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550B1 -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550B1
KR100891550B1 KR1020080089206A KR20080089206A KR100891550B1 KR 100891550 B1 KR100891550 B1 KR 100891550B1 KR 1020080089206 A KR1020080089206 A KR 1020080089206A KR 20080089206 A KR20080089206 A KR 20080089206A KR 100891550 B1 KR100891550 B1 KR 10089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ntrol
baton
wire
bat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환
Original Assignee
(주)금광스테이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광스테이지시스템 filed Critical (주)금광스테이지시스템
Priority to KR1020080089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대의 천정에 설치되는 배튼(batten)이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로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의 고장으로 승,하강하던 배튼이 멈추지 않고 무대로 추락하여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현재,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한 배튼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배트을 원하는 위치 지점에서의 고정 제어가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모터가 고장날 경우 배튼이 하강하는 도중 갑자기 무대로 추락하여 예기치 못한 치명적인 인명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모터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거나 브레이크 모터의 고장으로 인한 작동 중지 신호에 따라 가이드 롤러의 회전을 중지시켜 배튼에 연결된 와이어가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튼의 하강을 중지시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무대장치, 배튼, 추락, 브레이크 모터, 롤러

Description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A batten fall prevention system for stage device}
본 발명은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대의 천정에 설치되는 배튼(batten)이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로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의 고장으로 승,하강하던 배튼이 멈추지 않고 무대로 추락하여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국 등의 세트장이나 무대의 천정에는 다양한 조명장치와 무대장비들을 효율적으로 배치, 교체하기 위한 배튼(batten)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이때 배튼에는 다수의 조명기구나 마이크, 무대 세트의 배경 형성을 위한 세트막 등이 포함된 다양한 무대장비들이 매달려 있고, 이러한 배튼에는 타단이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되어 권취드럼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되는 다수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의 감김과 풀림에 의하여 필요한 높이까지 승,하강토록 되어 있고, 배튼의 상측으로는 가이드 롤러가 일정간격을 갖도록 배치되어 배튼에 연결된 각각의 와이어를 가이드하고 무게 균형을 이루면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함 으로써 무대의 전환 및 상황에 따라 무대장비들의 효율적인 배치,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튼은, 자동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정확한 위치 지점에서의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원하는 위치 지점에서의 배튼 고정 제어가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브레이크 모터가 고장나 작동이 중지될 경우 배튼이 하강하는 도중 갑자기 무대로 추락하여 예기치 못한 치명적인 인명 사고가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모터와 동시에 작동되도록 하거나 브레이크 모터의 고장으로 인한 작동 중지가 이루어지는 순간 가이드 롤러의 회전을 중지시켜 배튼에 연결된 와이어가 더 이상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튼의 하강을 중지시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은, 롤라가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에 롤라의 일측부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수직레일과 상기 수직레일의 상측으로는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제어스위치와 제어스위치의 개폐에 따라 승,하강되어 롤라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레버로 구성된 롤라 제어장치를 형성시켜 구성토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은, 자동 제어시스템의 브레이크 모터와 함께 배튼의 승,하강 제어를 이중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튼이 하강하는 도중 자동 제어시스템의 브레이크 모터 고장으로 인한 추락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은, 다수의 조명기구나 마이크, 무대 세트의 배경 형성을 위한 세트막 등이 포함된 다양한 무대장비들이 매달려 있는 배튼(1)과, 상기 배튼(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와이어(2)와,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된 와이어(2)를 구동모터에 의한 정,역회전으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하고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에 의하여 상기 배튼(1)을 필요한 높이까지 자동으로 승,하강토록 하는 자동제어장치(3)와, 상기 배튼(1)에 연결된 와이어(2)를 가이드하여 무게 균형을 이루면서 배튼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롤러(10)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라(10)가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20)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제어장치(3)의 제어부 신호 또는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 중지 시 작동되어 롤라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롤라 제어장치(4)로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롤라 제어장치(4)는 브라켓(20)에 상기 롤라(10)의 일측부가 수용 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벽(30)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30)의 상측으로는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 또는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 중지 시 작동되는 제어스위치(40)와 상기 제어스위치(40)의 개폐 단속에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롤라(1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레버(50)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스위치(40)는 솔레노이드가 사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중앙으로는 상기 제어레버(50)의 상측단에 하측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축(61)으로 축 결합되고 상측단으로는 스토퍼(62)가 형성되어 솔레노이드에 의한 전기적 흐름 및 차단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지지대(60)가 관통되어 지지대(60)의 승,하강 높이만큼 제어레버(50)의 승,하강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어레버(50)는 내측면이 하측으로 점차 협소해지는 경사면(51)으로 이루어져 있고, 외측면은 상기 롤라(10)의 일측부 중앙부가 위치된 지점의 지지벽(30) 측방 내측으로 결합축(71)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 결합되어 있는 링체(70)에 의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하강 시 회전되고 있는 롤라(10)의 테두리홈(11) 일측부를 타고 삽입되면서 내측의 경사면(51)과 테두리홈(11)의 일측부 중앙부와의 결착을 통하여 회전되는 롤라(10)의 중지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레버(50)의 경사면(51)은 상기 롤라(10) 테두리홈(11)과의 결착면이 커지도록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롤라(10)의 회전 중지를 위한 제어 효과가 증진토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레버(50)와 브라켓(20) 사이에는 스프링(80)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레버(50)가 스프링(80)에 의하여 탄지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롤라(10) 의 정지를 위한 하강 시 스프링(80)의 복원에 의하여 더욱 빠른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튼의 더욱 우수한 추락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을 설치하여 배튼의 승,하강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에 따라 본 발명의 제어스위치(40)가 작동되어 제어레버(5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롤라(1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롤라(10)의 회전을 통하여 배튼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권취드럼으로부터 풀어지면서 하측으로 안내되어 배튼의 하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제어부에 설정된 배튼의 하강 중지 위치의 지점 신호 또는 자동 제어시스템의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는 순간에 보내지는 신호에 의하여 제어스위치(40)의 개폐 단속이 이루어져 제어레버(50)가 하강되면서 제어레버(50)와 회전되는 롤라(10)와의 결착이 이루어지는 순간 롤라(10)의 회전이 중지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튼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풀림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하강 도중 멈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배튼의 하강을 멈추게 하는 브레이크 모터가 고장나 작동이 중지될 경우라도 배튼이 무대로 하강하면서 추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 형성된 롤라 제어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롤라 제어장치에 의하여 롤라의 회전이 중지되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롤라 11: 테두리홈
20: 브라켓 30: 지지벽
40: 제어스위치 50: 제어레버
60: 지지대 61: 결합축
70: 링체 71: 결합축
80: 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무대장비들이 매달려 있는 배튼(1)과, 상기 배튼(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권취드럼에 연결되는 와이어(2)와, 상기 권취드럼에 연결된 와이어(2)를 구동모터에 의한 정,역회전으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브레이크 모터에 의하여 상기 배튼(1)을 필요한 높이까지 자동으로 승,하강토록 하는 자동제어장치(3)와, 상기 배튼(1)에 연결된 와이어(2)를 가이드하는 롤러(10)와, 상기 롤라(10)가 장착되어 있는 브라켓(20)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제어장치(3)의 제어부 신호 또는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 중지 시 작동되어 롤라에 감겨진 와이어의 승강을 단속할 수 있도록 된 롤라 제어장치(4)로 구성되고, 상기 롤라 제어장치(4)는 롤라(10)의 일측부가 수용되도록 하기 위한 지지벽(30)과, 상기 지지벽(30)의 상측으로 자동 제어시스템의 제어부 신호 또는 브레이크 모터의 작동 중지 시 작동되는 제어스위치(40)와, 상기 제어스위치(40)의 개폐 단속에 따라 승,하강되어 상기 롤라(10)의 회전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레버(5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스위치(40)는 솔레노이드가 사용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의 중앙으로는 상기 제어레버(50)의 상측단이 하측단에 결합축(61)으로 결합되고 상측단으로는 스토퍼(62)가 형성된 지지대(60)가 관통되어 제어레버의 승,하강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되고, 상기 제어레버(50)는 내측면이 하측으로 점차 협소해지는 경사면(51)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은 상기 롤라(10)의 일측부 중앙부가 위치된 지점의 지지벽(30) 측방 내측으로 결합축(71)으로 결합되어 있는 링체(70)에 의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하강 시 회전되고 있는 롤라(10)의 테두리홈(11) 일측부를 타고 삽입되면서 내측의 경사면(51)가 롤라(10)의 테두리홈(11)에 결착되도록 된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레버(50)의 경사면(51)은 만곡면으로 이루어진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레버(50)는 브라켓(20)에 스프링(80)으로 연결된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KR1020080089206A 2008-09-10 2008-09-10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KR10089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06A KR100891550B1 (ko) 2008-09-10 2008-09-10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206A KR100891550B1 (ko) 2008-09-10 2008-09-10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1550B1 true KR100891550B1 (ko) 2009-04-03

Family

ID=4075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206A KR100891550B1 (ko) 2008-09-10 2008-09-10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5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80B1 (ko) 2013-11-26 2014-10-13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3A (ja) * 1993-01-07 1994-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KR20030028818A (ko) * 2001-06-29 2003-04-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645892B1 (ko) 2005-06-09 2006-11-14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483A (ja) * 1993-01-07 1994-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用制動装置
KR20030028818A (ko) * 2001-06-29 2003-04-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비상 브레이크 장치
KR100645892B1 (ko) 2005-06-09 2006-11-14 주식회사 두륭 무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880B1 (ko) 2013-11-26 2014-10-13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1571436B1 (ko) 서브웨이트를 이용한 저속착상형 무대방화막장치 및 제어방법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JP2009533300A (ja) 昇降リールを備える昇降装置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EP3702315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0891550B1 (ko)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CN201240728Y (zh) 电梯装置
JP2009221730A (ja) シャッター装置
KR101978487B1 (ko) 홀딩장치를 가지는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0972000B1 (ko) 추락 방지 안전 장치
KR101012293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1190236B1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JP2010205431A (ja) 昇降式照明装置
KR102534553B1 (ko) 전동 디퓨저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213827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 시스템 운용방법
JP2000220366A (ja) 電動ブラインド
JPH077700U (ja) 舞台吊物の昇降装置
KR960000663Y1 (ko) 유선마이크 승강장치
JP2010118219A (ja) 電動昇降装置および昇降式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