍼는 방화부의 분할된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스토퍼의 형상변형을 위한 설정온도는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는 스토퍼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스토퍼의 설정온도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형상변형소재는 형상기억합금, 형상기억수지 또는 온도감지용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20090007669A 2009-01-30 2009-01-30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103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669A KR101034714B1 (ko) 2009-01-30 2009-01-30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669A KR101034714B1 (ko) 2009-01-30 2009-01-30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440A true KR20100088440A (ko) 2010-08-09
KR101034714B1 KR101034714B1 (ko) 2011-05-17

Family

ID=4275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669A KR101034714B1 (ko) 2009-01-30 2009-01-30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7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16Y1 (ko) *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JP2021036992A (ja) * 2019-08-31 2021-03-11 ホーチキ株式会社 トンネルの防災設備
KR2022015723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410B1 (ko) 2011-12-20 2013-12-13 방상윤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창문 자동개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991A (ja) * 1991-02-01 1994-03-15 Shimizu Corp 防火・防煙システム
JPH1189952A (ja) * 1997-09-24 1999-04-06 Bunka Shutter Co Ltd 防火スクリーン装置
JP3677615B2 (ja) * 1998-04-24 2005-08-03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防火シャッタ−
JP2005095198A (ja) * 2003-09-22 2005-04-14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防火カーテ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116Y1 (ko) *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JP2021036992A (ja) * 2019-08-31 2021-03-11 ホーチキ株式会社 トンネルの防災設備
KR2022015723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화재 진압 물류 시스템 및 물류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714B1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US8986088B2 (en) Negative-pressure smoke-guiding fireproof building structure
KR101755263B1 (ko) 고층 건축물 소방 화재 진압 장치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US20200254287A1 (en) Escape system
KR101034714B1 (ko) 형상변형소재를 이용한 방화장치
KR101615728B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KR100615031B1 (ko) 건축물 층간 화재 방지시설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082185B1 (ko) 고층건물의 화재시 대피장치
KR102008096B1 (ko) 건물외벽 화재확산 방지 장치 및 화재확산 방지 방법
KR102253040B1 (ko) 안전 대피 사다리 장치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JP2016014239A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CN113982439A (zh) 抗爆消防救援门
KR100791806B1 (ko) 화염확산 방지 방화판
KR102206633B1 (ko) 화재시 탈출 및 구조용 프로젝트 풀다운 캐시먼트 창호의 암플레이트
JP3643611B2 (ja) 耐火シート製巻取式可動たれ壁
JP2010242383A (ja) 開閉体装置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2639113B1 (ko) 화재 및 재난 피난장치
KR100613433B1 (ko) 수직수납된 낙하식 방화판
CN216690780U (zh) 消防排烟一体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