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50U -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 Google Patents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50U
KR20210002050U KR2020200002937U KR20200002937U KR20210002050U KR 20210002050 U KR20210002050 U KR 20210002050U KR 2020200002937 U KR2020200002937 U KR 2020200002937U KR 20200002937 U KR20200002937 U KR 20200002937U KR 20210002050 U KR20210002050 U KR 202100020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unit
doo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수
Original Assignee
김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2020200002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050U/ko
Publication of KR20210002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5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에 개구면이 형성되며 건물의 일측벽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개구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힌지 연결시키며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복귀력을 갖는 오토힌지;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매립되는 피난유도등;을 포함하는 방화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FIRE DOOR AND FIRE PARTI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공간을 구획함에 있어서 구조가 개선된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화재 발생시 화염, 유독가스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내부에 방화셔터와 같은 방화구획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화셔터는 화재 발생시 천장에 권취되어 있던 금속재 또는 방화직물이 하강하여 당해 공간을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방화장치이다.
화재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면, 구획된 공간을 사람이 이동할 수 있도록 비상구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 법제화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화셔터에는 비상구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74439호(발명의 명칭: 방화용 셔터장치)는 화재발생시 스토퍼(40)가 돌출되고, 프레임(15)과 도어(14)를 포함하는 비상문(10)이 스토퍼(40)에 의해 정위치하면, 셔터판(20)이 구동장치(31)에 의해 하강하여 방화구획을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일단, 프레임(10)과 도어(14)를 포함하는 비상문(10) 자체가 함께 이동되어 정위치해야 비로소 셔터판(20)이 하강하므로 신속한 방화 구획을 구현하기에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프레임(10) 자체가 이동되어야 하므로 도어(14)의 존재를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한 피난유도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방화도어는 유도등이 도어 외측으로 노출된 구조이므로 고온에 노출되는 유도등이 파손되어 사람들이 방화도어를 신속하게 찾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구획할 수 있으며, 일구역에서 타구역으로 화염이나 유독가스 등의 유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포함하면서 사람들이 신속하게 방화도어를 찾을 수 있도록 고온의 화재 환경 속에서도 내구성이 향상된 피난유도등을 포함할 수 있는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중앙에 개구면이 형성되며 건물의 일측벽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개구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힌지 연결시키며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복귀력을 갖는 오토힌지;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매립되는 피난유도등;을 포함하는 방화도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난유도등은 상기 체결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벽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AC)이 차단될 때 상기 피난유도등에 전원(D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연동제어기;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매립되어 상기 피난유도등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또는 상기 제어부의 보조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피난유도등에 공급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유도등이 수용된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피난유도등을 상기 체결홈 내부에 밀폐시키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체결홈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메인케이스;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피난유도등의 전면에 배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방화유리; 및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의 전면부와 볼트 체결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방화도어부와 방화셔터부가 컴비네이션으로 건물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의 환경에서도 전기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매립형 피난유도등 및/또는 방화유리을 포함하는 방화도어부를 포함하여 사람들이 화재현장에서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방화도어부의 측면과 건물 벽에 가이드레일을 두어 방화셔터가 승강되어 견고하게 건물 내부를 구획하므로, 화염, 유독가스 및 풍압 등에 대하여 우수한 방화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구획시스템의 모듈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구획시스템에 의해 건물내부가 구획된 것을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도 2에서 셔터커튼이 생략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의 일측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의 타측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에 매립된 피난유도등 및 수용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측 부분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하측 부분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고안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구획시스템의 모듈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구획시스템은 크게 방화도어부(100), 방화셔터부(200), 센서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화도어부(100)와 방화셔터부(200)는 상호 보완적으로 구동되어 건물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방화도어부(100)와 방화셔터부(200)는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센서부(300)는 온도센서 또는 연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을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400)에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 또는 연기센서는 건물의 일측면 또는 천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0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근접센서는 후술할 방화도어부(100)의 도어(13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후술할 방화셔터부(200)의 승강여부를 감지하여 후술할 제어부(4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후술할 방화도어부(100) 및/또는 방화셔터부(200)를 개별적, 종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센서부(300)에 의해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후술할 방화셔터부(200)를 하강시켜 건물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예를 들어, 건물의 벽에 연동제어기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AC)이 차단될 때 후술할 방화셔터부(200) 또는 피난유도등(150)에 전원(D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보조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의 상세한 제어 내용은 방화도어부(100) 또는 방화셔터부(200) 설명시 기술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구획시스템에 의해 건물내부가 구획된 것을 도시한 전면도, 도 3은 도 2에서 셔터커튼이 생략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의 일측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의 타측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도어부에 매립된 피난유도등 및 수용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용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방화셔터부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측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8의 하측 부분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화도어부(100)는 크게 도어프레임(110), 고정프레임(120), 도어(130), 오토힌지(140) 및 피난유도등(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용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10)은 중앙에 개구면이 형성되며 건물의 일측벽(w1)에 일측단이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건물의 일측벽에 고정프레임(12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110)에는 후술할 피난유도등(150)이 매립될 수 있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홈은 예를 들어,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상기 개구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후술할 방화셔터부(200)에 도어(130)가 불요하여 후술할 셔터커튼(240)의 방화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0)에는 손잡이(131)가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상기 도어(130)를 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30) 내부 및/또는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난연재가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도어(130)와 상기 도어프레임(110) 사이에는 제1 가스켓(111)이 배치되어 상기 도어(130)의 폐쇄시 화염 또는 유독가스의 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토힌지(140)는 상기 도어프레임(110)과 도어(130)를 힌지 연결시키는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상기 도어(130)가 열리더라도 강제적으로 닫혀야 함을 고려할 때,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복귀력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오토힌지(140)는 일단이 상기 도어프레임(1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도어(130)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화도어부(100)는 상기 도어프레임(110)에 매립되는 피난유도등(1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난유도등(150)은 스피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난유도등(150)의 고온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난유도등(150)은 상기 도어프레임(110) 내부에 매립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110)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난유도등(150)은 상기 체결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화재에 따른 연기가 가득찬 공간에서 사람들이 상기 피난유도등(150)을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피난유도등(150)은 상기 도어프레임(110)에 매립되어 상기 피난유도등(150)에 연결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피난유도등(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선(151)은 도어프레임(110) 내부에 매립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때문에, 고온의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상기 피난유도등(1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피난유도등(150)을 밝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선(151)은 외부로부터 전원(AC)을 공급받거나 또는 상술한 제어부(400)의 보조전원부로부터 전원(DC)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유도등(150)이 고온의 환경에서도 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도어프레임(110)은 상기 피난유도등(150)이 수용된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피난유도등(150)을 상기 체결홈 내부에 밀폐시키는 수용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유닛(160)은 메인케이스(161), 보조프레임(162), 방화유리(163) 및 체결프레임(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케이스(161)는 상기 체결홈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측면부(161a)와 상기 측면부(161a)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전면부(1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프레임(162)은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161) 내부에 수용된 상기 피난유도등(1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카 글라스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화유리(163)는 상기 보조프레임(16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케이스(16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프레임(164)은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161)의 전면부(161b)와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은 상기 수용유닛(160)으로써 상기 피난유도등(150)을 내부에 수용하여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피난유도등(150)은 고온에서도 안전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부(300)의 화재 감지로써 상기 피난유도등(150)은 자동적으로 켜지도록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력의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상기 도어(130)의 위치를 사람들에게 신속하게 알림으로써 효과적인 대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방화셔터부(200)는 상기 방화도어부(100)가 건물 내부 공간의 특정위치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방화도어부(100)의 타측단에서부터 건물의 타측벽(w2) 사이를 차폐하기 위해 천장에 승강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방화셔터부(200)는 상기 방화도어부(100)의 구동 이후에 구동되는 것이며, 상기 방화도어부(100)에 의해 후술할 셔터커튼(240)의 과도한 중첩 사용 및 비상구 형성이 불요하여 더욱 효과적인 방화 성능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화셔터부(200)는 하우징(210), 구동모터(220), 릴(230), 셔터커튼(240), 제1 가이드레일(250) 및 제2 가이드레일(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10)은 천장에 매립되어 배치되며 하측면에 슬릿(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20)는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정, 역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릴(230)은 상기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모터(220)와 풀리(231)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정, 역회전하여 후술할 셔터커튼(24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셔터커튼(240)은 상기 릴(230)에 권취되어 상기 슬릿(211)을 통해 승강될 수 있으며, 금속재 또는 방화직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셔터커튼(240)은 슬랫(SLAT)타입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은 스크린(SCREE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셔터커튼(240)의 자유단에는 ㄴ자 형상의 안치브라켓(241)이 배치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상기 셔터커튼(24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레일(250)은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셔터커튼(24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레일(260)은 건물의 타측벽(w2)에 고정되어 상기 셔터커튼(24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레일(250) 및 제2 가이드레일(260)에는 각각 방화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제2 가스켓(251, 261)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건물 구획시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셔터커튼(240)이 신속하게 상기 제1 가이드레일(250) 및 제2 가이드레일(260)을 따라 하강되어 화재에 의한 풍압에도 견고하게 건물을 구획할 수 있다.
상기 방화셔터부(200)는 자유단이 상기 셔터커튼(240)과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210)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3 가스켓(27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화염 또는 유독가스가 다른 구획으로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요컨대, 본 고안은 화재 발생시 방화도어부(100)와 방화셔터부(200)가 컴비네이션으로 건물 내부를 구획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의 환경에서도 전기적으로 점등될 수 있으며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매립형 피난유도등(150) 및/또는 방화유리(160)를 포함하는 방화도어부를 포함하여 사람들이 화재현장에서 신속하고 직관적으로 대피할 수 있다.
또한, 방화도어부(100)의 측면과 건물 벽에 제1 가이드레일(250) 및 제2 가이드레일(260)을 배치하여 셔터커튼(240)이 신속하게 승강되고 견고하게 건물 내부를 구획하므로, 화염, 유독가스 및 풍압 등에 대하여 우수한 방화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방화도어부 110: 도어프레임
111: 제1 가스켓 120: 고정프레임
130: 도어 131: 손잡이
140: 오토힌지 150: 피난유도등
151: 배선 160: 수용유닛
161: 메인케이스 162: 보조프레임
163: 방화유리 164: 체결프레임
200: 방화셔터부 210: 하우징
211: 슬릿 220: 구동모터
230: 릴 240: 셔터커튼
241: 안치브라켓 250: 제1 가이드레일
251: 제2 가스켓 260: 제2 가이드레일
261: 제2 가스켓 270: 제3 가스켓

Claims (5)

  1. 중앙에 개구면이 형성되며 건물의 일측벽에 일측단이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개구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힌지 연결시키며 상기 개구면을 폐쇄하도록 복귀력을 갖는 오토힌지;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매립되는 피난유도등;을 포함하는 방화도어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피난유도등은 상기 체결홈에 배치되는 방화도어부.
  3. 제2항에 있어서,
    건물의 벽에 배치되며 화재 발생시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AC)이 차단될 때 상기 피난유도등에 전원(D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 가능한 보조전원부를 포함하는 연동제어기; 및
    상기 도어프레임에 매립되어 상기 피난유도등에 연결됨으로써 외부 또는 상기 제어부의 보조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피난유도등에 공급하는 배선;
    을 더 포함하는 방화도어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유도등이 수용된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피난유도등을 상기 체결홈 내부에 밀폐시키는 수용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화도어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유닛은,
    상기 체결홈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일측에서 절곡되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면에 배치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메인케이스;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기 피난유도등의 전면에 배치되는 보조프레임;
    상기 보조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메인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는 방화유리; 및
    중앙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케이스의 전면부와 볼트 체결되는 체결프레임;을 포함하는 방화도어부.
KR2020200002937U 2020-03-05 2020-08-11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KR202100020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937U KR20210002050U (ko) 2020-03-05 2020-08-11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59 2020-03-05
KR2020200002937U KR20210002050U (ko) 2020-03-05 2020-08-11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59 Division 2020-03-05 2020-03-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50U true KR20210002050U (ko) 2021-09-15

Family

ID=7778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937U KR20210002050U (ko) 2020-03-05 2020-08-11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0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873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스마트 방화 매립 도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4873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대건에프앤씨 스마트 방화 매립 도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095B1 (ko) 방화구획시스템
US75064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moke and smothering a fire
JP3104011B2 (ja) 防火又は防煙防火シャッター
JP2018035560A (ja) シャッター装置の電源切替方法及びそのシャッター装置
KR20210002050U (ko)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CN109372401A (zh) 一种防火门结构
KR20200143118A (ko) 방화문 셔터
KR100621207B1 (ko) 방화셔터
US11573021B2 (en) Multi-component whole house fan system
KR102521344B1 (ko) 이중 밀폐방식 방화장치
KR100695878B1 (ko) 방화스크린장치
KR100676916B1 (ko) 발코니용 회전식 방화판
KR102155471B1 (ko) 방화구획시스템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0728799B1 (ko)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JP7360359B2 (ja) 防災設備制御システム
KR100820989B1 (ko) 방화도어 무빙프레임 시스템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556005B1 (ko) 공간차연시스템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212160B1 (ko) 선박용 화재 셔터
JP2016166516A (ja) シャッターの防火構造
KR20210128678A (ko) 방화기능이 향상된 방화셔터장치
JP2004315208A (ja) エレベータの防災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運行管理方法
KR101893348B1 (ko)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