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293B1 -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293B1
KR101012293B1 KR1020100108053A KR20100108053A KR101012293B1 KR 101012293 B1 KR101012293 B1 KR 101012293B1 KR 1020100108053 A KR1020100108053 A KR 1020100108053A KR 20100108053 A KR20100108053 A KR 20100108053A KR 101012293 B1 KR101012293 B1 KR 101012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limit switch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ans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환
Priority to KR102010010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무대 승하강 장치가 그리드 또는 무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무대 승하강 장치에 연결된 주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무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권취드럼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1리미트 추와 제1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제1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2리미트 추와 제2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제2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동력전달수단에 접속되되, 제2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조작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동력전달수단을 정지시키는 전자접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판넬부의 기기결함 또는 오작동 등으로 인해 판넬부에 의한 구동부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무대장치구조물이 천장, 그리드 상부 또는 무대 하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A SAFETY DEVICE FOR BATTEN OF STAGE}
본 발명은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 승하강 장치가 승강시에 상부의 그리드 또는 하부의 무대 등에 충돌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에 연결된 주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1리미트 추와 제1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2리미트 추와 제2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접속되되,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조작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동력전달수단을 정지시키는 전자접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대형무대에서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연 등에 필요한 무대 장치물들, 예를 들어 조명기구나 플랜카드 또는 스크린(이하 무대장치 구조물이라 통칭한다.) 등을 매달아 승강하게 되는 바튼(batten;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튼(10)은 무대의 상부측에 설치된 구동장치(D)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것으로, 바튼(10)과 연결된 와이어(W)가 무대 천정의 그리드(G) 상부에 마련되는 권취드럼(22)에 권취됨으로써 바튼(10)의 승강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무대 바튼의 승강 동작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되는데, 적절하지 못한 제어로 인해 바튼 승강시에는 바튼이 그리드 상부에 충돌할 위험이 있고 바튼 하강시에는 바튼이 무대 하부에 충돌할 위험이 있으며, 이로 인한 바튼 또는 무대장치물의 파손과 장치 사용수명 단축의 결과가 초래될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위험도 항상 존재한다.
관련하여, 종래 기술로서 무대 바튼 승강 안전장치가 다수 제안되었는데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938218호는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하 승강되는 바튼과 연결되는 무대장치 구조물의 하중의 과다 여부를 인지하여 구동장치의 운전 제어가 가능한, 무대장치구조물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 회전되는 스크류회전드럼에 권선되어 무대장치구조물과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도록 하는 와이어를 이루되,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는 구동축에 의해 연동되는 스크류회전드럼의 회전토크를 감지하기 위해 구동축의 외곽프레임 측면으로 위치제어리미트를 구비하고, 외곽프레임 하단측으로 고정 연결되는 하단플레이트 측으로 삽입되는 로드셀과, 상기 스크류회전드럼의 회전토크의 설정값이 초과되는 것을 로드셀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을 정지토록 하는 무대 바튼 승강 안전장치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무대 바튼 승강 안전장치에 따르면, 무대장치구조물의 하중이 과다할 경우 구동장치의 운전을 정지시켜 구동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키는 이점은 있을지언정,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727464호도 무대설비의 승하강 안전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승하강 안전장치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부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권취드럼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권취드럼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의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권취드럼의 나선홈에 감기거나 풀려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가 상기 나선홈에 정확하게 수용되도록 상기 권취드럼을 승강부재의 감기거나 풀리는 진행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권취드럼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에 수용된 승강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승강부재를 감거나 풀어서 무대설비를 승하강시키는 과정에 있어서 승강부재의 엉킴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정으로 무대 설비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로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무대 승하강 안전장치는 판넬부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판넬부를 통해 제어 및 사용자 조작이 가능한데, 장치 특성상 판넬부와 구동부가 이격되도록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판넬부 측의 기기결함, 오동작 등으로 인해 구동부가 정지하지 않고 계속 동작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이 또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938218호 한국등록특허 제72746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판넬부의 기기결함 또는 오작동 등으로 인해 판넬부에 의한 구동부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무대장치구조물이 천장, 그리드 상부 또는 무대 하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무대의 바튼 또는 무대장치구조물의 파손과 장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 안전장치는,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에 연결된 주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1리미트 추와 제1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2리미트 추와 제2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접속되되,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조작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동력전달수단을 정지시키는 전자접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와이어에 접속되는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된 후,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리미트 추가 제2리미트 추보다 상기 주와이어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를 이루는 제1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판넬부,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전자접촉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 안전장치는, 무대 승하강 장치가 그리드 또는 무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에 연결된 주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1리미트 추와 제1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2리미트 추와 제2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접속되되,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조작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동력전달수단을 정지시키는 전자접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판넬부의 기기결함 또는 오작동 등으로 인해 판넬부에 의한 구동부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무대장치구조물이 천장, 그리드 상부 또는 무대 하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튼 승강장치의 전체적인 개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를 이루는 구동부 측의 예시적인 결선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를 이루는 구동부 측의 예시적인 결선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는 크게 구동부(100)와 승강부(200), 및 판넬부(300)로 이루어진다.
구동부(100)는 무대장치구조물(예를 들어, 바텐; B)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무대장치구조물(B)의 승하강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무대장치구조물(B)에 연결된 주와이어(210)가 상측으로 연장되어야 하므로 통상적으로 그리드(G) 상부에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와이어를 이용한 무대장치 구조물(B)의 승강이 가능하다면, 그리드(G) 상부가 아닌 다른 장소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구동부(100)는 주와이어(210)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10)과, 상기 권취드럼(110)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은 정역모터로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가능하며, 이러한 동력전달수단(120)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수단(120)에 접속된 권취드럼(110) 또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즉, 주와이어(210)가 권취드럼(110)에 권취될 경우에는 주와이어(210) 하단에 연결된 무대장치구조물(B)이 승강되고, 주와이어(210)가 권취드럼(110)으로부터 풀릴 경우에는 주와이어(210) 하단에 연결된 무대장치구조물(B)이 하강됨으로써 무대장치 구조물(B)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권취드럼(110)의 외주면에는 소정 간격의 홈을 원주방향으로 형성하거나, 나선형 홈을 형성하여 와이어(210)의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일단이 권취드럼(110)에 고정된 주와이어(210)는 하방으로 연장되는데, 이 때 풀리(130) 등에 의해 방향전환될 수 있다. 이렇게 연장된 주와이어(210)의 타단은 무대장치구조물(B)에 걸착되며, 용이한 길이 조절 및 장력조절을 위해 주와이어(210)와 무대장치구조물(B) 사이에 턴바클(220)을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주와이어(210)에는 제1리미트 추(230)와 제2리미트 추(240)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1리미트 추(230)와 제2리미트 추(24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주와이어(210)에 관통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리미트 추(230)와 제2리미트 추(240)는 내부에 걸림부재(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주와이어(210)의 소정 지점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추들의 결합 지점은 목표 장력 또는 와이어 길이 등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주와이어에 결합된 제1리미트 추(230)와 제2리미트 추(240)에는 각각 보조와이어(232,242)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보조와이어(232,242)의 타단은 리미트 스위치(234,244)에 연결된다. 즉, 제1리미트 추(230)에 제1보조와이어(232)의 일단이 접속되고, 제1보조와이어의 타단(232)은 제1리미트 스위치(234)에 접속되며, 제2리미트 추(240)에 제2보조와이어(242)의 일단이 접속되고, 제2보조와이어(242)의 타단은 제2리미트 스위치(244)에 접속되는 방식으로 결합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 2 리미트 스위치(234,244)는, 평상시에는 접점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다가 보조와이어(232,242)의 장력이 소정의 설정값 이하로 감지되면 접점이 열리는 방식으로 보조와이어(232,242)의 인장력을 감지하여 판넬부(300)의 제어부(310)에서 동력전달수단(120)을 구동하는 마그네트 스위치를 차단하도록 하며, 이 때 설정값은 목표로 하는 조절 위치 등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로 인해 구동부(100)의 동력전달수단(12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동력전달수단(120)이 정지함으로써 승강부(200)가 승강 동작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특성상 구동부(100), 승강부(200), 판넬부(300)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제1리미트 스위치(234)의 신호가 제어부(310)에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고, 판넬부(300) 측 기기결함, 오작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제어부(310)가 제1리미트 스위치(234)의 신호를 인가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동력전달수단(120)에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동력전달수단(120)은 계속 작동하여 주와이어(210)를 권취하게 되고, 이 때, 제2리미트 스위치(244)가 작동을 개시하게 된다. 제2리미트 스위치(244)도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234)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보조와이어(242)의 장력이 소정의 설정값 이하로 감지되면 접점이 열리는 방식으로 제2보조와이어(242)의 인장력을 감지하며, 설정값은 목표로 하는 조절 위치 등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제2보조와이어(242)가 턴오프되면 동력전달수단(120)에 직접 접속된 전자접촉기(140)가 상기 턴오프신호를 인가받아 동력전달수단(120)을 정지시킨다. 이 때, 상기 전자접촉기(140)는 조작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트립됨으로써 동력전달수단(120)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접촉기(140)는 공지된 바와 같이 렌쯔의 법칙에 따른 전자석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주/보조접점의 고정접점, 주전원 연결 및 온-오프시 발생되는 아크를 소호시켜주는 장치가 수용되어 있는 상부프레임, 가동접점을 이용하여 주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홀더, 고정코어와 함께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전자접촉기를 구동하는 가동코어, 조작코일단 전원 오프시 접촉기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장치인 백(back)스프링, 전자접촉기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인 조작코일, 가동코어와 함께 발생된 자기력에 의하여 전자접촉기를 구동하는 고정코어, 및 상기 고정코어, 조작코일 등을 취부하며 상부프레임과 함께 전자접촉기 외관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미트 스위치(234)와 제2리미트 스위치(244)는 그리드(G)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와이어(210)에 마련되는 제1리미트 추(230)는 제2리미트 추(240)보다 하측에 마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를 이루는 구동부(100) 측의 예시적인 결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3 은 판넬부(300) 측에 접속되는 제1리미트스위치(234) 등의 구성은 생략된 것으로, 구동부(100) 측의 결선상태를 보여준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넬부(300)측과 구동부(100)측은 3상 결선되고, 제2리미트 스위치(244)는 변압기(T)를 통해 구동부(100)측에 접속되고,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244)로부터 신호를 인가받는 전자접촉기(140)가 동력전달수단(120)에 직접 접속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는 무대장치구조물의 승하강을 안전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특히, 판넬부의 기기결함 또는 오작동 등으로 인해 판넬부에 의한 구동부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무대장치구조물이 천장, 그리드 상부 또는 무대 하부에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무대의 바튼 또는 무대장치구조물의 파손과 장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구동부
110: 권취드럼
120: 동력전달수단
130: 풀리
140: 전자접촉기
200: 승강부
210: 주와이어
220: 턴바클
230: 제1리미트 추
232: 제1보조와이어
234: 제1리미트 스위치
240: 제2리미트 추
242: 제2보조와이어
244: 제2리미트 스위치
300: 판넬부
310: 제어부
320: 조작부
B: 바튼
G: 그리드
T: 변압기

Claims (4)

  1. 무대 승하강 장치가 그리드 또는 무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에 연결된 주와이어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무대 승하강 장치를 승하강시키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1리미트 추와 제1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1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상기 동력전달수단 정지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판넬부;
    상기 주와이어에 접속된 제2리미트 추와 제2보조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2보조와이어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에 턴오프되는 제2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접속되되,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면 코일 전원을 차단하여 동력전달수단을 정지시키는 전자접촉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된 후, 상기 판넬부 이상 등으로 인해 상기 동력전달수단이 정지하지 않는 경우에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미트 추가 상기 제2리미트 추보다 상기 주와이어의 하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판넬부, 상기 제2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전자접촉기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20100108053A 2010-11-02 2010-11-02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1012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53A KR101012293B1 (ko) 2010-11-02 2010-11-02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053A KR101012293B1 (ko) 2010-11-02 2010-11-02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293B1 true KR101012293B1 (ko) 2011-02-08

Family

ID=4377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053A KR101012293B1 (ko) 2010-11-02 2010-11-02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2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49B1 (ko) * 2013-07-17 2013-11-06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내유도 안전장치
KR101414451B1 (ko) * 2013-10-14 2014-07-03 (주)하온아텍 무대설비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튼 승강 시스템
KR101859747B1 (ko) 2017-07-31 2018-05-21 한규명 무대장치용 안전 바텐장치
KR101972829B1 (ko) * 2018-10-24 2019-04-26 (주)하온아텍 공연무대용 안전 장치
KR20240000982A (ko) 2022-06-24 2024-01-03 (주)엔티전기 바텐의 하중분포 감지구조를 구비한 무대장치용 바텐 안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68B1 (ko) 2008-06-23 2009-03-17 (주)영스테이지 배튼 승하강 장치
KR100972781B1 (ko)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768B1 (ko) 2008-06-23 2009-03-17 (주)영스테이지 배튼 승하강 장치
KR100972781B1 (ko)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149B1 (ko) * 2013-07-17 2013-11-06 (주)유성스테이지 무대기계용 와이어로프의 안내유도 안전장치
KR101414451B1 (ko) * 2013-10-14 2014-07-03 (주)하온아텍 무대설비의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튼 승강 시스템
KR101859747B1 (ko) 2017-07-31 2018-05-21 한규명 무대장치용 안전 바텐장치
KR101972829B1 (ko) * 2018-10-24 2019-04-26 (주)하온아텍 공연무대용 안전 장치
KR20240000982A (ko) 2022-06-24 2024-01-03 (주)엔티전기 바텐의 하중분포 감지구조를 구비한 무대장치용 바텐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293B1 (ko)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KR101639417B1 (ko) 건설 리프트용 비상 제동장치
EP2623452A1 (en) Elevator operation mode switching system
CN108861902A (zh) 电梯的电流切断装置
TW201636292A (zh) 救援設備及升降梯
JP2012153507A (ja) エレベータおよびエレベータの非常時運転方法
JP2014162634A (ja) ウェイト可変エレベータ
EP3702315A1 (en) Elevating device for high-elevation installation equip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0823075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488412B1 (ko) 승강기용 독립 제동 장치
JP201202555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3043762A (ja) エレベータの非接触給電システム
ES2694854T3 (es) Método para mover una cabina de ascensor
US7510169B2 (en) Aircraft 400 HZ cable hoist
KR101789647B1 (ko)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US20120199422A1 (en) Elevator apparatus
CN112173906B (zh) 带有对重阻挡挡块的电梯组件
JPWO2010067455A1 (ja) エレベータの安全回路装置
KR20140000050U (ko) 크레인의 과권하방지장치
JP2013227837A (ja) 昇降式足場装置
JP2011063421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CN102530665B (zh) 电梯设备
JP2012006707A (ja) エレベータ装置
KR920001609B1 (ko) 승강장치 및 그 제어회로
JP2001002340A (ja) エレベータのブレーキ解放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