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25B1 -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 Google Patents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25B1
KR100965825B1 KR1020090111884A KR20090111884A KR100965825B1 KR 100965825 B1 KR100965825 B1 KR 100965825B1 KR 1020090111884 A KR1020090111884 A KR 1020090111884A KR 20090111884 A KR20090111884 A KR 20090111884A KR 100965825 B1 KR100965825 B1 KR 100965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inch
lifting
disconnection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양일
Original Assignee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로부터 승강하는 승강틀과 지주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윈치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힌지결속구를 통해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의 윈치케이블은 윈치의 양측으로 각기 권취되도록 2가닥으로 분할 형성하며, 이들 각각의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에는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게 한 감지센서를 위치하여 형성함에 따라, 승강틀의 중량이나 크기에 따라 적어도 두가닥 이상으로 분할 구성된 승강케이블로 인해 승강틀의 안정적인 오르내림이 가능한 것이고, 분할 형태의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은 내구성이 뛰어남은 물론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더라도 절단되지 않은 케이블로 인해 승강틀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케이블이나 윈치케이블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감지센서를 통해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게 하여 위험한 상태에서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므로 매우 안전한 관리와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조명타워, 승강틀, 케이블, 단선, 감지센서, 윈치, 리미트스위치

Description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Elevating lighting tower having safty means against disconnection of cable}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타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등이 장착되는 승강틀과 상기의 승강틀을 승강시키기 위한 윈치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힌지결속구를 통해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로 구분 형성하고, 힌지결속구의 하측의 위치하는 윈치케이블은 윈치의 양측으로 동시에 권취되도록 2가닥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의 승강케이블이나 윈치케이블에는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장착함에 따라 이들 감지센서를 통해 케이블의 절단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여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전부터 공원이나 공항 또는 항만과 같이 야간에 밝은 조명이 필요한 야외의 공간에는 지주의 상단에 복수개의 조명등이 부설된 조명타워를 설치 운용하여 왔다. 이러한 통상의 조명타워는 야간에 야외의 공간을 밝게 조명하는 원래의 기능 을 충실히 발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조명등이 고장난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부로 직접 올라가서 조명등을 교체 또는 수리하게 되므로, 유지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위험부담을 감수하여야 하는 결함이 있었다.
한편, 본발명의 출원인은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98호로서 출원되고, 1998.06.16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124767호로서 등록된 '조명타워'의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이 조명타워는 "조명등을 매단 조명대를 외부 로우프에 매달아 철탑의 꼭대기에 걸쳐놓고, 상기 외부 로우프에 연결된 내부 로우프는 철탑의 내부 하단부 근처에 설치한 드럼에 감아 감속기에 동력적으로 접속시킨 것에 있어서, 감속기의 입력축에 커플링을 설치하여 철탑 속에 감추고, 이 커플링의 축접속공에 외부조작용 핸들의 축 또는 모터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조명대를 풀어 내리고 또는 끌어 올릴 수 있게 한" 것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또, 조명타워와 관련하여 타인이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8895호로서 출원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18042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는 "다수의 조명등이 적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모빌부와, 모빌부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고 커버로 씌워진 고정체부와, 지주의 하부내에 설치되어 와이어줄로 안내로울러를 거쳐 상기 모빌부에 연결하는 윈치부로 구성하여 윈치부의 작동으로 와이어줄의 당김에 따라 모빌부가 지주를 타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승하강식 조명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빌부의 외측 상단 적정개소 위치에 고정시킨 지지판 사이에 편심되게 축핀으로 연결하여 회 동되도록 설치한 걸림쇠와, 상기 고정체부에는 상기 걸림쇠의 내측 곡면홈의 상하 위치에 접촉되면서 록킹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걸림핀으로 구성함"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승강식 조명타워의 기본적인 구조는 대부분 도 1의 도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외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틀(110)과; 상기 승강틀(110)과 연결되고 지주(100) 내측 하단에 위치한 윈치(120) 및 상기의 윈치(120)와 연결된 케이블(130)과; 상기 윈치(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40)와; 상기 케이블(130)을 안내하면서도 상승된 승강틀(110)을 결속하기 위한 고정틀(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윈치(120)가 작동되게 하면 상기의 케이블(130)이 윈치(120)에 감기거나 윈치로부터 풀려나가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승강틀(110)은 지주(1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밝히고 있는 선등록고안들은 모두 지주의 상단에 고정틀을 설치하여 두고, 상기 지주의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틀을 경유하여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로서 조명등이 부설된 승강틀을 매달아서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야간에 야외의 공간을 밝게 조명하여 줌은 물론이고, 승강틀을 하강시켜서 고장난 조명등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고안들은 공통적으로 승강틀을 상,하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윈치와 연결되게 한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노후되거나 부식 또는 간섭에 의한 마모의 발생 및 허용중량 이상의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의 절단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절단되면 고중량체인 승강틀이 빠르게 수직 낙하하면서 승강틀을 포함한 조명등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조명타워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거나 주변에 위치하고 있던 건물이나 물품 또는 인명에 대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지주로부터 승강하는 승강틀과 지주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는 윈치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힌지결속구를 통해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로 구분 형성하고, 상기의 윈치케이블은 윈치의 양측으로 각기 권취되도록 2가닥으로 분할 형성하며, 이들 각각의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에는 케이블의 단선을 감지할 수 있게 한 감지센서를 위치하여 형성함에 따라,
승강케이블이나 윈치케이블의 절단이 발생하면 구동모터의 정지와 함께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분할 형성된 승강케이블 및 윈치케이블로 인해 하나의 케이블이 절단되더라도 절단되지 않은 상태의 케이블에 의해 승강틀이 추락 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종래의 조명타워가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지주 내부 하측에 구동모터를 갖는 윈치가 내장되고, 윈치와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지주 외측을 따라 오르내리는 승강틀을 갖는 조명타워에 있어서, 상기의 케이블은 승강틀에 연결되는 승강케이블과 윈치와 연결되는 윈치케이블로 구분 형성하고,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은 힌지결속구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의 승강케이블은 승강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연결되게 적어도 두가닥 이상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의 윈치케이블은 윈치의 양측에 형성된 권취드럼에 각기 감겨지도록 두가닥으로 분할 형성하며, 상기의 윈치케이블에는 별도의 감지센서가 위치하여 상기 윈치케이블에 대한 단선시 감지센서가 작동되게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틀의 중량이나 크기에 따라 적어도 두가닥 이상으로 분할 구성된 승강케이블로 인해 승강틀의 안정적인 오르내림이 가능한 것이고, 분할 형태의 승강케이블과 윈치케이블은 내구성이 뛰어남은 물론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단선 이 발생하더라도 절단되지 않은 케이블로 인해 승강틀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승강케이블이나 윈치케이블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감지센서를 통해 이를 즉시 인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구동모터의 작동이 정지되게 하여 위험한 상태에서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므로 매우 안전한 관리와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전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하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요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타워는, 상협하광의 테이퍼 형태로 된 지주(10)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10)의 내측 하부에는 구동모터(30)를 갖는 윈치(20)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지주(10) 외측을 따라 승강틀(40)이 상,하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의 승강틀(40)과 윈치(20)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윈치(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케이블를 권취하거나 풀어내어 상기의 승강틀(40)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지주(10) 선단에는 상기의 승강틀(40)을 고정하거나 케이블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한 롤러 등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고정수단 또는 롤러수단 등은 일반적인 조명타워에서 널리 적용되는 것이고, 배경기술에서 이미 기술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승강틀(40)을 이용하여 방사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조명등은 지주(10)를 주변으로하여 사방으로 주위를 밝게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조명등에 대한 점검이나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승강틀(40)을 하강시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타워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의 케이블을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로 구분 형성하되, 승강케이블(50)의 선단은 승강틀(40)에 고정되도록 하고, 윈치케이블(60)의 하단은 윈치(20)의 권취드럼(21)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의 승강케이블(50)의 하단과 윈치케이블(60)의 선단은 별도의 힌지결속구(70)에 각기 고정하여 이들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이 서로 연속적인 연결 상태가 되게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승강케이블(50)은 승강틀(40)의 중량이나 크기 또는 승강틀(40)에 작용하는 중량에 따라 적어도 2가닥 이상으로 된 복수개를 구비하여 이들을 승강틀(40)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분할 고정하는 것이고, 상기의 윈치케이블(60) 은 두가닥으로 분할 구성하여 이들을 윈치(20)의 권취드럼(21)으로 감겨지도록 하되, 상기의 권취드럼(21)은 단일의 윈치(20)에 대하여 양측으로 구분 형성함에 따라 상기와 같이 두가닥으로 된 윈치케이블(60)이 양측의 권취드럼(21)으로 각기 구분 권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의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을 두가닥 또는 적어도 두가닥 이상으로 분할 형성하는 것은 분할 구성된 케이블에 의해 고중량체인 승강틀(40)의 하중을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도, 하나의 케이블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측의 케이블이 어느 정도의 시간동안 승강틀(40)이 추락하지 않도록 지탱하도록 함에 따라 케이블 단선에 의한 승강틀(40)의 추락으로 인해 재산상의 손실이나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수단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결속구(70)는, 승강케이블(50)의 하단에 고정되는 승강측판(71)과 윈치케이블(60)의 선단에 고정되는 윈치측판(72)으로 상,하 분할 구성되어 있고 이들 승강측판(71)과 윈치측판(72)은 별도의 연결구(73)를 통해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구(73)의 상,하측에 위치하는 승강측판(71)과 윈치측판(72)은 힌지핀(74)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의 힌지결속구(70)는 2단 굴절이 가능하여 승강틀(40)의 상승 또는 하강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에 작용하는 유동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블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조명타워는 고중량체인 승강틀(40) 로 인해 두가닥으로 된 윈치케이블(60)에는 상당의 장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므로 윈치케이블(60)이 노후되거나 부식 또는 마찰 간섭에 의해 절단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윈치케이블(60)의 일측에 위치하는 별도의 감지센서(80)를 설치함에 따라 윈치케이블(60)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의 감지센서(80)가 즉시 반응하여 구동모터(30)의 동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고, 구동모터(30)의 동력이 차단됨에 따라 승강틀(40)의 하강이나 상승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승강틀(40)의 승,하강을 위한 작동 중간에 케이블의 단선으로 인한 승강틀(40)의 추락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감지센서(80)는 윈치(20)로부터 상향 고정된 설치판(83) 상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으로 회동 가능한 작동레버(81)를 갖는 리미트스위치(8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의 작동레버(81)는 윈치케이블(60)에 탄성을 갖고 맞닿아 있는 상태가 되어야 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의 리미트스위치(82)는 구동모터(3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접속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의 윈치케이블(60)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여 수직으로 팽팽한 긴장상태를 유지하던 윈치케이블(60)이 단선으로 인해 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작동레버(81)가 탄성 복원되면서 리미트스위치(82)가 반응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의 리미트스위치(82)가 작동함에 따라 구동모터(30)의 전원을 차단하여 케이블의 단선상태에서 구동모터(30)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전원의 연결 구성 및 리미트스위치(82)에 의한 구동모터(30)의 단속 회로는 도 7의 도시에 의해 나타나 있으며, 상기 리미트스위치(82)와 연계하여 작동하는 구동모터(3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작동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윈치케이블(60)에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리미트스위치(82)의 반응을 통해 구동모터(30)의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데, 구동모터(30)의 전원 차단 상태 즉, 지주(10) 내에 위치하고 있는 윈치케이블(60)의 단선 상태는 육안이나 청각 등으로 확인할 수 없을 것이므로 상기의 감지센서(80)와 연결된 별도의 부저(90) 또는 경고등(91)을 함께 장착함에 따라 관리자나 주변인이 이를 즉시 육안 및 청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윈치케이블(60)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구동모터(30)의 전원을 즉시 차단함에 동시에 릴레이 회로 등을 통해 부저(90)에 의한 강력한 경고음이 발생되게 하거나, 경고등(91)을 점멸시켜 신속한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부저(90)나 경고등(91)을 지주(10)의 외면에 직접 고정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의 조명타워를 제어 작동시키는 관제센터 또는 운전실 내에 위치한 부저나 경고등과 연결함에 따라 근거리 및 원거리에서도 모두 윈치케이블(60)의 단선 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승강케이블(50)은 윈치케이블(60)에 비하여 분할 개수가 상대 적으로 많을 것이므로 단선 사고가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하지는 않으나 역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자칫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도 8의 도시와 같이 또 다른 감지센서(80')를 상기의 승강케이블(50)에 밀착되도록 고정 설치함에 따라 이중의 안전수단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의 힌지결속구(70)에 있어 승강케이블(50)의 하단이 고정되는 승강측판(71)의 상부면에 수직으로 된 지지축(75)을 세워 설치하되, 상기의 지지축(75)은 방사상으로 분할 고정된 승강케이블(50)의 내측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축(75)에는 감지센서(80')를 승강케이블(50)에 대하여 분할 각도로 고정 설치함에 따라 전기한 바와 같은 감지센서(80')를 통해 승강케이블(50)의 단선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에 각기 고정 설치되는 감지센서(80)(80')는 상기와 같은 리미트스위치(82)의 구성으로 조합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 케이블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센서로 교체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승강식 조명타워를 보인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하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요부 발췌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케이블 절단감지센서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케이블 절단시 작동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구동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타워의 케이블 절단감지를 위한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20 : 윈치 21 : 권취드럼
30 : 구동모터
40 : 승강틀
50 : 승강케이블
60 : 윈치케이블
70 : 힌지결속구 71 : 승강측판
72 : 윈치측판 73 : 연결구
74 : 힌지핀 75 : 지지축
80,80' : 감지센서 81 : 작동레버
82 : 리미트스위치 83 : 설치판
90 : 부저 91 : 경고등

Claims (7)

  1.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지주 내부 하측에 구동모터를 갖는 윈치가 내장되고, 윈치와 연결된 케이블에 의해 지주 외측을 따라 오르내리는 승강틀을 갖는 조명타워에 있어서,
    상기의 케이블은, 승강틀(40)에 연결되는 승강케이블(50)과 윈치(20)와 연결되는 윈치케이블(60)로 구분 형성하고, 승강케이블(50)과 윈치케이블(60)은 힌지결속구(70)에 의해 서로 연결되게 하되,
    상기의 승강케이블(50)은 승강틀(40)에 대하여 적어도 두가닥 이상으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의 윈치케이블(60)은 윈치(20)의 양측에 형성된 권취드럼(21)에 각기 감겨지도록 두가닥으로 분할 형성하며,
    상기의 윈치케이블(60)에는 별도의 감지센서(80)가 위치하여 상기 윈치케이블(60)에 대한 단선시 감지센서(80)가 작동되게 구성하고, 승강케이블(50)에 또 다른 감지센서(80')를 위치시켜 상기 감지센서(80')가 승강케이블(50)의 단선시 작동되도록 구성하되,
    감지센서(80)는, 작동레버(81)가 돌출된 리미트스위치(82)로 구성하되, 상기의 리미트스위치(82)는 윈치(20)에 고정된 설치판(83) 상에 장착되게 하고, 상기의 작동레버(81)는 탄성력을 갖고 윈치케이블(60)에 맞닿게 구성하여, 상기 윈치케이블(60)의 단선시 작동레버(81)의 복귀 작동으로 인해 리미트스위치(82)에 의한 구동모터(30)의 전원이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감지센서(80')는 힌지결속구(7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지지축(75) 상에 결합 장착하되, 지지축(75)에 결합된 감지센서(80')는 승강케이블(50)의 분할 구성 개수에 따라 대응 형성하여 각각의 승강케이블(50)에 대한 단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111884A 2009-11-19 2009-11-19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096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84A KR100965825B1 (ko) 2009-11-19 2009-11-19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84A KR100965825B1 (ko) 2009-11-19 2009-11-19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825B1 true KR100965825B1 (ko) 2010-06-24

Family

ID=4237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84A KR100965825B1 (ko) 2009-11-19 2009-11-19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8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19B1 (ko) 2012-05-29 2012-08-30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KR101789647B1 (ko) 2017-04-28 2017-11-21 (주)삼진이아이씨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2579322B1 (ko) * 2023-03-14 2023-09-18 주식회사 천일 스마트 승강안전 조명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332A (ja) * 2001-08-30 2003-03-14 Koito Ind Ltd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JP2003317531A (ja) * 2002-04-19 2003-11-07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照明塔における照明架台の昇降装置
KR200398050Y1 (ko) 2005-07-11 2005-10-11 서정찬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0857016B1 (ko) 2008-05-13 2008-09-04 (주)삼진이아이씨 자동정지장치를 구비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332A (ja) * 2001-08-30 2003-03-14 Koito Ind Ltd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JP2003317531A (ja) * 2002-04-19 2003-11-07 Sumikei-Nikkei Engineering Co Ltd 照明塔における照明架台の昇降装置
KR200398050Y1 (ko) 2005-07-11 2005-10-11 서정찬 승하강식 조명타워
KR100857016B1 (ko) 2008-05-13 2008-09-04 (주)삼진이아이씨 자동정지장치를 구비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519B1 (ko) 2012-05-29 2012-08-30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KR101789647B1 (ko) 2017-04-28 2017-11-21 (주)삼진이아이씨 승강 안전장치가 구비된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KR102579322B1 (ko) * 2023-03-14 2023-09-18 주식회사 천일 스마트 승강안전 조명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9586B2 (en) Crane position indicator
US9206019B2 (en) Working vehicle
CA3041030A1 (en) Work vehicle including suspended platform
GB2316383A (en) Mobile jib crane with counter-balancing jib
KR100965825B1 (ko)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US3269560A (en) Safety control for cranes
US4471877A (en) Crane sensor to detect out of plumb lift cable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KR20100118762A (ko) 크레인
KR101001687B1 (ko) 승강식 조명타워
KR20180111123A (ko) 크레인
CN111824330B (zh) 一种用于大型集装箱船系泊甲板的多功能舷边通道系统
JP4536560B2 (ja) ポール灯
CN109650272B (zh) 一种桅杆起重吊装装置
CN111620256A (zh) 起吊装置及起吊系统
KR100953796B1 (ko) 크레인의 과권상 방지장치
KR100989152B1 (ko) 등기구 견인장치
US11754132B2 (en) Safety brake for telescopic mast of several segments
RU2609671C2 (ru) Подъемно-мач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352881Y1 (ko) 승강식 조명타워
CN213505587U (zh) 一种t梁吊装用固定机构
KR20050019699A (ko) 음성응답 운전 조작반 및 비상제동 브레이크 구조와 편차조정 스트로크 장치가 형성된 무선점소등 승하강 제어조명타워
CN212953963U (zh) 起重机起吊报警装置
EP3816507A1 (en) Telescopic mast
KR100492176B1 (ko) 승강식 조명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