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349B1 - 무대용 방화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용 방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349B1
KR101654349B1 KR1020150064645A KR20150064645A KR101654349B1 KR 101654349 B1 KR101654349 B1 KR 101654349B1 KR 1020150064645 A KR1020150064645 A KR 1020150064645A KR 20150064645 A KR20150064645 A KR 20150064645A KR 101654349 B1 KR101654349 B1 KR 101654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tage
power
ceiling frame
block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6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8Sliding damp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권취드럼에 감기는 승강와이어; 상기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는 배튼에 설치되고 무대와 객석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난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시트; 복수 개의 상기 권취드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시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권취드럼에 전달 또는 차단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차단하는 릴리스레버를 구비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릴리스레버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릴리스레버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수동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용 방화장치 {ANTI-FIRE PROVISION FOR STAGE}
본 발명은 무대용 방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시트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발생 후에 차단시트의 하강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차단시트의 하강속도를 설정속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무대용 방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극이나 오페라 같은 다양한 장르의 예술이 공연되는 공연장은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와 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을 관람하기 위하여 관객이 착석하는 객석으로 이루어지며, 무대와 객석의 사이에는 무대에서 펼쳐지는 공연에 맞는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연주자들이 위치하는 연주석이 마련된다.
무대에는 조명기구가 구비되고, 조명기구는 통상적으로 공중에 매달아 배치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주로 천정에 매달려 고정되는 플라이덕트라는 구조물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이처럼 무대의 천장에는 수많은 조명기구가 구비됨에 따라 화재의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무대의 전면에서 방화막이 낙하하여 무대의 화재가 객석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종래의 방화막에 의하면, 무대의 상측에 방화막이 구비되고, 방화막을 와이어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와이어부재 중 가연성부분이 화재에 의해 끊어지면 방화막이 자중에 의해 무대의 전측을 차단하여 화재가 객석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 의하면, 화재 시에 정확하게 작동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소방훈련 시 와이어부재를 끊어 작동여부를 확인하게 됨으로써, 작동된 방화막을 재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방화막의 급격한 하강에 의해 방화막 하단에 위치한 사람이 다칠 수 있는 위험성을 지닌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는, 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방화막과, 방화막이 무대의 전면에서 출몰되도록 방화막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구동부에 의해 방화막이 승하강 될 때, 방화막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슬라이드부와, 방화막과 바닥면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하고, 상호 밀폐되게 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방화막은 무대의 전면을 차단하는 커튼부재와, 커튼부재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8484호(2011년 08월 16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장치는, 화재 발생 후에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파손되어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방화막의 하강작동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 방화막을 안전하게 하강시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시트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발생 후에 차단시트의 하강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차단시트의 하강속도를 설정속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무대용 방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권취드럼에 감기는 승강와이어; 상기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는 배튼에 설치되고 무대와 객석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난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시트; 복수 개의 상기 권취드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시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권취드럼에 전달 또는 차단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차단하는 릴리스레버를 구비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릴리스레버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릴리스레버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수동해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튼은 상기 차단시트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에는 무게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튼은, 상기 차단시트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에 설치되는 제1배튼; 및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배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천장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은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도록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동해제부는, 상기 릴리스레버에 일측 단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클러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렛대부재;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웨이트부재;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웨이트부재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인장부; 및 상기 인장부의 인장력을 유지시키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장부의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해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인장부는,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인장롤러; 및 상기 인장롤러에 감기고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진행방향이 굴곡되어 작업자가 위치하는 지면에 가깝게 연장되고 상기 해제스위치에 연결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스위치는, 상기 인장와이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감싸도록 벽면에 설치되고 투명창이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동해제부가 작동되어 상기 릴리스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배튼 및 상기 차단시트가 설정속도 이하로 하강하도록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설정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배출시키는 과속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과속방지부는, 상기 클러치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호스; 상기 배출호스를 따라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었던 작동유체를 상기 클러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에 구비되고 작동유체의 배출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는,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화재 발생 시에 화염에 의해 파손되지 않고 약3시간 이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화재 발생 시에도 작업자가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공급되는 전원이 구동부에 공급되어 차단시트의 하강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는, 화염에 의해 전원선이 파손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해제부를 조작하여 구동부와 권취드럼 사이의 동련전달을 차단하여 차단시트의 하강작동을 행할 수 있어 화재 발생 시에 수동작업에 의해 무대와 객석을 구획하여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는, 수동해제부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부로부터 유압이 배출되어 동력전달이 차단될 때에 자동유체의 배출속도가 설정속도 이하로 유지되므로 수동해제부의 작동에 의해 차단시트가 하강할 때에 차단시트의 하강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단시트 하강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구동부, 클러치부 및 수동해제부가 도시된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전원선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해제스위치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구동부, 클러치부 및 수동해제부가 도시된 정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전원선 장착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해제스위치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는, 천장프레임(16)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권취드럼(34)에 감기는 승강와이어(30)와, 승강와이어(30)에 연결되는 배튼(12)에 설치되고 무대와 객석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난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시트(10)와, 복수 개의 권취드럼(34)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하여 차단시트(1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50)와, 구동부(50)의 동력을 권취드럼(34)에 전달 또는 차단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구동부(50)의 동력을 차단하는 릴리스레버(54)를 구비하는 클러치부(52)와, 릴리스레버(54)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릴리스레버(54)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수동해제부(70)를 포함한다.
무대와 객석 사이의 경계에는 차단시트(10)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무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구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부(50)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권취드럼(34)에 제공되어 승강와이어(30)가 권취드럼(34)에서 풀리면서 차단시트(10)가 설치되는 배튼(12)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차단시트(10)에 의해 무대와 객석이 구획되므로 무대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객석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객석에 위치한 관람객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게 된다.
구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56)은 화염에 의해 타지 않는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지만 화재 발생 시에 전원선(56)이 파손되어 구동부(5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수동해제부(70)를 조작하여 구동부(50)와 권취드럼(34) 연결 또는 해제하는 클러치부(52)를 구동시켜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면 차단시트(10) 및 배튼(12)의 무게에 의해 차단시트(10) 및 배튼(12)이 하강하면서 무대와 객석 사이의 경계에 차단시트(10)가 설치된다.
배튼(12)은 차단시트(10)의 상단에 설치되고, 차단시트(10)의 하단에는 무게바(14)가 설치되므로 무게바(14)에 의해 차단시트(10)의 하단이 하측 방향으로 펼쳐지므로 차단시트(10)는 배튼(12)과 무게바(14)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대와 객석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배튼(12)과 천장프레임(16) 사이에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18)가 설치되므로 수동해제부(70)에 의해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도 스토퍼(18)에 의해 배튼(12)이 일절 거리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되어 지면과 배튼(12) 사이에 차단시트(10)의 높이만큼의 간격이 유지된다.
구동부(50)는 천장프레임(16)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구동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56)은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천장프레임(16)의 타측부에 설치되도록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58)에 의해 설치된다.
전원선(56)은 다수 개의 고정블록(58)에 의해 벽면에 설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천장프레임(16)의 일측부까지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천장프레임(16)을 따라 타측부 측으로 연장되어 천장프레임(16)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구동부(50)에 연결된다.
이는 무대의 하측부에서 발생되는 화재가 전원선(56)을 따라 상승하여 구동부(50)가 화염에 의해 파손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연장하기 위한 것으로써, 화재 발생 초기부터 구동부(50)가 파손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이 연장되면 화재 발생 후에 작업자가 구동부(50)를 제어하여 차단시트(10)를 설치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원선(56)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로에서 측 방향으로 굴곡된 후에 다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56a)가 구비되므로 전원선(56)을 따라 구동부(50) 측으로 전파되는 화염의 전파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되어 화재 발생 후에 구동부(50)가 화재에 의해 파손되는 시간을 보다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전원선(56)을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블록(58)은, 벽면에 설치되고 전원선(56)이 안착되는 복수 개의 안착홈부(58d)가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고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블록(58a)과, 안착홈부(58d)에 대향되는 가압홈부(58e)가 형성되고 제1블록(58a) 측으로 전원선(56)을 가압하는 제2블록(58b)과, 제1블록(58a) 및 제2블록(58b)을 결합시켜 전원선(56)을 구속하는 체결부재(58c)를 포함한다.
제1블록(58a)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벽면에 설치되고, 각각의 안착홈부(58d)에는 전원선(56)이 안착되며, 체결부재(58c)에 의해 제2블록(58b)을 제1블록(58a)에 결합시키면 안착홈부(58d)와 가압홈부(58e) 사이에 전원선(56)이 개재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블록(58)은 천장프레임(16) 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고, 전원선(56)이 연장되는 중앙부에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블록(58)이 설치되어 전원선(56)이 굴곡되게 연장되는 굴곡부(56a)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전원선(56)을 따라 화염이 확산될 때에 굴곡부(56a)를 따라 화염이 이동되면서 화염의 확산속도를 늦출 수 있게 되고, 전원서 및 고정블록(58)은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므로 화염 발생 후에 설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까지는 화염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전원선(56) 및 고정블록(58)을 이루는 난연재질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는 것이므로 난연소재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동해제부(70)는, 릴리스레버(54)에 일측 단부가 연결부재(72a)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부가 클러치부(5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렛대부재(72)와, 지렛대부재(72)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웨이트부재(74)와, 지렛대부재(72)의 타측 단부 및 웨이트부재(74)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인장부(76)와, 인장부(76)의 인장력을 유지시키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인장부(76)의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해제스위치(78)를 포함한다.
천장프레임(16)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개의 권취드럼(34)이 설치되고, 각각의 권취드럼(34)에는 구동축(36)이 연결되어 천장프레임(16)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구동부(50)에 연결된다.
따라서 구동부(50)로부터 동력이 제공되면 다수 개의 권취드럼(34)에 구동축(36)을 따라 동시에 동력이 제공되고, 구동부(50)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클러치부(52)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구동부(50)의 동력이 구동축(36)에 전달되도록 구동부(50)와 구동축(36)이 연결된다.
또한, 클러치부(52)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면 클러치부(5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구동부(50)와 구동축(36)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클러치부(52)에는 작동유체의 배출을 행하는 릴리스레버(54)가 구비되고, 본 실시예의 릴리스레버(54)는 상측으로 올리도록 조작하면 클러치부(52)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구동부(50)와 구동축(36) 사이의 연결구조 및 구동부(50)와 클러치부(52)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릴리스레버(54)는 클러치부(52)의 둘레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릴리스레버(54)의 단부에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72a)가 연결되어 지렛대부재(72)의 일단에 연결된다.
지렛대부재(72)의 중앙부는 클러치부(52)에 설치되는 지지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렛대부재(72)의 타단에는 웨이트부재(74)가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웨이트부재(74)는 천장프레임(16)에 설치되는 웨이트가드(74a)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지렛대부재(72)의 타단에는 인장부(76)가 연결되어 지렛대부재(72)의 타단이 상측으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렛대부재(72)의 타단을 상측으로 인장시키게 되고, 작업자가 수동해제부(70)를 작동시키면 인장부(76)의 인장력이 해제되어 웨이트부재(74)에 의해 지렛대부재(72)의 타단이 하강하면서 지렛대부재(72)의 일단이 상승되어 릴리스레버(5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릴리스레버(54)가 상측으로 당겨지면 클러치부(52)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면서 구동부(50)와 구동축(36)의 연결이 해제되어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되어 권취드럼(34)에 감긴 승강와이어(30)가 지면 방향으로 풀리면서 배튼(12) 및 차단시트(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인장부(76)는, 지렛대부재(72)의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72a)에 의해 연결되는 인장롤러(76a)와, 인장롤러(76a)에 감기고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76c)에 의해 진행방향이 굴곡되어 작업자가 위치하는 지면에 가깝게 연장되고 해제스위치(78)에 연결되는 인장와이어(76b)를 포함한다.
인장와이어(76b)는 벽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76c)에 의해 천장프레임(16)의 상측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천장프레임(16)의 일측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지면에 가까운 일측부까지 연장되고 무대를 중심으로 지면의 일측부 하단에는 해제스위치(78)가 연결된다.
천장프레임(16)의 타단부까지 연장되는 인장와이어(76b)도 가이드롤러(76c)에 의해 연장방향의 하측으로 굴곡되어 지면에 가깝게 연장되도록 다수 개의 가이드롤러(76c)에 의해 안내되고, 하단에 별도의 스위치가 연결될 수 있다.
천장프레임(16)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장와이어(76b) 중에 인장롤러(76a)에 대향되는 인장와이어(76b)는 하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인장롤러(76a)를 둘레면을 감싸도록 연장되므로 인장와이어(76b)는 인장롤러(76a)를 상측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인장와이어(76b)는 인장롤러(76a), 연결부재(72a) 및 웨이트부재(74)를 상측으로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게 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해제스위치(78)가 작동되면 인장와이어(76b)를 당기는 인장력이 해제되어 웨이트부재(74)의 무게에 의해 지렛대부재(72)의 타단이 하강하면서 지렛대부재(72)의 일단을 상승시켜 릴리스레버(54)를 조작하게 된다.
해제스위치(78)는, 인장와이어(76b)에 연결되는 고리부(32)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부재(78b)와, 고정부재(78b)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브래킷(78c)과, 브래킷(78c)을 감싸도록 벽면에 설치되고 투명창(78e)이 구비되는 케이스(78d)를 포함한다.
벽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굴곡되는 패널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브래킷(78c)이 설치되고, 브래킷(78c)과 벽면 사이의 간격으로 인장와이어(76b)의 단부에 설치되는 고리부(32)가 삽입되어 브래킷(78c)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78b)가 고리부(32)를 구속하도록 설치된다.
고정부재(78b)의 단부는 브래킷(78c)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고정부재(78b)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버부재(78a)가 브래킷(78c)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레버부재(78a)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78b)가 유동되면서 고리부(32)의 구속을 해제시켜 고리부(32) 및 인장와이어(76b)의 단부가 상승되면서 인장력이 해제된다.
여기서, 고정부재(78b)와 브래킷(78c) 사이의 연결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브래킷(78c), 고정부재(78b) 및 레버부재(78a)는 투명창(78e)이 구비되는 케이스(78d)에 의해 감싸지도록 설치되고, 평상시에는 레버부재(78a)가 케이스(78d)에 의해 커버되므로 작업자의 부주위에 의해 레버부재(78a)가 상측으로 회전되는 오작동이 방지되고, 화재 시에는 작업자가 투명창(78e)을 파손하여 손쉽게 레버부재(78a)를 상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수동해제부(70)가 작동되어 릴리스레버(54)가 조작되면 배튼(12) 및 차단시트(10)가 설정속도 이하로 하강하도록 클러치부(52)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설정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클러치부(52)로부터 배출시키는 과속방지부(80)를 더 포함한다.
클러치부(52)는 작동유체가 충진되면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서로 분리되게 배치되는 한 쌍 또는 다수 쌍의 디스크를 서로 가압시키면서 구동부(50)의 동력을 구동축(36)에 전달되도록 하는 유압 디스크 클러치이며, 클러치부(52)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면 작동유체의 배출량이 증가되면서 구동부(50)의 동력이 작동유체의 배출량과 비례하여 점차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유체가 과속방지부(80)의 작동에 따라 설정속도 이하로 배출되므로 권취드럼(34)에 전달되는 동력은 점차적으로 차단되어 권취드럼(34)이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과속방지부(80)는, 클러치부(52)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호스(82)와, 배출호스(82)를 따라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84)와, 저장탱크(84)에 저장되었던 작동유체를 클러치부(52)로 순환시키는 순환호스(86)와, 배출호스(82)에 구비되고 작동유체의 배출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88)를 포함한다.
릴리스레버(54)가 상승되어 작동유체의 배출이 개시되면 솔레노이드밸브(88)가 개방되어 배출호스(82)를 따라 배출되는 작동유체는 저장탱크(84)에 저장되고, 이때, 솔레노이드밸브(88)의 개방 정도는 작동유체의 배출량이 설정속도 이하로 조절되도록 개방되므로 차단시트(10)의 하강속도가 설정속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차단시트(10)의 하강이 지속되어 무게바(14)가 지면에 가깝게 하강하면 솔레노이드밸브(88)의 개방 정도를 감소시켜 작동유체의 배출량이 감소시키므로 무게바(14), 차단시트(10) 및 배튼(12)의 하강속도를 감소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연 중에 화재가 발생되면 작업자는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전원선(56)을 통해 구동부(50)에 전원 및 조작신호를 공급하게 되므로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구동축(36)이 회전되면서 권취드럼(34)에서 승강와이어(30)가 풀리면서 배튼(12), 차단시트(10) 및 무게바(14)가 하강하여 무대와 객석 사이의 경계부위에 차단시트(10)를 배치시키게 된다.
따라서 무대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차단시트(10)에 의해 차단되어 객석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객석에 위치하는 관객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게 된다.
이때, 전원선(56)은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원선(56)이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굴곡부(56a)가 구비되므로 전원선(56)이 화염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고, 전원선(56)을 따라 확산되는 화염이 구동부(5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화재 발생 후에 전원선(56)이 파손되어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50)를 구동시킬 수 없을 때에는 작업자가 투명창(78e)을 파손하여 레버부재(78a)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부재(78b)로부터 고리부(32)가 분리되면서 인장와이어(76b)의 단부가 상승되어 인장롤러(76a) 및 지렛대부재(72)에 제공되던 인장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웨이트부재(74)가 웨이트가드(74a)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하강하게 되고, 지렛대부재(72)의 일단이 하강하면서 지렛대부재(72)의 타단이 상승하여 릴리스레버(54)를 상측으로 조작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릴리스레버(54)가 조작되면 스위치부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되고, 솔레노이드밸브(88)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배출호스(82) 및 저장탱크(84)로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배출량이 조절되어 차단시트(10)가 설정속도 이하로 하강하면서 무대와 객석 사이를 구획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차단시트(10)의 하강은 안전점검을 위한 테스트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스트작업이 완료되면 릴리스레버(54)를 하강시켜 작동유체를 다시 클러치부(52)에 공급하여 구동부(50)와 구동축(36)을 연결하고 컨트롤부를 조작하여 전원선(56)을 통해 전원 및 구동신호를 송신하여 구동부(50) 및 권취드럼(34)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배튼(12), 차단시트(10) 및 무게바(14)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대용 방화장치의 배튼(12)은, 차단시트(1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천장프레임(16)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18)에 설치되는 제1배튼(12a)과, 차단시트(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승강와이어(30)에 연결되는 제2배튼(12b)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천장프레임(16)의 높이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공연장에 설치되는 경우이며, 차단시트(10)가 펼쳐진 상태로 상승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승강와이어(30)에 의해 제2배튼(12b)을 제1배튼(12a)과 인접하게 상승시키면 차단시트(10)가 주름지게 접히면서 제1배튼(12a)과 제2배튼(12b) 사이에서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제1배튼(12a)은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18)에 의해 천장프레임(16)에 연결되므로 높이가 가변되지 않고, 제2배튼(12b)은 권취드럼(34)에 권취되는 승강와이어(30)에 연결되므로 구동부(50)의 작동에 의해 승강된다.
차단시트(10)에는 다수 개의 연결링이 수직방향으로 길게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고, 제2배튼(12b)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승강와이어(30)는 다수 개의 연결링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측으로 연장되어 권취드럼(34)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2배튼(12b)의 상승되어 제1배튼(12a)과 인접하게 배치되어도 차단시트(10)는 제2배튼(12b)의 하측으로 늘어지지 않고 제1배튼(12a)과 제2배튼(12b) 사이의 간격에서 주름진 모양으로 개재된다.
이로써, 무대와 객석 사이에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단시트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발생 후에 차단시트의 하강작동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차단시트의 하강속도를 설정속도 이하로 제어할 수 있는 무대용 방화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무대용 방화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무대용 방화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방화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단시트 12 : 배튼
12a : 제1배튼 12b : 제2배튼
14 : 무게바 16 : 천장프레임
18 : 스토퍼 30 : 승강와이어
32 : 고리부 34 : 권취드럼
36 : 구동축 50 : 구동부
52 : 클러치부 54 : 릴리스레버
56 : 전원선 56a : 굴곡부
58 : 고정블록 58a : 제1블록
58b : 제2블록 58c : 체결부재
58d : 안착홈부 58e : 가압홈부
70 : 수동해제부 72 : 지렛대부재
72a : 연결부재 74 : 웨이트부재
74a : 웨이트가드 76 : 인장부
76a : 인장롤러 76b : 인장와이어
76c : 가이드롤러 78 : 해제스위치
78a : 레버부재 78b : 고정부재
78c : 브래킷 78d : 케이스
78e : 투명창 80 : 과속방지부
82 : 배출호스 84 : 저장탱크
86 : 순환호스 88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9)

  1.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권취드럼에 감기는 승강와이어;
    상기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는 배튼에 설치되고 무대와 객석 사이에 경계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며 난연소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단시트;
    복수 개의 상기 권취드럼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시트를 승강시키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권취드럼에 전달 또는 차단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차단하는 릴리스레버를 구비하는 클러치부; 및
    상기 릴리스레버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고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 릴리스레버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키는 수동해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천장프레임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은 난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프레임의 타측부에 설치되도록 난연재질을 포함하는 고정블록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전원선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로에서 측 방향으로 굴곡된 후에 다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가 구비되도록 상기 고정블록은 상기 천장프레임 측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원선이 연장되는 중앙부에 측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기 고정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수동해제부는,
    상기 릴리스레버에 일측 단부가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중앙부가 상기 클러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렛대부재;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웨이트부재;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웨이트부재가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는 인장부; 및
    상기 인장부의 인장력을 유지시키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인장부의 인장력을 해제시키는 해제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부는,
    상기 지렛대부재의 타측 단부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인장롤러; 및
    상기 인장롤러에 감기고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진행방향이 굴곡되어 작업자가 위치하는 지면에 가깝게 연장되고 상기 해제스위치에 연결되는 인장와이어를 포함하고,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천장프레임에 설치되는 웨이트가드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수동해제부가 작동되어 상기 릴리스레버가 조작되면 상기 배튼 및 상기 차단시트가 설정속도 이하로 하강하도록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설정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배출시키는 과속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속방지부는,
    상기 클러치부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호스;
    상기 배출호스를 따라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되었던 작동유체를 상기 클러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에 구비되고 작동유체의 배출여부 및 배출량을 조절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방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상기 차단시트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에는 무게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방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튼은,
    상기 차단시트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천장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토퍼에 설치되는 제1배튼; 및
    상기 차단시트의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배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방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스위치는,
    상기 인장와이어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구속 또는 해제시키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벽면에 설치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감싸도록 벽면에 설치되고 투명창이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방화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50064645A 2015-05-08 2015-05-08 무대용 방화장치 KR101654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45A KR101654349B1 (ko) 2015-05-08 2015-05-08 무대용 방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45A KR101654349B1 (ko) 2015-05-08 2015-05-08 무대용 방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349B1 true KR101654349B1 (ko) 2016-09-05

Family

ID=5693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45A KR101654349B1 (ko) 2015-05-08 2015-05-08 무대용 방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3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50A (ko) * 1999-12-10 2000-03-06 김세현 무대 방화막 구동장치
JP2002010449A (ja) * 2000-06-16 2002-01-11 Furukawa Techno Material Co Ltd ケーブル貫通部用防火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防火構造体
KR20110008517A (ko) * 2009-07-20 2011-0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화염차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58484B1 (ko) * 2010-11-10 2011-08-24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550A (ko) * 1999-12-10 2000-03-06 김세현 무대 방화막 구동장치
JP2002010449A (ja) * 2000-06-16 2002-01-11 Furukawa Techno Material Co Ltd ケーブル貫通部用防火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防火構造体
KR20110008517A (ko) * 2009-07-20 2011-01-27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화염차단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058484B1 (ko) * 2010-11-10 2011-08-24 제이엠스테이지(주)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7728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71436B1 (ko)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CA25548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ching from outside an upper level of a tall structure
KR101592460B1 (ko) 작전배치시설의 리프트 장거리 승하강이 가능토록 한 자동 비상 승하강 장치
EP3097037B1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KR101058484B1 (ko) 무대 방화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49324B1 (ko) 수동 조작 기능을 갖는 공연 무대용 방화막 장치
CN104310161B (zh) 一种斜弧行电梯限速器钢丝绳导向系统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1654349B1 (ko) 무대용 방화장치
KR102048195B1 (ko) 공연장 방화막 비상낙하 시스템
JP5930722B2 (ja) 防火シャッター及び防火開閉体
KR101792812B1 (ko) 공연장 방화막장치
KR101742044B1 (ko) 복합 도르레식 스크린 방화셔터
KR101978487B1 (ko) 홀딩장치를 가지는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1823442B1 (ko) 무대설비용 케이블 가이드장치
KR102139465B1 (ko) 안전 방화셔터
CN110393871B (zh) 一种适用于大型建筑高层的自动灭火装置
KR20150000953U (ko) 선박용 해치 유닛
CN204280964U (zh) 一种斜弧行电梯限速器钢丝绳导向系统
KR10180490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KR101547894B1 (ko) 방화 스크린 셔터장치
KR100891550B1 (ko)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JP4788337B2 (ja) エレベータ用防火防煙シャッター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KR20040076853A (ko) 건물들, 드릴링 플랫폼들, 선박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같은 구조물들로부터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