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72B1 -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72B1
KR102280972B1 KR1020190144559A KR20190144559A KR102280972B1 KR 102280972 B1 KR102280972 B1 KR 102280972B1 KR 1020190144559 A KR1020190144559 A KR 1020190144559A KR 20190144559 A KR20190144559 A KR 20190144559A KR 102280972 B1 KR102280972 B1 KR 10228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ace installation
installation device
microcomputer
circui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601A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릴테크
Priority to KR1020190144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72B1/ko
Priority to CN202080075987.7A priority patent/CN114641446B/zh
Priority to PCT/KR2020/014442 priority patent/WO2021096090A2/ko
Publication of KR2021005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485Control devices automatic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와, 상기 고소설치기기에 대해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단기의 온(On)에 의해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소설치기기에 전력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가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마이컴에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전력이상 상태로 인식된 경우 전력이상 정보를 승강장치의 마이컴에 기억시키는 단계;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마이컴에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SMART UP AND DOWN APPARATUS OF HIGHLY MOUNTED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높은 곳에 설치되는 고소설치기기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가진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와 공장의 천정 및 체육관, 도로의 가로등에는 일명 고소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에는 나트륨전구, 수은전구가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소 조명등의 수명은 5000∼6000시간 정도로 제한이 있어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또한, 호텔로비와 예식장 등과 같은 서비스 업체에 설치되는 고소 조명등은 외관과 전시효과를 위해 주기적인 청소작업과 함께 전구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가로등의 경우 그 높이가 7∼10m로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조명등의 전구 청소와 교환을 위해서는 바스켓이 구비된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예식장 및 호텔로비 등에서는 사다리를 설치하여 전구 청소 및 교환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추락 등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도 최소 3인 이상이 한조가 되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고소 조명등 작업장소에 대형 작업시설인 크레인 및 사다리차가 동원됨으로써 그만큼 작업시간이 늦어짐은 물론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소 조명등의 수리 및 교체시에는 장시간 동안 공장라인을 스톱하거나 체육관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신속히 작업을 끝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가로등을 정비할 때에는 카고 크레인이 한 개의 차선을 점유함으로써 교통체증 유발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대안으로, 고소 조명등이 위치한 곳까지 올라가지 않고 고소 조명등을 정비자가 위치한 지상까지 하강시켜 정비한 후 다시 상승시켜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 고소 조명등의 작업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가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천정에 부설된 고소 조명등을 지상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로는, 와이어 로프를 조명등에 고정하고, 이 와이어 로프를 천정을 경유하여 지상에 고정된 풀리에 감겨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풀리에 연결된 핸들바를 조작하여 고소 조명등을 승강시키는 고소 조명등의 수동 승강장치와, 핸들바 대신에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가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는 천정 쪽의 정해진 높이에 고정되는 소켓부(본체)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어 접점 연결되고 하측에는 전구가 장착되는 전등기구(승강체)와, 상기 전등기구의 상측에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소켓부의 일정위치에 부설된 드럼상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긴 상태로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드럼상에서 자동으로 풀고 감음으로써 전등기구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를 풀고 감는 구성과 관련된 기술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드럼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와, 감지판재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감지판재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고, 드럼은 본체 내에서 세워진 상태로 놓이도록 배치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르면 시설물 내에 설치된 다수의 고소 조명등들 중 특정의 고소 조명등에 쇼트(Short)와 같은 전력이상이 발생하여 차단기가 내려간 경우에, 차단기를 올려서 전기를 복구하더라도 해당 고소 조명등의 쇼트 상태에 의해 계속해서 차단기가 내려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단기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되는 다수의 고소 조명등이 일괄적으로 작동불능이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056847호(2011.08.08.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특정의 고소설치기기에 쇼트 등과 같은 전력이상이 발생하여 차단기가 오프된 이후, 차단기를 올렸을 때 쇼트상태의 고소설치기기에 의해 전체 전기회로가 다시 오프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와, 상기 고소설치기기에 대해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차단기의 온(On)에 의해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소설치기기에 전력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가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마이컴에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체크 결과 전력이상 상태로 인식된 경우 전력이상 정보를 승강장치의 마이컴에 기억시키는 단계; (e)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마이컴에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확인 결과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마이컴은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의 쇼트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확인 결과 쇼트상태를 포함하는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는 릴레이를 오프(Off)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에 대해서는 릴레이를 온(ON)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전력이상으로 인해 상기 차단기가 다시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마이컴은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의 과전압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에는 상기 마이컴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콘덴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전력이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소설치기기는 조명등, 환기팬 및 CCTV 카메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승강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체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구조물과, 상기 수용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의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커플링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력이상 감지부; 및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전력이상 감지부를 통해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이 되었을 때에는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전력이상 상태에 있는 특정 고소설치기기를 마이컴에서 인식하여 전원 공급 차단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단기를 다시 올릴때마다 전체 전기회로가 반복적으로 오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다수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특정의 고소설치기기에 전력이상이 발생했을 때 이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신속하게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고소설치기기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서 고소설치기기를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체크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 정면, 측면과 같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술하는 기준 방향이 달라지면 이러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는, 정해진 높이의 고소 위치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드럼(101)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커플링부(104)와, 드럼(101)에 감긴 와이어 로프(1)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고소설치기기(10)가 장착 가능한 기기 결합부(204)가 마련된 승강체(200)와,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커플링부(104)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109) 및 하부 접점부(202)와, 고소설치기기(10)의 작동과 승강 구동을 위한 전력의 개폐 기능을 갖는 차단기(301)와, 메모리(300b)에 기억된 고소설치기기(10)의 전력이상 정보에 기초하여 고소설치기기(10)에 공급되는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마이컴(3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건물 천정이나 가로등과 같은 지지 구조물의 상단 정해진 높이의 고소 위치에 설치된다. 본체(100)의 설치를 위해, 본체(100)의 상단에는 예컨대, 링 볼트로 이루어진 장착부재(111)가 마련되어 있다. 대안으로, 본체(100)에는 건물 천정 등에 마련된 소정의 H빔에 결합 가능한 소정의 지지브래킷(미도시)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와이어 로프(1)가 감길 수 있는 드럼(101)과 상기 드럼(101)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3)가 구비되어 있다.구동모터(113)로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01)은 와이어 로프(1)를 감고 풀 수 있는 원통 보빈이다. 드럼(101)은 중공이 지면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 드럼(101)은 본체 내에 세워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해 본체(100)의 하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수용 구조물(105)을 가진 커플링부(104)가 구비된다.
커플링부(104)는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로프(1)의 권상에 의해 승강체(200)가 정해진 지점까지 상승했을 때 본체(10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부(104)는 승강체(200)가 본체(100)의 정중앙 하부에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정 형상의 수용 구조물(105)과, 본체(100)에 대한 승강체(200)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106)를 구비한다.
수용 구조물(105)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승강체(200)의 적어도 상부가 출입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된다. 수용 구조물(105)은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본체(100)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본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 구조물(105)은 본체(100) 내에 배치된 드럼(101)의 중공 내에 위치한다. 즉, 드럼(101)은 실질적으로 수용 구조물(105)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드럼(101)의 중공을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커플링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용 구조물(105)과 드럼(101) 사이의 공간에는 드럼(101)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마찰방지롤(10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101)이 수평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본체(100)의 하면에는 수용 구조물(105)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가이드홈(10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08)은 수용 구조물(105)에 승강체(200)가 끼워졌을 때 승강체(200)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03)와 결합을 이룸으로써 본체(100)와 승강체(200)가 정위치에서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06)는 수용 구조물(105)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된 승강체(2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스토퍼(106)는 수용 구조물(105)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스토퍼(106)는 하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쐐기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106)는 승강체(200)의 상승시 밀려서 상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몸체 일부에 체결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106)에는 수평 상태로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소정의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토퍼(106)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구조물(105)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체(200)는 와이어 로프(1)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의 권상 및 권하와 동시에 승강된다. 승강체(200)의 하단에는 예컨대, 링 볼트로 이루어진 기기 결합부(204)가 마련되어 있다. 기기 결합부(204)는 고소설치기기(1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나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기기 결합부(204)는 고소설치기기(10)와 스크류 결합이 가능한 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기 결합부(204)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거나 승강체(200)의일부에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 결합부(204)에는 예컨대, 조명등, 환기팬, CCTV 카메라 등이 해당되는 고소설치기기(10)가 결합된다. 고소설치기기(10)로는 조명등, 환기팬, CCTV 카메라 등에 한정되지 않고, 그밖에 다양한 고소 설치용 전자/전기 기기가 채용될 수도 있다.
승강체(200)의 외주면 상단에는 스토퍼(106)에 대응하는 걸림턱(20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01)은 승강체(200)의 상승시 스토퍼(106)를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한편, 홈 부분이 스토퍼(106)와 결합되어 승강체(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드럼(101)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1)는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여 아래로 연장되어 승강체(20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드럼(101)의 측부와 상부에는 드럼(101)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롤(103)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안내롤(103) 중 드럼(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롤(103)은 본체(100) 내부에서 드럼(101)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가이드 프레임(102)에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1)의 배열 구조가 외줄 타입, 즉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1)가 1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안내롤(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내롤(103)은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 정중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 로프(1)의 배열 구조가 2줄 타입, 즉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1)가 2줄인 경우에는 드럼(101)의 중공내에서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양편으로 와이어 로프(1)가 통과한다.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각각 본체(100)의 하부와 승강체(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100)와 승강체(200)의 결합시 서로 접촉하여 통전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접점부(109)는 드럼(101)의 안쪽 영역에 배치된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 상부에 고정된다. 상부 접점부(109)의 중심에는 와이어 로프(1)의 통과를 위한 통공(110)이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접점부(202)는 승강체(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100)와 승강체(200)의 결합시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되어 상부 접점부(109)와 접촉을 이룬다. 즉,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실질적으로 드럼(101)의 중공 안쪽 영역에서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부 접점부(202)의 중심에는 와이어 로프(1)의 통과를 위한 통공(205)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컴(300)은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10)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마이컴(300)은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컴(300)에 구비된 제어부(300a)는 차단기(301)의 오프(Off) 직후에 해당 고소설치기기(10)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정보를 메모리(300b)에 기억한다. 또한, 마이컴(300)의 제어부(300a)는 차단기(301)가 다시 온(On) 상태로 되었을 때 메모리(300b)에 기억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10)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10)에 대해서는 릴레이(304)를 오프(Off) 상태로 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10)에 대해서는 릴레이(304))를 온(On) 상태로 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10)들 중에서 과전압이나, 쇼트 등으로 인한 과전류와 같은 전력이상이 발생한 고소설치기기(10)는 해당 마이컴(300)에 의해 릴레이(304)가 오프(Off)되어 전원이 차단되고, 전력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고소설치기기(10)는 해당 마이컴(300)에 의해 릴레이(304)가 온(On) 상태가 되어 전원이 공급된다.
고소설치기기(10)에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고소설치기기(10)는 작동 대기상태가 된다. 작동 대기상태에서, 고소설치기기(10)가 조명등에 해당하는 경우, 관리자가 리모콘(도 7의 11 참조) 등을 이용해 고소설치기기(10)를 켜는 스위치 조작을 하면 조명등이 턴온된다.
마이컴(300)에는 차단기(301)가 오프된 직후 예컨대, 1~2초 정도의 소정 시간 동안 마이컴(300)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덴서(303)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마이컴(300)은 차단기(301)의 오프 직후에 해당 고소설치기기(10)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그 상태 정보를 메모리(300b)에 기억시키는 작동을 할 수가 있다.
마이컴(300)은 전력이상 감지부(302)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서 고소설치기기(10) 또는 고소설치기기(10)에 연결된 전기회로의 쇼트 여부를 인식한다. 여기서, 전력이상 감지부(302)는 전압센서 또는 전류센서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기(301)는 전력계통을 개폐하는 장치로서 쇼트(Short,단락) 발생 시 자동으로 오프되어 그에 연결된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차단기(301)는 소정 시설물 내에 설치된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10)들 모두에 대한 전원을 일괄적으로 개폐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고소설치기기(10)들을 정해진 개수(예컨대, 10개 내외)만큼 묶어서 그룹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차단기(301)가 올라가서(On) 전원이 투입되면 마이컴(300)이 부팅되어 활성화되고, 마이컴(300)의 구동 제어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는 릴레이(304)가 동작되어 마이컴(300)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10)에 전원이 공급된다(단계 S100 내지 S102).
이후, 소정의 요인으로 인해 특정 장비, 즉 고소설치기기(10)에 쇼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차단기(301)가 오프된다(단계 S103 및 S104).
차단기(301)의 오프 직후에 마이컴(300)은 콘덴서(303)의 비상전원에 의해 작동하여 전원의 오프(Off) 상태와 쇼트로 인한 과전류를 감지 및 인식하고 그 상태 정보를 메모리(300b)에 저장한다(단계 S105 및 S106). 여기서, 전력이상 감지부(302)는 전류센서로 구성된다. 마이컴(300)은 전력이상 감지부(302)로부터 과전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서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10)에 쇼트로 인한 전력이상이 발생한 것을 인식한다.
차단기(301)가 오프된 이후에 차단기(301)를 다시 올려서 전원을 재투입하면 마이컴(300)이 부팅되고 메모리(300b)에 기억된 쇼트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고소설치기기(10)에 연결된 릴레이(304)에 대한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108 및 S109). 예를 들어, 마이컴(300)은 메모리(300b)에 해당 고소설치기기(10)에 쇼트로 인한 전력이상(과전류)이 발생한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릴레이(304)의 동작을 차단하여 해당 고소설치기기(1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차단기(301)는 상기 쇼트가 발생한 고소설치기기(10)로 인해 다시 내려가는 일 없이, 쇼트가 발생하지 않은 고소설치기기(10)들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하강 동작 및 기기 턴온을 위한 전원 온(On) 신호를 대기한다(단계 S110).
한편, 도 4에는 과전압으로 인한 전력이상이 발생한 고소설치기기(10)를 확인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력이상 감지부(302)는 전압센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마이컴(300)은 최초 차단기(301)가 오프된 후에 관리자가 차단기(301)를 다시 올림에 따라 차단기(301)가 온(On) 상태가 되고 전력이상으로 인해 차단기(301)가 순간적으로 다시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이를 비정상 작동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마이컴(300)은 차단기(301)가 오프된 직후에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의 과전압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상태 정보를 메모리(300b)에 기억시킴으로써 전력이상 상태를 인식한다. 이 경우에는 동일 차단기(301)에 의해 전원이 개폐되는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10)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작동시켜 봄으로써 어느 고소설치기기(10)에서 전력이상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이 투입되어 하강 동작 및 기기 턴온을 위한 전원 온(On) 신호 대기상태에서(단계 S110), 다수의 승강장치 중 1개를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단계 S111).
마이컴(300)은, 관리자가 리모콘(11) 등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체(200)를 하강시키는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해당 고소설치기기(10)에 연결된 릴레이(304)를 동작시키는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단계 S112 및 S113).
해당 고소설치기기(10)에 과전압으로 인한 전력이상이 발생하면 차단기(301)가 오프된다(단계 S114 및 S115). 전력이상을 확인한 후 마이컴(300)은 승강체(200) 및 고소설치기기(10)를 지상으로 하강시켜서 장비의 확인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단계 S116).
도 5에는 쇼트가 발생한 고소설치기기(10)를 정비하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컴(300)은, 관리자가 리모콘(11) 등을 조작함에 따라 승강체(200)를 하강시키는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 본체(100) 내에 배치된 구동모터(113)를 작동시켜서 드럼(101)을 회전시킴으로써 승강체(200) 및 고소설치기기(10)를 지상으로 하강시킨다(단계 S120 및 S121). 구체적으로, 승강체(200)에 대한 스토퍼(10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 후 드럼(10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을 통해 풀어서 승강체(200)를 지상으로 하강시키면 된다. 스토퍼(106)의 걸림 상태 해제를 위해, 드럼(101)은 살짝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체(200)를 소폭 끌어 올리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 의해 스토퍼(106)는 승강체(200)의 측면으로부터 벗어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체(200)는 자유롭게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고소설치기기(10)를 정비한 후에는 승강체(200)를 다시 상승시켜서 본체(100)와 결합한 후 예컨대, 조명등에 해당하는 고소설치기기(10)를 턴온하면 된다(단계 S122 및 S123). 와이어 로프(1)의 권상 동작은 본체(100) 내에 배치되어 구동모터(113)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101)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와이어 로프(1)는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면서 끌려 올라간 후 안내롤(10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드럼(101)에 권취된다.
와이어 로프(1)의 권상에 의해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정해진 지점에 도달했을 때 그 도달 상태는 소정의 리미트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감지되고, 그 감지 신호에 따라 드럼(101)의 회전이 정지됨과 더불어 승강체(200)의 외주면 상단에 마련된 걸림턱(201)이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 내벽에 돌출된 스토퍼(106)에 걸려서 승강체(200)가 본체(100)에 고정된다.
승강체(200)가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서로 접촉하여 통전된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구성 및 제어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설치기기(10)가 시설물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인 경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설치기기(10)가 시설물 내부의 천정에 설치되는 환기팬인 경우에도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는 전력이상 상태에 있는 특정 고소설치기기(10)를 마이컴(300)에서 인식하여 전원 공급 차단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차단기(301)를 재차 올렸을 때 전체 전기회로가 반복적으로 오프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고소설치기기 100: 본체
101: 드럼 102: 가이드 프레임
103: 안내롤 104: 커플링부
105: 수용 구조물 106: 스토퍼
107: 마찰방지롤 108: 가이드홈
109: 상부 접점부 110,205: 통공
111: 장착부재 113: 구동모터
200: 승강체 201: 걸림턱
202: 하부 접점부 203: 가이드돌기
204: 기기 결합부 300: 마이컴
300a: 제어부 300b: 메모리
301: 전원 공급부 302: 전력이상 감지부
303: 콘덴서

Claims (10)

  1. 삭제
  2.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와, 상기 고소설치기기에 대해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차단기의 온(On)에 의해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소설치기기에 전력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가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승강장치의 마이컴에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체크 결과 전력이상 상태로 인식된 경우 전력이상 정보를 마이컴에 기억시키는 단계;
    (e)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마이컴에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확인 결과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마이컴은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의 쇼트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단계 (f)에서, 상기 확인 결과 쇼트상태를 포함하는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는 릴레이를 오프(Off)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에 대해서는 릴레이를 온(ON)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3.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와, 상기 고소설치기기에 대해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차단기의 온(On)에 의해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b)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소설치기기에 전력이상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차단기가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
    (c)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승강장치의 마이컴에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체크 결과 전력이상 상태로 인식된 경우 전력이상 정보를 마이컴에 기억시키는 단계;
    (e)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마이컴에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확인 결과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 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전력이상으로 인해 상기 차단기가 다시 자동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마이컴은 그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의 과전압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상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상기 마이컴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계 (c) 내지 (d)에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콘덴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전력이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설치기기는 조명등, 환기팬 및 CCTV 카메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6.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부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되는 승강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체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구조물과, 상기 수용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의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커플링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감지하는 전력이상 감지부; 및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전력이상 감지부를 통해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여 전력이상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이 되었을 때에는 기억된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정보를 확인하여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차단하고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고소설치기기는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복수개의 고소설치기기들에 대해 일대일 대응하도록 복수개가 마련되고,
    상기 차단기가 다시 온(On)이 되었을 때에, 상기 마이컴의 확인 결과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포함하는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는 릴레이를 오프(Off)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전력이상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마이컴에 대응하는 고소설치기기에 대해서는 릴레이를 온(On)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상기 마이컴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이컴은 상기 차단기의 오프 직후에 상기 콘덴서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전력이상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설치기기에 연결된 전압센서 또는 전류센서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고소설치기기의 전력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설치기기는 조명등, 환기팬 및 CCTV 카메라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KR1020190144559A 2019-11-12 2019-11-12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59A KR102280972B1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2080075987.7A CN114641446B (zh) 2019-11-12 2020-10-21 智能高处安装设备升降装置及其控制方法
PCT/KR2020/014442 WO2021096090A2 (ko) 2019-11-12 2020-10-21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59A KR102280972B1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601A KR20210057601A (ko) 2021-05-21
KR102280972B1 true KR102280972B1 (ko) 2021-07-23

Family

ID=75913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59A KR102280972B1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80972B1 (ko)
CN (1) CN114641446B (ko)
WO (1) WO2021096090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249Y1 (ko) * 2003-01-06 2003-05-09 엠티엔시 (주) 자동복구형 전원 분석기
KR101435328B1 (ko) * 2013-04-22 2014-08-27 김경희 지능형 부하량 제어를 통한 실시간 블랙 아웃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8184B2 (en) * 2008-06-27 2013-11-05 Sharp Kabushiki Kaisha Power control system for distributing power to power demanding facility
KR101056847B1 (ko) 2008-10-10 2011-08-22 (주)엔티전기 고소조명 승강장치
KR101047665B1 (ko) * 2010-05-14 2011-07-08 박대원 과부하 검출 기능을 갖는 권양 장치
JP5546370B2 (ja) * 2010-06-28 2014-07-09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器制御回路及び蓄電装置
CN102884700B (zh) * 2010-07-28 2016-01-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力供给系统、电力供给系统的控制装置、电力供给系统的运转方法和电力供给系统的控制方法
EP2737600B1 (en) * 2011-07-26 2018-10-03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redistributing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between collection, charging and distribution machines
CN103054348A (zh) * 2011-10-24 2013-04-24 马宏玲 一种将鞋悬挂在天花板上隐藏收纳的方法及装置
CN202647655U (zh) * 2012-06-20 2013-01-02 刘士斌 一种灯具升降器
CN103034193B (zh) * 2012-11-30 2016-08-24 广州广日电气设备有限公司 城市智能终端
JP6210389B2 (ja) * 2013-03-22 2017-10-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監視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
RU2640942C1 (ru) * 2015-07-06 2018-01-12 Рил Тек Ко., Лтд.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206890470U (zh) * 2016-12-21 2018-01-16 广西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 一种可升降活动灯座的控制系统
CN207132297U (zh) * 2017-03-24 2018-03-23 江苏省冶金设计院有限公司 一种深照型工厂灯具的起落维护控制装置
KR102088492B1 (ko) * 2017-10-27 2020-03-12 주식회사 릴테크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N208150844U (zh) * 2018-03-01 2018-11-27 漳州市龙文区睿谋机电技术服务部 一种能有效进行缺相保护的双制动电动葫芦
CN208859557U (zh) * 2018-11-08 2019-05-14 雷舒照明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高顶灯具升降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249Y1 (ko) * 2003-01-06 2003-05-09 엠티엔시 (주) 자동복구형 전원 분석기
KR101435328B1 (ko) * 2013-04-22 2014-08-27 김경희 지능형 부하량 제어를 통한 실시간 블랙 아웃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6090A3 (ko) 2021-07-08
KR20210057601A (ko) 2021-05-21
CN114641446B (zh) 2023-12-26
WO2021096090A2 (ko) 2021-05-20
CN114641446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6408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방식으로 연결되어 승하강이 가능하며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US11261065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KR200326792Y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20190047587A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JP2013071795A (ja) エレベータの停電灯異常検出装置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4170B1 (ko) 인체 감지형 리프팅 구조를 가진 조명기구
KR100642493B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JP6434374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内照明装置
KR20070113554A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에서의 비접촉식 드럼 회전수감지장치
KR102213827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 시스템 운용방법
KR200356233Y1 (ko) 드럼 회전수 감지장치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1960601B1 (ko) 복수의 고가조명 제어 시스템
KR200309704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동모터 정지장치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JPH08102210A (ja) 昇降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H0556870U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下点検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