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880B1 -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880B1
KR101448880B1 KR1020130144625A KR20130144625A KR101448880B1 KR 101448880 B1 KR101448880 B1 KR 101448880B1 KR 1020130144625 A KR1020130144625 A KR 1020130144625A KR 20130144625 A KR20130144625 A KR 20130144625A KR 101448880 B1 KR101448880 B1 KR 101448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wedge
rotary arm
sta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Priority to KR102013014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장치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무대장치를 잡아주는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경우에 순간적으로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는, 공연무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P)에 설치된 와이어로프(W)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쐐기용 가압구가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P) 또는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와이어로프(W)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가 구비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쐐기가 구비된 쐐기암을 포함하여, 와이어로프(W)의 끊어짐 발생시 회전암이 회전하여 쐐기암의 쐐기가 쐐기용 가압구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Brake equipment for stage setting wire rope}
본 발명은 무대장치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무대장치를 잡아주는 와이어로프가 끊어질 경우에 순간적으로 잡아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연무대에서는 다양한 장르와 연출을 위하여 많은 무대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대장치는 구동장치와 와이어로프에 의하여 올라갔다 내려갔다 한다.
즉, 무대장치의 상부는 장치봉(batten)이 구비되고, 상기 장치봉에 와이어로프가 연결되며, 이 와이어로프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에 감겼다 풀렸다 하고 이로 인하여 무대장치는 상하로 승,하강을 하게 된다.
이러한 무대장치는 공연무대를 위하여 많은 수가 필요하며, 그 수는 보통 공연무대의 스케일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이 공연무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많은 수의 무대장치는 저중량물에서부터 고중량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중량물의 무대장치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무대장치(A)는 다수의 안내롤러(R)에 안내되는 와이어로프(W)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로프(W)는 구동장치(M)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이어로프 권취용 드럼(D)에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무대장치(A)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무대장치(A)의 하측에서는 배우들이 연극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와이어로프(W)가 끊어지는(절단되는) 경우 무대장치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보수와 검사를 실시하나, 종종 와이어로프(W)가 끊어져(절단되어) 무대장치가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첨부된 특허문헌들과 같이 와이어로프의 절단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는 엘리베이터용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다수의 무대장치(A)로 인하여 많은 와이어로프(W)가 사용되며 설치장소가 협소한 공연무대에 적용하기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10-0682036호(등록. 2007.02.06) (KR) 등록특허공보 10-06774990호(등록. 2007.11.02) (KR)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3368호(공개. 2008.08.19)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무대장치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무대장치의 장치봉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의 절단시 무대장치의 추락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공연무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P)에 설치된 와이어로프(W)를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쐐기용 가압구가 구비된 브라켓과; 상기 프레임(P) 또는 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와이어로프(W)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가 구비된 회전암과; 상기 회전암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쐐기가 구비된 쐐기암을 포함하여, 와이어로프(W)의 끊어짐 발생시 회전암이 회전하여 쐐기암의 쐐기가 쐐기용 가압구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진 본 발명의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에 의하여 해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암에는 와이어로프(W)의 끊어짐 발생시 회전암의 빠른 대응을 위하여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롤러가 와이어로프(W)에 안착되지 않게 임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P) 또는 회전암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전암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쇠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는 프레임(P)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쐐기암에는 쐐기가 와이어로프(W)에 접촉되지 않도록 쐐기암용 탄성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는 와이어로프가 절단(끊어짐)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와이어로프를 신속하게 잡아줌으로써 무대장치가 추락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이용하는 브레이크장치와 달리 별도의 전기, 유압 및 공압 등과 같은 보조동력수단이 필요없는 것으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보조동력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동력의 끊김 현상으로 인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다수의 무대장치에 의하여 많은 와이어로프가 사용되는 공연무대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쐐기가 쐐기용 가압구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잡아줌으로써 아주 강한 브레이크 능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와이어로프가 절단(끊어짐)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쐐기의 형상 및 모양 또는 재질의 변화를 통하여 브레이크 능력 조절이 가능한 한편,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통하여 신속한 대응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연무대를 위한 무대장치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가 설치된 사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의 정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의 정면 개략도 고정쇠에 의하여 회전암이 고정된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의 작동상태로 와이어로프가 절단시 회전암이 회전하여 와이어로프를 고정하는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의 정면 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공연무대를 위한 장치 중 무대장치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기 위하여 일단은 무대장치의 장치봉(batten)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하는 권취용 드럼에 연결되며 다수의 안내롤러로 안내되는 와이어로프의 절단시 와이어로프를 순간적으로 잡아주어 무대장치가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B)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B)는, 공연을 위한 공연무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프레임(P)의 하측에 설치된 와이어로프(W)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쐐기용 가압구(12)가 구비된 브라켓(10)과, 상기 브라켓(10)의 상부에 설치된 설치대(13)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와이어로프(W)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21)가 구비된 회전암(20)과, 상기 회전암(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쐐기(31)가 구비된 쐐기암(30)과, 상기 설치대(13)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회전암(20)의 회전을 고정시키는 고정쇠(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P)은 공연무대에서 사용되는 장치들 중에서 상부에 설치되는 일부구성들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P)은 공연무대의 상부에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라켓(10)에는 와이어로프(W)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상기 안내롤러(11)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쐐기용 가압구(12)와, 설치대(13)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용 가압구(12)는 쐐기(31)의 진입시 쐐기(31)가 도면상 상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로프(W)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보통 봉으로 이루어지며, 또는 롤러로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설치대(13)는 회전암(20)과 고정쇠(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첨부된 실시 예인 도면과 같이 보통 브라켓(10)에 설치되며, 또는 프레임(P)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암(20)은 와이어로프(W)의 절단시 회전하도록 하여 쐐기(31)가 쐐기용 가압구(12)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와이어로프(W)의 절단시 회전하도록 일단은 설치대(13)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안착롤러(21)가 구비되며, 상기 안착롤러(21)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와이어로프(W)의 상부에 안착된다.
또한, 도 5와 같이 와이어로프(W)의 절단시 회전암(20)이 빠르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암(20)의 회전을 돕는 탄성부재(22)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22)는 보통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며, 일단은 설치대(13)에 고정되고, 타단은 회전암(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쐐기암(30)은 와이어로프(W)의 절단시 회전하는 회전암(20)에 힌지결합되어 쐐기(31)가 설치된 일단이 쐐기용 가압구(12)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잡아주는 구성으로, 일단은 회전암(2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쐐기(31)가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쐐기암(30)을 들어올려 정상(와이어로프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시 쐐기(31)가 와이어로프(W)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쐐기암용 탄성부재(예, 코일스프링)(32)가 구비된다.
상기 쐐기(31)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으나, 보통 마찰계수가 큰 재질인 비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쇠(40)는 회전암(20)의 안착롤러(21)가 와이어로프(W)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설치 및 보수시 이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쇠(40)는, 일단은 설치대(13)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여 회전암(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과 같이 프레임(P)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B, B')를 한쌍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6과 같이 브라켓(10)과 회전암(20)과 쐐기암(30) 및 고정쇠(40)를 프레임(P)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대응되게 양측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B)는, 도 4와 같이 고정쇠(40)를 이용하여 회전암(20)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을 시킨 후에 와이어로프(W)를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로프(W)의 설치가 완료되면 회전암(20)을 지지하고 있는 고정쇠(40)를 회전시켜 회전암(20)의 안착롤러(21)가 와이어로프(W)에 안착되도록 한다.
도 5와 같이 와이어로프(W)가 절단되어 처짐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회전암(20)은 힌지를 중심으로 신속하게 회전을 하며, 상기 회전암(20)의 회전에 의하여 쐐기암(30)의 선단에 형성된 쐐기(31)는 쐐기용 가압구(12)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빠른 대응에 의하여 와이어로프(W)로 지지되는(매달리는) 무대장치의 추락을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인명사고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P : 프레임 W : 와이어로프
B, B' :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10 : 브라켓 11 : 안내롤러
12 : 쐐기용 가압구 13 : 설치대
20 : 회전암 21 : 안착롤러
22 : 탄성부재
30 : 쐐기암 31 : 쐐기
32 : 탄성부재
40 : 고정쇠

Claims (5)

  1. 공연무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P)에 설치된 와이어로프(W)를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쐐기용 가압구(12)가 구비된 브라켓(10)과;
    상기 프레임(P) 또는 브라켓(1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타단은 와이어로프(W)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롤러(21)가 구비된 회전암(20)과;
    상기 회전암(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타단은 쐐기(31)가 구비된 쐐기암(30)을 포함하여,
    와이어로프(W)의 끊어짐 발생시 회전암(20)이 회전하여 쐐기암(30)의 쐐기(31)가 쐐기용 가압구(12)와 와이어로프(W) 사이에 삽입되어 와이어로프(W)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암(20)에는 와이어로프(W)의 끊어짐 발생시 회전암(20)의 빠른 대응을 위하여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2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롤러(21)가 와이어로프(W)에 안착되게 임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P) 또는 회전암(20)에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회전암(20)의 회전을 고정하는 고정쇠(4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는 프레임(P)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암(30)에는 쐐기(31)가 와이어로프(W)에 접촉되지 않도록 쐐기암용 탄성부재(3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KR1020130144625A 2013-11-26 2013-11-26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KR101448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25A KR101448880B1 (ko) 2013-11-26 2013-11-26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625A KR101448880B1 (ko) 2013-11-26 2013-11-26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8880B1 true KR101448880B1 (ko) 2014-10-13

Family

ID=5199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625A KR101448880B1 (ko) 2013-11-26 2013-11-26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36B1 (ko) 2016-09-08 2017-02-07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마무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996U (ko) * 1985-10-21 1987-04-30
JPH0952694A (ja) * 1995-08-16 1997-02-25 Toyo Kooken Kk ウインチ
KR100891550B1 (ko) 2008-09-10 2009-04-03 (주)금광스테이지시스템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KR100972000B1 (ko) 2010-04-15 2010-07-22 이광현 추락 방지 안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996U (ko) * 1985-10-21 1987-04-30
JPH0952694A (ja) * 1995-08-16 1997-02-25 Toyo Kooken Kk ウインチ
KR100891550B1 (ko) 2008-09-10 2009-04-03 (주)금광스테이지시스템 무대장치용 배튼 추락 방지 시스템
KR100972000B1 (ko) 2010-04-15 2010-07-22 이광현 추락 방지 안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536B1 (ko) 2016-09-08 2017-02-07 주식회사 석화디자인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마무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1068Y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충격완화장치
DE112012006231T5 (de) Aufzugsvorrichtung
JP7001971B2 (ja) エレベータ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WO2014122754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448880B1 (ko) 무대장치 와이어로프용 브레이크장치
CN105731212B (zh) 调速器以及电梯装置
JP6522564B2 (ja) 調速機、および、試験装置
KR100972000B1 (ko) 추락 방지 안전 장치
JP6518225B2 (ja) ケーブルグリッパ
KR20100098175A (ko) 와이어지지용 활차를 구비하는 무대장치
JP58189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7210332A (ja) 調速ロープ取り替え用工具
JP2018030687A (ja) エレベータ用レール保持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保持方法
JP5875789B2 (ja) ロープ据付方法
JPWO2015015632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62176A (ja) エレベータ
JP7340025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
JP2012051702A (ja) 移動仮設作業装置
JP20101681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CN216662299U (zh) 一种不锈钢板的薄膜上料装置及薄膜贴合加工线
KR101301987B1 (ko) 와이어로프 리빙용 텐션장치
JPH07315718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JPS6326376Y2 (ko)
JP6305317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アンバランス補償装置
CN207142562U (zh) 夹绳式电梯轿厢意外移动和上行超速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