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768B1 - 배튼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배튼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768B1
KR100888768B1 KR1020080058810A KR20080058810A KR100888768B1 KR 100888768 B1 KR100888768 B1 KR 100888768B1 KR 1020080058810 A KR1020080058810 A KR 1020080058810A KR 20080058810 A KR20080058810 A KR 20080058810A KR 100888768 B1 KR100888768 B1 KR 100888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ton
wire drum
weigh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겸
Original Assignee
(주)영스테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스테이지 filed Critical (주)영스테이지
Priority to KR102008005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낮은 천장고를 가지는 무대 등에도 배튼 승하강 장치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안전사고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상기 목적에 따르는 본 발명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배튼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축결합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와이어가 독립적인 와이어드럼에 의해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권취부의 구성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부의 높이를 현저히 낮춤으로써 낮은 천장고를 가지는 장소에서도 그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와이어가 베이스프레임 상에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 중 안전사고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배튼, 배튼 승하강 장치, 연결축, 와이어드럼, 구동부

Description

배튼 승하강 장치{BATTEN ELEVATOR}
본 발명은 무대나 소공연장 또는 각종 행사장에서 플래카드(placard), 조명, 콘타커튼(contour curtain), 스크린(screen) 등이 설치되는 배튼(batten)의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배튼이 매달려 지지되는 와이어 별로 와이어드럼부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구동부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천장고가 낮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 및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튼 승하강 장치는 무대의 천장부에 있는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소공연장 또는 각종 행사장에서 플래카드(placard), 조명, 콘타커튼(contour curtain), 스크린(screen) 등이 설치되는 배튼(batten)의 승하강 위치 이동 조절을 한다.
종래기술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있고, 배튼 승하강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와, 구동모터(1)의 회전축과 벨트(3) 및 감속기에 의해 연결되어 와이어(4)를 권취하는 권취드럼(2)과, 배튼(10)을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4)로 구성된다. 이때 배튼(10)을 지지하는 와이어(4)의 개수만큼의 롤러브라켓(5)이 설치되고 롤러브라켓(5)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4)가 하나의 권취드럼(2)으로 연결되어 배튼(10)이 승하강 이동을 한다.
상술한 구성 중 권취드럼(2)은, 각각의 와이어(4)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베이스프레임(50)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하나의 권취드럼이 다수의 와이어를 권취하기 때문에 와이어가 공중에 떠 있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해 천장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배튼 승하강 장치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이 배튼 승하강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를 수행할 경우 작업자는 공중에 떠 있는 와이어를 넘어다녀야 하기 때문에, 신속한 작업처리가 불가능하며 작업 중 작업자에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천장까지 높이가 낮은 경우에도 배튼 승하강 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함은 물론 설치 및 유지보수 시 안전사고 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는, 배튼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를 권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부가 축결합되는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 중 연결축부는,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위치에서 각각 분리된 후 분리된 연결축의 양측 단부가 와이어드럼부의 축과 유니버셜조인트 등에 의해 축결합됨으로써 와이어드럼부 별로 수리 및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드럼부는 상기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된 와이어드럼과, 상기 와이어드럼축의 중심을 관통하는 와이어드럼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는, 회전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상기 연결축부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부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에 의한 구동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배튼의 승하강 한계를 알리는 리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배튼의 하중 또는 천장의 높이에 따라 기어드모터, 웜리듀서모터, 리미트를 내장한 원주형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배튼의 최상한 이동 위치를 제한하기 위하여 베이스프레임 또는 배튼 등에 부착되는 최종리미트스위치와, 웨이트와이어 의해 지지되며 하나의 와이어가 관통되도록 와이어와 결합되는 웨이트를 구비한 최종리미트스위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치가 베이스프레임에 부착되는 경우 웨이트와이어 중 어느 하나는 최종리미트 스위치의 스위칭 레바와 웨이트에 부착되어 웨이트를 지지하며, 다른 웨이트와이어는 베이스프레임과 웨이트에 부착되어 웨이트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리미트스위치가 배튼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웨이트와이어가 베이스프레임과 웨이트에 부착되어 웨이트를 지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배튼을 지지하는 와이어가 와이어드럼부 각각에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와이어의 권취를 위하여 일정 높이를 가지고 구동부와 함께 설치되는 권취드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구동부의 높이를 현저히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각의 와이어가 각각의 와이어드럼부에 독립적으로 권취됨으로써 종 래기술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일정 높이를 가지고 배치되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각각의 와이어가 독립적인 와이어드럼부에 의해 권취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권취부를 구동부에 구비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여 구동부의 높이가 낮아지고 이에 의해 배튼 승하강 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베이스프레임 상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와이어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배튼 승하강 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강당이나 소공연장의 무대 천장부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50)에 설치되는 배튼(10) 승하강 장치는, 배튼(10) 승하강 장치의 작동을 위한 회전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0)와, 배튼(10)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123)를 독립적으로 권취하는 와이어드럼부(120)와, 상술한 구동부(110)와 와이어드럼부(120)들을 축 상으로 연결하는 연결축부(1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5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구동력을 와이어드럼부(120) 또는 연결축부(130)로 제공하는 구동부(110)는, 회전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모터(111)와 구동모터(111)에서 연결축부(130) 또는 와이어드럼부(120)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와, 구동모터(111)의 구동축(112)의 회전을 감지하여 배튼(10)의 승하강 한계를 알리는 리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1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튼(10)의 승하강 조절이 가능한 리미트스위치(114)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의 리미트스위치(114)는 구동모터(1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112)에 체인(115)(또는 벨트) 등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축(112)의 좌우방향 회전에 의해 배튼(10)이 상하 이동되는 한계를 설정하게 되며, 배튼(10)이 상하 한계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되는 경우 구동모터(111)의 정지를 위한 리미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상기 구동부(110)는 리미트스위치(114)의 고장 시 대체 가능한 최종리미트스위칭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칭부(140)는 배튼(10)의 최상한 이동을 제한하는 스위치로써, 베이스프레임(50) 또는 배튼(10) 등에 부착되는 최종리미트스위치(141)와 어느 하나의 와이어(123)가 관통하도록 와이어(123)에 결합되고, 웨이트와이어(142a, 142b)에 의해 지지되는 웨이트(143)로 구성된다.
이때, 최종리미트스위치(141)가 베이스프레임(5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웨이트와이어(142a)가 일측은 웨이트(143)와 베이스프레임(50)에 부착되어 웨이트를 지지하게 되고, 다른 웨이트와이어(142b)는 웨이트(143)와 최종리미트스위치(141)의 스위치레바(141a)에 부착되어 웨이트(143)를 지지하게 되어, 배튼(10)의 과도한 승강시 배튼(10)이 웨이트(143)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웨이트와이어(142b)의 장력이 감소되어 최종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레바가 원위치로 이동되면서 스위칭되어, 구동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달리 최종리미트스위치(141)가 배튼(1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웨이트(143)가 부착된 와이어가 고정되는 배튼(10) 상의 위치에 최종리미트스위치(141)가 부착되어 배튼(10)이 웨이트(143)까지의 높이로 승강하면 웨이트(143)에 의해 최종리미트스위치(141)가 스위칭되어 구동부로 구동정지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배튼(10)의 과도한 승강이 방지된다.
즉,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최종리미트스위칭부(140)는 리미트스위치(114)의 고장에 의해 배튼(10)이 과도한 승강을 방지하며,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칭부(140)의 웨이트(143)의 고정 위치가 배튼(10)의 최종 상승 한계 위치가 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는 연결축부(130)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와이어드럼부(120)가 일체형의 연결축부(130)에 축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리를 위하여 구동부(110)와 와이어드럼부(120)와 연결축부(130)가 각각 분리구성되어 축결합구(150)에 의해 축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드럼부(120)는 와이어(123)가 권취되는 권취홈이 형성된 와이어드럼(121)과 와이어드럼(121)의 중심을 관통하는 와이어드럼축(122)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축결합구(150)에 의한 축결합 구성이 도 4에 도시되어있으며, 상기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10)와 와이어드럼부(120)와 연결축부(130)가 각각 분리된 독립 부품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동되도록 유니버셜조인트와 같은 축결합구(150)에 의해 축결합 된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드럼부(120)는 연결축부(130)가 와이어 배치 간격의 길이를 가지는 축으로 형성되어, 축결합구(150)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축결합구(150)에는 유니버셜조인트, 체결너트, 외주관과 고정핀 등으로서 공지기술에서 축을 축방향에서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는 와이어드럼축(122) 또는 연결축(131)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모듈(124)에 의해 베이스프레임(5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의 구동부(110)는 배튼(10)의 하중이나 사용방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동모터(111)가 사용될 수 있는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기어드모터(111a)로 구성된 구동부(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원주형모터(111b)로 구성된 구동부(11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웜리듀서모터(111c)로 구성된 구동부(1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기어드모터(111a)를 구비한 구동부는 현수막이나 태극기와 같이 배튼(10)의 하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사용되는데, 감속기가 모터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있는 기어드모터(111a)와 기어드모터(111a)의 구동축(112)에 벨트 또는 체인(115)에 의해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114)로 구성된다. 도 5의 원주형모터(111b)를 구비한 구동부 또한 배튼의 하중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 사용되는데, 리미트스위치(114)가 내장되어있는 원주형모터(111b)로 구성되어 천장이 낮은 경우에 배튼 승하강 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의 웜리듀서모터(111c)를 구비한 구동부는 무대의 조명장치와 같은 배튼(10)의 하중이 비교적 큰 경우에 사용되는데, 구동부의 회전 토크를 최대로 할 수 있도록 하는 웜리듀서(113)를 모터 외부에 따로 구비한 웜리듀서모터(111c)와 웜리듀서(113)의 축에 벨트 또는 체인(115)에 의해 연결되는 리미트스위치(114)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의 작동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배튼 승하강 장치는 구동모터(111)의 작동이 시작되면 회전구동력이 발생되고, 발생된 회전구동력은 구동축(112)으로 출력되어 연결축부(130) 또는 와이어드럼부(120)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축형상으로 연결된 와이어드럼부(120)와 연결축부(130)가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와이어(123)가 와이어드럼부(120)에 권취되거나 권해됨으로써 와이어(123)에 매달린 배튼(10)이 승하강된다. 이때, 상기 배튼(10)의 승하강 한계의 조절은 구동부(110)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114) 및 최종리미트스위칭부(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권리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따라 결정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배튼 승하강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튼 승하강 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구동부의 상세도.
도 4는 구동부와 와이어드럼부와 축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원주형모터로 구현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웜리듀서를 구비한 웜리듀서모터로 구현된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구동모터 2 : 권취드럼
3 : 벨트 4 : 와이어
5 : 롤러브라켓
10 : 배튼 50 : 베이스프레임
110 : 구동부 111 : 구동모터
111a : 기어드모터 111b : 원주형모터
111c : 웜리듀서모터 112 : 구동축
113 : 웜리듀서 114 : 리미트스위치
120 : 와이어드럼부 121 : 와이어드럼
122 : 와이어드럼축 123 : 와이어
124 : 베어링모듈
130 : 연결축부 131 : 연결축
140 : 최종리미트스위칭부 141 : 최종리미트스위치
141a : 스위치 레바 142a, 142b : 웨이트와이어
143 : 웨이트
150 : 축결합부

Claims (6)

  1. 배튼을 지지하기 위해 일정 거리마다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를 독립적으로 권취하는 와이어드럼과 와이어드럼축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드럼부와;
    상기 와이어드럼축의 단부에 축결합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와이어드럼부들을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축부와;
    상기 연결축부의 연결축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부의 와이어드럼축에 구동축이 축결합구에 의해 축결합되어 서로 연결된 상기 와이어드럼부들과 상기 연결축부들로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드럼부와 연결축부와 구동부는 독립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구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상기 연결축부 또는 상기 와이어드럼부로 전달되는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기와;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된 회전구동력에 의한 구동축의 회전을 감지하여 배튼의 승하강 한계를 알리는 리미트 신호를 출력하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배튼의 최상한 이동을 제한하는 최종리미트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칭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부착되는 최종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배튼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웨이트와;
    일측은 상기 웨이트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치의 스위치레바에 부착되어 상기 웨이트를 지지하는 웨이트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최종리미트스위칭부는,
    상기 배튼에 부착되는 최종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배튼을 지지하는 와이어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웨이트와;
    일측은 상기 웨이트에 부착되고 타측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부착되어 상기 웨이트를 지지하는 웨이트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튼 승하강 장치.
KR1020080058810A 2008-06-23 2008-06-23 배튼 승하강 장치 KR100888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810A KR100888768B1 (ko) 2008-06-23 2008-06-23 배튼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810A KR100888768B1 (ko) 2008-06-23 2008-06-23 배튼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768B1 true KR100888768B1 (ko) 2009-03-17

Family

ID=40698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810A KR100888768B1 (ko) 2008-06-23 2008-06-23 배튼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7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2293B1 (ko) 2010-11-02 2011-02-08 주식회사 유환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EP2935085A4 (en) * 2012-12-21 2016-09-28 Avista Designs Llc COMPACT LIFTING SYSTEM
US10183850B2 (en) 2012-12-21 2019-01-22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US10799809B2 (en) 2007-11-08 2020-10-13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Lif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9133A (en) * 1978-03-09 1980-04-22 Pierre Gagnon Battens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sceneries on a stage
JP2004016330A (ja) 2002-06-13 2004-01-22 Kayaba Ind Co Ltd バトン装置
KR100701507B1 (ko) * 2005-08-18 2007-04-02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9133A (en) * 1978-03-09 1980-04-22 Pierre Gagnon Battens system for raising and lowering sceneries on a stage
JP2004016330A (ja) 2002-06-13 2004-01-22 Kayaba Ind Co Ltd バトン装置
KR100701507B1 (ko) * 2005-08-18 2007-04-02 주식회사 두륭 리깅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9809B2 (en) 2007-11-08 2020-10-13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Lift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KR101012293B1 (ko) 2010-11-02 2011-02-08 주식회사 유환 무대 승하강 장치의 안전장치
EP2935085A4 (en) * 2012-12-21 2016-09-28 Avista Designs Llc COMPACT LIFTING SYSTEM
US9700810B2 (en) 2012-12-21 2017-07-11 Donald Aloysius Hoffend, Jr. Compact hoist system
US9962621B2 (en) 2012-12-21 2018-05-08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US10183850B2 (en) 2012-12-21 2019-01-22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US11111117B2 (en) 2012-12-21 2021-09-07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system
US11319198B2 (en) 2012-12-21 2022-05-03 Electronic Theatre Controls, Inc. Compact hoist accessories and combination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92B1 (ko) 무대장치
CN204096951U (zh) 施工升降机用吊杆及施工升降机
KR100888768B1 (ko) 배튼 승하강 장치
WO1990014300A1 (fr) Crochet de levage rotatif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KR200468875Y1 (ko) 무대설비용 승·하강장치
CN204079281U (zh) 起重小车
KR100701507B1 (ko) 리깅장치
KR102258793B1 (ko) 무대 시설 승강 장치
EP1500621A1 (en) Elevating/lowering mechanism and elevating/lowering method of elevator
KR200353835Y1 (ko) 무대장치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GB2521099A (en) Self-braking motor
JP5468430B2 (ja) 作業用ゴンドラの落下防止機構
KR100965825B1 (ko)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0880036B1 (ko) 구동부의 원격 및 현장제어 일체형 무대장치
CN111457144A (zh) 一种卷扬式启闭机
KR20090006206U (ko) 케이지의 승강 자동감지수단이 부설된 건설용 리프트의통신케이블 권설장치
JP2003117264A (ja) 舞台設備における吊物昇降装置
KR100398962B1 (ko) 인양기의 추락방지장치
KR200364503Y1 (ko) 승하강 조명기
CN218290243U (zh) 基于蜗轮蜗杆传动的双动力提升机
US7500652B2 (en) Hoist for elevator
KR20220070772A (ko) 무대시설용 드럼 비상브레이크장치
CN213505587U (zh) 一种t梁吊装用固定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