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484B1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58484B1 KR101058484B1 KR1020100111788A KR20100111788A KR101058484B1 KR 101058484 B1 KR101058484 B1 KR 101058484B1 KR 1020100111788 A KR1020100111788 A KR 1020100111788A KR 20100111788 A KR20100111788 A KR 20100111788A KR 101058484 B1 KR101058484 B1 KR 101058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stage
- fire protection
- protection film
- fil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무대 방화장치는: 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화막과, 방화막이 무대의 전면에서 출몰되도록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구동부에 의해 방화막의 승하강시 직선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 및 방화막의 하강시 바닥면과의 충격을 완화하고, 밀폐되게 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 시 방화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켜 무대와 객석을 차단하여 화재가 객석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는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오페라 같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공연되는 공연장은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을 관람하기 위하여 관객이 착석하는 객석으로 이루어지며, 무대와 객석의 사이에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에 맞는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들이 위치하는 연주석이 마련된다.
무대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되고, 조명기구는 통상적으로 공중에 매달아 배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주로 천정에 매달려 고정되는 플라이덕트라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처럼 무대의 천장에는 수많은 조명기구가 구비됨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무대의 전면에서 방화막이 낙하하여 무대의 화재가 객석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종래의 방화막에 의하면, 무대의 상측에 방화막이 구비되고, 방화막을 와이어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와어어부재 중 가연성부분이 화재에 의해 끊어지면 방화막이 자중에 의해 무대의 전측을 차단하여 화재가 객석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 의하면, 화재시에 정확하게 작동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소방훈련 시 와이어부재를 끊어 작동여부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작동된 방화막을 재설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방화막의 급격한 하강에 의해 방화막 하단에 위치한 사람이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재발생 시 방화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하며, 방화막의 승하강시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고, 방화막의 하강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는: 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화막과, 방화막이 무대의 전면에서 출몰되도록 방화막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구동부에 의해 방화막이 승하강 될 때, 방화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 및 방화막과 바닥면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고, 상호 밀폐되게 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화막은 무대의 전면을 차단하는 커튼부재와, 커튼부재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화막의 상단부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제1연기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과, 드럼에 권취되고, 방화막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동부는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방화막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디스크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는 구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부는 무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브라켓과, 가이드레일브라켓에 결합되도록 방화막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가이드레일브라켓에는 가이드블럭의 양측을 감싸는 제2연기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촉부는 방화막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와, 완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접하고, 방화막을 지지하는 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화막은 하강시 완충부에 의해 바닥면과의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부는 방화막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 및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구비되고, 삽입돌기의 삽입시 삽입돌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지지체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바닥면에 매설되는 지지하우징 및 지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삽입돌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화재 발생시 비상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비상신호 판단단계와, 비상신호의 입력시 방화막이 무대의 전면으로 하강하는 하강단계와, 방화막의 하강시 방화막이 설정높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높이 판단단계와, 방화막이 설정높이로 하강하면, 방화막의 하강 및 제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안전하강단계와, 방화막이 무대의 바닥면과 접하였는지 판단하는 접촉 판단단계 및 방화막이 무대의 바닥면과 접하면, 방화막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강단계 이후, 정지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신호의 입력시 방화막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설정높이는 무대를 기준으로 3m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전하강단계에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은 종래 발명과 달리 화재발생 시 방화막을 자동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하며, 평소 시범작동이 가능하여 화재발생 시에 오작동을 막기 위한 점검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또한, 화재발생 시 하강하는 방화막이 설정높이부터 제동을 반복하면서 하강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방화막이 슬라이드부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며, 방화막에 다수개의 연기막을 형성하여, 연기가 관객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접촉부와 완충부에 의해 방화막의 하강시 바닥면과의 충격을 완화시켜 충격에 의한 방화막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접촉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완충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슬라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접촉부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완충부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슬라이드부를 보인 도면,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접촉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완충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슬라이드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100)는 크게, 방화막(110), 구동부(120), 제어부(150), 슬라이드부(160) 및 접촉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방화막(110)은 무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구동부(120)에 의해 무대의 전면으로 하강된다.
그리고, 방화막(110)은 무대의 전면을 차단하는 커튼부재(112) 및 커튼부재(112)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114)으로 이루어진다.
커튼부재(112)의 내화한계는 국제 현행표준(DIN) 및 국내현지의 소방관련 표준에 모두 부합해야 한다.
그리고, 프레임(114)은 스틸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커튼부재(112)의 전면은 와이어로우프(115)가 설치되어 풍압에 의한 휨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방화막(110)의 상단부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제1연기막(117)이 형성된다.
제1연기막(117)은 프레임(114)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프레임(114)의 후측으로 연장되고, 하부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114)의 상단부에는 후측으로 연장되어 스토퍼(118)가 형성된다.
스토퍼(118)는 방화막(110)의 하강이 완료됨과 동시에 벽체에 형성된 고정체에 접촉되어 방화막(110)을 지지한다.
구동부(120)는 방화막(110)이 무대의 전면에서 출몰되도록 승하강시키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22)와 구동모터(122)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124) 및 드럼(124)에 권취되고, 방화막(11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모터(122)의 동력은 헬리컬기어 또는 베벨기어에 의해 전달되어 드럼(124)을 회전시키고, 드럼(124)에 권취된 와이어부재(126)가 풀리거나 감기는 작동에 의해 방화막(110)을 승하강시킨다.
와이어부재(126)은 로울러(125)에 의해 진행방향이 바뀌어 방화막(11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구동부(120)에는 엔코더(130)가 구비되어 와이어부재(126)의 실제 이동거리를 계측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20)는 드럼(124)의 회전을 정지시켜 방화막(11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디스크브레이크(140)를 포함한다.
또한, 와이어부재(126)는 방화막(110)과 턴버클(127)에 의해 연결되어 와이어부재(12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방화막(110)의 쏠림,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구동부(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122)에 하강 또는 상승 작동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구동부(120)를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버튼(152)을 포함한다.
정지버튼(152)은 무대에 설치되며, 방화막(110)의 하강시 무대상황에 따라 방화막(110)의 하강을 정지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부(160)는 구동부(110)에 의해 방화막(110)의 승하강 시 직선으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무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브라켓(162)과, 가이드레일브라켓(162)에 결합되도록 방화막(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16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이드레일브라켓(162)은 무대의 양측 벽체에 볼팅되어 결합되며,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가이드블럭(164)과 결합되는 가이드레일(163)이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부(120)의 작동시 방화막(110)은 슬라이드부(160)에 의해 직선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브라켓(162)에는 가이드블럭(164)의 양측으로 감싸는 제2연기막(165)이 형성되며, 화재로 인한 연기가 객석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방화막(110)의 하단부에는 접촉부(170)가 형성되어 완충 및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할 수 있다.
접촉부(170)는 방화막(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172)와, 완충부재(172)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접하고, 방화막(110)을 지지하는 강성부재(1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완충부재(172)는 고무재질을 포함하며, 강성부재(174)는 나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화막(110)의 하강이 완료되면, 강성부재(174)가 바닥면에 접하고, 강성부재(174)에 전달되는 충격은 완충부재(172)에 의해 완화된다.
또한, 방화막(110)은 하강시 완충부(180)에 의해 바닥면과의 충격이 완화된다.
완충부(180)는 방화막(110)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182) 및 삽입돌기(182)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구비되고, 삽입돌기(182)의 삽입시 삽입돌기(18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18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지지체(185)는 삽입돌기(182)가 삽입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바닥면에 매설되는 지지하우징(186) 및 지지하우징(186)의 내부에 구비되어 삽입돌기(18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8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탄성부재(187)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코일스프링의 상단에는 삽입돌기(182)가 접하는 패드(188)가 구비된다.
따라서, 접촉부(170)와 완충부(180)에 의해 2중으로 방화막(110)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방화막(110)의 하강에 의한 파손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은 크게, 비상신호 판단단계(S10), 하강단계(S20), 높이 판단단계(S40), 안전하강단계(S50), 접촉 판단단계(S60) 및 정지단계(S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발생에 따른 비상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S10).
비상신호의 입력은 화재경보에 의해 자동으로 발생되어 제어부(150)에 전달된다.
그리고,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방화막(110)이 무대의 전면으로 하강하게 된다. 방화막(110)의 하강은 구동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드럼(124)에 권취된 와이어부재(126)가 풀리면서 방화막(110)이 하강하게 된다(S20).
이때, 방화막(110)의 하강시 방화막(110)은 무대의 양측면과 연결되는 슬라이드부(160)에 의해 직선으로 정확하게 안내된다.
하강단계(S20) 이후, 정지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신호의 입력시 방화막(110)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판단단계(S30)를 더 수행된다.
정지신호 판단단계(S30)는 방화막(110)의 하강시 방화막(110) 하부에 사람이 있을 경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품이 있을 경우, 방화막(110)의 불량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방화막(110)의 하강시 방화막(110)이 설정높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한다(S40). 이는 구동부(120)에 구비되는 엔코더(130)에 의해 와이어부재(126)의 실제 이동거리로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설정높이는 무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3m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화막(110)이 설정높이로 하강하면, 방화막(110)의 하강 및 제동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S50).
이는 방화막(110) 하부에 위치한 사람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서, 단계적으로 하강함에 따라 하강 속도가 감속되고, 대피자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한다.
안전하강단계(S50)에서는 구동부(120)에 구비된 디스크브레이크(140)의 작동에 의해 가능하며, 디스크브레이크(140)의 작동은 엔코더(130)에 의해 측정가능한 와이어부재(126)의 이동거리에 따라 작동된다.
또한, 디스크브레이크(140)는 타이머에 의한 시간에 따라 작동되어도 무방하다.
안전하강단계(S50) 이후, 방화막(110)이 무대의 바닥면과 접하였는지 판단한다(S60). 방화막(110)이 바닥면에 접하면, 방화막(110)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S70)를 수행한다.
정지단계(S70)는 구동모터(122)의 리미트값에 의해 구동모터(122)의 작동이 정지되고, 방화막(110)은 하강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방화막(110)이 무대의 바닥면에 접할 때는 방화막(1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접촉부(170)에 의해 완충되며, 바닥면에 밀착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된 연기가 객석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후, 화재가 진압되고, 방화막(110)을 상승시키고자 하면, 제어부(150)의 상승신호에 의해 구동모터(122)가 작동되고, 구동모터(122)의 작동에 의해 드럼(124)에 와이어부재(126)가 감기면서, 방화막(1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방화막(110)의 상승정지는 방화막(110)의 하강과 마찬가지로 구동모터(122)의 리미트값에 의해 구동모터(122)가 정지되면서 상승완료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무대 방화장치 110 : 방화막
112 : 커튼부재 114 : 프레임
115 : 와이어로우프 117 : 제1연기막
120 : 구동부 112 : 구동모터
124: 드럼 126 : 와이어부재
127 : 턴버클 130 : 엔코더
140 : 디스크브레이크 150 : 제어부
152 : 정지버튼 160 : 슬라이드부
162 : 가이드레일브라켓 163 : 가이드레일
164 : 가이드블럭 165 : 제2연기막
170 : 접촉부 172 : 완충부재
174 : 강성부재 180 : 완충부
182 : 삽입돌기 185 : 탄성지지체
186 : 지지하우징 187 : 탄성부재
188 : 패드
112 : 커튼부재 114 : 프레임
115 : 와이어로우프 117 : 제1연기막
120 : 구동부 112 : 구동모터
124: 드럼 126 : 와이어부재
127 : 턴버클 130 : 엔코더
140 : 디스크브레이크 150 : 제어부
152 : 정지버튼 160 : 슬라이드부
162 : 가이드레일브라켓 163 : 가이드레일
164 : 가이드블럭 165 : 제2연기막
170 : 접촉부 172 : 완충부재
174 : 강성부재 180 : 완충부
182 : 삽입돌기 185 : 탄성지지체
186 : 지지하우징 187 : 탄성부재
188 : 패드
Claims (16)
- 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화막;
상기 방화막이 상기 무대의 전면에서 출몰되도록 상기 방화막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상기 방화막이 승하강 될 때, 상기 방화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방화막과 바닥면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고, 상호 밀폐되게 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화막은 상기 무대의 전면을 차단하는 커튼부재; 및
상기 커튼부재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막의 상단부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제1연기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방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방화막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정지시켜 상기 방화막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디스크브레이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무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브라켓;
상기 가이드레일브라켓에 결합되도록 상기 방화막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브라켓에는 상기 가이드블럭의 양측을 감싸는 제2연기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방화막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완충부재;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방화막을 지지하는 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막은 하강시 완충부에 의해 바닥면과의 충격이 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방화막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삽입돌기의 삽입시 상기 삽입돌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체는 상기 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중공 형성되고, 바닥면에 매설되는 지지하우징; 및
상기 지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돌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
- 화재 발생시 비상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하는 비상신호 판단단계;
상기 비상신호의 입력시 방화막이 무대의 전면으로 하강하는 하강단계;
상기 방화막의 하강시 상기 방화막이 설정높이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는 높이 판단단계;
상기 방화막이 설정높이로 하강하면, 상기 방화막의 하강 및 제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안전하강단계;
상기 방화막이 무대의 바닥면과 접하였는지 판단하는 접촉 판단단계; 및
상기 방화막이 무대의 바닥면과 접하면, 상기 방화막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단계 이후, 정지신호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 정지신호의 입력시 상기 방화막의 하강을 정지시키는 정지신호 판단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높이는 무대를 기준으로 3m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하강단계에서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방화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788A KR101058484B1 (ko) | 2010-11-10 | 2010-11-10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788A KR101058484B1 (ko) | 2010-11-10 | 2010-11-10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58484B1 true KR101058484B1 (ko) | 2011-08-24 |
Family
ID=44933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1788A KR101058484B1 (ko) | 2010-11-10 | 2010-11-10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58484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436B1 (ko) * | 2015-04-27 | 2015-11-24 |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
KR101607318B1 (ko) * | 2015-06-12 | 2016-03-29 | 주식회사 탑이엔씨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
KR101654349B1 (ko) * | 2015-05-08 | 2016-09-05 |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 무대용 방화장치 |
KR20160133208A (ko) * | 2015-05-12 | 2016-11-22 | (주)경일알텍 | 유압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20160133204A (ko) * | 2015-05-12 | 2016-11-22 | (주)경일알텍 | 에어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20170079630A (ko) * | 2015-12-30 | 2017-07-10 | 이명식 | 대테러용 방탄커튼 시스템 |
KR101775238B1 (ko) * | 2015-11-11 | 2017-09-06 | 정재훈 | 헬리콥터를 이용한 주야간용 산불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산불진화방법 |
KR101792812B1 (ko) * | 2015-10-14 | 2017-11-02 | 제이엠스테이지(주) | 공연장 방화막장치 |
KR101975997B1 (ko) | 2018-08-06 | 2019-05-07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
KR102048195B1 (ko) | 2018-12-07 | 2020-01-08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8133A (ja) * | 1997-03-18 | 1998-09-29 | Bunka Shutter Co Ltd | 耐火スクリーン装置 |
JPH11319134A (ja) * | 1998-05-11 | 1999-11-24 | Toyo Shutter Co Ltd | 防火シャッター |
JP2006052572A (ja) * | 2004-08-11 | 2006-02-23 | Bunka Shutter Co Ltd | ブレーキ装置付き開閉装置 |
-
2010
- 2010-11-10 KR KR1020100111788A patent/KR1010584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58133A (ja) * | 1997-03-18 | 1998-09-29 | Bunka Shutter Co Ltd | 耐火スクリーン装置 |
JPH11319134A (ja) * | 1998-05-11 | 1999-11-24 | Toyo Shutter Co Ltd | 防火シャッター |
JP2006052572A (ja) * | 2004-08-11 | 2006-02-23 | Bunka Shutter Co Ltd | ブレーキ装置付き開閉装置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1436B1 (ko) * | 2015-04-27 | 2015-11-24 | 세원에스디에스주식회사 |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
KR101654349B1 (ko) * | 2015-05-08 | 2016-09-05 |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 무대용 방화장치 |
KR20160133208A (ko) * | 2015-05-12 | 2016-11-22 | (주)경일알텍 | 유압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20160133204A (ko) * | 2015-05-12 | 2016-11-22 | (주)경일알텍 | 에어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101703887B1 (ko) * | 2015-05-12 | 2017-03-08 | (주)티디에이 | 에어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101719600B1 (ko) * | 2015-05-12 | 2017-03-31 | (주)티디에이 | 유압 브레이크를 이용한 세이프티 커튼의 낙하 속도 제어 시스템 |
KR101607318B1 (ko) * | 2015-06-12 | 2016-03-29 | 주식회사 탑이엔씨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화재시 자동차 진입 차단장치 |
KR101792812B1 (ko) * | 2015-10-14 | 2017-11-02 | 제이엠스테이지(주) | 공연장 방화막장치 |
KR101775238B1 (ko) * | 2015-11-11 | 2017-09-06 | 정재훈 | 헬리콥터를 이용한 주야간용 산불진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야간산불진화방법 |
KR20170079630A (ko) * | 2015-12-30 | 2017-07-10 | 이명식 | 대테러용 방탄커튼 시스템 |
KR101975997B1 (ko) | 2018-08-06 | 2019-05-07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무대 방화막의 차연장치 |
KR102048195B1 (ko) | 2018-12-07 | 2020-01-08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58484B1 (ko)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571436B1 (ko) |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 |
JP4107728B2 (ja) | エレベータ装置 | |
KR101117277B1 (ko) | 비상탈출장치 | |
KR100972781B1 (ko) |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 |
KR101032877B1 (ko) | 비상탈출장치 | |
KR101200375B1 (ko) | 비상탈출장치 | |
KR101026277B1 (ko) |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 |
KR20210119683A (ko) | 천정 슬라브 드릴링 장치 | |
KR100977858B1 (ko) | 비상탈출장치 | |
JP6152509B1 (ja) | 減衰装置及び非常用避難ロープ | |
JP2008031714A (ja) | シャッター装置 | |
KR101789647B1 (ko) |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 |
KR101792812B1 (ko) | 공연장 방화막장치 | |
GB2522965A (en) | Stairwell lift | |
KR102474826B1 (ko) | 비상탈출장치용 승강 구동 어셈블리 | |
JP2018030654A (ja) | 調速機、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試験装置 | |
JP3195349U (ja) | 防煙防火カーテン装置 | |
KR102330323B1 (ko) | 전동식 승강 콘센트 장치 | |
CN109292588B (zh) | 一种安全性高的垂直电梯 | |
JP4788337B2 (ja) | エレベータ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 |
JP2007016430A (ja) | 防火シャッター用安全装置 | |
KR102607945B1 (ko) | 무대용 방화막 감속장치 | |
JP2009138327A (ja) |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 |
JP3886081B2 (ja) | 奈落床の手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