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847B1 - 고소조명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고소조명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847B1
KR101056847B1 KR1020090003532A KR20090003532A KR101056847B1 KR 101056847 B1 KR101056847 B1 KR 101056847B1 KR 1020090003532 A KR1020090003532 A KR 1020090003532A KR 20090003532 A KR20090003532 A KR 20090003532A KR 101056847 B1 KR101056847 B1 KR 10105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ire
flow roller
roller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648A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엔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전기 filed Critical (주)엔티전기
Publication of KR20100040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7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indoor are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uides For Winding Or Rewinding, Or 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드럼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와, 감지판재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감지판재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와이어가 감겨지는 드럼과, 상기 와이어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유동롤러 및 제2 유동롤러와, 제2 유동롤러가 이동하더라도 승강체를 향하는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하게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와이어의 탈선, 구동모터의 파손, 조명등의 추락 등 장치의 파손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승강체, 와이어 편중, 드럼, 안내롤러

Description

고소조명 승강장치{Lifting device of lighting lamp}
본 발명은 고소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와이어의 탈선을 방지하는 구조가 장착된 고소조명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와 공장의 천정 및 체육관, 도로의 가로등에는 일명 고소 조명등이 설치되고,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나트륨전구, 수은전구가 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수명이 5000~6000시간 정도로 제한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며, 호텔로비와 예식장 등에 설치되는 고소 조명등은 주기적인 청소작업도 필요하다.
상기의 고소 조명등은 공장 및 체육관 등의 천장에 부설되어 있고, 가로등은 그 높이가 7~10m로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고소 조명등의 전구 청소와 교환시에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 비개를 이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데는 최소 3인이상이 필요하며, 작업자의 감전 및 추락 등의 각종 고소 위험에 노출되어 재해가 발생됨으로서 물적과 인적 및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고소 조명등이 위치한 곳까 지 올라가지 않고, 고소 조명등을 지면까지 하강시켜 정비 한 후 다시 승강시켜 천정등에 고정할 수 있는 고소 조명등의 작업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가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 승강장치로는 와이어의 일측은 조명등부에 고정하고 와이어의 타측은 지면상에 고정된 풀리에 감겨진 형태로서 사용자가 풀리에 연결된 핸들바를 돌리어 고소조명등을 승강시키는 고소 조명등 수동 승강장치와, 핸들바 대신에 정역모터를 구비하는 고소 조명등 자동 승강장치가 개발되었다.
고소 조명등 자동 승강장치는 천정 등에 고정되며 소정의 설치공간을 갖는 본체, 본체와 1줄 와이어로 연결되며 하부에 조명등이 결합되는 승강체, 설치공간내에 설치되며 와이어가 풀림 및 감김되는 드럼, 와이어의 풀림 및 감김 동작에 의해 승강체를 자동 승강시키도록 드럼과 축상 결합된 구동수단, 본체의 하부에 전원부와 선로적으로 연결되는 상측단자부, 승강체의 상부에 상측단자부와 선로적으로 연결되는 하측단자부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설치공간상에는 와이어가 드럼상에 원활하게 감기도록 중앙과 측부상의 와이어 방향전환을 위한 안내롤러가 다수 구비된다.
와이어는 일측은 하측단자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본체의 일정위치에 부설된 드럼상에 소정의 길이만큼 구비되어 있다. 구동수단은 정역모터로 구비되어 와이어를 드럼상에 자동적으로 풀림 또는 감김 동작을 하여 승강체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고소 조명등 자동 승강장치는, 작업자가 고소 조명등이 위치한 곳까지 올라가지 않고, 고소 조명등을 자동으로 지면까지 하강시켜 정비한 후 다시 승강시켜 천정 등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소 조명등 승강장치는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되게 감겨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와이어가 드럼상에서 이탈하여 장치의 정지, 구동모터의 파손, 와이어의 절단에 따른 조명등의 추락 등 장치의 파손과 사고발생의 우려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되게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되게 감길 경우 기기를 정지시켜 와이어의 탈선을 사전에 예방하는 고소 조명등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와 와이어로 연결된 승강체, 상기 설치공간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가 풀림 및 감김되며 2개의 드럼판재 사이에 장착된 드럼을 갖는 고소조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상기 드럼에 감겨진 상기 와이어에 접촉되도록 상기 2개의 드럼판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에 감겨지는 상기 와이어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드럼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
상기 드럼판재의 내측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감지판재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상기 감지판재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드럼판재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풀린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며,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유동롤러;
상기 제1 유동롤러를 지난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며,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유동롤러;
상기 제2 유동롤러를 지난 상기 와이어를 상기 승강체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안내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판재는 일단은 고정단,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핀으로 형성된 판재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2개의 드럼판재 사이에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하게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가 드럼의 일측에 편중되게 감길 경우 기기를 정지시켜 와이어의 탈선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의 탈선으로 발생하는 장치의 정지, 구동부의 파손, 와이어의 절단에 따른 조명등의 추락 등 장치의 파손과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천정 등에 고정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10)을 갖는 본체(100), 본체(100)와 1줄 와이어(300)로 연결된 승강체(200), 설치공간(1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수단(400), 구동수단(4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와이어(300)가 풀림 및 감김되며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된 드럼(450),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에 감겨진 와이어(300)에 접촉되도록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되어, 드럼(450)에 감겨지는 와이어(300)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드럼(45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500), 드럼판재(470)의 내측벽면에 부착되며, 감지판재(500)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감지판재(500)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구동수단(400)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600)를 포함한다.
또한,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 와이어(300)를 승강체(200) 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안내롤러(440)를 더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측 중앙에 천정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의 연결체(미도시)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각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의 설치공간(110)이 형성된다.
설치공간(110)의 일측에는 구동수단(400)의 구동원인 정역모터와, 정역모터에 축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고, 일정길이의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이 설치된다.
와이어(300)는 승강체(200)의 승강시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가지고 부도체 재질로 이루어진다. 와이어(300)의 길이는 지면상에서 작업하기 편한 승강체(200)의 하강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천장에 고정된 본체(100)의 상측단자부(150)에 재접속될 수 있는 상승길이가 감안된 길이를 가진다.
와이어(300)는 일측은 드럼(450)상에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되며, 타측은 승강체(200)의 상측 중앙부에 결합된다. 와이어(300)는 드럼(450)상에 연결되어 제1 유동롤러(420), 제2 유동롤러(430), 안내롤러(440)를 거쳐 승강체(200)의 상측 중앙부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룬다.
제1 유동롤러(420)는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봉이 결합되며, 봉에 끼워져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 유동롤러(420)는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하며 드럼(450)으로부터 풀린 와이어(300)가 드럼(450)에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제2 유동롤러(430)는 설치공간(110)의 타측에 유동 설치된다. 제2 유동롤러(430)는 제1 유동롤러(420)를 지난 와이어(300)가 감겨지며, 제1 유동롤러(420)와 함께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하며 와이어가 드럼(450)에 정렬된 상태로 감길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안내롤러(440)는 설치공간(11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드럼(450)상에 감겨 지는 와이어(300)가 방향 전환하여 본체(100)의 중앙에서 승강체(200)까지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루도록 가이드한다.
와이어(300)가 안내롤러(440)만으로 연결되어 드럼(450)상에 감겨질 경우, 와이어(300)는 드럼(450)상의 일측에만 편중되어 감겨질 우려가 높다.
제1 유동롤러(420), 제2 유동롤러(430)는 설치공간(110)상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300)가 드럼(450)상에 좌우 움직이며 고르게 감길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도 2는 도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판재(500)는 일단은 고정단,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이 판재결합부(550)에 결합되어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된다.
판재결합부(550)는 핀으로 형성되어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판재결합부(550)는 감지판재(500)의 타단이 승강 가능하다면, 감지판재(500)의 일단을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고정하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감지판재(500)의 타단은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에 감겨진 와이어(300)에 접촉되어 있으며, 드럼(450)에 감겨지는 와이어(300)의 층이 증가될수록 드럼(450)의 외측으로 밀려난다.
드럼판재(470)의 내측벽면에는 구동수단(400)의 동작을 중단하는 구동스위 치(600)가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300)가 드럼(450)에 정렬되어 감길 경우는 감지판재(500)가 구동스위치(600)가 장착된 부분까지 밀려나지 않는다.
그러나,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일측에 편중하게 감길 경우는 감지판재(500)는 구동스위치(600)가 장착된 부분까지 밀려난다. 감지판재(500)는 구동스위치(600)에 접촉하여, 누름 동작하고, 구동부(920)의 작동을 중단시켜 와이어(300)가 드럼(450)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감지판재(500)는 판재 형상의 넓은 면으로 마련되어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에 감겨진 와이어(30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일측에 편중되게 감긴 것을 감지하기가 용이하다.
본체(100)의 하부면에는 전원부(미도시)와 선로적으로 연결되는 상측단자부(150)가 장착된다.
상측단자부(150)의 하부면에는 원통형으로 결합된 가이드부(700)와, 돌기부 형상의 상측접촉단자(미도시)가 다수 마련된다.
승강체(200)의 상부에는 하측단자부(250)가 장착되어 있고, 하부에는 조명등이 장착된다.
하측단자부(250)는 상측단자부(150)와 대응되는 승강체(200)의 상부면에 장착된다. 하측단자부(250)의 중앙부에는 돌출부(800)가 결합되어 있고, 와이어(300)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다.
하측단자부(250)는 2개의 원형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내원접촉단자(251)와 외 원접촉단자(253)로 구성된다. 돌기(810)부 형상의 상측접촉단자(미도시)가 각각 내원접촉단자(251)와 외원접촉단자(253)에 접촉되면 조명등(미도시)이 전기적으로 접점된다.
가이드부(700)는 상측단자부(150)의 하부면의 중앙에 결합된다. 가이드부(700)는 끝단이 경사진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가이드부(700)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돌출부(800)는 하측단자부(25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승시 가이드부(70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상측단자부(150)와 하측단자부(250)의 접촉위치를 가이드한다. 돌출부(800)는 승강체(200)가 회전하지 않고, 수평 승강하여 조명등(미도시)의 접점이 원활하게 되도록 유도한다.
돌출부(800)는 가이드부(700)의 면적보다 작은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된다. 돌출부(800)는 측면에 돌기(8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810)가 가이드부(700)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며 승강체(200)의 수평 승강을 유도한다.
걸림부(900)는 본체(100)의 설치공간(110)에 마련되어, 하측단자부(250)가 설정 지점까지 상승되었을 때 스위치 동작에 의해 돌출부(800)를 걸림 고정시킨다.
걸림부(900)는 걸림판(910), 걸림판(910)의 일측에 형성되어 걸림판(910)을 지지하는 구동부(920), 걸림판(910)의 타측과 본체(100)를 연결하는 탄성부(930)로 구성된다.
걸림판(91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중앙부에 홈형상으로 마련된 가이드홀(911)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911)은 중앙에 걸림돌기(830)의 면적 이상이 되는 원형의 가이드공(913)과, 가이드공(913)과 측방향으로 연통되어 걸림돌기(830)는 관통되지 못하고 걸림홈(820)이 형성된 부위는 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걸림공(915)이 형성되어 마련된다.
구동부(920)는 본체(100)에 장착되어 있으며, 걸림판(91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탄성부(930)는 용수철(930)로 마련되어 본체(100)의 일측과 걸림판(910)에 연결되어 있다. 탄성부(930)는 걸림판(910)에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걸림돌기(830)가 걸림공(915)에 위치되도록 걸림판(910)을 원위치시킨다.
돌출부(800)의 걸림돌기(830)가 걸림판(910)의 가이드공(913)을 통과시 구동부(920)의 스위치는 OFF 상태가 되며, 용수철(93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830)는 걸림공(915)으로 이동한다. 걸림돌기(830)는 걸림공(915)에 걸려 승강체(200)를 본체(100)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 승강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는 도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와이어(300)는 드럼(450)상에 연결되어 제1 유동롤러(420), 제2 유동롤러(430), 안내롤러(440)를 거쳐 승강체(200)의 상측 중앙부에서 수직적인 이송라인을 이룬다.
드럼(450)의 일측에는 제1 유동롤러(420), 제2 유동롤러(430)가 좌우로 이동하며, 안내롤러(440)에서 방향 전환된 와이어(300)가 드럼(450)에 정렬되게 감기도록 가이드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에 감겨진 와이어(300)에는 감지판재(500)가 접촉되어 있어,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일측에만 편중되게 감길 경우, 감지판재(500)가 드럼(450)의 외측으로 밀려나 드럼판재(470)의 내측벽면에 장착된 구동스위치(600)를 눌러 구동수단(400)을 정지시킨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0)가 드럼(450)에 정렬되게 감길 경우는, 감지판재(500)가 구동스위치(600)가 장착된 면까지 밀려나지 않으므로, 구동수단(400)은 정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조명등 승강장치는 와이어(300)가 드럼(450)에 정렬되게 감길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일측에 편중하게 감길 경우 기기를 정지시켜 와이어(300)의 탈선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300)의 탈선으로 발생하는 장치의 정지, 구동모터의 파손, 와이어(300)의 절단에 따른 조명등의 추락 등 장치의 파손과 사고발생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어느 일측에만 집중적으로 감기지 아니하도록, 상기 드럼(450)으로 진입되는 와이어(300)의 방향이 좌우로 반복 왕복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일단이 승강체(200)에 연결된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과, 상기 와이어(300) 중 상기 드럼(450)과 승강체(200) 사이의 부위가 안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와이어(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450)의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와, 상기 와이어(300) 중 상기 제2 유동롤러(430)와 상기 승강체(200) 사이의 부위가 안착되어 상기 제2 유동롤러(430)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승강체(200)를 향하는 상기 와이어(30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안내롤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이 상기 승강체(200)에 연결된 와이어(300)는 안내롤러(440)에 걸쳐진 후 제2 유동롤러(430)와 제1 유동롤러(42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드럼(450)에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는, 각각 드럼(45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1 슬라이드봉(422) 및 제2 슬라이드봉(43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바, 드럼(45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드럼(450)으로 진입하는 와이어(300)의 방향을 드럼(450)의 좌우측으로 고르게 분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가 드럼(450)의 회전축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와이어(300) 의 진입방향을 변경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상기 안내롤러(44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제1 유동롤러(420)가 상기 드럼(450)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상기 안내롤러(440)를 지난 와이어(300)는 상기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300)가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300)가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로부터 이탈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300)가 엉키게 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롤러(440)는 상기 제2 유동롤러(430)와 상기 드럼(450)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유동롤러(420)는 상기 안내롤러(440)와 상기 드럼(450) 사이에 장착된다. 각 롤러들이 이와 같이 배열되면, 상기 와이어(300)는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에 보다 큰 힘으로 안착되므로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없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동롤러(430) 및 제1 유동롤러(420)의 이동에 따른 와이어(300)의 진입 방향 변경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안내롤러(440)에 안착된 와이어(300)의 이탈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동롤 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안내롤러(440)의 외주면 일측에는 이탈방지부재(4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안내롤러(440)는 각각 와이어(300)가 안착되는 부위가 V홈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이탈방지부재(480)는 각 롤러의 외주면 중 오목하게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300)는 각 롤러의 외주면으로 벗어나도록 이동되더라도 상기 이탈방지부재(480)에 걸려 완전히 각 롤러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탈방지부재(480)가 봉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이탈방지부재(480)는 각 롤러에 안착된 와이어(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만 있다면 본 실시예에 도시된 봉 형상 이외에 여러 가지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와이어의 방향이 변경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드럼(450)에 감겨지는 와이어(300)의 위치에 따라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가 제1 슬라이드봉(422) 및 제2 슬라이드봉(432)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즉, 와이어(300)가 최초 드럼(450)의 우측부터 감겨지기 시작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는 우측으로 위치된다.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 드럼(450)이 회전하면 와이어(300)가 감겨지게 되 는데, 상기 와이어(300)는 이미 드럼(450)에 감겨진 와이어(300)의 외측면을 타고 미끄러지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50)에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부위는 드럼(450)의 좌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300)가 안착된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는 와이어(300)의 이동에 따라 제1 슬라이드봉(422) 및 제2 슬라이드봉(432)을 타고 좌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300)의 감김이 지속됨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450)에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부위가 드럼(450)의 좌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 역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일, 상기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의 위치가 고정되면 상기 드럼(450)의 중심축과 와이어(300)의 공급방향 간의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 와이어(300)가 드럼(450)의 어느 일측에만 집중적으로 감기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와 같이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드럼(450)의 중심축과 와이어(300)의 공급방향 간의 각도를 최대한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300)는 드럼(450)의 좌측부터 우측까지 고르게 감겨질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주요부분이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소조명 승강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와이어의 방향이 변경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50 : 상측단자부
200 : 승강체 250 : 하측단자부
300 : 와이어 400 : 구동수단
420 : 제1 유동롤러 430 : 제2 유동롤러
440 : 안내롤러 450 : 드럼
470 : 드럼함 500 : 감지판재
550 : 판재결합부 600 : 구동스위치
700 : 가이드부 800 : 돌출부
900 : 걸림부 910 : 걸림판

Claims (6)

  1. 구조물에 고정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10)을 갖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와 와이어(300)로 연결된 승강체(200), 상기 설치공간(11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수단(400), 상기 구동수단(4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와이어(300)가 풀림 및 감김되며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된 드럼(450)을 갖는 고소조명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상기 드럼(450)에 감겨진 상기 와이어(300)에 접촉되도록 상기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450)에 감겨지는 상기 와이어(300)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드럼(450)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500);
    상기 드럼판재(470)의 내측벽면에 부착되며, 상기 감지판재(500)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상기 감지판재(500)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상기 구동수단(400)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드럼(450)으로부터 풀린 상기 와이어(300)가 감겨지며, 상기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유 동롤러(420);
    상기 제1 유동롤러(420)를 지난 상기 와이어(300)가 감겨지며, 상기 드럼(45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유동롤러(430);
    상기 제2 유동롤러(430)를 지난 상기 와이어(300)를 상기 승강체(200) 측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안내롤러(4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판재(500)는 일단은 고정단,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핀으로 형성된 판재결합부(550)에 결합되어 상기 2개의 드럼판재(470) 사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4. 일단이 승강체(200)에 연결된 와이어(300)가 감겨지는 드럼(450);
    상기 드럼(450)과 승강체(200) 사이의 상기 와이어(300)가 안착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와이어(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450)의 회전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 유동롤러(420) 및 제2 유동롤러(430);
    상기 제2 유동롤러(430)와 상기 승강체(200) 사이의 상기 와이어(300)가 안착되어, 상기 제2 유동롤러(430)가 이동하더라도 상기 승강체(200)를 향하는 상기 와이어(300)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안내롤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440)는 상기 제2 유동롤러(430)와 상기 드럼(450)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유동롤러(420)는 상기 안내롤러(440)와 상기 드럼(450)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안내롤러(440)의 외주면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동롤러(420)와 제2 유동롤러(430)와 안내롤러(440)에 안착된 와이어(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재(4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20090003532A 2008-10-10 2009-01-15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1056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9864 2008-10-10
KR1020080099864 2008-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48A KR20100040648A (ko) 2010-04-20
KR101056847B1 true KR101056847B1 (ko) 2011-08-22

Family

ID=4221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532A KR101056847B1 (ko) 2008-10-10 2009-01-15 고소조명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84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15B1 (ko) 2015-07-06 2016-01-28 신정훈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EP3115687A1 (en) 2015-07-06 2017-01-11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WO2019083315A1 (ko)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3314A1 (ko)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20190047585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0509B1 (ko) 2019-10-16 2020-02-24 (주)에이비엠 케이블 방식을 활용한 승강 투광장치
KR20210057601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릴테크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58B1 (ko) * 2012-01-27 2012-04-06 전대훈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101624862B1 (ko) * 2014-06-11 2016-06-07 서효명 다기능 승강기
JP6142374B1 (ja) 2016-04-21 2017-06-07 株式会社Isa 照明昇降装置
CN108981927B (zh) * 2018-10-09 2023-11-14 四川汉星航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红外成像机械视觉的工件检测实时检测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135A (ja) 1996-11-08 1998-05-29 Tec Corp 昇降装置
JPH10241448A (ja) 1997-02-26 1998-09-11 Tec Corp 照明器具用昇降装置
KR100711809B1 (ko) 2006-05-19 2007-05-02 김성식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135A (ja) 1996-11-08 1998-05-29 Tec Corp 昇降装置
JPH10241448A (ja) 1997-02-26 1998-09-11 Tec Corp 照明器具用昇降装置
KR100711809B1 (ko) 2006-05-19 2007-05-02 김성식 고온 조업용 오토 통의 자동제어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715B1 (ko) 2015-07-06 2016-01-28 신정훈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EP3115687A1 (en) 2015-07-06 2017-01-11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RU2640942C1 (ru) * 2015-07-06 2018-01-12 Рил Тек Ко., Лтд.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10502362B2 (en) 2015-07-06 2019-12-10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 mounted equipment
KR20190047586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20190047585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3314A1 (ko)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20190047587A (ko)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083315A1 (ko) 2017-10-27 2019-05-0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247881B2 (en) 2017-10-27 2022-02-15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261065B2 (en) 2017-10-27 2022-03-01 Reel Tech Co., Ltd.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KR102080509B1 (ko) 2019-10-16 2020-02-24 (주)에이비엠 케이블 방식을 활용한 승강 투광장치
KR20210057601A (ko) 2019-11-12 2021-05-21 주식회사 릴테크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648A (ko) 201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EP1384030B1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101658334B1 (ko)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026555B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KR100602613B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20050082833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1658335B1 (ko) 자동 전원연결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47224A (ko) 베어링 타입 와이어 권취 드럼을 갖는 승강릴
KR101658336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등기구용 승강장치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0227951Y1 (ko) 자동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50103153A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200364533Y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1056843B1 (ko) 조명등 승강기 작동차단장치
KR200248459Y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의 접점구조.
KR101934868B1 (ko) 와이어가 연결되는 결합유도돌기를 구비한 조명등 리프팅 장치
KR200356233Y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