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336B1 -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336B1
KR101658336B1 KR1020160045423A KR20160045423A KR101658336B1 KR 101658336 B1 KR101658336 B1 KR 101658336B1 KR 1020160045423 A KR1020160045423 A KR 1020160045423A KR 20160045423 A KR20160045423 A KR 20160045423A KR 101658336 B1 KR101658336 B1 KR 10165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pulley
driving motor
lumina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위철
Original Assignee
(주)성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성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16004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기구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등기구의 전구 수명 종료로 인한 전구 교체나, 고장수리, 유지보수 등에 따른 등기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UP AND DOWN DEVICE FOR ILLUMINATION APPARATUS WIHT SAFETY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등기구의 전구 수명 종료로 인한 전구 교체나, 고장수리, 유지보수 등에 따른 등기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등기구의 승강에 따라 연결부가 지지부와 인접하거나 접하면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과 같은 작업장이나 호텔로비, 체육관, 공장, 교회, 공연장, 예식장, 연회장, 주유소 등과 같이 천장이 비교적 높은 곳에는 고소용 등기구가 설치 사용된다.
이러한, 등기구는 최초 사용시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전구의 제한된 수명에 의해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것은 물론, 등기구에 대한 고장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과 함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높은 천장에 설치 사용되는 등기구의 점검이나, 청소작업 등을 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특성상 별도의 고소 작업장비 즉, 고소 작업대,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 등을 이용하여 고소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은 지상에서의 작업보다 더 많은 주의 및 숙련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고소 작업중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 등의 안전 사고 위험에 항상 노출되는 것은 물론, 고소 작업장비의 사용에 따른 경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792호에는 등기구 승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등기구 승강장치는 단수의 승강케이블에 의해 등기구의 중앙부와 연결되기 때문에 구동에 따라 등기구가 회전되면서 승강케이블이 꼬이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26792호(2003.09.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등기구의 전구 수명 종료로 인한 전구 교체나, 고장수리, 유지보수 등에 따른 등기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등기구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등기구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등기구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기구용 승강장치로써, 상기 등기구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풀리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지지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에 감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등기구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 및 상기 연결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이어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의 풀림 또는 감김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풀리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연결부를 병렬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감지부는, 상기 풀리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 상기 통공으로 빛이 통과되도록 하는 광센서; 및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광센서의 빛의 회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등기구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하강정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풀리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풀리로 감김 또는 풀림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한편, 가이드하는 보조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내측으로 상기 보조풀리가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풀리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등기구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 장력이 작용되면서 그 가압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하강정지부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풀리의 하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로의 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조풀리를 가압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하강되는 상기 보조풀리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보조풀리의 승강에 따라 작동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연결수단은, 상기 풀리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회전판; 및 내측으로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통과되도록 상부에 상기 회전판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회전판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본체부는, 상기 연결부에 허용 가능한 중량 이상의 등기구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허용중량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허용중량감지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편, 그 판스프링의 타단부와 이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등기구의 중량이 허용 가능한 중량을 초과함에 따라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연결부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잠금고리;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고리가 결속되는 한 쌍의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잠금고리가 인입되는 잠금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잠금공을 개폐하는 개폐바;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개폐바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공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장에 설치된 상태로부터 등기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등기구의 전구 수명 종료로 인한 전구 교체나, 고장수리, 유지보수 등에 따른 등기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와이어와 복수의 가이드롤러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하강정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회동수단 및 허용중량감지부를 나태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회동수단 및 허용중량감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길이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안전수단 및 전원연결수단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에서 전원연결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구조물에 설치되어 등기구(20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등기구(200)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이하 "등기구용 승강장치"라 한다)(1)로써, 상기 등기구(200)가 연결되는 연결부(10), 상기 연결부(10)의 상측에 위치되며 구동모터(21) 및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는 풀리(22)를 포함하는 본체부(20),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며 내측으로 공간부(30a)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20)가 수용되는 지지부(30) 및 상기 연결부(10)와 상기 본체부(20)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22)에 감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연결부(10)와 함께 상기 등기구(200)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40)를 포함한다.
구조물은 공장 등과 같은 작업장이나 호텔로비, 체육관, 공장, 교회, 공연장, 예식장, 연회장, 주유소 등과 같은 건축물의 천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등기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용으로 이루어지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등기구(200)의 전구 수명 종료로 인한 전구 교체나, 고장수리, 유지보수 등에 따른 등기구의 승,하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유,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구동모터(21)로 공급되도록 하거나, 차단하여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른 상기 등기구(200)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등기구(200)로 공급,차단 및 점,소등하는 등 상기 등기구(200)를 함께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3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공간부(30a)를 형성하는 케이싱(31)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31)의 상부를 차단하는 덮개(3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덮개(32)에 구비되며, 구조물에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고리(33a)를 포함하는 지지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0)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4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연결부(10)를 상기 와이어(40)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40)의 풀림 또는 감김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40)는 일단부가 상기 풀리(22)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20)에 연결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에 의해 상기 연결부(10)에 연결되는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0)를 병렬로 지지하는 형태를 이룬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단부가 상기 풀리(22)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41),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단부가 상기 본체부(2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와이어(41)와 병렬로 배치되는 제2와이어(42) 및 상기 제1,2와이어(41,42)의 하단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에 연결되는 제3와이어(4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롤러(6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10)의 상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와이어(40)에 상기 연결부(10)가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40)의 감김 또는 풀림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와이어(41,42)에 의해 상기 연결부(10)를 병렬로 지지하면서 그 연결부(10)에 연결되는 상기 등기구(200)를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상기 제1,2와이어(41,42)에 상기 등기구(200)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음으로써 중앙부만을 지지할 때에 비해 와이어의 굵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등기구(200)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1)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가 수용되는 안전챔버(12)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1)는 원형이나,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플레이트(11)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등기구(200)가 매달려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고리(13a)를 구비하는 연결부재(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챔버(12)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연결판(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챔버(12)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로부터 상기 와이어(40)의 이탈에 따른 상기 연결부(10) 및 상기 등기구(200)의 낙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안전챔버(1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상기 제3와이어(43)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되면서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상기 연결판(14)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가 수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11)에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안전챔버(12)에는 상기 제1,2와이어(41,42)의 하단부가 인입되는 한 쌍의 유출입구(1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하방향으로 함몰되면서 함몰공간(11a)을 형성하며, 상기 안전챔버(12)는 상기 함몰공간(11a)으로 수용되면서 양단부가 그 함몰공간(11a)을 이루는 측벽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상기 한 쌍의 유출입구(12a)는 상기 안전챔버(1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10)는 상기 와이어(40)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6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도 낙하됨이 없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는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웜기어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풀리(22)는 양면을 가지며, 그 양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구동모터(21)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둘레에 상기 와이어(40)가 감기도록 하거나, 둘레에 감긴 상기 와이어(40)가 풀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풀리(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이루는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는 'V'자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와이어(40)가 중앙부에 일정하게 감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2)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41)의 양단부 사이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풀리(22)로의 상기 와이어(40)의 감김 또는 풀림을 가이드하는 보조풀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케이싱(31)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보조풀리(23)가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판(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상기 등기구(200)가 건축물의 내부 바닥면 등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하강정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동모터(21)의 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등기구(200)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그 하강이 자동으로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등기구(200)의 파손과 함께 상기 와이어(40)의 꼬임 등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조풀리(23)는 상기 연결부(10)에 상기 등기구(200)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40)로 장력이 작용되면서 그 가압에 의해 하강된다.
상기 하강정지부(7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34) 또는 상기 지지부(30)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풀리(23)의 하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40)로의 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조풀리(23)를 가압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71) 및 하강되는 상기 보조풀리(23)의 가압에 의해 눌림 즉,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보조풀리(23)의 승강에 따라 작동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7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34)에는 상기 보조풀리(23)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공(34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풀리(23)는 구비되는 축이 상기 가이드공(34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그 가이드공(34a)을 따라 승,하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탄성부재(71)는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풀리(23)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그 보조풀리(23)의 하강에 따라 수축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40)로의 장력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조풀리(23)가 원위치로 회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2)는 상기 제어부(50) 및 상기 구동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보조풀리(23)는 상기 지지판(34)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와이어(40)로 작용하는 상기 등기구(200)의 하중에 따른 장력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72)와 접한다. 이때의, 상기 구동모터(21)는 구동 또는 구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탄성부재(71)는 수축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등기구(200)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21)는 상기 보조풀리(23)가 상기 와이어(40)로 상기 등기구(200)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으면서 수축된 상기 탄성부재(71)의 이완에 따라 원위치로 승강되는 동시에 상기 리미트스위치(72)와 이격되면서 구동이 정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상기 구동모터(21)의 하강 구동에 따라 상기 등기구(200)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그 하강이 자동으로 정지됨으로써 상기 등기구(200)의 파손과 함께 상기 와이어(40)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와이어(42)의 상단부를 상기 지지부(3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수단(24)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동연결수단(24)은 상기 풀리(22)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40)의 타단부 즉, 상기 제2와이어(42)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회전판(24a),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회전판(24a)이 상기 제2와이어(42)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베어링(24b)을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24b)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판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풀리(22)의 타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부(30)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와이어(42)는 상단부가 상기 베어링(24b)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판(24b)에 연결되면서 원위치에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40)는 상기 제2와이어(42)의 상단부가 상기 판베어링(24b)에 의해 원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꼬임 현상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는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가 지지할 수 있는 상기 등기구(200)의 허용 가능한 중량 이상인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21)가 정지되도록 하는 허용중량감지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용중량감지부(25)는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가 지지할 수 있는 등기구의 허용 가능한 중량 이상의 등기구가 상기 연결부(10)에 연결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21)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허용중량감지부(25)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베어링(24b)을 지지하는 판스프링(26), 상기 판스프링(26)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편, 그 판스프링(26)의 타단부와 이격되는 지지프레임(27) 및 상기 판스프링(26)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28)를 포함한다.
상기 판스프링(26)은 상기 등기구(200)의 중량이 허용 가능한 중량을 초과함에 따라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28)에 접하는 형태를 이루며, 상기 리미트스위치(28)는 상기 판스프링(26)의 가압에 의해 눌림 즉,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28)는 상기 제어부(50) 및 상기 구동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26)은 상기 등기구(200)가 허용 가능한 중량을 가지는 경우에는 휘어짐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27)은 상기 판스프링(26)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지지판(27a),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부 하측에 그 판스프링(26)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27b) 및 상기 제1,2지지판(27a,27b)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30)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는 베이스판(27c)을 포함한다.
상기 제2와이어(42)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부(30)의 바닥면, 상기 베이스판(27c) 및 상기 판스프링(2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판(24a)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7)은 상기 제1지지판(27a)에 상기 판스프링(26)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지지판(27b)이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부와 이격된 상태로부터 상기 등기구(200)의 허용 가능한 중량 초과에 따라 상기 판스프링(26)의 타단부가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27)은 상기 판스프링(26)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허용 중량 이상의 상기 등기구(200)가 상기 연결부(1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26)의 하강이 일정지점에서 정지되도록 하여 그 판스프링(26)과 함께 상기 리미트스위치(28)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용중량감지부(25)는 허용 중량 이상의 등기구가 상기 연결부(1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구동모터(21)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과 중량에 따른 상기 와이어(40)의 끊어짐 등에 따른 등기구의 낙하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40)의 감김 또는 풀림 길이를 감지하기 위한 길이감지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감지부(8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2)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통공(81a)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81), 상기 통공(81a)으로 빛이 통과되도록 하는 광센서(82) 및 상기 통공(81a)을 통과하는 상기 광센서(82) 빛의 회수를 감지하며, 그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에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감지센서(83)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판(81)은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22)와 함께 회전되며, 상기 광센서(82) 및 상기 감지센서(83)는 상기 풀리(22)와 함께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광센서(82) 및 상기 감지센서(83)는 상기 감지판(81)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대향되며, 그 사이에 상기 통공(81a)이 위치됨에 따라 광센서의 빛이 통과되는 한편, 그 빛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를 통해 상기 등기구(200)의 적정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상기 등기구(20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연결부(10)가 상기 지지부(30)와 인접하거나 접하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안전장치(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장치(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91)를 포함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91)는 상기 지지부(3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연결부(10)의 가압에 의해 눌림 즉,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91)는 상기 제어부(50) 및 상기 구동모터(21)와 전기적으로 연결 및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며,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안전장치(9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잠금고리(92) 및 상기 지지부(30)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고리(92)가 결속되는 한 쌍의 잠금수단(9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고리(92)는 양단부가 상기 플레이트(11)에 연결되면서 하부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한 쌍의 잠금수단(93)은 상기 지지부(3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 양측에 상기 한 쌍의 잠금고리(92)가 인입되는 한 쌍의 인입공(3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93)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잠금고리(92)가 인입되는 잠금공(94a)이 형성되는 몸체(94), 상기 몸체(9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잠금공(94a)을 개폐하는 개폐바(95) 및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개폐바(95)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공(94a)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96)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바(95)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공(94a)을 중심으로 상기 몸체(94)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기 잠금공(94a)의 하부를 개폐하여 상기 잠금고리(92)가 결속 또는 결속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개폐바(95)는 각각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6)가 연결되면서 그 솔레노이드밸브(96)의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쌍의 개폐바(95)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바(95)에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6)가 연결되고, 그 솔레노이드밸브(96)이 작동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개폐바(95)는 승강되는 상기 잠금고리(92)의 가압에 따라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잠금고리(92)가 상기 잠금공(94a)으로 인입, 결속되도록 하는 한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상기 잠금고리(92)를 지지하는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개폐바(95)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96)의 작동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잠금고리(92)에 대한 결속이 해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안전장치(90)는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연결부(10)가 상기 지지부(30)에 인접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91)가 상기 연결부(10)의 가압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21)의 정지와 함께 승강이 정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잠금고리(92)가 상기 잠금공(94a)으로 인입되어 결속되면서 상기 연결부(10)가 상기 지지부(30)에 결속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장치(90)는 상기 지지부(30)와 상기 연결부(10) 간의 충돌로 인한 파손이나, 낙하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정적인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는 상기 연결부(10)가 상기 지지부(30)와 인접하거나, 접함에 따라 상기 등기구(200)로 전원이 자동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전원연결부(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연결부(10)가 상기 지지부(30)와 인접하거나, 접하는 상태 즉, 상기 연결부(10)가 더 이상 승강되지 않는 높이에서 상기 등기구(200)로의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이때의 상기 등기구(200)는 가장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100)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0)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전달받는 소켓(101), 상기 연결부(10)에 구비되어 상기 등기구(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소켓(101)에 결합되는 접속수단(102)을 포함한다.
상기 소켓(101)은 상기 제어부(5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소켓(101)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30)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며 하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상기 접속수단(102)이 끼움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지지부(30)는 하부면에 상기 소켓(101)과 연통되며, 상기 접속수단(102)이 인입되는 체결공(31b)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수단(102)은 상기 소켓(101)과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부를 가지며 그 하부가 상기 플레이트(11)에 연결되는 접속핀(103), 상기 접속핀(103)의 상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켓(101)으로 인입되는 가이드캡(104), 상기 가이드캡(104)의 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소켓(101)과 접속되는 접속플레이트(105) 및 상기 플레이트(11)와 상기 접속플레이트(105)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접속핀(103)의 외측에 결합되는 스프링(106)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캡(104)은 표면이 절연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소켓(101)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접속플레이트(105)와 상기 소켓(101) 간의 접속을 유도한다.
상기 스프링(106)은 일반적인 형태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캡(104)이 상기 소켓(101)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접속플레이트(105)를 가압하면서 원활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등기구용 승강장치(1)는 상기 등기구(200)가 적정 높이에 도달했을 때, 그 등기구(200)로의 전원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등기구(200)의 하강시 자동으로 전원공급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등기구용 승강장치 10 : 연결부
11 : 플레이트 11a : 함몰공간
12 : 안전챔버 12a : 유출입구
13 : 연결부재 13a : 연결고리
14 : 연결판 14a : 연결고리
20 : 본체부 21 : 구동모터
22 : 풀리 23 : 보조풀리
24 : 회동연결수단 24a : 회전판
24b : 베어링 25 : 허용중량감지부
26 : 판스프링 27 : 지지프레임
27a : 제1지지판 27b : 제2지지판
27c : 베이스판 28 : 리미트스위치
30 : 지지부 31 : 케이싱
31a : 인입공 31b : 체결공
32 : 덮개 33 : 지지부재
33a : 고리 34 : 지지판
34a : 가이드공 40 : 와이어
41 : 제1와이어 42 : 제2와이어
43 : 제3와이어 50 : 제어부
60 : 가이드롤러 70 : 하강정지부
71 : 탄성부재 72 : 리미트스위치
80 : 길이감지부 81a : 통공
82 : 광센서 83 : 감지센서
90 : 안전장치 91 : 리미트스위치
92 : 결속고리 93 : 잠금수단
94 : 몸체 94a : 잠금공
95 : 개폐바 96 : 솔레노이드밸브
100 : 전원연결부 101 : 소켓
102 : 접속수단 103 : 접속핀
104 : 가이드캡 105 : 접속플레이트
106 : 스프링 200 : 등기구

Claims (8)

  1. 구조물에 설치되어 등기구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등기구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기구용 승강장치로써,
    상기 등기구가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위치되며,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풀리 및 상기 연결부에 허용 가능한 중량 이상의 등기구가 연결되면 상기 구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는 허용중량감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고,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가 수용되는 지지부;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본체부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풀리에 감김 또는 풀림되면서 상기 연결부와 함께 상기 등기구가 승,하강되도록 하는 와이어;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연결부를 상기 와이어에 연결하는 한편, 상기 와이어의 풀림 또는 감김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 및
    상기 연결부의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일단부가 상기 풀리에 감김 또는 풀림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가 상기 복수의 가이드롤러에 의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연결부를 병렬로 지지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연결수단은,
    상기 풀리의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회전판; 및
    내측으로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통과되도록 상부에 상기 회전판이 연결되는 한편, 상기 회전판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판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허용중량감지부는,
    양단부를 가지며, 상기 판베어링을 지지하는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한편, 그 판스프링의 타단부와 이격되는 지지프레임; 및
    상기 판스프링의 하부에 위치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지지판;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 하측에 그 판스프링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판; 및
    상기 제1,2지지판을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 바닥면에 연결되는 베이스판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은,
    타단부가 상기 제2지지판과 이격된 상태로부터 상기 등기구의 중량이 허용 가능한 중량을 초과함에 따라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에 접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판스프링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지지판에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지지판에 상기 판스프링의 타단부가 접하면서 하강이 정지되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과 함께 상기 리미트스위치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지지부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풀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 길이를 감지하는 길이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감지부는,
    상기 풀리의 양면 중 어느 한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통공이 방사형상으로 형성되는 감지판;
    상기 통공으로 빛이 통과되도록 하는 광센서; 및
    상기 통공을 통과하는 상기 광센서의 빛의 회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등기구가 바닥면에 안착되면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하강정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상기 풀리의 일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풀리로 감김 또는 풀림되는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한편, 가이드하는 보조풀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내측으로 상기 보조풀리가 상하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풀리는,
    상기 연결부에 상기 등기구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와이어로 장력이 작용되면서 그 가압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하강정지부는,
    상기 지지판 또는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풀리의 하강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로의 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보조풀리를 가압하여 승강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하강되는 상기 보조풀리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보조풀리의 승강에 따라 작동 해제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지지부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승강되는 상기 연결부의 가압에 의해 눌림 작동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연결부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잠금고리; 및
    상기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잠금고리가 결속되는 한 쌍의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은,
    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잠금고리가 인입되는 잠금공이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잠금공을 개폐하는 개폐바;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며, 상기 개폐바를 회동시켜 상기 잠금공을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0160045423A 2016-04-14 2016-04-14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165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23A KR101658336B1 (ko) 2016-04-14 2016-04-14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23A KR101658336B1 (ko) 2016-04-14 2016-04-14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336B1 true KR101658336B1 (ko) 2016-09-21

Family

ID=57080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23A KR101658336B1 (ko) 2016-04-14 2016-04-14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3273A (zh) * 2018-10-07 2019-01-08 扬州驿丰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灯泡且避免浪费资源的led路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906A (ja) * 1994-10-31 1996-05-21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2001184935A (ja) * 1999-12-28 2001-07-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昇降形照明装置
KR200326792Y1 (ko) 2002-08-21 2003-09-17 조영제 등기구 승강 장치
JP2008204899A (ja) * 2007-02-22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装置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9906A (ja) * 1994-10-31 1996-05-21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2001184935A (ja) * 1999-12-28 2001-07-0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昇降形照明装置
KR200326792Y1 (ko) 2002-08-21 2003-09-17 조영제 등기구 승강 장치
JP2008204899A (ja) * 2007-02-22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昇降装置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3273A (zh) * 2018-10-07 2019-01-08 扬州驿丰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更换灯泡且避免浪费资源的led路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1184989B1 (ko) 조명등 승강 장치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101639417B1 (ko)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JP2004518245A (ja) 昇降機能を持つ高所照明灯設備
GB2468737A (en) Tension-sensing safety mechanism for hoist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238723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JP2014162634A (ja)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KR101026555B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0865942B1 (ko) 공동주택의 공용 조명기형 제어반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240000001U (ko)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JP3956451B2 (ja) 照明ポール
KR20210057601A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83078B1 (ko) 승강식 조명기구의 안전장치
JP4235777B2 (ja) 昇降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