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904B1 -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 Google Patents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904B1
KR101804904B1 KR1020170138435A KR20170138435A KR101804904B1 KR 101804904 B1 KR101804904 B1 KR 101804904B1 KR 1020170138435 A KR1020170138435 A KR 1020170138435A KR 20170138435 A KR20170138435 A KR 20170138435A KR 101804904 B1 KR101804904 B1 KR 101804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ember
wire
guide rail
fire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8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식
Original Assignee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38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9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8Safety gear responsive to excess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2001/949Construction elements filled with liquid, e.g. water, either permanently or only in case of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내벽에 설치되고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패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에 보관되는 안착패널;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를 접촉 또는 분리 시키는 스위치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바닥면에 건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난간이 구비되는 돌출패널; 상기 이동난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블록이 안착되는 회전구동축; 상기 회전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마찰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거치패드를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착탈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하강할 때에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강방지부; 및 상기 급강방지부가 오작동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제공되지 않을 것을 방지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강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소방수가 담수되는 튜브부재; 상기 튜브부재가 수납되도록 주택의 외벽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구와 소화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부재에 담수되는 소방수가 상기 튜브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튜브부재에 소방수를 공급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튜브부재를 상기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BALCONY STRUCTURE OF APARTMENT BUILDING WITH ESCAPING FUNCTION FOR FIRE-FIGHTING}
본 발명은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약자나 어린이가 착석하여 하강작동을 행할 수 있고,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측으로 흔들리며 발생되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완강기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착패널과 와이어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하강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완강기가 설치된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발코니를 확장하여 생활공간의 면적을 확대시키는 공간 활용이 합법화되면서 발코니 외벽이 생활공간의 직벽 구조로 형성되어 기존과 달리 화재발생시 아래층의 화염이 위층으로 확산 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위층으로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법 시행령에 의하여 차단판을 베란다 외벽에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는 규정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규정을 준수하는 방편으로서, 발코니 외벽에 차단판을 설치하여 위층으로의 화재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단판은 화재발생시 아래층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한 화염을 임시로 차단하여 화재가 확산 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대피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주는 정도에 불과하고, 별도의 불연 및 난연의 기능이 없어서 다량의 유독가스를 배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단순히 위층으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하는 기능에 그치고, 적극적으로 화재을 진압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건물의 외부 화재뿐만 아니라, 내부 화재시 유독가스를 피하기 위해 발코니를 통한 지상으로의 비상탈출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피신도 하지 못하고 소중한 생명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상 탈출 및 화재 확산 차단용 발코니 구조가 개발되었으면, 종래기술에 따른 발코니 구조는, 발코니 난간의 일측 외벽에 설치되며 상부 일측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하부 일측면에 직각 형성된 고정편을 구비한 고정프레임, 고정편의 상면에 안착 된 상태로 고정편에 축 결합 되어 수평으로 정역회동하는 회동편, 수용편의 일단에 축 결합 되어 상하로 틸팅되며, 내부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장공의 요홈이 형성된 관상의 제1 수평프레임, 제1 수평프레임의 내부 수용공간에 소정 길이만큼 삽입되며, 요홈을 관통한 스토퍼가 하면에 형성되고, 끝단에는 연결고리가 형성된 제2 수평프레임, 및 고정돌기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1 수평프레임의 상면에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체인을 구비하는 설치대와, 연결고리가 걸리는 홀이 상부에 형성되고, 구동기어 축과 피동기어 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구동기어 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 도르래와 구동기어, 피동기어 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구동기어에 치합 되는 피동기어와 하기 브레이크 패드가 장착되기 위한 방사상으로 형성된 각각의 장착부의 바닥면에 열 방출을 위해 절개된 제1 방열부를 형성하는 감속 휠, 감속 휠의 외주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홈부를 형성한 복수의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패드와 마찰 저항으로 발생 되는 열을 방출하도록 전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 방출공이 형성되고, 측면 외주연에 소정으로 절개된 제2 방열부를 형성한 감속 휠 덮개를 구비하는 완강기와, 도르래에 귄취된 로프의 일단에 장착된 연결고리에 양단이 연결되며, 두 가닥과 네 가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폐로를 이루는 조임벨트, 조임벨트에 양단이 연결되는 등받이, 등받이와 조임벨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등받이는 고정연결하고, 조임벨트는 두 가닥과 네 가닥으로 세분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연결고리, 제2연결고리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네 가닥이 조임벨트의 두 가닥 사이에서 고리를 형성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고리로 이루어진 안전벨트를 구비하는 대피수단과, 발코니 난간의 외측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수평으로 롤러가 장착된 수용홈이 상단에 형성된 수직판, 수직판의 하단에 직각으로 돌출되며, 힌지홀이 형성된 브라켓이 양측에 각각 구비된 지지판, 브라켓에 형성된 힌지홀에 힌지결합되며, 일면에 앵커 링이 설치된 차단패널, 발코니 난간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볼트, 롤러에 걸쳐진 상태에서 고정볼트와 앵커 링을 연결하는 체인, 수직판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된 배관을 구비하는 화재 확산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9993호(2017년 03월 0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비상 탈출 및 화재 확산 차단용 발코니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로프를 잡고 사용자가 건물 외벽을 따라 하강할 때에 바람이나 다른 외력에 의해 로프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고층 건물에서 사용자가 로프를 잡고 하강할 때에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해 로프가 유동되면서 2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로프에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를 건물 외측으로 하강시키는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노약자나 어린이가 와이어에 거치되어 하강할 때에 와이어를 쉽게 고정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노약자나 어린이를 와이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기술구성을 추가하여 사용자를 와이어에 거치시켜도 거치를 위한 별도의 기술구성의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신속한 대피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완강기는, 와이어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풀리면서 급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기술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탑승하여 하강할 때에 사용자의 오조작이나 부주위에 의해 추락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노약자나 어린이가 착석하여 하강작동을 행할 수 있고,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측으로 흔들리며 발생되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완강기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착패널과 와이어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하강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내벽에 설치되고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패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에 보관되는 안착패널;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를 접촉 또는 분리 시키는 스위치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바닥면에 건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난간이 구비되는 돌출패널; 상기 이동난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블록이 안착되는 회전구동축; 상기 회전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마찰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거치패드를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착탈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하강할 때에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강방지부; 및 상기 급강방지부가 오작동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제공되지 않을 것을 방지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강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소방수가 담수되는 튜브부재; 상기 튜브부재가 수납되도록 주택의 외벽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구와 소화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부재에 담수되는 소방수가 상기 튜브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튜브부재에 소방수를 공급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튜브부재를 상기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유입구 내벽의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형성되는 턱부; 상기 턱부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부재; 상기 볼부재를 상기 턱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소방수를 통과시키는 메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바닥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부재가 지지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수납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무게 변화에 따라 무게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로드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브부재를 상기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가압하여 낙하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3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수납케이스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착석할 수 있도록 와이어에 연결되는 안착패널 및 거치패드가 구비되므로 완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가 안착패널에 앉아 안전하게 건물 외벽을 따라 하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손잡이부가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부 및 스위치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잡거나 안착패널에 앉은 상태에서 하강할 때에 손잡이부가 건물 외측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낙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전한 대피를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와이어에 설치되는 거치블록을 가이드레일에 삽입하여 연결시키는 회전구동축 및 구동부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안착패널에 착석하여 돌출패널에 위치한 후에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회전구동축이 회전되면서 마찰부를 가이드레일에 결합시키므로 노약자나 어린이가 손쉽게 와이어를 따라 하강하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거치패드를 와이어에 연결하는 연결착탈부가 구비되므로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거치패드를 용이하게 와이어에 연결하여 신속한 대피를 행할 수 있게 되고, 거치패드가 안착패널에 일체로 설치되므로 거치패드와 안착패널이 다른 공간에 보관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당황하지 않고 안착패널 및 거치패드를 용이하게 와이어에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안착패널을 연결하여 탑승하고 하강할 때에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마찰부를 오조작하여도 손잡이부 및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를 초과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강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마찰부의 조작이 어려운 노약자나 어린이가 안착패널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하강하여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사용자가 손잡이부에 안착패널을 연결하여 탑승하고 하강할 때에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마찰부를 오조작하여도 손잡이부 및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를 초과하여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급강방지부가 구비되므로 마찰부의 조작이 어려운 노약자나 어린이가 안착패널에 앉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하강하여 대피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는, 난간부에 배치되는 튜브부재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무거워지면 이를 감지하여 튜브부재를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가 구비되므로 급수관과 튜브부재가 분리된 후에 튜브부재가 수납공간부로부터 낙하되지 않으면서 연장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지 못하게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낙하되어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의 안착패널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가 도시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의 마찰부 및 스위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의 안착패널 연결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가 도시된 사용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의 마찰부 및 스위치부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는, 공동주택 건축물에 구비되는 소방용 완강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완강기는, 베란다 또는 발코니 내벽에 설치되고 드럼(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 일측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30)와, 드럼(12)에 권취되고 본체(10)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14)와, 와이어(14)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16)와, 손잡이부(1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패드(116)와,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거치패드(116)에 연결되고 수납케이스(30)에 보관되는 안착패널(32)과,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52)과, 와이어에 설치되는 본체블록(80)과, 본체블록(80)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52)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54)와, 지지대(54)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5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가이드레일(52)과 지지대(54) 사이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50)와, 본체블록(80)에 설치되고 마찰부(50)와 가이드레일(52)를 접촉 또는 분리시키는 스위치부(70)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바닥면에 건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난간(102)이 구비되는 돌출패널(100)과, 이동난간(102)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난간(10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블록(80)이 안착되는 회전구동축(82)과, 회전구동축(80)을 회전시켜 가이드레일(52)에 마찰부(5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구동부(90)와, 거치패드(116)를 손잡이부(16)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착탈부(110)와, 손잡이부(16) 및 안착패널(32)이 하강할 때에 와이어(14)에 장력을 제공하여 손잡이부(16) 및 안착패널(32)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강방지부(200)와, 급강방지부(200)가 오작동되어 와이어(214)에 장력이 제공되지 않을 것을 방지하는 배출부(280)를 포함한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에 노약자나 어린이를 완강기를 통해 하강시킬 때에는 수납케이스(30)로부터 안착패널(32)을 꺼내어 손잡이부(16)에 연결한 후에 사용자를 안착패널(32)에 안착시켜 하강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안착패널(32)은 2개의 패널이 경첩(32a)에 의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고, 경첩(32a)에 의해 배면은 서로 중첩되지 않게 배치된다.
안착패널(32)의 양단부에는 각각 2개의 거치패드(116)가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고, 거치패드(116)의 단부에는 권취부(117) 및 동력제공부(118)가 설치되어 거치패드(116)를 롤 모양으로 권취시키면서 거치패드(116)를 안착패널(32) 내측으로 삽입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착탈부(110)는, 손잡이부(16)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착탈홈부(111)와, 착탈홈부(111)에 삽입되도록 거치패드(116)에 설치되고, 후크부(114a)를 구비하는 결합대(114)가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봉(113)과, 연결봉(113)이 착탈홈부(111)에 삽입되면 후크부(114a)와 걸림결합되도록 착탈홈부(111) 내측으로 연장되는 결합홀부(112)에 구비되는 걸림부(115)를 포함한다.
거치패드(116)의 외측 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결봉(113)이 설치되고, 연결봉(113)의 내측 단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결합대(114)가 연장되며, 결합대(114)의 단부에는 후크부(114a)가 형성된다.
착탈홈부(111)의 내벽에는 착탈홈부(111)와 비교하여 단면적이 좁게 형성되는 결합홈부(112)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한 쌍의 착탈홈부(111)로부터 연장되는 결합홀부(112)는 하나로 연결된다.
결합홀부(112)의 내벽에는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작동공간부(112a)가 형성되고, 작동공간부(112a)에는 후크부(114a)가 걸림결합되는 걸림부(115)가 설치된다.
걸림부(115)는, 후크부(114a)와 걸림결합되는 경사면이 구비되며 작동공간부(112a)로부터 결합홀부(112) 측으로 출몰되는 출몰블록(115a)과, 작동공간부(112a)와 출몰블록(115a) 사이에 개재되어 출몰블록(115a)을 작동공간부(112a)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15b)와, 탄성부재(115b)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작동와이어에 연결되는 해제레버(115c)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결봉(113)을 착탈홈부(111)에 삽입하여 결합대(114)가 결합홀부(112)에 삽입되면 후크부(114a)가 출몰블록(115a)의 경사면을 가압하면서 작동공간부(112a) 내측으로 출몰블록(115a)을 삽입시키고, 후크부(114a)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부재(115b)의 복원력에 의해 출몰블록(115a)이 돌출되면서 후크부(114a)와 걸림결합되면서 연결봉(113)이 착탈홈부(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착패널(32)로부터 연장되는 4개의 거치패드(116)에 설치되는 연결봉(113) 및 결합대(114)를 손잡이부(16)에 형성되는 4개의 착탈홈부(111)에 결합시켜 안착패널(32)과 손잡이부(16)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거치패드(116)가 권취되도록 안착패널(32)의 내부로 연장되는 홀부에 설치되는 권취부(117)와, 권취부(117)에 거치패드(32)가 감기도록 권취부(117)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118)를 더 포함한다.
안착패널(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권취부(117)를 이루는 축부재(117a)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패드(116)가 권취되고, 축부재(117a)의 일단에는 동력제공부(118)가 연결되어 축부재(117a)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거치패드(116)를 회전시키며 거치패드(116)를 축부재(117a)의 둘레면에 권취시키게 된다.
따라서 연결봉(113) 및 결합대(114)를 당겨 거치패드(116)를 손잡이부(16)에 안착시키면 거치패드(116)가 안착패널(32)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이루고, 손잡이부(16)로부터 거치패드(116)를 분리시켜 자유단으로 구속하지 않으면 동력제공부(118)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축부재(117a)가 회전되면서 거치패드(116)가 안착패널(3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축부재(117a)에 감기게 된다.
동력제공부(118)는, 안착패널(32)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고 축부재(117a)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원통케이스(118a)와, 일단부가 축부재(117a)에 고정되고, 원통케이스(118a) 내부에 회오리 모양으로 권취된 상태를 이루며, 타단부는 원통케이스(118a) 내벽에 고정되어 축부재(117a)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118b)을 포함한다.
따라서 축부재(117a)는 항상 일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력이 제공되고, 거치패드(116)를 안착패널(32) 외측으로 당기면 판스프링(118b)이 축부재(117a)에 밀착되게 감기고, 거치패드(116)를 당기는 외력이 해제되면 판스프링(118b)이 회오리 모양으로 벌어지면서 축부재(117a)를 회전시키므로 축부재(117a)에 거치패드(116)가 감기면서 안착패널(32) 내측으로 삽입된다.
마찰부(50)는, 지지대(54)로부터 측 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출몰대(58)와, 출몰대(58)의 단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52) 내벽에 마찰되는 볼부재(56)를 포함한다.
와이어(14)에는 본체블록(80)이 설치되고 본체블록(80)의 일측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지지대(54)가 설치되고, 지지대(54)의 외측 단부 양측면에는 각각 출몰대(58)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출몰대(58)의 단부에는 각각 볼부재(5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하강작업을 행할 때에는 사용자가 돌출패널(100)에 위치한 후에 잠금레버(106)를 해제하여 이동난간(102)과 고정난간(104)을 분리시키고, 본체블록(80)을 거치블록(86)에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에 구동부(90)를 작동시키면, 구동부(90)의 작동에 의해 회전구동축(82)이 회전되면서 본체블록(80)을 가이드레일(52) 측으로 회전시키고, 지지대(54)의 단부에 설치되는 볼부재(56)가 가이드레일(52) 내부에 삽입되어 와이어(14)가 가이드레일(52)과 인접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가이드레일(52)의 상단 또는 출몰홈부(52b)를 통해 한 쌍의 볼부재(56) 및 지지대(54)의 단부를 가이드레일(52)에 삽입하고, 본체블록(80)을 하강시키면 한 쌍의 볼부재(56)가 가이드레일(52)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된다.
가이드레일(52)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레일홀부(52a)는 하단까지 연장되므로 지지대(54)는 레일홀부(52a)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드럼(12)에는 감속장치가 구비되므로 드럼(12)으로부터 풀리는 와이어(14)가 필요 이상의 속도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하강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강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사용자의 공포감에 의해 하강속도를 보다 더 감속시키려 하는 경우에는 스위치부(70)를 조작하여 한 쌍의 볼부재(56)를 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면 볼부재(56)가 가이드레일(52) 내벽에 가압되면서 손잡이부(16)의 하강 속도가 보다 더 감속되는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스위치부(70)는, 본체블록(80)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72)와, 노브(72)의 수직방향 운동을 지지대(54) 측의 수평방향 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작동대(74)와, 작동대(74)로부터 절단되는 왕복 운동을 출몰대(58)의 측 방향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가압대(78)를 포함한다.
돌출부(16a)의 상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72)는, 하단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고, 중앙부에 제1스토퍼(72b)가 형성되어 제1스토퍼(72b)와 손잡이부(16) 내부에 형성되는 단차 사이에 제1탄성부재(72c)가 개재되므로 노브(72)는 돌출부(16a)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체블록(8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대(74)는, 제1경사면(72a)에 대향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각도를 이루는 제2경사면(74a)이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제2스토퍼(74b)가 형성되며, 제2스토퍼(74b)와 손잡이부(16) 내부의 단차 사이에 제2탄성부재(74c)가 개재되므로 작동대(74)는 손잡이부(16)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지지대(54)는 힌지부(76)에 의해 본체블록(80)의 전면 외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76)는, 본체블록(80) 전면 외벽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링부재(76a)와, 복수 개의 링부재(7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지지대(54)의 내측 단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축부재(76b)를 포함한다.
축부재(76b)는 내부가 중공되고, 작동대(74)의 외측 단부에 대향되는 축부재(76b)의 둘레면에 관통홀부(76c)가 형성되어 작동대(74)가 본체블록(80) 외측으로 돌출될 때에 작동대(74)의 외측 단부가 관통홀부(76c)를 통해 축부재(76b) 내부로 삽입된다.
지지대(54) 내부에는 출몰대(58)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대(74)의 외측 단부에 대향되는 단부에는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압판(78d)이 형성되며, 한 쌍의 출몰대(58)의 내측 단부에 대향되는 가압대(78)의 외측 단부 양측부에는 한 쌍의 제3경사면(78a)이 형성되고, 가압대(78)의 중앙부에는 제3스토퍼(78b)가 형성되고, 제3스토퍼(78b)와 지지대(54) 내부의 단차 사이에는 제3탄성부재(78c)가 개재되어 가압대(78)는 축부재(76b)의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 쌍의 출몰대(58) 내측 단부에는 한 쌍의 제3경사면(78a)에 대향되도록 각각 제4경사면(58a)이 형성되고, 출몰대(58)의 중앙부에는 제4스토퍼(58b)가 형성되며, 제4스토퍼(58b)와 지지대(54) 내부의 단차 사이에는 제4탄성부재(58c)가 개재되어 출몰대(58)가 지지대(54)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54) 및 볼부재(56)를 가이드레일(52)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면, 힌지부(76)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54)의 외측 단부가 상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를 이루게 되고, 이때, 축부재(76b)가 회전되므로 관통홀부(76c)와 작동대(74)의 단부가 대향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사용자가 노브(72)를 눌러 감속작동을 조작하면, 노브(72)가 하강하면서 제1경사면(72a)이 제2경사면(74a)을 가압하여 작동대(74)가 손잡이부(16)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되는 작동대(74)으 단부는 관통홀부(76c)로 삽입되어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압판(78d)을 밀어 가압대(78)를 지지대(54)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가압대(78)는 지지대(54) 외측 단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제3경사면(78a)이 제4경사면(58a)을 가압하게 되므로 한 쌍의 출몰대(58)는 지지대(54)의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볼부재(56)를 가이드레일(52) 내벽에 가압시키게 되어 볼부재(56), 지지대(54) 및 본체블록(80)의 하강 속도를 보다 더 감속시키게 된다.
회전구동축(82)은, 고정난간(104)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회전구동축(104)의 상단은 측 방향으로 굴곡되어 외측 단부에 본체블록(80)을 거치하는 거치블록(86)이 설치되며, 거치블록(86)의 상면은 개방되고, 거치블록(86)의 측면에는 지지대(54)가 돌출되게 삽입되는 삽입홈부(87)가 형성되며, 거치블록(86)의 저면에는 와이어(14)가 삽입되는 통과홀부(88)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치블록(86)에 본체블록(80)을 용이하게 거치시켜 가이드레일(5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가이드레일(52)에 마찰부(50)가 삽입된 후에는 본체블록(80)을 거치블록(86)으로부터 일정량 상승시켜 본체블록(80)과 거치블록(86)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후에, 하강작동을 개시하면 본체블록(80)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대(54)가 가이드레일(52)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지지대(54)에 연결되는 본체블록(80) 및 본체블록(80)으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4)에 설치되는 손잡이부(16), 안착패널(32)이 하강하면서 대피할 수 있게 된다.
이동난간(102)에는 고정난간(104)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레버부재(106)가 설치되고, 돌출패널(100)은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홈부에 양단 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부재(106)에는 버튼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레버부재(106)를 이동시켜 이동난간(102)과 고정난간(104)의 결합을 해제하며 구동부(90)에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구동축(82)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돌출패널(100)에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블록(80)을 거치블록(86)에 삽입하고 레버부재(106)를 해제하면 본체블록(80)을 가이드레일(52)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강하는 동안에 손잡이부(16)를 놓치거나 노브(72)를 가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6) 및 안착패널(32)이 급속도로 하강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급강방지부(200)가 구비되어 완강기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질 때에 와이어(214)에 장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급강하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급강방지부(200)는,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소방수가 담수되는 튜브부재(210)와, 튜브부재(210)가 수납되도록 주택의 외벽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250)와, 튜브부재(210)의 유입구(212)와 소화전(272)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관(216)과, 급수관(216)과 유입구(212)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220)와, 유입구(212)에 설치되고, 튜브부재(210)에 담수되는 소방수가 튜브부재(210)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230)와, 구동부가 작동되면 급수관(216)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여 튜브부재(210)에 소방수를 공급하고, 튜브부재(210)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배출부(280)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튜브부재(210)를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드럼(12)은 베란다의 내벽으로부터 주택의 벽체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드럼(12)에 권취되는 와이어(14)의 일단에는 손잡이부(16)가 설치되고, 와이어(14)의 타단에는 튜브부재(210)가 연결된다.
와이어(14)의 타단을 이루는 연장와이어(214)는 주택을 외벽을 통과하여 주택의 외벽에 오목 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부(250)까지 연장되고, 수납공간부(250)에 튜브부재(210)가 안착되게 배치된다.
튜브부재(210)의 배면 측에는 유입구(212)가 형성되고, 유입구(212)에는 소화전(272)으로부터 연장되는 급수관(216)이 연결되므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손잡이부가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면 급수관(216)에 설치되는 밸브가 개방되면서 소화전(272)으로부터 튜브부재(210) 내측으로 소방수가 공급되면서 튜브부재(210)의 크기 및 무게를 증가시키게 된다.
소방수의 공급이 개시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튜브부재(210)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어 배출부(280)로부터 무게신호가 제어부(270)에 송신되고, 제어부(270)에 수신되는 무게신호가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27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착탈부(220) 및 배출부(280)가 구동되어 급수관(216)과 유입구(212)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 후에 튜브부재(210)가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가압되어 낙하하면서 와이어(14)에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착탈부(220)는, 급수관(216) 외벽에 설치되고, 로드가 급수관(216)을 관통하여 유입구(212) 외벽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제1실린더(222)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나 소방수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제1실린더(222)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급수관(216)을 관통하는 로드가 유입구(212)의 외벽에 형성되는 홈부에 삽입되므로 급수관(216)과 유입구(212) 사이의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소방수의 공급이 개시된 후에 설정시간이 경과되어 튜브부재(210)의 무게가 설정치를 초과하면 제어부(270)에서 송신되는 해제신호에 따라 제1실린더(222)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급수관(216)과 유입구(212)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후에, 배출부(280)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212)가 급수관(216)으로부터 분리되어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튜브부재(210)가 낙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수관(216)과 유입구(212)가 분리되어도 역류방지부(230)의 작동에 의해 소방수가 튜브부재(210)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역류방지부(230)는, 유입구(212) 내벽의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형성되는 턱부(232)와, 턱부(232)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부재(234)와, 볼부재(234)를 턱부(232)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36)와, 탄성부재(236)를 지지하고, 소방수를 통과시키는 메시패널(238)을 포함한다.
따라서 공급관을 통해 주입되는 소방수에 의해 볼부재(234) 및 탄성부재(236)가 가압되면 탄성부재(236)가 압축되면서 볼부재(234)와 턱부(232)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이 간격을 통해 튜브부재(210) 내부로 소방수가 공급되고, 공급관과 유입구(212)가 분리되어 소방수의 압력이 차단되면 탄성부재(236)의 복원력 및 튜브부재(2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볼부재(234)가 턱부(232)에 밀착되게 가압되므로 볼부재(234)와 터부 사이의 간격을 통해 소방수가 튜브부재(210) 외측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공간부(250)에는 도어부재(252)가 설치되고, 도어부재(252)와 수납공간부(250) 사이에는 도어부재(252)를 구속하는 잠금부(256)가 설치되고, 구동부가 작동되면 제어부(270)로부터 송신되는 해제신호에 따라 잠금부(256)의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여기서, 잠금부(256)는, 도어부재(252)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축(254)을 중심으로 도어부재(252)가 회전될 때에 도어부재(252)의 하단을 구속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부(250)의 외측 하단에 설치되고, 로드가 도어부재(252) 측으로 출몰되도록 배치되는 제2실린더(258)와, 제2실린더(258)로부터 돌출되는 로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어부재(252)의 측면에 형성되는 잠금홈부(257)를 포함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제2실린더(25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잠금홈부(257)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납공간부(250)가 도어부재(252)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소방수의 공급이 개시되면 제어부(270)로부터 송신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제2실린더(258)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도어부재(252)가 힌지축(25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변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부재(252)이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튜브부재(210)와 급수관(216)이 분리되고, 급수관(216)으로부터 토출되는 소방수의 압력에 의해 튜브부재(210)가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낙하될 때에 도어부재(252)는 힌지축(254)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수납공간부(250)를 개방시키고, 튜브부재(210)는 연장와이어(214)를 주택 외측으로 당기면서 손잡이부 및 안착패널에 연결되는 와이어(14)에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배출부(280)는, 수납공간부(250)의 바닥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튜브부재(210)가 지지되는 바닥부재(282)와, 바닥부재(282)와 수납공간부(250) 사이에 개재되고, 튜브부재(210)의 무게 변화에 따라 무게신호를 제어부(270)에 송신하는 로드셀(284)과, 제어부(270)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튜브부재(210)를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가압하여 낙하시키면서 와이어(14)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3실린더(286)를 포함한다.
바닥부재(282) 수납공간부(25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부재(282)와 수납공간부(250) 바닥면 사이에는 다수 개의 로드셀(284)이 개재되므로 바닥부재(282) 상면에 안착되는 튜브부재(210)에 소방수가 충진되어 무게가 증가하면 로드셀(284)로부터 무게신호가 송신되어 제어부(270)에 수신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270)에 수신되는 무게신호가 설정치를 초과하게 되면 제어부(270)로부터 송신되는 작동 신호에 따라 제3실린더(286)로부터 로드가 돌출되므로 수납공간부(250)의 배면을 이루는 가압패널(288)이 튜브부재(210)를 수납공간부(250) 외측으로 가압하면서 건물 외측으로 튜브부재(210)를 낙하시키면서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가압패널(288)에는 간섭홈부(288a)가 형성되어 제3실린더(286)로부터 로드가 돌출될 때에 수납공간부(250)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압패널(288)과 급수관(216)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노약자나 어린이가 착석하여 하강작동을 행할 수 있고,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측으로 흔들리며 발생되는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완강기의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화재 발생 시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착패널과 와이어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이 하강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탑승하는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발코니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드럼
14 : 와이어 16 : 손잡이부
16a : 돌출부 30 : 수납케이스
32 : 안착패널 116 : 거치패드
50 : 마찰부 52 : 가이드레일
54 : 지지대 56 : 볼부재
58 : 출몰대 70 : 스위치부
72 : 노브 74 : 작동대
76 : 힌지부 78 : 가압대
80 : 본체블록 90 : 구동부
100 : 돌출패널 200 : 급강방지부
210 : 튜브부재 220 : 착탈부
230 : 역류방지부 250 : 수납공간부
270 : 제어부 280 : 배출부

Claims (3)

  1. 베란다 또는 발코니 내벽에 설치되고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상기 본체 외측으로 연장 가능하게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거치패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상기 거치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에 보관되는 안착패널;
    건물의 외벽을 따라 지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와이어에 설치되는 본체블록;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대 사이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부;
    상기 본체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와 상기 가이드레일를 접촉 또는 분리 시키는 스위치부;
    베란다 또는 발코니 바닥면에 건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난간이 구비되는 돌출패널;
    상기 이동난간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블록이 안착되는 회전구동축;
    상기 회전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가이드레일에 상기 마찰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구동부;
    상기 거치패드를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연결착탈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하강할 때에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여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안착패널이 일정 속도 이상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급강방지부; 및
    상기 급강방지부가 오작동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제공되지 않을 것을 방지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강방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고, 소방수가 담수되는 튜브부재;
    상기 튜브부재가 수납되도록 주택의 외벽에 형성되는 수납공간부;
    상기 튜브부재의 유입구와 소화전 사이에 설치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과 상기 유입구를 연결 또는 분리시키는 착탈부;
    상기 유입구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부재에 담수되는 소방수가 상기 튜브부재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 및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튜브부재에 소방수를 공급하고, 상기 튜브부재의 무게가 설정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배출부에 작동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튜브부재를 상기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낙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는,
    상기 유입구 내벽의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형성되는 턱부;
    상기 턱부 내측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부재;
    상기 볼부재를 상기 턱부 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소방수를 통과시키는 메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납공간부의 바닥면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튜브부재가 지지되는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수납공간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튜브부재의 무게 변화에 따라 무게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로드셀;
    상기 제어부로부터 작동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튜브부재를 상기 수납공간부 외측으로 가압하여 낙하시키면서 상기 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3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KR1020170138435A 2017-10-24 2017-10-24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KR101804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435A KR101804904B1 (ko) 2017-10-24 2017-10-24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8435A KR101804904B1 (ko) 2017-10-24 2017-10-24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904B1 true KR101804904B1 (ko) 2017-12-05

Family

ID=6092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8435A KR101804904B1 (ko) 2017-10-24 2017-10-24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96B1 (ko) * 2019-10-04 2020-04-07 권숙희 태양광 패널이 부착된 안전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08B1 (ko) 2016-06-17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탈출이 용이한 소방용 완강기
KR101700447B1 (ko)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1713273B1 (ko) 2016-12-29 2017-03-0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1731636B1 (ko) 2016-11-24 2017-05-02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9708B1 (ko) 2016-06-17 2016-11-2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탈출이 용이한 소방용 완강기
KR101731636B1 (ko) 2016-11-24 2017-05-02 주식회사 21세기이엔지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KR101700447B1 (ko) 2016-12-02 2017-01-31 (주)명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1713273B1 (ko) 2016-12-29 2017-03-07 주식회사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196B1 (ko) * 2019-10-04 2020-04-07 권숙희 태양광 패널이 부착된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AU2005275639B2 (en) Life saving implement
JP6949147B2 (ja) 建築物での火災・災難避難施設
JPH0416190B2 (ko)
KR101713273B1 (ko) 건축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1731636B1 (ko) 건축물 소방용 완강기
KR101976476B1 (ko) 화재 재난용 긴급탈출 승강장치
KR10180490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발코니 구조
KR101817575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US4703831A (en) Fire escape apparatus for use in multi-story buildings and method of escape
KR20110005130A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장치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KR101700447B1 (ko) 건축용 소방용 완강기 거치대 절첩장치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US20040245047A1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from edifices such as buildings, drilling platforms, ships or the like
CN210422413U (zh) 一种防火控火装置
KR101171249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448006Y1 (ko) 옥외 설치용 완강기 거치대
KR101793211B1 (ko) 주택용 소방 완강기
KR20110054882A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004601B1 (ko) 무동력 구동방식의 정속하강 비상탈출장치
KR102109587B1 (ko) 접이식 피난 기구
US6907956B2 (en) Device for rescuing persons, objects and the like from buildings
KR102321581B1 (ko) 발판의 추락 방지를 제공하는 자가 구동형 비상탈출 장치
KR20110062251A (ko) 건물 화재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