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020B1 -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020B1
KR102050020B1 KR1020180090970A KR20180090970A KR102050020B1 KR 102050020 B1 KR102050020 B1 KR 102050020B1 KR 1020180090970 A KR1020180090970 A KR 1020180090970A KR 20180090970 A KR20180090970 A KR 20180090970A KR 102050020 B1 KR102050020 B1 KR 10205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ing body
main body
wire rope
norm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585A (ko
Inventor
신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릴테크
Priority to PCT/KR2018/01279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83315A1/ko
Priority to CN201880040624.2A priority patent/CN110770159B/zh
Priority to US16/759,576 priority patent/US11247881B2/en
Priority to EP18870998.4A priority patent/EP3702315A4/en
Publication of KR20190047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9Methods or equipment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2C99/0009 - A62C99/008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B66D2700/025Hoists motor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져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UP AND DOWN APPARATUS OF HIGHLY MOUNTED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에 와이어 로프를 감거나 풀어서 고소 설치 기기를 승강시키는 구조를 가진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텔로비와 공장의 천정 및 체육관, 도로의 가로등에는 일명 고소 조명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에는 나트륨전구, 수은전구가 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소 조명등의 수명은 5000∼6000시간 정도로 제한이 있어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한다. 또한, 호텔로비와 예식장 등과 같은 서비스 업체에 설치되는 고소 조명등은 외관과 전시효과를 위해 주기적인 청소작업과 함께 전구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고소 조명등은 가로등의 경우 그 높이가 7∼10m로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고소 조명등의 전구 청소와 교환을 위해서는 바스켓이 구비된 고소 작업용 크레인이나 사다리차를 사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예식장 및 호텔로비 등에서는 사다리를 설치하여 전구 청소 및 교환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추락 등에 의한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게다가, 작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도 최소 3인 이상이 한조가 되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고소 조명등 작업장소에 대형 작업시설인 크레인 및 사다리차가 동원됨으로써 그만큼 작업시간이 늦어짐은 물론 작업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고소 조명등의 수리 및 교체시에는 장시간 동안 공장라인을 스톱하거나 체육관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신속히 작업을 끝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가로등을 정비할 때에는 카고 크레인이 한 개의 차선을 점유함으로써 교통체증 유발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대안으로, 고소 조명등이 위치한 곳까지 올라가지 않고 고소 조명등을 정비자가 위치한 지상까지 하강시켜 정비한 후 다시 상승시켜 천정에 고정할 수 있는 고소 조명등의 작업 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가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이와 같이 천정에 부설된 고소 조명등을 지상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장치로는, 와이어 로프를 조명등에 고정하고, 이 와이어 로프를 천정을 경유하여 지상에 고정된 풀리에 감겨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풀리에 연결된 핸들바를 조작하여 고소 조명등을 승강시키는 고소 조명등의 수동 승강장치와, 핸들바 대신에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가 제시되었다.
일반적으로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는 천정 쪽의 정해진 높이에 고정되는 소켓부(본체)와,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어 접점 연결되고 하측에는 전구가 장착되는 전등기구(승강체)와, 상기 전등기구의 상측에 일측단이 고정됨과 동시에 타측단은 소켓부의 일정위치에 부설된 드럼상에 소정의 길이만큼 감긴 상태로 구비되는 와이어 로프와, 상기 와이어 로프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드럼상에서 자동으로 풀고 감음으로써 전등기구를 승강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에 있어서 와이어 로프를 풀고 감는 구성과 관련된 기술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고소조명 승강장치는 드럼에 감겨지는 와이어 로프의 층이 증가됨에 따라 드럼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감지판재와, 감지판재가 설정위치까지 밀려날 경우 감지판재의 접촉에 의해 누름 동작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구동스위치를 포함하고, 드럼은 본체 내에서 세워진 상태로 놓이도록 배치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고소 조명등의 자동 승강장치는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권상 또는 권하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정상결합 혹은 정상이탈이 안된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가 풀리거나 감겨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우려가 있으므로 그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0568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 오류 혹은 이탈 오류 상황을 반영하여 승강 제어를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은 (d) 상기 승강체의 하강상태에서 상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d)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c) 및 (f)의 재수행 과정을 정해진 횟수까지 반복하여도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거나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에는 무선통신으로 정해진 모듈에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의 상승 정지 후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승강체가 스토퍼에 걸리게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졌던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해제됐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스토퍼에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 해제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서 분리됐을 때 정상적으로 스토퍼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가 정상 동작하여 하강 진행 도중 상기 와이어 로프에 하중이 해제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자동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도중 슬로우 스위치 신호가 마이컴이 전달되기 전에 상승정지 스위치 신호가 마이컴에 전달되면 구동모터가 역회전하여 일정시간 정지한 후 다시 상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상부 접점부와 상기 하부 접점부가 서로 분리되기 전에 상기 기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먼저 턴오프하고,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상부 접점부와 상기 하부 접점부가 서로 접촉한 후에 상기 기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턴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동작 중 본체에 결합되면서 상승 한계점 도달 직전 탄성력이 상기 승강체에 가해져서 상승속도가 변화되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체의 과부하 및 과하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 결합부에는 조명등, 화재감지기, CCTV 카메라 및 홍보배너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체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구조물과, 상기 수용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의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커플링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 상기 드럼의 측부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중공 내부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롤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승강체와 상기 스토퍼 간의 결합 및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져서 상기 안내롤이 이동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누른 것을 인식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졌던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해제되어 상기 안내롤이 복귀하여 상리 리미트 스위치에서 분리된 것을 인식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스토퍼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 오류 혹은 이탈 오류 상황을 반영하여 승강 제어를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승강체의 상승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승강체에 화재감지기가 결합된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승강체에 CCTV 카메라가 결합된 변형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2줄 타입의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상부 접점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하부 접점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A"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B" 부분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를 위한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 후, 좌, 우, 상, 하, 정면, 측면과 같은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서술하는 기준 방향이 달라지면 이러한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도 당연히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승강체의 상승이 완료되어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는,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드럼(101)이 눕혀지게 설치되어 있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커플링부(104)와, 드럼(101)에 감긴 와이어 로프(1)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고소설치기기가 장착 가능한 기기 결합부(204)가 마련된 승강체(200)와,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커플링부(104)를 통해 본체(100)에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109) 및 하부 접점부(202)와, 와이어 로프(1)를 지지 및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103)과,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내롤(103)의 하부에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115)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건물 천정이나 가로등과 같은 지지 구조물의 상단 정해진 높이의 고소에 설치된다. 본체(100)의 설치를 위해, 본체(100)의 상단에는 예컨대, 링 볼트로 이루어진 장착부재(111)가 마련되어 있다. 대안으로, 본체(100)에는 건물 천정 등에 마련된 소정의 H빔에 결합 가능한 소정의 지지브래킷(미도시)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와이어 로프(1)가 감길 수 있는 드럼(101)과 상기 드럼(101)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13)가 구비되어 있다.구동모터(113)로는 기어드 모터(Geared motor)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101)은 와이어 로프(1)를 감고 풀 수 있는 중공형의 원통 보빈으로서, 중공이 지면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눕혀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본체(100) 내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드럼(101)은 직경방향이 상기 본체(100)의 높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수평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드럼(101)이 수평 상태로부터 한쪽이 살짝 들려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된 구조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13)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은 기어 어셈블리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드럼(101)에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드럼(101)에는 몸체 둘레를 따라 링 기어(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 기어는 구동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소정의 구동 피니언(114)과 치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링 기어는 드럼(101)에 고정되거나 드럼(10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럼(101)은 링 기어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으로는 통상의 기술이 채용 가능하다. 기어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수평하게 배치된 드럼(101)에 구동모터(11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술적 구성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3-0070072호에 상세히 게재되어 있다.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해 본체(100)의 하부에는 원통형의 수용 구조물(105)을 가진 커플링부(104)가 구비된다.
커플링부(104)는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와이어 로프(1)의 권상에 의해 승강체(200)가 정해진 지점까지 상승했을 때 본체(100)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부(104)는 승강체(200)가 본체(100)의 정중앙 하부에 정렬되도록 가이드하는 소정 형상의 수용 구조물(105)과, 본체(100)에 대한 승강체(200)의 결합상태를 고정하는 스토퍼(106)를 구비한다.
수용 구조물(105)은,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승강체(200)의 적어도 상부가 출입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된다. 수용 구조물(105)은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안으로는 본체(100)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본체(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 구조물(105)은 본체(100) 내에 배치된 드럼(101)의 중공 내에 위치한다. 즉, 드럼(101)은 실질적으로 수용 구조물(105)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드럼(101)의 중공을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커플링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용 구조물(105)과 드럼(101) 사이의 공간에는 드럼(101)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마찰방지롤(10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럼(101)이 수평상태에서 회전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본체(100)의 하면에는 수용 구조물(105)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가이드홈(108)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108)은 수용 구조물(105)에 승강체(200)가 끼워졌을 때 승강체(200)에 마련된 가이드돌기(203)와 결합을 이룸으로써 본체(100)와 승강체(200)가 정위치에서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106)는 수용 구조물(105)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된 승강체(200)의 위치를 고정한다. 스토퍼(106)는 수용 구조물(105)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된다.
스토퍼(106)는 하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쐐기 형상의 몸체를 구비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항시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106)는 승강체(200)의 상승시 밀려서 상방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몸체 일부에 체결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106)에는 수평 상태로의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 바이어스하는 소정의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토퍼(106)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용 구조물(105)의 내벽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체(200)는 와이어 로프(1)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와이어 로프(1)의 권상 및 권하와 동시에 승강된다. 승강체(200)의 하단에는 예컨대, 링 볼트로 이루어진 기기 결합부(204)가 마련되어 있다. 기기 결합부(204)는 고소 설치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나 부재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기기 결합부(204)는 고소 설치 기기와 스크류 결합이 가능한 스크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기기 결합부(204)에는 고소 설치 기기로서 조명등(10)이 결합된다. 다른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결합부(204)에는 고소 설치 기기로서 화재감지기(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결합부(204)에는 고소 설치 기기로서 CCTV 카메라(3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승강체(200)의 외주면 상단에는 스토퍼(106)에 대응하는 걸림턱(20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201)은 승강체(200)의 상승시 스토퍼(106)를 밀어올려 회동시키는 한편, 홈 부분이 스토퍼(106)와 결합되어 승강체(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드럼(101)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1)는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여 아래로 연장되어 승강체(20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드럼(101)의 측부와 상부에는 드럼(101)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안내롤(103)이 배치된다. 복수개의 안내롤(103) 중 드럼(101)의 상부에 위치하는 안내롤(103)은 본체(100) 내부에서 드럼(101)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 가이드 프레임(102)에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 로프(1)의 배열 구조가 외줄 타입, 즉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1)가 1줄인 경우에는 복수개의 안내롤(1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내롤(103)은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 정중앙으로 안내할 수 있는 지점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 로프(1)의 배열 구조가 2줄 타입, 즉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는 와이어 로프(1)가 2줄인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01)의 중공내에서 정중앙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양편으로 와이어 로프(1)가 통과한다. 이를 위해, 가이드 프레임(102)에는 와이어 로프(1)의 끝부분을 지지하는 고정부(112)가 장착되어 있고, 와이어 로프(1)는 안내롤(103) 및 승강체(200)를 경유하여 끝부분이 고정부(112)에 고정되도록 배열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 로프(1)는 전체적으로 상하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고 드럼(101)의 중공을 2줄이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 승강체(200)에는 와이어 로프(1)에 대하여 승강체(200)의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204)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부(112)는 와이어 로프(1)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트러스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미트 스위치(115)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안내롤(103)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가이드 프레임(102)에 설치된다. 리미트 스위치(115)는 버튼(115a) 부분이 그에 대응하는 안내롤(103)의 회전 샤프트(103a)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리미트 스위치(115)는 제어부(300)에 안내롤(103)의 상태에 연동하는 온/오프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300)에서는 와이어 로프(1)에 승강체(200)의 하중이 가해지고 있는 상태인지 해제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구동모터(113)를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103)이 하강 이동하여 회전 샤프트(103a)가 리미트 스위치(115)의 버튼(115a)을 눌렀을 때 리미트 스위치(115)는 턴 온(turn on) 상태가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롤(103)이 상승 복귀하여 회전 샤프트(103a)가 리미트 스위치(115)의 버튼(115a)에서 분리되면 리미트 스위치(115)는 턴 오프(turn off) 상태가 된다.
제어부(300)는 본체(100)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승강체(200)가 본체(100)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승강체(200)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구동모터(113)를 정지시키거나 전 단계를 재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승강체(200)의 하강상태에서 상승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상승 신호에 따라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정상적으로 본체(100)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승강체(200)가 정상적으로 본체(100)와 결합을 못하였을 경우 구동모터(113)를 정지시키거나 전 단계를 재수행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제어부(300)는 상기 재수행 과정을 정해진 횟수까지 반복하여도 승강체(200)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거나 승강체(200)가 정상적으로 본체(100)와 결합을 못할 경우 구동모터(113)를 정지시킨다. 여기서, 승강체(200)의 '하강이탈'은 승강체(200)에서 스토퍼(106)가 정상적으로 분리되고 와이어 로프(1)의 하강에 의해 승강체(200)가 본체(100)의 하부로 이탈된 상태를 지칭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드럼(101)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13)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 제어 마이컴(301)과, 스토퍼(106)와 승강체(200) 간의 결합 및 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302)와, 드럼(101)의 과부하 여부를 판단하는 과부하 판단부(303)를 포함한다.
모터 제어 마이컴(301)은 구동모터(113)의 온/오프를 비롯하여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정방향/역방향)을 제어한다.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302)는 안내롤(103)이 하강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115)가 턴 온(turn on) 상태가 되었을 때 리미트 스위치(115)로부터 턴 온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어 로프(1)에 승강체(200)의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인식한다.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302)는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1)에 승강체(200)의 하중이 가해져서 팽팽하게 된 경우를 승강체(200)가 스토퍼(106)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302)는 안내롤(103)이 원위치로 상승 복귀하여 리미트 스위치(115)가 턴 오프(turn off) 상태가 되었을 때 리미트 스위치(115)로부터 턴 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와이어 로프(1)에 가해지던 승강체(200)의 하중이 해제된 것을 인식한다.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302)는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1)에 승강체(200)의 하중이 해제되어 느슨한 상태인 경우를 승강체(200)가 스토퍼(106)에 결합 및 지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과부하 판단부(303)는 드럼(101)의 회전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승강체(200)의 과부하 및 과하중 상태를 판단한다. 즉, 과부하 판단부(303)는 드럼(101)의 일측에 설치된 드럼 엔코더(118)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드럼(101)의 회전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드럼(101)에 과부하 및 과하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과부하 판단부(303)는, 정상 상태에서 드럼 엔코더(118)로부터 초당 1개씩의 신호를 입력받도록 설정되고, 예컨대 3초 동안 1개의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되면 드럼(101)의 회전속도가 줄어든 것으로 인식하고 과부하 및 과하중 상태를 판단한다. 과부하 판단부(303)는 드럼(101)의 회전속도가 비정상인 것으로 인식했을 때 모터 제어 마이컴(301)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구동모터(113)의 정지 등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어부(300)는 승강체(200)가 정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거나 승강체(200)가 정상적으로 본체(100)와 결합을 못할 경우 모터 제어 마이컴(301)을 통해 구동모터(113)를 정지시킨다. 또한, 구동모터(113)를 정지시킨 후 소정의 무선통신으로 정해진 수신 모듈에 상황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00)는 승강체(200)가 정상 동작하여 하강 진행 도중 와이어 로프(1)에 하중이 해제되면 모터 제어 마이컴(301)을 통해 구동모터(113)를 자동정지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승강체(200)의 상승 도중 슬로우 스위치(116)로부터 신호가 모터 제어 마이컴(301)에 입력되기 전에 상승정지 스위치(117)로부터 신호가 모터 제어 마이컴(301)에 입력되면 구동모터(113)를 역회전시켜서 일정시간 정지한 후 다시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300)는, 고소설치기기를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강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113)가 동작하여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가 서로 분리되기 전에 기기 결합부(204)에 결합되는 고소설치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먼저 턴오프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승 신호에 따라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가 서로 접촉한 후에 기기 결합부(204)에 결합되는 고소설치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턴온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승강체(200)는 상승 동작 중 본체(100)에 결합되면서 상승 한계점 도달 직전에 소정의 탄성 부재(미도시)로부터 탄성력이 가해져서 상승속도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변화되어 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각각 본체(100)의 하부와 승강체(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본체(100)와 승강체(200)의 결합시 서로 접촉하여 통전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접점부(109)는 드럼(101)의 안쪽 영역에 배치된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 상부에 고정된다. 상부 접점부(10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의 베이스 부재(109a)에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링형 도체패턴(109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승강체(200)가 승강하는 도중에 본체(100)에 대하여 승강체(200)가 상대적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더라도 접촉 상태를 지속할 수 있다. 상부 접점부(109)에는 와이어 로프(1)의 통과를 위한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접점부(202)는 승강체(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본체(100)와 승강체(200)의 결합시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되어 상부 접점부(109)와 접촉을 이룬다. 즉,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실질적으로 드럼(101)의 중공 안쪽 영역에서 서로 접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부 접점부(20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의 베이스 부재(202a)에 반경방향으로 상기 동심원 형상의 접점 도체패턴(109b)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점형 도체패턴(202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 접점부(202)에도 와이어 로프(1)의 통과를 위한 통공(205)이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는, 상부 접점부(109)가 점형 도체 패턴을 구비하고 하부 접점부(202)가 링형 도체 패턴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대안으로,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각각 링형 도체 패턴과 점형 도체 패턴이 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는 와이어 로프(1)의 권상에 의해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본체(100)와 결합되었을 때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가 서로 접촉하여 승강체(200)에 장착된 고소 설치 기기(10,20,30)에 전원이 공급된다.
와이어 로프(1)의 권상 동작은 본체(100) 내에 수평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113)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101)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와이어 로프(1)는 드럼(101)의 중공을 통과하면서 끌려 올라간 후 안내롤(103)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드럼(101)에 권취된다.
와이어 로프(1)의 권상에 의해 승강체(200)가 상승하여 정해진 지점에 도달했을 때 그 도달 상태는 소정의 리미트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감지되고, 그 감지 신호에 따라 드럼(101)의 회전이 정지됨과 더불어 승강체(200)의 외주면 상단에 마련된 걸림턱(201)이 커플링부(104)의 수용 구조물(105) 내벽에 돌출된 스토퍼(106)에 걸려서 승강체(200)가 본체(100)에 고정된다.
승강체(200)가 수용 구조물(105)에 삽입 고정됨과 동시에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는 서로 접촉하여 통전된다. 여기서, 수용 구조물(105)은 수평하게 배치된 드럼(101)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므로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 간의 접촉은 실질적으로 드럼(101)의 중공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드럼(101)의 중공을 활용하여 본체(100)와 승강체(200)를 합체함과 아울러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를 접촉시킴으로서 공간 활용도를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체(100)와 승강체(200)가 기계적으로 정확히 합체된 상태에서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접촉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고소 설치 기기(10,20,30)를 청소하거나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체(200)에 대한 스토퍼(106)의 걸림 상태를 해제한 후 드럼(101)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 로프(1)를 드럼(101)의 중공을 통해 풀어서 승강체(200)를 지상으로 하강시키면 된다. 스토퍼(106)의 걸림 상태 해제를 위해, 드럼(101)은 살짝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승강체(200)를 소폭 끌어 올리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 의해 스토퍼(106)는 승강체(200)의 측면으로부터 벗어나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체(200)는 자유롭게 하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는 본체(100) 내에 드럼(101)이 눕혀지게 배치되어 와이어 로프(1)를 권상 또는 권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므로 본체(100)를 컴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드럼(101)의 안쪽 빈 공간을 활용하여 상부 접점부(109)와 하부 접점부(202) 간의 접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는 승강체(100)의 하중이 와이어 로프(1)에 걸리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 오류 혹은 이탈 오류 상황을 반영하여 승강 제어를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조명등 20: 화재감지기
30: CCTV 카메라 100: 본체
101: 드럼 102: 가이드 프레임
103: 안내롤 103a: 회전 샤프트
105: 수용 구조물 106: 스토퍼
107: 마찰방지롤 108: 가이드홈
109: 상부 접점부 110,205: 통공
111: 장착부재 113: 구동모터
115: 리미트 스위치 200: 승강체
201: 걸림턱 202: 하부 접점부
203: 가이드돌기 204: 기기 결합부
300: 제어부 301: 모터 제어 마이컴
302: 승강체 결합/분리 판단부 303: 과부하 판단부

Claims (15)

  1.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며,
    (d) 상기 승강체의 하강상태에서 상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d)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c) 및 (f)의 재수행 과정을 정해진 횟수까지 반복하여도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거나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할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킨 후 무선통신으로 정해진 모듈에 상황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6.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며,
    (d) 상기 승강체의 하강상태에서 상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d)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정지 후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시켜서 승강체가 스토퍼에 걸리게 제어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졌던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해제됐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스토퍼에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 해제에 의해 복귀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서 분리됐을 때 정상적으로 스토퍼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가 정상 동작하여 하강 진행 도중 상기 와이어 로프에 하중이 해제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자동정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도중 슬로우 스위치 신호가 마이컴이 전달되기 전에 상승정지 스위치 신호가 마이컴에 전달되면 구동모터가 역회전하여 일정시간 정지한 후 다시 상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10.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며,
    (d) 상기 승강체의 하강상태에서 상승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e) 상기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d)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가 동작하여 상기 상부 접점부와 상기 하부 접점부가 서로 분리되기 전에 상기 기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먼저 턴오프하고,
    상승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상부 접점부와 상기 하부 접점부가 서로 접촉한 후에 상기 기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11.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는 안내롤이 상기 승강체의 하중에 의해 이동하여 리미트 스위치를 눌렀을 때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동작 중 본체에 결합되면서 상승 한계점 도달 직전 탄성력이 상기 승강체에 가해져서 상승속도가 변화되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12.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와,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를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본체와 승강체 간의 결합상태에서 하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하강 신호에 따라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못하였을 경우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거나 상기 단계 (a)를 재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b)는,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승강체가 상기 본체로부터 정상적으로 하강이탈 하였는지 판단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승강체의 과부하 및 과하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결합부에는 조명등, 화재감지기, CCTV 카메라 및 홍보배너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의 제어 방법.
  14. 정해진 높이에 설치되고 와이어 로프가 감길 수 있는 중공형 드럼 및 상기 드럼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본체;
    상기 와이어 로프에 매달리고 하단에는 기기 결합부가 마련된 승강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체와 결합되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있는 수용 구조물과, 상기 수용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체의 추락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커플링부;
    상기 본체와 상기 승강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 로프의 권상에 의해 상기 승강체가 상승하여 상기 본체와 결합되었을 때 서로 접촉되는 상부 접점부 및 하부 접점부;
    상기 드럼의 측부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에서 풀린 와이어 로프를 지지하고 상기 드럼의 중공 내부로 안내하는 복수개의 안내롤;
    상기 복수개의 안내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안내롤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와이어 로프에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승강체와 상기 스토퍼 간의 결합 및 분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져서 상기 안내롤이 이동하여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누른 것을 인식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하강이탈을 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와이어 로프에 가해졌던 상기 승강체의 하중이 해제되어 상기 안내롤이 복귀하여 상리 리미트 스위치에서 분리된 것을 인식하여 상기 승강체가 정상적으로 상기 스토퍼에 걸린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15. 삭제
KR1020180090970A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5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12798 WO2019083315A1 (ko) 2017-10-27 2018-10-26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1880040624.2A CN110770159B (zh) 2017-10-27 2018-10-26 用于高空安装设备的升降装置和用于控制升降装置的方法
US16/759,576 US11247881B2 (en) 2017-10-27 2018-10-26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8870998.4A EP3702315A4 (en) 2017-10-27 2018-10-26 LIFTING DEVICE FOR INSTALLATION EQUIPMENT IN HIGH POSI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517 2017-10-27
KR20170141517 2017-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85A KR20190047585A (ko) 2019-05-08
KR102050020B1 true KR102050020B1 (ko) 2019-11-28

Family

ID=665802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72A KR20190047587A (ko)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90970A KR102050020B1 (ko)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180090971A KR102088492B1 (ko)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72A KR20190047587A (ko)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71A KR102088492B1 (ko) 2017-10-27 2018-08-03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702315A4 (ko)
KR (3) KR20190047587A (ko)
CN (2) CN1107701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72B1 (ko) * 2019-11-12 2021-07-23 주식회사 릴테크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027889A (zh) * 2020-09-02 2020-12-04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超高层建筑施工的建筑物料提升装置
KR102497551B1 (ko) * 2021-06-11 2023-02-08 주식회사 티에스엔텍 침사 및 협잡물 스킵 호이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976A (ja) *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装置
KR101589715B1 (ko) * 2015-07-06 2016-01-28 신정훈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3617A1 (fr) * 1991-11-08 1993-05-14 Sedap Atelier Appareil d'eclairage encastrable.
JPH08192995A (ja) * 1995-01-18 1996-07-30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3268178B2 (ja) * 1995-10-09 2002-03-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荷役装置
JPH1059700A (ja) * 1996-08-21 1998-03-03 Nippon Sky Robotsuto Kk 吊荷が揺動しない昇降装置
JP2000016766A (ja) * 1998-06-30 2000-01-18 Toshiba Tec Corp 電動昇降装置
JP4012365B2 (ja) * 2000-09-29 2007-11-21 松下電工株式会社 昇降装置
WO2002055931A1 (en) * 2001-01-12 2002-07-18 Jeong-Hoon Si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KR100679998B1 (ko) 2005-04-22 2007-02-08 신정훈 4줄 와이어 구조를 갖는 고소 조명등 승하강장치
JP4819578B2 (ja) 2005-06-02 2011-11-24 アルモテクノス株式会社 照明用昇降装置
KR100780165B1 (ko) * 2006-04-17 2007-11-27 신정훈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그릴 승강기
KR100908039B1 (ko) 2006-05-16 2009-07-20 최성돈 전기 접속장치 및 전기 접속장치가 설치된 전기 시설물
JP4746509B2 (ja) 2006-09-29 2011-08-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照明用昇降装置
KR101026555B1 (ko) * 2008-08-26 2011-04-01 (주)엔티전기 고소조명 승하강장치
US8403302B2 (en) * 2008-09-04 2013-03-26 Videolarm, Inc. Elevated support system
KR101056847B1 (ko) 2008-10-10 2011-08-22 (주)엔티전기 고소조명 승강장치
JP2010100423A (ja) * 2008-10-27 2010-05-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2011001170A (ja) * 2009-06-19 2011-01-06 Difference Inc ワイヤ巻取り装置
CN201439929U (zh) * 2009-07-21 2010-04-21 蔡逢春 利于维修的灯具
CN202322245U (zh) * 2011-11-11 2012-07-11 浙江天地人科技有限公司 用于视频监控设备的升降装置和具有该升降装置的云台
CN202449775U (zh) * 2012-01-17 2012-09-26 厦门茂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添油灯升降的驱动装置
CN202594687U (zh) * 2012-02-20 2012-12-12 南京闽磊建材实业有限公司 吊灯升降机
KR101184989B1 (ko) * 2012-03-29 2012-10-02 전대훈 조명등 승강 장치
JP6290311B2 (ja) * 2015-07-06 2018-03-07 リール 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Reel Tech Co., Ltd.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CN206156653U (zh) * 2016-11-03 2017-05-10 上海优爱宝智能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展示物动态悬吊装置
CN106744409B (zh) * 2017-02-15 2018-12-18 河北东海特钢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固定功能的工业设备起重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976A (ja) * 2008-02-26 2009-09-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装置
KR101589715B1 (ko) * 2015-07-06 2016-01-28 신정훈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95356B (zh) 2021-07-16
CN111295356A (zh) 2020-06-16
KR20190047585A (ko) 2019-05-08
CN110770159A (zh) 2020-02-07
CN110770159B (zh) 2021-07-02
EP3702314A1 (en) 2020-09-02
KR20190047586A (ko) 2019-05-08
EP3702315A1 (en) 2020-09-02
EP3702314B1 (en) 2023-09-13
KR102088492B1 (ko) 2020-03-12
EP3702315A4 (en) 2021-07-28
EP3702314A4 (en) 2021-07-28
KR20190047587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0311B2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US11247881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89715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KR102050020B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384030B1 (en) Equipment for highly mounted lamp having ascending and descending function
US11261065B2 (en) Lifting apparatus for highly-mounted device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JP2003317531A (ja) 照明塔における照明架台の昇降装置
KR101647766B1 (ko) 승강형 cctv 카메라 시스템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2280972B1 (ko) 스마트 고소설치기기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48459Y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의 접점구조.
JPH06275120A (ja) 照明用昇降装置
KR100454819B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용 스톱퍼.
KR20240000001U (ko) 와이어와 케이블 속도 제어가 가능한 공기청정기가 부설된 등기구 장치
KR200248458Y1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용 스톱퍼.
JPH07257882A (ja) ワインダのワイヤ抜け止め装置
KR20020097062A (ko) 승하강장치가 구비된 고소 조명등의 접점구조.
JP2002104783A (ja) 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