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799B1 -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799B1
KR100728799B1 KR1020060120642A KR20060120642A KR100728799B1 KR 100728799 B1 KR100728799 B1 KR 100728799B1 KR 1020060120642 A KR1020060120642 A KR 1020060120642A KR 20060120642 A KR20060120642 A KR 20060120642A KR 100728799 B1 KR100728799 B1 KR 100728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eiling
smoke
open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성
Original Assignee
(주) 피앤에이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앤에이건설 filed Critical (주) 피앤에이건설
Priority to KR102006012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6Protection against smoke or toxic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는, 천정(150)의 바깥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는 본체(10); 천정(15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전자기력에 의한 on/off 방식으로 상기 본체(10)의 개폐 기능을 가지는 개폐 모듈(20); 상기 개폐 모듈(20)이 설치된 상기 본체(10)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회동을 이루는 힌지(40)와, 상기 힌지(40) 및 천정(150)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50)을 선단에 포함한 상태에서, 천정(150) 및 측벽(160)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70); 연기 감지 기능을 가지는 연기 감지모듈(110); 상기 연기 감지모듈(110)의 연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모듈(20)의 작동을 이루는 제어 모듈(100);로 이루어져, 화제 시에 상기 개폐 모듈(20)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20)가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하강 회동하여 수직 구조로 전환됨으로 제연 경계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경계벽 기능을 가지는 본체가 천정에 밀착 구성되어 수평 구조를 이루고 있어 실내 공간을 잠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뿐 아니라, 천정 구조에 따라 천정 내에 상당한 설치 공간이 확보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천장 외 측면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SYSTEM OF OPERATING HORIZONTAL PARTY WALL FOR SMOKE EXCLUSION}
도 1은 천정 내 설치되는 공지의 제연 스크린에 의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공지의 천정 고정 부착식 제연 경계벽에 대한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프레임이 하강속도 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본체의 평상 시 수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조에서 화제 시 본체가 수직 구조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과 주변 구성의 구체적인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의 제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70: 프레임
20: 개폐 모듈 80: 잠금 수단
30: 연결 블록 90: 하강속도 조절수단
35: 천정 구조물 100: 제어 모듈
40: 힌지 110: 연기 감지모듈
50: 고정 브라켓 150: 천정
60: 가스켓
본 발명은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천정 면의 하부에서 천정 연장 라인에 상응하게 수평식으로 설치되었다가 화재 시에 경계 벽 일 측을 중심으로 회동 하강하여 수직 벽체 구조를 형성함으로 천정 내의 구조를 변경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고정식 수직 벽체와 같이 실내 상부 공간을 잠식하지 않는 편리하고 안전한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발생하는 유해 연기는 고온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류 현상에 의하여 건물의 천장으로 먼저 이동하게 되며, 건물이 폐쇄 구조를 가지고 있어 연기가 외부로 방출하지 못하고 결국 건물의 천정을 따라 빠른 속도로 확산이 되는데, 이로 인하여 실제 화재 시에는 불길에 의한 화상 피해보다 유독 연기에 의한 질식에 의해 인명 피해가 압도적으로 많은 추세이다.
따라서 불이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벽과 구분되어 건물 내에서 제연(방연) 설비가 별도 구비되어 있다.
제연 설비는 천정 주변 내지 측벽에 설치되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하거나 확산을 일정 시간 방지하는 것으로서, 연기를 흡수 배출하는 제연 댐퍼 방식과 연기의 확산을 일정 시간 지연하는 제연 스크린 내지 고정 벽(경계벽)으로 구분이 된다.
특히, 제연 스크린 내지 제연 경계벽은 천정의 주변 내외에 설치되어 화재 시에 천정을 따라 연기가 빠른 속도로 확산되는 것을 일정 시간 지연시키는 기능을 하며, 물론 연기량이 많아 이러한 스크린 내지 경계벽을 넘어 확산하는 것까지는 막을 수는 없겠으나 실제 화재 시에 연기에 의하여 시야를 가리고 호흡 곤란을 야기하여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지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는 이러한 제연 경계벽의 기능이 상당히 효과가 있다는 것이 입증되어 현실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천정 내에 설치되는 공지의 제연 스크린에 의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공지의 제연 스크린(커튼)은 천정 내에 설치된 보빈에 와인딩(권취) 되어 있는 스크린(1)이 벨트(3) 및 풀리(2) 설치 방식에 의하여 리와인딩(권출) 됨으로 천정(4)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천정 내외로 상하 이동하 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스크린(1)에 의하여 연기가 천정(4)을 따라 확산되는 것을 일정 시간 지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연 스크린 구조는 작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천정(4) 내에 벨트(3), 풀리(2) 등과 같은 스크린 이동 수단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고, 특히 천정(4) 내의 공간에서 덕트 설비가 지나가는 등의 이유로 천정(4) 내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예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장소적인 제약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공지의 고정 부착식 제연 경계벽(5)에 대한 개략적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부착식 제연 경계벽(5)은 천정에서 일정 길이만큼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어 있는 플레이트가 천장에 고정 부착이 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착식 제연 경계벽(5)은 설치비용이 저렴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투명 강화 유리로도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여 시야를 가리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역할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정 부착식 제연 경계벽(5)은 항시 천장 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아무리 투명 유리로 제작이 되어 있다 할지라도 실내 공간을 불필요하게 잠식하는 영향을 미친다는 적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어 실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특히 도어가 형성되어 있는 공간 외에 중앙 위치의 실내 공간 주변에 설치되는 경우 보기 싫은 외관 때문에 실제 설치가 꺼려지고 있는 실정이라 현실적으로 설치 위치의 제약을 받는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 공간을 잠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천장 바깥 부위에 설치하여 제작비용의 절감을 가져 주고 작동이 용이한 새로운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천정의 바깥 면 하부에 수평 구조의 경계벽을 설치하여 실내 공간 잠식을 방지하고 천장 내 공간 확보를 위해 전면 시공을 할 필요성을 최소화하며, 화재 시에만 수평식 경계벽이 천정 하방으로 회동하여 천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수직 구조를 취할 수 있는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을 제공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시에만 경계벽이 작동되기 위해 자동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상의 안전성 및 편의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 경계벽이 수직 구조로 변환될 때 경계벽이 일정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하강 속도 조절 수단을 구비하고, 경계벽과 천정 사이의 틈으로 연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켓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경계벽이 수직 구조를 이루고 있을 때, 경계벽의 흔들림 방지를 위해 잠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는, 천정(150)의 바깥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는 본체(10); 천정(150)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10)의 일 측에 장착되어, 전자기력에 의한 on/off 방식으로 상기 본체(10)의 개폐 기능을 가지는 개폐 모듈(20); 상기 개폐 모듈(20)이 설치된 상기 본체(10)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회동을 이루는 힌지(40)와, 상기 힌지(40) 및 천정(150)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50)을 선단에 포함한 상태에서, 천정(150) 및 측벽(160)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70); 연기 감지 기능을 가지는 연기 감지모듈(110); 상기 연기 감지모듈(110)의 연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모듈(20)의 작동을 이루는 제어 모듈(100);로 이루어져, 화제 시에 상기 개폐 모듈(20)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20)가 상기 힌지(40)를 중심으로 하강 회동하여 수직 구조로 전환됨으로 제연 경계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 모듈(20)이 고정된 천정(150) 바깥 면의 내부에는, 천정(150) 내측 고정 구조물(35)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블록(30)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 모듈(20)의 일부를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모듈(100)의 전선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본체(10)와 상기 프레임(70)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는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을 추가 구비하되, 상기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은 상기 제어 모듈(1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 모듈(20)의 작동 시에 동시 작동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프레임(70)과 하강속도 조절수단(90)에 의해 연결된 본체(10)의 평상 시 수평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화제 시 본체(10)가 수직 구조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경계벽 작동 장치는 천정(150) 바깥 면의 하측에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본체(10), 평상 시에는 본체(10)를 천정(150)에 고정하고 있다가 화재 시 본체(10)와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개폐 모듈(20), 본체(10)가 설치된 천정(150) 주변 부위 및 측벽(기둥)(160)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70), 상기 본체(10)와 프레임(70)을 연결하여 본체(10)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하강속도 조절수단(90), 연기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모듈(110), 상기 연기 감지모듈(110)에 의한 연기 감지 신호에 따라 개폐 모듈(20)과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00)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는 불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단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것으로 제작될 수 있고, 더 나아가 강관을 소재로 외관 구성을 이루는 프레임을 제작하고 그 사이에 강판을 용접 가공하여 제작이 되는 것도 가능하며, 처짐 방지를 위하여 트러스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는 기본적으로 화재 시에 천정(150)을 타고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지연하는 블록킹(blocking)을 하는 경계벽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불길이 확산되어 본체(10)에 도달하였을 때 본체(10)의 연소로 인해 유독 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수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본체(10)는 천정(150)의 바깥 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평상시에는 천정(150)의 연장 라인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평행 수평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 측에서 개폐 모듈(20)과 고정 연결이 되어 있고, 타 측에는 본체(10)의 수직 구조 전환을 이루고자 하강 회동을 도모하는 힌지(40)가 장착되어 있다.
개폐 모듈(20)은 바람직하게는 전자석의 전자기력에 의하여 ON/OFF가 되는 전자석 개폐기인 것으로, 천정(150)의 바깥 면에 고정되어 있는 L 형 브라켓(21)을 통해 개폐 하우징이 L 형 브라켓(21)과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개폐 하우징은 본체(10)의 단부에 장착된 제 1 하우징(22)과 L형 브라켓(21)에 고정된 제 2 하우징(23)으로 이루어져 제 2하우징(23) 내에 전자석에 의하여 발생한 전자기력으로 제 1, 2 하우징(22,23)에 걸쳐 연장된 연결 축의 직선 운동, 개폐 내지 폐쇄 운동을 이루어 결국 본체(10)의 개폐를 이루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개폐 모듈(20)의 연결 축은 수직 방향은 물론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 져 중력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고, 전자기석의 구동은 후술할 제어 모듈(100)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하여 달성이 되며, 더불어 이러한 개폐 모듈(20)의 상세 구조는 공지된 전자기석 개폐기의 방식을 따르기 때문에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개폐 모듈(20)의 L 형 브라켓(21)은 일 측이 천정(150)에 고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L 형 브라켓(21)이 고정된 천정(150) 부위의 내부 공간에는 개폐 모듈(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31)을 내부 수용함과 동시에 개폐 모듈(20)의 지지력을 강화하기 위해 천정 내측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고정 구조물(35)에서 수직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 블록(30)을 별도로 구비하여 본체(10)가 보다 천정(150)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블록(30)은 개폐 모듈(20), 더 나아가 본체(10)의 수평 구조 유지를 위한 고정 지지력 강화를 이루는 것뿐 아니라 제어 모듈(100)과 개폐 모듈(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즉 전선(31)이 지나가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병행한다.
본체(10)에서 개폐 모듈(20)이 결합된 대향 측단에 형성된 힌지(40)는 본체(10)의 하강에 필요한 회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 측은 본체(10)와 연결이 되어 있고 타 측은 고정 브라켓(5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50)은 마치 숫자 '7'내지 'ㄱ' 자와 비슷한 형상을 가져, 힌지(40)를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가짐과 동시에 프레임(7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나아가서는 고정 브라켓(50)은 프레임(70)에 장착되어 프레 임(70)의 일 구성, 즉 선단 구성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브라켓(50)은 천정(150)과의 사이에 코킹(51)을 구비하여 천정(150)과 고정 연결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코킹(51)은 고정 브라켓(50)과 천정(150)의 부착을 위한 용도 뿐 아니라 고정 브라켓(50)과 천정(150) 사이의 공간을 막아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본 발명에 다른 프레임(70)은 철재와 같은 강성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10) 및 고정 브라켓(50)과 같은 여러 구성요소의 전체 하중을 유지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천정(150)의 일 측 및 측벽(기둥)(160)에 견고히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3개의 연장 라인을 가지는'ㄷ' 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ㄷ 자 형상 중에서 하나의 연장 라인은 천장(150)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 두 개의 연장 라인은 측벽(기둥)(160)에 부착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프레임(70)은 선단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50)에 의하여 천정(150) 및 측벽(기둥)(160)에 부착이 되어 있는 것이고, 이 외에 하측 부에는 잠금 수단(80)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 수단(80)은 내화성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반적으로 철재로 이루어진 본체(10)가 화재 시 수직 구조를 이루어 프레임(70)이 본체(10)의 측부와 접촉을 이룰 때 본체(10)와 프레임(70) 접촉 부위에서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화재 시 풍압에 의하여 수직 구조로 이루어진 본체(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성을 통해 본체(10)와 결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잠금 수단(80)은 프레임(70)의 본체 대향 면 내지 측면 중 어느 한 곳에 부착될 수가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부착될 경우 본체와의 접촉을 위해 입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힌지(40)의 회동으로 본체(10)가 수직 구조를 이루어 본체(10)의 상부가 프레임(70)의 일면과 근접 접촉을 할 때, 그 사이로 연기가 새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70)의 일 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프레임(7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브라켓(50)의 일 측(바람직하게는, 절곡부 사이 부위)에는 가스켓(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브라켓(50)과 이에 연결된 주변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50)은 본체(10)가 수직 구조를 이룰 때 본체(10)의 상부 모서리부가 고정 브라켓(50)의 일 측과 부딪힘이 없이 원활하게 고정 브라켓(50) 주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절곡 부위의 내측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 사이로 연기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50)의 절곡부위 내측 공간의 내측 단에는 가스켓(60)이 형성되어 수직 구조의 본체(10)와 프레임(70) 사이의 공간을 차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스켓(60)은 풍압 저항성을 가지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거지거나 이와 동시에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고정 브라켓(50)에서의 부착 부위에 적정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 브라켓(5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은 본체(10)와 프레임(70)을 연결하는 바(bar) 형태의 경사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화재 시 개폐 모듈(20)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10)가 하강하여 수직 구조를 이룰 때 갑작스럽게 본체(10)가 하강함으로 그 가속도에 의하여 본체(10) 내지 프레임(70)에 충격이나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10)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진 것이다.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은 수축과 팽창을 하는 직선 왕복 운동 타입의 기계적 동력 구현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장착의 편의성 및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해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타 다양한 기계적 요소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이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스테인레스 스틸 튜브 방식으로 이루어져 공기 압축에 의하여 피스톤 로드(91)의 압축 작용에 따라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보다 서서히 본체(10)가 하강하도록 하여 본체(10)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고, 이러한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의 구동은 제어 모듈(1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 및 조절이 가능하다.
하강속도 조절수단(90) 중 공압식 실린더는 전자석을 기본적으로 구비하여 러버 쿠션 방식 내지 에어쿠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10)의 일 측에서 프레임(70)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가 피스톤 로드(91)의 압축으로 인하여 그 길이가 줄어드는 방식으로 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본체(10)의 하강을 유도한다.
또한 이러한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은 본체(10)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본체(10)의 상부 일 측 모서리에서 하부 타 측 모서리 측의 프 레임(70)까지 대각선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기 감지모듈(110)은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로 이루어져 전원공급을 통해 연기의 발생 여부를 항시 감지하는 역할을 가지는 것으로서, 연기 감지에 따른 신호를 제어 모듈(100)에 전달을 하여 제어 모듈(100)의 후속 기능을 이루도록 하는 시발점이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100)의 제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다른 제어 모듈(100)은 상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상시 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으로 제어시킴으로 개폐 모듈(20)과 하강속도 조절모듈(90)의 구동을 on/off 내지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며, 니켈-카드뮴 배터리를 구비하여 정전 시에는 이러한 배터리가 예비 전원의 역할을 함으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충전 방식 및 전환 접속 방식은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화재 시 신속한 처리 및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 모듈의 전원 처리 방식은 상시 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만 충전이 되고 충전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되면 예비 전원이 방전되는 방식을 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기 감지모듈(110)에 의하여 제어 모듈(110)의 작동이 시작되는 바, 먼저 개폐 모듈(20)의 on 상태를 이루어 개폐 모듈(20)의 작동에 의하여 본체(10)를 하강하도록 하고 본체(10)의 하강 시에 하강속도 조절수단(90), 바 람직하게는 공압식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91)의 일정 속도에 따른 수축 작용을 이루도록 전류 제어를 하여 본체의 급격 하강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구성을 통하여, 수평식 본체가 수직 구조로 전환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재 시 연기가 발생하면 연기 감지모듈(110)에 의하여 포착된 연기 감지신호가 제어 모듈(100)에 전달이 되고, 제어 모듈(100)은 개폐 모듈(20)의 작동 신호를 개폐 모듈(20)에 전달하여 개폐 모듈(20)의 작동을 통해 수평 구조를 이루고 있던 본체(10)가 개폐 모듈(20)과 분리되어 힌지(40)를 중심으로 하강 회동을 한다.
이 때, 실린더와 같은 하강속도 조절수단(90)에 의하여 본체(10)는 너무 급격히 하강하지 않게 되고 피스톤 로드의 일정 시간에 걸친 충분한 수축 작용에 의하여 본체(10)는 수직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체(10)가 수직 구조를 이룰 경우, 본체(10)의 프레임(70) 측 상부 모서리는 프레임(70)의 일 측, 즉 고정 브라켓(50)의 일 측에 맞닿게 되는데 본체(10)의 원활한 회동을 위해 고정 브라켓(50)은 ㄱ 자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져 절곡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절곡 부위 내측에 구비된 가스켓(60)을 통해 본체(10)와 고정 브라켓(50) 사이의 틈이 차단되어 연기가 이 사이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하 측부는 프레임(70)의 다른 부위와 역시 접촉을 하게 되는데, 프레임(70)의 하 측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 수단(80)의 자성을 통해 본체(10)와 프레임(70)은 서로 결합 관계를 이루어 틈새 형성을 방지하고 본체(10)가 풍압 에 의하여 흔들리는 현상을 차단할 수가 있다.
만일, 화제가 진압되었을 경우에는 하강속도 조절수단(90)의 역 구동을 통하여 수직 구조의 본체(10)를 다시 수평 구조로 위치하게 한 다음, 개폐 모듈(20)에 의해 다시금 본체(10)가 고정 지지하게 하여 본체(10)가 고정식 수평 구조로 환원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에 의하면,
1) 평상시에는 경계벽 기능을 가지는 본체가 천정에 밀착 구성되어 수평 구조를 이루고 있어 실내 공간을 잠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뿐 아니라, 천정 구조에 따라 천정 내에 상당한 설치 공간이 확보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천장 외 측면에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2) 본체의 수평 및 수직 구조의 전환이 편리함과 동시에 전환 중 중력에 의 한 갑작스러운 본체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3) 본체와 프레임 사이에 행여 발생될 수 있는 틈새를 상하 이중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인해 안전한 연기 차단 구조를 이룰 수가 있고,
4) 천정 내에 최소의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한 연결 블록으로 인하여 본체의 지지 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로서,
    천정의 바깥 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장착되어 있는 본체;
    천정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의 일 측에 장착되어, 전자기력에 의한 on/off 방식으로 상기 본체의 개폐 기능을 가지는 개폐 모듈;
    상기 개폐 모듈이 설치된 상기 본체의 대향 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회동을 이루는 힌지와, 상기 힌지 및 천정과 연결되어 있는 고정 브라켓을 선단에 포함한 상태에서, 천정 및 측벽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
    연기 감지 기능을 가지는 연기 감지모듈;
    상기 연기 감지 모듈의 연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 모듈의 작동을 이루는 제어 모듈;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본체가 수직 구조를 이룰 때 본체와 접촉하는 주변 부위에 형성된 가스켓;으로 이루어져,
    화제 시에 상기 개폐 모듈의 작동으로 상기 본체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하강 회동하여 수직 구조로 전환됨으로 제연 경계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3개의 연장 라인을 가지는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연장 라인은 상기 본체 주변의 천정 바깥 면에 부착되어 있고, 절곡된 다른 2개의 연장 라인은 측벽 상측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모듈이 고정된 천정 바깥 면의 내부에는, 천정 내측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블록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 모듈의 일부를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 모듈의 전선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는 하강속도 조절수단을 추가 구비하되, 상기 하강속도 조절수단은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를 통해 상기 개폐 모듈의 작동 시에 동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속도 조절수단은, 전자석과 피스톤 로드를 구비한 공압식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측 부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가 수직 구조를 이룰 경우 상기 본체의 일 측과 자력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7. 삭제
KR1020060120642A 2006-12-01 2006-12-01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100728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42A KR100728799B1 (ko) 2006-12-01 2006-12-01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642A KR100728799B1 (ko) 2006-12-01 2006-12-01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799B1 true KR100728799B1 (ko) 2007-06-14

Family

ID=3835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642A KR100728799B1 (ko) 2006-12-01 2006-12-01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7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079B1 (ko) * 2019-08-13 2019-12-20 이원강 환기 및 소방 겸용 댐퍼를 갖는 제연설비
KR102419210B1 (ko) 2021-11-29 2022-07-08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419211B1 (ko) 2021-11-29 2022-07-08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409A (ja) * 2000-12-12 2002-06-25 Unitika Glass Fiber Co Ltd ベランダ用遮煙装置及びこの遮煙装置を備えたベランダ
KR200363637Y1 (ko) * 2004-07-19 2004-10-02 이재우 화염전달 방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409A (ja) * 2000-12-12 2002-06-25 Unitika Glass Fiber Co Ltd ベランダ用遮煙装置及びこの遮煙装置を備えたベランダ
KR200363637Y1 (ko) * 2004-07-19 2004-10-02 이재우 화염전달 방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079B1 (ko) * 2019-08-13 2019-12-20 이원강 환기 및 소방 겸용 댐퍼를 갖는 제연설비
KR102419210B1 (ko) 2021-11-29 2022-07-08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KR102419211B1 (ko) 2021-11-29 2022-07-08 주식회사지티엘이엔지 안전형 소방용 제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7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openings in response to smoke, noxious fumes, or contaminated air using a roll-down barrier
KR100728799B1 (ko)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200445006Y1 (ko)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100844525B1 (ko) 방화 방연 스크린 셔터
CN110601038A (zh) 一种防火电控柜
KR101361449B1 (ko)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된 배기팬
KR20070071802A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방화판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1331033B1 (ko) 과압배출장치
WO2007078022A1 (en) Slide type flame spread protecting fireproof plate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101233425B1 (ko) 터널용 연기 확산 지연 장치 및 시스템
CN210292201U (zh) 一种防火排烟系统
CN102186540A (zh) 挡烟屏装置
KR200402137Y1 (ko) 방화셔터 비상구용 브래킷
RU2351378C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ый занавес
KR20210002050U (ko) 방화도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구획시스템
RU175287U1 (ru) Прегра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огня и дыма
CN212773292U (zh) 一种防水卷材环保烟道防火机构
KR200480677Y1 (ko) 욕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JP2004173877A (ja) 排煙口のシール構造
JP3491594B2 (ja) ダンパ機能付き屋外フード
CN114377316B (zh) 一种智慧建筑用的监测装置
KR960004233Y1 (ko) 건물 방화용 루우버 보드(Louver Board) 개폐장치
JP3067393U (ja) 防火防煙シャッ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