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997B1 -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997B1
KR101975997B1 KR1020180091085A KR20180091085A KR101975997B1 KR 101975997 B1 KR101975997 B1 KR 101975997B1 KR 1020180091085 A KR1020180091085 A KR 1020180091085A KR 20180091085 A KR20180091085 A KR 20180091085A KR 101975997 B1 KR101975997 B1 KR 101975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gap
blocking member
clamp
cl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규
김동균
유정훈
임정호
노홍제
최종무
조문석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8009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재 발생시 화염은 물론, 각종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관중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공연장(1)의 내부 일측으로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2)와 객석(3) 사이에 화재 발생시 승강수단(30)의 구동으로 방화막(10)의 양쪽에 부착된 측면레일(11)이 가이드레일(20)의 안내로 승강 작동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부(41)를 갖는 클램프(40)와,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측면레일(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와, 상기 방화막(10)의 하단부 저면에는 무대(2)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가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지는 끼움부(51)와, 측면레일(11)이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통형의 탄력지지부(52)와, 측면레일(11)의 내측단부에 접촉되는 날개부(53)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Ω"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며, 방화막(10)에 고정클립(7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의 내부에는 탄성력과 밀착력을 갖도록 탄성부재(80)가 더 끼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Smoke cut-off device of stage fire barrier}
본 발명은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재 발생시 화염은 물론, 각종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관중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오페라 같은 예술이 공연되는 공연장은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을 관람하기 위하여 관객이 착석하는 객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대와 객석의 사이에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에 맞는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들이 위치하는 연주석이 마련되기도 한다.
무대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되고, 조명기구는 통상적으로 공중에 매달아 배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주로 천정에 매달려 고정되는 플라이덕트라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처럼 무대의 천장에는 수많은 조명기구가 구비됨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연중에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무대의 전면에서 방화막이 낙하하여 무대의 화재가 객석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공연장에 설치되는 방화막은 최소 7m 이상으로 방화막의 양쪽에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가이드 레일의 안내로 방화막이 상하 이동을 하는 동안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2015-0086966호 (2015년07월29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 특허공보 제10-1792812호 (2017년11월02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58484호(2011년08월16일 등록)
종래, 방화막은 화염이 신속하게 객석으로 이동되는 것은 어느정도 차단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이드 레일과 방화막 사이에, 그리고 방화막의 하단부와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화재시 발생되는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연기는 미세한 틈새를 통해 객석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탈출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많은 관중들이 코나 입을 통해 일부라도 연기를 흡입하게 되면 건강을 해칠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생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막의 양쪽 측면부를 포함한 하단부 위치로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차단하여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틈새차단부재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화막의 승강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여 상품성이 우수하고, 공연 시설의 각종 안전 규정에도 적합하도록 한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공연장(1)의 내부 일측으로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2)와 객석(3) 사이에 화재 발생시 승강수단(30)의 구동으로 방화막(10)의 양쪽에 부착된 측면레일(11)이 가이드레일(20)의 안내로 승강 작동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부(41)를 갖는 클램프(40)와,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측면레일(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와,
상기 방화막(10)의 하단부 저면에는 무대(2)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가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지는 끼움부(51)와, 측면레일(11)이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통형의 탄력지지부(52)와, 측면레일(11)의 내측단부에 접촉되는 날개부(53)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Ω"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며, 방화막(10)에 고정클립(7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의 내부에는 탄성력과 밀착력을 갖도록 탄성부재(80)가 더 끼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탄성부재(8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탄성부재(80)는 하우징(81) 내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방화막의 양쪽 측면부를 포함한 하단부 위치로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완전하게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틈새차단부재의 설치 및 교체가 매우 용이하다.
또, 방화막의 승강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발생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연 시설의 각종 안전 규정에도 적합하게 되며, 틈새차단부재의 유지 보수도 용이하여 제품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공연장의 무대와 객석 사이에 방화막이 하강된 상태를 보인 장치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부 틈새차단부재와 클램프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C" 부분 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측면부 틈새차단부재가 조립되기 전 자연상태의 형상을 보인 실시예.
도 7은 도 2의 B-B선 단면도로 하단부 틈새차단부재가 변형되기 직전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하단부 틈새차단부재가 바닥패널에 접촉되어 형태 변형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하단부 틈새차단부재의 설치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코일 스프링구조의 탄성부재가 하단부 틈새차단부재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판스프링구조의 탄성부재가 하단부 틈새차단부재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일부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로 완성된 공연장(1)의 내부 일측(도 1에서 우측)으로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2)가 마련되고, 이 무대(2)를 관람하기 위해 타측(도 1에서 좌측)에는 객석(3)이 마련된다.
그리고, 무대(2)에서 조명장치 및 각종 전기로 작동되는 장비에 의해 화재가 발생될 경우 그 화염이 객석(3)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금속재 또는 불연재질로 된 일정두께의 패널 구조의 방화막(10)이 승강수단(30)의 구동으로 하강되어 관람객들이 위치된 객석(3)을 보호하게 된다.
방화막(10)의 양쪽면에는 수직하게 측면레일(11)이 고정 부착되어, 가이드레일(20)의 안내로 승강 작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수단(30)은 방화막(10)이 무대(2)와 객석(3) 사이에서 상하 출몰되도록 승,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방화막(10)에 연결되는 와이어(31)를 모터(32)로 구동되는 드럼(33)에 풀리거나 감기는 윈치작동에 의해 방화막(10)이 승강 작동되는데, 이는 통상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부(41)를 갖는 클램프(40)가 고정 설치되고, 이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40)는 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가이드레일(20)에 용접 또는 프레스에 의해 가압되어 견고하게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이 클램프(40)에 일체로 절곡 성형된 홀더부(41) 위치로 끼움부(51)를 강제로 끼워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의 이탈은 방지된 상태로 정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복되는 사용으로 마모가 발생되어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를 교체할 때 클램프(40)의 홀더부(41)로부터 끼움부(51)를 빼내고 새로운 제품을 다시 끼워 쉽게 교체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의 끼움 방향과 방화막(10)의 상하 슬라이드 방향이 서로 직각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사용중 이탈 염려는 없게 된다.
이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측면레일(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측면레일(11)과 가이드레일(20) 사이에 형성되는 모든 틈새를 차단하게 된다.
가이드레일(20)의 내측에는 레일브라켓(2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방화막(10)에 의해 화재시 화염이 객석(3)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은 물론,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에 의해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연기가 이동되어 대피중인 관람객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를 미연에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화염과 연기의 이동이 차단되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게 된다.
한편, 상기 방화막(10)의 하단부 저면에도 무대(2)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를 더 설치하여 방화막(10)의 둘레 모든 위치에서 화염과 함께 연기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일정두깨의 시트형상으로 불연재인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재봉과 절첩 방법으로 도 6a 및 도 6b과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져 위치 고정되는 끼움부(51)와, 측면레일(11)이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통형의 탄력지지부(52)와, 측면레일(11)의 내측단부에 접촉되는 날개부(53)를 갖도록 접어서 구성된다.
이때,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도면에서와 같이 2개의 그라스 화이바재 시트를 이용해 원하는 형상으로 절첩한 후, 길이 방향을 따라 1개소 또는 2개소 재봉라인(55)을 형성하여 완성하게 된다.
따라서, 측면레일(11)과 가이드레일(20) 사이의 틈새를 전방측에서는 탄력지지부(52)가 위치되고, 후방측에는 날개부(53)가 각각 위치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완전하게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2개의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Ω" 형상으로 절곡 성형된다.(도 7 내지 도 9)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방화막(10)의 하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클립(70)을 고정구멍(15)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므로, 반복되는 사용으로 마모가 발생되어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를 교체할 때 고정클립(70)을 방화막(10)과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의 고정구멍(15)으로부터 빼내고 새로운 제품을 위치시킨 후 다시 고정클립(70)을 끼워 쉽게 교체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고정클립(70)은 탄성 와이어가 "Ω"형으로 절곡된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품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의 내부에도 탄성력과 밀착력을 갖도록 탄성부재(80)가 더 끼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탄성부재(80)들은 길이 방향으로는 탄성력이 거의 필요 없으면서 원둘레의 방사상 방향으로만 탄력이 작용되면 탄성 변형된 후 복귀되려는 탄성 성질을 갖도록 성형된 것을 사용하게 된다.
탄성부재(80)로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정면에서 볼 때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된 것을 선택할 수 있다.(도 7, 도 8, 도 10)
또, 탄성부재(80)로는 하우징(81) 내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판스프링구조를 선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승강수단(30)의 구동으로 방화막(10)이 하단부로 낙하되면서 바닥면에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가 접촉되는 순간 형태가 변형되면서 틈새를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고, 상기 탄성부재(80)에 의해 밀착력이 가해지게 된다.(도 8)
그리고, 방화막(10)이 상승되면 탄성부재(80)의 탄성력으로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도 7에서와 같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된다.
이러한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방화막(10)의 하단부에 1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9에서와 같이 2개 이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를 설치하게 되면, 틈새차단 효과를 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예술 공연이 이루어지는 무대의 방화막 기술에 적용된다. 특히, 방화막의 주변에 가스켓을 설치하여 화염과 아울러 유독가스를 포함하고 있는 연기의 이동을 완전하게 차단시킬 수 있어 객석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방화장치에 적용된다.
1 - 공연장 2 - 무대
3 - 객석 10 - 방화막
11 - 측면레일 20 - 가이드레일
30 - 승강수단 40 - 클램프
41 - 홀더부 50 - 측면부 틈새차단부재
51 - 끼움부 52 - 탄력지지부
53 - 날개부 60 - 하단부 틈새차단부재
70 - 고정클립 80 - 탄성부재

Claims (8)

  1. 공연장(1)의 내부 일측으로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2)와 객석(3) 사이에 화재 발생시 승강수단(30)의 구동으로 방화막(10)의 양쪽에 부착된 측면레일(11)이 가이드레일(20)의 안내로 승강 작동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홀더부(41)를 갖는 클램프(40)와,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 고정되며 상기 측면레일(11)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와,
    상기 방화막(10)의 하단부 저면에는 무대(2)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틈새를 차단하는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가 설치되어 구성되되,
    상기 측면부 틈새차단부재(5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상기 클램프(40)의 홀더부(41)에 끼워지는 끼움부(51)와, 측면레일(11)이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원통형의 탄력지지부(52)와, 측면레일(11)의 내측단부에 접촉되는 날개부(53)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시트형상의 그라스 화이바 재질로 "Ω" 형상으로 절곡 성형되며, 방화막(10)에 고정클립(70)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의 내부에는 탄성력과 밀착력을 갖도록 탄성부재(80)가 더 끼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 틈새차단부재(60)는 방화막(10)의 하단부에 2개 이상으로 나란하게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0)는 하우징(81) 내부에서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KR1020180091085A 2018-08-06 2018-08-06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KR10197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85A KR101975997B1 (ko) 2018-08-06 2018-08-06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1085A KR101975997B1 (ko) 2018-08-06 2018-08-06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997B1 true KR101975997B1 (ko) 2019-05-07

Family

ID=66656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085A KR101975997B1 (ko) 2018-08-06 2018-08-06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99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93U (ja) * 1999-09-14 2000-03-31 ニチアス株式会社 防火防煙シャッタ―
JP2001204834A (ja) * 2000-01-27 2001-07-31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区画用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4108018A (ja) * 2002-09-19 2004-04-08 Taiyo Kogyo Corp 防火または防煙用シャッター
KR101058484B1 (ko) 2010-11-10 2011-08-24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6966A (ko) 2014-01-21 2015-07-29 대지금속 주식회사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170044266A (ko) * 2015-10-14 2017-04-25 제이엠스테이지(주) 공연장 방화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393U (ja) * 1999-09-14 2000-03-31 ニチアス株式会社 防火防煙シャッタ―
JP2001204834A (ja) * 2000-01-27 2001-07-31 Unitika Glass Fiber Co Ltd 防火区画用耐火スクリーン装置
JP2004108018A (ja) * 2002-09-19 2004-04-08 Taiyo Kogyo Corp 防火または防煙用シャッター
KR101058484B1 (ko) 2010-11-10 2011-08-24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6966A (ko) 2014-01-21 2015-07-29 대지금속 주식회사 곡선형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20170044266A (ko) * 2015-10-14 2017-04-25 제이엠스테이지(주) 공연장 방화막장치
KR101792812B1 (ko) 2015-10-14 2017-11-02 제이엠스테이지(주) 공연장 방화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436B1 (ko)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KR101058484B1 (ko)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75997B1 (ko)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EP3293442A1 (en) Light panel retro-fit kits
KR102240288B1 (ko) 천장등 고정장치
KR20210076184A (ko) 개장 led 조명 패널
JPH07509549A (ja) 排ガス吸引ホースに関連する装置
JPH10185233A (ja) 空気調和機の空気吸い込み口装置
KR101792812B1 (ko) 공연장 방화막장치
KR101455363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20160110851A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20190085326A (ko) 엣지형led조명등
KR100621207B1 (ko) 방화셔터
KR100728799B1 (ko) 수평식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JP3195349U (ja) 防煙防火カーテン装置
KR101769732B1 (ko) 엘리베이터의 손끼임 방지용 안전장치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451991B1 (ko) 안전 방화 셔터
JP2007250256A (ja) 照明装置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JP3810166B2 (ja) 可動式たれ壁
KR100776354B1 (ko) 화장 프레임
KR20200089457A (ko) 커텐식 화재대피공간 제공장치
JPH10165530A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2463381B1 (ko) 에어스크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