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2842A -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2842A
KR20050082842A KR1020040011437A KR20040011437A KR20050082842A KR 20050082842 A KR20050082842 A KR 20050082842A KR 1020040011437 A KR1020040011437 A KR 1020040011437A KR 20040011437 A KR20040011437 A KR 20040011437A KR 20050082842 A KR20050082842 A KR 20050082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imit
lampshade
limit switch
main bod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자
Original Assignee
조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숙자 filed Critical 조숙자
Priority to KR102004001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2842A/ko
Publication of KR20050082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84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9Mounting arrangements for attaching lighting devices to the ceiling, the lighting devices being recessed in a false or stretched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을 천장에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등의 교체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1)에 매입되는 본체(10); 본체(10)에 수납되는 전등갓(20);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관(30); 전등갓(20)의 양측에 고정되어 안내관(30)으로 끼워지는 안내봉(40); 본체(10)에 설치되어 감속기(51)를 구비하는 정역모터(50); 감속기(51)에 축설되는 드럼(60); 드럼(60)에 권취된 상태에서 양측 안내봉(40)에 연결되는 와이어(70)(71); 와이어(70)(7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0)(81); 감속기(51)에 연결되어 전등갓(20)의 승강작동이 근접상한점(다) 및 하한점(나)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100);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상한스위치(S); 본체(10)와 전등갓(20)에 각각 설치되어 상한점(가) 도달 시 접속되어 조명등(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부재(200) 및 접점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lighting lamp ascent and descent system for ceiling establishment}
본 발명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교체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설치용 조명등은 교회,방송국,무대,공연장,강단,공장,터널,주유소,체육관,호텔로비 등의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천장설치용 조명등의 수명은 대략 5000 ~ 6000시간 정도로 제한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교환해야 하며, 또한 천장설치용 조명등은 주기적인 청소작업과 함께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천장설치용 조명등이 높은 천장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조명등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소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 등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특히 조명등의 교체작업 시 감전 및 추락 등의 인명사고를 유발시키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천장설치용 조명등의 교체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혼자서는 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명의 인원이 동원되어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이나 사다리가 사용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아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승강가능하게 설치하여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교체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안전하게 접속되도록 하여 스파크발생 및 화재위험을 예방하고, 전등갓의 상한점 도달 시 요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꼬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천장에 본체를 매입하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전등갓을 승강가능하게 수납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 안내관을 각각 관통시켜 고정하고, 상기 전등갓의 양측에 안내관으로 각각 끼워지는 안내봉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의 중앙상부에 감속기를 구비하는 정역모터를 설치하고, 상기 감속기의 구동축에 드럼을 축설하며, 상기 드럼에 양측 안내봉과 연결되어 전등갓을 승강시키는 와이어를 각각 권취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에 와이어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감속기의 구동축에 전등갓의 승강작동이 근접상한점 및 하한점에 이르면 정역모터를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리밋스위치에 근접상한점에서 정역모터를 일시적으로 적정시간 정지시키는 타이머와 릴레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전등갓이 상한점에 이르면 정역모터를 정지시키는 상한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본체와 전등갓에 상한점 도달 시 접속되어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조의 접점부재 및 한조의 접점판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는 도 1 내지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천장(1)에 매입되는 본체(10); 본체(10)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수납되는 전등갓(20);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안내관(30); 전등갓(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안내관(30)으로 끼워지는 안내봉(40); 본체(10)의 중앙상부에 설치되어 감속기(51)를 구비하는 정역모터(50); 감속기(51)의 구동축에 축설되는 드럼(60); 드럼(60)에 각각 권취된 상태에서 양측 안내봉(40)에 각각 연결되어 전등갓(20)을 승강시키는 와이어(70)(71); 본체(1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70)(7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0)(81); 감속기(5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전등갓(20)의 승강작동이 근접상한점(다) 및 하한점(나)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100); 근접상한점(다)에서 정역모터(50)를 일시적으로 적정시간 정지시키는 타이머(T)와 릴레이(R);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상한스위치(S); 본체(10)와 전등갓(20)에 각각 설치되어 상한점(가) 도달 시 접속되어 조명등(21)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조의 접점부재(200) 및 한조의 접점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도 5a,5b,5c에서와 같이 교회,방송국,무대,공연장,강단,공장,터널,주유소,체육관,호텔로비 등의 천장(1)에 매입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10)의 하부에는 전등갓(20)을 수용하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고, 본체(10)의 하단 테두리에는 천장(1)에 고정되는 플랜지(12)가 절곡형성되며, 본체(10)의 양측 상부에는 가이드롤러(80)를 지지하는 브래킷(13)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본체(10)에는 도 3과 도 6에서와 같이 리밋스위치(100)의 스트로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구멍(14)이 형성된다.
상기 전등갓(20)은 본체(10)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11)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등갓(20)의 하부에는 조명등(21)이 설치되고, 전등갓(20)의 내부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안정기 등의 전기부품이 내장된다. 이때, 평상 시 전등갓(20)은 도 5a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내장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한편 조명등(21)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 시 전등갓(20)은 도 5b에서와 같이 하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안내관(30)은 본체(10)의 양측 하부에 관통된 상태로 각각 고정되어 전등갓(20)의 승강작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안내관(30)으로는 안내봉(40)이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때, 안내관(30)의 내경 하부에는 안내봉(40)이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봉(40)은 전등갓(20)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양측 안내관(30)으로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안내봉(40)에는 양측 와이어(70)(71)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안내봉(40)의 상부에는 안내관(30)내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테이퍼가 형성된다.
상기 정역모터(50)는 본체(10)의 중앙상부에 설치되어 드럼(60)을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정역모터(50)에는 드럼(60)을 적당한 속도로 서서히 구동시키는 감속기(51)가 구비되고, 감속기(51)의 구동축에는 구동스프로킷(52)이 축설되며, 구동스프로킷(52)에는 체인(53)이 연결된다. 이때, 정역모터(50)는 방송실 등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박스에는 전등갓(20)을 승강시키는 상승스위치와 하강스위치가 설치된다.
상기 드럼(60)은 감속기(51)의 구동축에 축설되어 정,역회전하면서 권취된 양측 와이어(70)(71)를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드럼(60)에는 양측 와이어(70)(71)를 각각 권취할 수 있도록 2개의 권취홈이 형성된다. 이때, 정역모터(50)가 정방향으로 구동하면 양측 와이어(70)(71)가 동시에 서서히 드럼(60)에 감기므로 전등갓(20)은 서서히 상승하게 되고, 한편 정역모터(5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양측 와이어(70)(71)가 동시에 서서히 드럼(60)에서 풀리므로 전등갓(20)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70)(71)는 드럼(60)에 각각 권취된 상태에서 그 끝단이 양측 안내봉(40)에 각각 연결되어 전등갓(2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일측 와이어(70)는 도 8a에서와 같은 상태로 드럼(60)의 권취홈에 권취되고, 타측 와이어(71)는 도 8b에서와 같은 상태로 드럼(60)의 권취홈에 권취된다. 따라서, 드럼(60)의 정방향 구동 시 양측 와이어(70)(71)는 동시에 감기고, 한편 드럼(60)의 역방향 구동 시 양측 와이어(70)(71)는 동시에 풀어진다.
상기 가이드롤러(80)(81)는 본체(10)의 브래킷(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와이어(70)(71)의 승강을 각각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롤러(80)(81)는 전등갓(20)의 승강작동 시 와이어(70)(71)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와이어(70)(71)가 헐겁게 승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이드롤러(80)(81)의 상부와 일측에는 와이어(70)(7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보조롤러(90)(91)가 각각 끼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보조롤러(90)(91)는 본체(10)의 브래킷(13)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밋스위치(100)는 도 9 내지 도 11b에서와 같이, 안내장공(111)이 형성된 고정틀(110), 고정틀(110)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근접상한스위치(120)와 하한스위치(121), 고정틀(110)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는 나사봉(130), 나사봉(130)에 스프링(140)(141)탄력을 받도록 나사결합되어 근접상한스위치(120) 및 하한스위치(121)에 접속되는 작동구(150)(151), 작동구(150)(151)에 고정나사(160)(161)로 고정되어 안내장공(111)으로 끼워지는 안내봉(170a)(171a)을 구비하는 회전방지링(170)(171), 나사봉(130)에 축설되어 감속기(51)의 구동스프로킷(52)과 체인(53)으로 연결되는 피동스프로킷(180)으로 구성된다. 이때, 스프링(140)(141)과 작동구(150)(151) 사이에는 보스(190)(191)가 각각 장착된다.
상기 고정틀(110)은 'ㄷ'형으로 형성되어 본체(10)에 형성된 조절구멍(14)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틀(110)의 일측에는 폭방향으로 안내봉(170a)(171a)이 끼워지는 안내장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근접상한스위치(120)와 하한스위치(121)는 고정틀(110)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어 전등갓(20)의 승강동작이 설정된 한계위치, 즉 도 5c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근접상한점(다)에 이르거나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하한점(나)에 이르면 접점되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근접상한스위치(120)와 하한스위치(121)는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나사봉(130)은 고정틀(110)에 회동가능하게 폭방향으로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나사봉(130)은 전등갓(20)의 승강 시 작동구(150)(151)를 근접상한스위치(120) 또는 하한스위치(121)측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작동구(150)(151)는 나사봉(130)에 나사결합되어 근접상한스위치(120) 및 하한스위치(121)에 접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작동구(150)(151)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스트로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고정나사(160)(161)를 풀고 작동구(150)(151)를 각각 돌리면 작동구(150)(151)와 근접상한스위치(120) 및 하한스위치(121) 버튼의 거리가 조절되므로 전등갓(20)의 근접상한점(다)과 하한점(나)을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링(170)(171)은 작동구(150)(151)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나사(160)(161)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방지링(170)(171)에는 안내장공(111)으로 끼워지는 안내봉(170a)(171a)이 구비된다. 따라서, 고정나사(160)(161)를 조이면 작동구(150)(151)는 회전방지링(170)(171)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므로 나사봉(130)의 구동 시 작동구(150)(151)는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한편 고정나사(160)(161)를 풀면 작동구(150)(151)가 회전하므로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동스프로킷(180)은 나사봉(130)에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피동스프로킷(180)은 감속기(51)의 구동스프로킷(52)과 체인(53)으로 연결되어 나사봉(130)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리밋스위치(100)의 작동관계를 보면, 먼저 드럼(6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등갓(20)을 하강시키면 체인(53)을 통해 피동스프로킷(180)이 역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의해 나사봉(130)이 동시에 역방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작동구(150)(151)는 하한스위치(121)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이때 전등갓(20)이 하강하여 설정된 하한점(나)에 이르면 도 11b에서와 같이 작동구(151)가 하한스위치(121)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정역모터(5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전등갓(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체인(530을 통해 피동스프로킷(180)이 정방향으로 구동하고, 이에 의해 나사봉(130)이 동시에 정방향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작동구(150)(151)는 근접상한스위치(120)측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이때 전등갓(20)이 상승하여 설정된 근접상한점(다)에 이르면 도 11a에서와 같이 작동구(150)가 근접상한스위치(120)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는 타이머(T)와 릴레이(R)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상기 타이머(T)와 릴레이(R)는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승하는 전등갓(20)이 도 5c에서와 같이 설정된 근접상한점(다)에 이르러 리밋스위치(100)에 의해 정지된 정역모터(50)를 일시적으로 적정시간동안(대략 1~3분 정도)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타이머(T)와 릴레이(R)는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는 타이머(T)를 조절하여 근접상한점(다)에서의 정역모터(50)의 정지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승하는 전등갓(20)을 도 5c에서와 같이 근접상한점(다)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이유는 양측 와이어(70)(71)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근접상한점(다)에서 상승하는 전등갓(20)을 일시적으로 적정시간 정지시키면 상승하는 과정에서 흔들렸던 전등갓(20)과 와이어(70)(71)가 서서히 제자리를 찾으면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상한점(다)에서 정역모터(50)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지 않고 계속 정역모터(50)가 구동하여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곧바로 도달할 경우, 이때 상한점(가)의 근접위치에서 상승하는 와이어(70)(71)와 전등갓(20)이 심하게 흔들리면서 요동치게 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70)(71)가 끊어지거나 꼬이고 요동이 심할 경우 전등갓(20)이나 조명등(21)이 파손되는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 상한스위치(S)는 본체(10)에 설치되어 도 5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상한스위치(S)의 버튼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의 하부로 돌출되고, 상한스위치(S)는 컨트롤박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5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상승하여 상한점(가)에 이르면 전등갓(20)이 상한스위치(S)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가 정지하게 되고,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하강하게 되면 전등갓(20)이 상한스위치(S)의 버튼에서 이격되면서 떨어지므로 접점이 반대로 전환된다.
상기 접점부재(200)는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저면 중앙부에 2개가 한조로 각각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접점판(300)은 도 2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의 상면 중앙부에 2개가 한조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은 도 5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서로 접속되어 조명등(21)에 전원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고, 한편 도 5b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의 하강 시에는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이 서로 떨어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접점부재(200)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점판(300)은 조명등(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점부재(200)는 도 12와 도 13a,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공(211)(221)을 구비하여 서로 나사결합되는 캡(210)과 하우징(220), 캡(210)과 하우징(220) 사이에 개재되어 출입공(231)을 구비하는 링(230), 캡(210)에 스프링(24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출입공(211)(231)으로 끼워지는 상부작동봉(250), 하우징(220)에 스프링(26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출입공(221)으로 끼워지는 하부작동봉(270), 상부작동봉(250)에 매입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상부전극봉(280), 하부작동봉(270)에 매입되어 상부전극봉(280)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전극봉(2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210)은 본체(10)의 하부에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210)의 중앙부에는 상부작동봉(250)이 끼워지는 출입공(211)이 형성되고, 캡(210)의 하부 외경으로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0)은 캡(21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220)의 중앙부에는 하부작동봉(270)이 끼워지는 출입공(221)이 형성되고, 하우징(220)의 상부 내경으로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링(230)은 캡(210)과 하우징(220)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 이러한 링(230)의 중앙부에는 출입공(23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작동봉(250)은 스프링(240)의 탄력을 받도록 캡(21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작동봉(250)의 상부는 캡(210)의 출입공(2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상부작동봉(250)의 하부는 링(230)의 출입공(23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하부작동봉(270)은 스프링(260)의 탄력을 받도록 하우징(220)에 내장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작동봉(270)의 하부는 하우징(220)의 출입공(22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상부전극봉(280)은 상부작동봉(250)에 관통한 상태로 매입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전극봉(280)의 상부와 하부는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전극봉(280)의 상부에는 도 13a,13b에서와 같이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나사결합으로 견고하게 연결된다.
상기 하부전극봉(290)은 하부작동봉(270)에 관통한 상태로 매입되어 상부전극봉(280)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전극봉(290)의 상부와 하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의 작동관계를 보면, 먼저 도 13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하강하면 하부전극봉(290)과 접점판(300)이 서로 떨어지므로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조명등(21)은 자동적으로 꺼지고, 또한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240)(260)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전극봉(280)과 하부전극봉(290)도 서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등갓(20)이 상승하여 상한점(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면 도 13b에서와 같이 상부전극봉(280)과 하부전극봉(290) 및 접점판(300)이 서로 접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조명등(21)은 자동적으로 켜지게 된다.
상기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의 접속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승하는 전등갓(20)에 부착된 접점판(300)이 서서히 상승하면서 하부전극봉(290)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한점(가)을 향해 계속 상승하는 접점판(300)이 하부전극봉(290)을 상부로 밀어 올리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하부작동봉(270)은 스프링(260)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서서히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상부로 올라가는 하부전극봉(290)의 상면은 상부전극봉(280)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부작동봉(250)은 스프링(240)을 압축하면서 상부로 서서히 올라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도 13b에서와 같이 상부전극봉(280)과 하부전극봉(290) 및 접점판(300)은 탄력적으로 긴밀하게 접촉되어 안정된 접속이 이루어지고, 또한 안전하게 접점이 이루지기 때문에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최대로 상승하여 상한점(가)에 도달하면 전등갓(20)이 상한스위치(S)의 버튼을 눌러 정역모터(50)의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는 정지하고, 이에 의해 전등갓(20)은 상한점(가)에 위치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봉(40)은 안내관(3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전등갓(20)의 유동이 방지되고,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은 도 13b에서와 같이 서로 접속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명등(21)에는 자동적으로 전원이 인가되어 불이 켜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전등갓(20)을 하강시키기 위해 컨트롤박스의 하강스위치를 누르면 정역모터(50)가 역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드럼(60)을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고, 드럼(60)에 권취된 양측 와이어(70)(71)는 동시에 서서히 풀리면서 전등갓(20)의 자중에 의해 가이드롤러(80)(81)를 따라 서서히 하강하고, 이러한 양측 와이어(70)(71)의 하강작동에 의해 안내봉(40)도 안내관(30)에서 빠져나와 하강하고, 또한 드럼(60)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동스프로킷(52)에 체인(53)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로킷(180)이 역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리밋스위치(100)의 나사봉(130)을 역방향으로 서서히 구동시킨다.
양측 와이어(70)(71)의 하강작동에 따라 전등갓(20)이 서서히 하강하면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은 도 13a에서와 같이 서로 떨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조명등(21)은 꺼지고, 또한 상한스위치(S)의 버튼과 전등갓(20)이 서로 이격되므로 상한스위치(S)의 접점이 떨어지고, 나사봉(130)의 역방향 구동에 따라 리밋스위치(100)의 작동구(150)(151)는 하한스위치(121)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러한 하강작동을 통해 드럼(60)은 역방향으로 계속 구동하면서 양측 와이어(70)(71)를 하강시키므로 이에 의해 전등갓(20)도 계속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때 도 5b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설정된 하한점(나) 위치에 이르면 피동스프로킷(180)에 의해 작동하는 리밋스위치(100)의 작동구(151)가 도 11b에서와 같이 하한스위치(121)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정역모터(50)가 정지하면 드럼(60)의 구동도 정지하고 이에 의해 전등갓(20)의 하강도 도 5b에서와 같이 설정된 하한점(나)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이와 같이 전등갓(20)을 설정된 하한점(나)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조명등(21)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 등을 수행하면 된다.
다음, 조명등(21)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완료한 후 컨트롤박스의 상승스위치를 누르면 정역모터(50)가 상기 하강작동의 반대인 정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드럼(60)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풀어진 양측 와이어(70)(71)는 반대로 드럼(60)에 서서히 감기면서 가이드롤러(80)(81)를 따라 계속 상승하며, 또한 드럼(60)과 연동하여 구동하는 구동스프로킷(52)에 체인(53)으로 연결된 피동스프로킷(180)이 정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리밋스위치(100)의 나사봉(130)을 정방향으로 서서히 구동시키고, 나사봉(130)의 정방향 구동에 따라 리밋스위치(100)의 작동구(150)(151)는 상한스위치(120)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이러한 상승작동을 통해 드럼(60)은 정방향으로 계속 구동하면서 와이어(70)(71)를 동시에 권취시키므로 이에 의해 전등갓(20)도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때 도 5c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설정된 근접상한점(다) 위치에 이르면 피동스프로킷(180)에 의해 작동하는 리밋스위치(100)의 작동구(150)가 도 11a에서와 같이 근접상한스위치(120)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정역모터(50)가 정지하면 드럼(60)의 구동도 정지하고 이에 의해 전등갓(20)의 상승도 도 5c에서와 같이 설정된 근접상한점(다)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정역모터(50)는 타이머(T)와 릴레이(R)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되며,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흔들렸던 전등갓(20)과 와이어(70)(71)가 서서히 제자리를 찾으면서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상승하는 전등갓(20)을 도 5c에서와 같이 근접상한점(다)에서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양측 와이어(70)(71)가 요동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후 타이머(T)에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릴레이(R)에 의해 자동적으로 정역모터(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역모터(50)는 다시 정방향으로 구동하면서 드럼(60)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에 의해 양측 와이어(70)(71)는 드럼(60)에 감기면서 가이드롤러(80)(81)를 따라 계속 상승하며, 이러한 상승작동을 통해 드럼(60)은 정방향으로 계속 구동하면서 와이어(70)(71)를 동시에 권취시키므로 전등갓(20)도 계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도 5a에서와 같이 전등갓(20)이 설정된 상한점(가) 위치에 이르면 전등갓(20)이 상한스위치(S)의 버튼을 눌러 전원을 '오프'시키므로 정역모터(50)가 자동적으로 정지하고 이에 의해 전등갓(20)은 상한점(가)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전등갓(20)에 부착된 접점판(300)이 도 13b에서와 같이 접점부재(200)에 접속되어 결과적으로 상한점(가) 위치에서 상부전극봉(280)과 하부전극봉(290) 및 접점판(300)이 서로 접촉되어 접속이 이루어지므로 전원이 공급되어 조명등(21)은 자동적으로 켜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안내봉(40)은 안내관(30)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높은 천장(1)에 조명등(21)을 설치하여 스위치 조작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전등갓(20)을 승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등갓(20)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천장(1)에 설치되는 조명등(20)의 교체나 유지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전등갓(20)을 자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시설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자가 혼자서도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작업상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추락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부재(200)와 접점판(30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하게 접속되기 때문에 스파크발생 및 화재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전등갓(20)이 근접상한점(다)에서 일시적으로 적정시간 정지하였다가 다시 상승하여 상한점(가)에 도달하기 때문에 전등갓(20)의 상한점(가) 도달 시 요동이 방지되어 와이어(70)(71)가 끊어지거나 꼬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는 높은 천장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청소와 수리 및 교환작업 시 조명등을 자동으로 하강시켜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자 혼자서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시설물이 불필요하며, 특히 작업상의 불편함과 추락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조명등의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적은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는 조명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안전하게 접속되어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화재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전등갓의 상한점 도달 시 요동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가 끊어지거나 꼬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전등갓이 하강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5a,5b,5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과 리밋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봉과 가이드롤러를 보인 사시도.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의 권취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밋스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10a,10b는 도 9의 A - A선 및 B - B선 단면도.
도 11a,11b는 도 9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점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a,13b는 도 12의 결합상태와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천장 10 : 본체
20 : 전등갓 30 : 안내관
40 : 안내봉 50 : 정역모터
51 : 감속기 52 : 구동스프로킷
53 : 체인 60 : 드럼
70,71 : 와이어 80,81 : 가이드롤러
90,91 : 보조롤러 100 : 리밋스위치
110 : 고정틀 111 : 안내장공
120 : 근접상한스위치 121 : 하한스위치
130 : 나사봉 140,141 : 스프링
150,151 : 작동구 160,161 : 고정나사
170,171 : 회전방지링 170a,171a : 안내봉
180 : 피동스프로킷 200 : 접점부재
210 : 캡 211 : 출입공
220 : 하우징 221 : 출입공
230 : 링 231 : 출입공
240 : 스프링 250 : 상부작동봉
260 : 스프링 270 : 하부작동봉
280 : 상부전극봉 290 : 하부전극봉
300 : 접점판 T : 타이머
R : 릴레이

Claims (4)

  1. 천장(1)에 매입되는 본체(10);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수납되는 전등갓(20); 본체(1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관(30); 전등갓(20)의 양측에 고정되어 안내관(30)으로 끼워지는 안내봉(40); 본체(10)의 중앙상부에 설치되어 감속기(51)를 구비하는 정역모터(50); 감속기(51)의 구동축에 축설되는 드럼(60); 드럼(60)에 권취된 상태에서 양측 안내봉(40)에 각각 연결되어 전등갓(20)을 승강시키는 와이어(70)(71); 와이어(70)(7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80)(81); 감속기(5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전등갓(20)의 승강작동이 근접상한점(다) 및 하한점(나)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리밋스위치(100); 근접상한점(다)에서 정역모터(50)를 일시적으로 적정시간 정지시키는 타이머(T)와 릴레이(R); 전등갓(20)이 상한점(가)에 이르면 정역모터(50)를 정지시키는 상한스위치(S); 본체(10)와 전등갓(20)에 각각 설치되어 상한점(가) 도달 시 접속되어 조명등(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부재(200) 및 접점판(300)을 포함하는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80)(81)에는 와이어(70)(7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쌍의 보조롤러(90)(91)가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밋스위치(100)는 안내장공(111)이 형성된 고정틀(110), 고정틀(110)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근접상한스위치(120)와 하한스위치(121), 고정틀(110)에 축설되는 나사봉(130), 나사봉(130)에 스프링(140)(141)탄력을 받도록 나사결합되어 근접상한스위치(120) 및 하한스위치(121)에 접속되는 작동구(150)(151), 작동구(150)(151)에 고정나사(160)(161)로 고정되어 안내장공(111)으로 끼워지는 안내봉(170a)(171a)을 구비하는 회전방지링(170)(171), 나사봉(130)에 축설되어 감속기(51)의 구동스프로킷(52)과 체인(53)으로 연결되는 피동스프로킷(1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재(200)는 출입공(211)(221)을 구비하여 나사결합되는 캡(210)과 하우징(220), 캡(210)과 하우징(220) 사이에 개재되어 출입공(231)을 구비하는 링(230), 캡(210)에 스프링(24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출입공(211)(231)으로 끼워지는 상부작동봉(250), 하우징(220)에 스프링(26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출입공(221)으로 끼워지는 하부작동봉(270), 상부작동봉(250)에 매입되어 전원과 연결되는 상부전극봉(280), 하부작동봉(270)에 매입되어 상부전극봉(280)에 탄력적으로 접속되는 하부전극봉(2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20040011437A 2004-02-20 2004-02-20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20050082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37A KR20050082842A (ko) 2004-02-20 2004-02-20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437A KR20050082842A (ko) 2004-02-20 2004-02-20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842A true KR20050082842A (ko) 2005-08-24

Family

ID=3726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437A KR20050082842A (ko) 2004-02-20 2004-02-20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284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31B1 (ko) * 2008-01-29 2008-04-11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KR101133858B1 (ko) * 2012-01-27 2012-04-06 전대훈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101136097B1 (ko) * 2011-12-20 2012-04-17 이왕건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CN108826244A (zh) * 2018-07-20 2018-11-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可升降吊装机构及具有其的吊灯和吊顶烟机
KR102301707B1 (ko) * 2021-01-19 2021-09-10 김승관 내진용 조명등 장착 구조
KR102421168B1 (ko) * 2022-04-12 2022-07-14 주식회사 엔비컨스 반사검사 조명기구
KR20220105877A (ko) * 2021-01-21 2022-07-28 (주)이에스레즈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식물생장용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4805073A (zh) * 2022-05-16 2022-07-29 上海蕙黔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气相法羰基合成碳酸二甲酯工艺的催化加氢设备
CN117404624A (zh) * 2023-11-07 2024-01-16 无锡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维护作业辅助照明设备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731B1 (ko) * 2008-01-29 2008-04-11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공동주택의 복도설치용 전기조명기구
KR101136097B1 (ko) * 2011-12-20 2012-04-17 이왕건 오토리프팅 기능을 갖는 자동승강 조명장치
KR101133858B1 (ko) * 2012-01-27 2012-04-06 전대훈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CN108826244A (zh) * 2018-07-20 2018-11-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可升降吊装机构及具有其的吊灯和吊顶烟机
KR102301707B1 (ko) * 2021-01-19 2021-09-10 김승관 내진용 조명등 장착 구조
KR20220105877A (ko) * 2021-01-21 2022-07-28 (주)이에스레즈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식물생장용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421168B1 (ko) * 2022-04-12 2022-07-14 주식회사 엔비컨스 반사검사 조명기구
WO2023200158A1 (ko) * 2022-04-12 2023-10-19 주식회사 엔비컨스 반사검사 조명기구
CN114805073A (zh) * 2022-05-16 2022-07-29 上海蕙黔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气相法羰基合成碳酸二甲酯工艺的催化加氢设备
CN114805073B (zh) * 2022-05-16 2024-03-12 上海蕙黔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气相法羰基合成碳酸二甲酯工艺的催化加氢设备
CN117404624A (zh) * 2023-11-07 2024-01-16 无锡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维护作业辅助照明设备
CN117404624B (zh) * 2023-11-07 2024-05-10 无锡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维护作业辅助照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26792Y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1056847B1 (ko) 고소조명 승강장치
JP7242982B2 (ja) ワイヤー及びケーブル方式で連結されて昇降自在であり、空気清浄機が取り付けられた灯器具装置
EP1384030A1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20050082842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2387230B1 (ko)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101026555B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KR20050082833A (ko) 천장설치용 조명등 승강장치
KR100679998B1 (ko)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KR100602613B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100640268B1 (ko) 등기구 승강 장치
KR102330912B1 (ko) 와이어 정렬장치가 설치된 등기구 장치
KR200227951Y1 (ko) 자동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
KR200356232Y1 (ko) 스프링식 전원선을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JP2531566B2 (ja) 照明装置
KR20100084765A (ko) 승강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등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방법
KR960009270Y1 (ko) 전동식 산업용 승강조명장치
KR101056843B1 (ko) 조명등 승강기 작동차단장치
KR200309705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승강체 회전방지구조
KR200356234Y1 (ko)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용 고정브라켓트
KR100516416B1 (ko) 행거용 조명기
KR200364533Y1 (ko) 승하강수단이 구비된 조명등
KR200309704Y1 (ko) 고소조명 승하강장치의 구동모터 정지장치
KR200448571Y1 (ko) 천정조명등의 커버 승/하강 장치
KR200302101Y1 (ko) 조명등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