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519B1 -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519B1
KR101178519B1 KR1020120056478A KR20120056478A KR101178519B1 KR 101178519 B1 KR101178519 B1 KR 101178519B1 KR 1020120056478 A KR1020120056478 A KR 1020120056478A KR 20120056478 A KR20120056478 A KR 20120056478A KR 101178519 B1 KR101178519 B1 KR 101178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frame
plate
lifting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양일
Original Assignee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6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5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타워의 승강틀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압지판을 분할 형성하고, 상기의 압지판은 별도의 유동프레임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유동프레임은 승강틀에 장착되는 별도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게 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상기 압지판의 외측에 위치하면서도 압지판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착좌판을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고중량체인 승강틀이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것은 물론 승강틀에 대한 상,하 이동수단인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 승강틀에 대한 급격한 추락시 압지판과 착좌판 간의 경사상 쐐기 고정구조로 인해 상기의 승강틀에 대한 충격이 최소화되면서 승강틀의 추락이 방지될 수 있어 승강틀 내의 조명수단에 대한 파손이나 고장을 예방하면서도 승강틀에 대한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승강틀의 보호는 물론 추락하는 승강틀로 인한 물적, 인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Falling Preventing device for lighting tower}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조명타워의 승강틀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틀에 조립되는 고정프레임과 지주의 H형강에 결합되는 유동프레임으로 된 추락방지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승강틀에 대한 자유로운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승강틀에 대한 갑작스러운 추락시 승강틀을 빠르고 안전하게 고정시켜 그에 따른 안전사고가 예방되도록 한 것이다.
이전부터 공원이나 공항 또는 항만과 같이 야간에 밝은 조명이 필요한 야외의 공간에는 지주의 상단에 복수 개의 등기구가 부설된 조명타워를 설치 운용하여 왔다. 이러한 통상의 조명타워는 야간에 야외의 공간을 밝게 조명하는 원래의 기능을 충실히 발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등기구가 고장 난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부로 직접 올라가서 조명등을 교체 또는 수리하게 되므로, 유지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위험부담을 감수하여야 하는 결함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1994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0298호로서 출원되고, 1998.06.16일자로 실용신안등록 제124767호로서 등록된 '조명타워'의 권리를 소유하고 있다. 이 조명타워는 "조명등을 매단 조명대를 외부 로우프에 매달아 철탑의 꼭대기에 걸쳐놓고, 상기 외부 로우프에 연결된 내부 로우프는 철탑의 내부 하단부 근처에 설치한 드럼에 감아 감속기에 동력적으로 접속시킨 것에 있어서, 감속기의 입력축에 커플링을 설치하여 철탑 속에 감추고, 이 커플링의 축접속공에 외부조작용 핸들의 축 또는 모터의 회전축을 선택적으로 접속하여 조명대를 풀어 내리고 또는 끌어올릴 수 있게 한" 것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또, 조명타워와 관련하여 타인이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8895호로서 출원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18042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이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는 "다수의 조명등이 적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모빌부와, 모빌부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고 커버로 씌워진 고정체부와, 지주의 하부내에 설치되어 와이어줄로 안내로울러를 거쳐 상기 모빌부에 연결하는 윈치부로 구성하여 윈치부의 작동으로 와이어줄의 당김에 따라 모빌부가 지주를 타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한 승하강식 조명타워에 있어서, 상기 모빌부의 외측 상단 적정개소 위치에 고정시킨 지지판 사이에 편심되게 축핀으로 연결하여 회동되도록 설치한 걸림쇠와, 상기 고정체부에는 상기 걸림쇠의 내측 곡면홈의 상하 위치에 접촉되면서 록킹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걸림핀으로 구성함"을 기술요지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승강식 조명타워의 기본적인 구조는 대부분, 도 1의 도시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의 외측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틀(110)과; 상기 승강틀(110)과 연결되고 지주(100) 내측 하단에 위치한 윈치(120) 및 상기의 윈치(120)와 연결된 케이블(130)과; 상기 윈치(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40)와; 상기 케이블(130)을 안내하면서도 상승된 승강틀(110)을 결속하기 위한 고정틀(150)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승강틀(110)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확장 지름의 상부지지대(111)와 축소 지름의 하부지지대(112)로 이루어지고, 상부지지대(111)와 하부지지대(112)는 연결지지대(113)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이들 상부지지대(111)와 하부지지대(112)를 이용하여 다수의 등기구(160)(160')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의 구동모터(140)에 전원을 인가하여 윈치(120)가 작동되게 하면 상기의 케이블(130)이 윈치(120)에 감기거나 윈치로부터 풀려나가게 되므로 결국 상기의 승강틀(110)은 지주(10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밝히고 있는 선등록고안들은 모두 지주의 상단에 고정틀을 설치하여 두고, 상기 지주의 하단에 설치된 윈치에 의하여 상기 고정틀을 경유하여 당겨지거나 풀어지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로서 조명등이 부설된 승강틀을 매달아서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 구성으로서, 야간에 야외의 공간을 밝게 조명하여 줌은 물론이고, 승강틀을 하강시켜서 고장난 조명등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고안들은 공통적으로 지주 상부의 고정틀에 걸림핀을 설치하고, 승강틀에는 편심 회동되는 걸림쇠를 부설하여 상승된 승강틀이 상기 고정틀의 걸림핀에 걸어지는 걸림쇠로 고정되도록 한 구조로서, 고정틀에 승강틀이 타이트하게 고정되지 못하고 건들거리게 되므로 안정감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승강틀이 횡풍을 작용받게 되면 심하게 흔들리면서 고정틀이나 지주와 반복적으로 충돌을 일으켜서 소음을 유발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승강틀이나 주변의 구성품 등이 반복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의 승강틀을 상,하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해 윈치와 연결되게 한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노후되거나 무리한 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의 절단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의 케이블 또는 와이어가 절단되면 고중량체인 승강틀이 빠르게 수직 낙하하면서 승강틀을 포함한 등기구 및 관련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조명타워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거나 주변에 위치하고 있던 건물이나 물품 또는 인명에 대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63308호와 같이 조명타워의 지주에 레일의 역할을 하는 H형강을 설치하고,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틀에는 상기의 H형강에 결합되는 이탈방지구 및 상기 H형강의 외측에 위치하는 멈춤편을 고정 형성하되, 상기 승강틀에 대한 케이블의 단선시 승강틀에 작용하는 중량 및 기울어짐으로 인해 이탈방지구와 멈춤편이 H형강의 플랜지부에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조명타워의 승강틀에 대한 유동 및 케이블 단선시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극복한 특징의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명타워는 승강틀의 추락방지구조에 대한 이탈방지구 및 멈춤편의 구성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고중량체인 승강틀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이탈방지구는 H형강의 플랜지부 전,후에 위치되는 롤러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탈방지구는 승강틀의 상승과 하강에 무리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다수의 조명장치 등을 장착한 상태로 된 고중량체인 승강틀에 대한 추락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갖지 못하고 있는 것이고, 특히 승강틀이 추락하는 과정에서 편심 하중에 의한 기울어짐을 이용하여 이탈방지구와 H형강 간의 계지력을 통해 승강틀의 추락을 방지하고자 하였으나 순간적으로 고도의 중량이 작용하는 승강틀의 추락 작용은 상기와 같이 기울어져 H형강의 플랜지부를 압박하는 이탈방지구에 대한 슬립작용으로 인해 승강틀에 대한 멈춤력이 효율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폐단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의 이탈방지구의 상,하부에 돌출 형성되어진 멈춤편은 승강틀의 추락시 편심 하중에 의한 기울어짐으로 인해 상기의 멈춤편이 H형강의 플랜지부 표면을 가압하며 마찰력을 유발함에 따라 상기 승강틀에 대한 추락이 방지되게 하는 목적으로 구성되었으나 상기 멈춤편 역시 금속재로 된 H형강의 플랜지부로부터 미끄러짐이 발생하면서 효과적으로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의 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외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압지판을 분할 형성하고, 상기의 압지판은 별도의 유동프레임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유동프레임은 승강틀에 장착되는 별도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게 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상기 압지판의 외측에 위치하면서도 압지판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착좌판을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과 유동프레임은 승강틀과 함께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승강틀에 대한 급작스런 추락시 유동프레임에 비하여 고정프레임이 빠르게 낙하되면서 고정프레임의 착좌판에 형성된 경사면이 유동프레임의 압지판에 형성된 경사면과 간섭되면서 서로 이격된 압지판을 가압함에 따라 이들 압지판이 H형강의 웨브를 강력하게 밀착 및 압박하면서 승강틀에 대한 추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승강틀고정판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서로 이격된 착좌판이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상하로 이격된 지지구 내측에 서로 이격된 압지판이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유동프레임을 각기 구비하여, 상기 착좌판의 내측으로 압지판이 위치하도록 고정프레임과 유동프레임을 서로 조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착좌판의 내면에는 착좌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압지판의 외면에는 압지경사면을 형성하여, 승강틀고정판에는 조명타워의 지주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승강틀이 고정되게 하고, 지주의 외면에 고정된 H형강의 웨브는 압지판의 사이에 위치되게 함에 따라 승강틀의 추락에 의해 고정프레임이 급하강하면 착좌판의 착좌경사면이 유동프레임의 압지판에 형성된 압지경사면을 간섭하여 양측의 압지판이 H형강의 웨브에 가압 밀착되면서 H형강으로부터 승강틀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중량체인 승강틀이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것은 물론 승강틀에 대한 상,하 이동수단인 와이어 또는 케이블이 절단되는 경우 승강틀에 대한 급격한 추락시 압지판과 착좌판 간의 경사상 쐐기 고정구조로 인해 상기의 승강틀에 대한 충격이 최소화되면서 승강틀의 추락이 방지될 수 있어 승강틀 내의 조명수단에 대한 파손이나 고장을 예방하면서도 승강틀에 대한 추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므로 승강틀의 보호는 물론 추락하는 승강틀로 인한 물적, 인적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승강식 조명타워를 보인 전체도
도 2는 일반적인 승강식 조명타워에서의 승강틀을 보인 평면 및 정단면도
도 3은 승강틀에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정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간격조절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장착된 승강틀의 상승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장착된 승강틀의 추락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승강틀에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가 장착된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정면 전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평면 전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의 간격조절부 상세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장치는 수직으로 세워 설치된 조명 타워의 지주(100)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승강틀(110)에 직접 장착되어서, 상기 지주(10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진 H형강(120)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며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는, 고정프레임(10)과 유동프레임(20)으로 구분 형성되어 이들의 상호 조립 상태에서 완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프레임(10)은 일측에 승강틀고정판(11)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착좌판(1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착좌판(12)(12')의 내면에는 착좌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10)의 승강틀고정판(11)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형태의 안내홈(14)(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유동프레임(20)은 평면상 "ㄷ"자 형태로 된 지지구(21)(21')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구(21)(21')는 별도의 연결대(24)(24')에 의해 고정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지지구(21)(21')의 내측으로는 별도의 압지판(22)(22')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압지판(22)(22')의 외면에는 압지경사면(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지지구(21)(21')의 외측 상,하부에는 외향 돌출된 가이드축(25)(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25)(25')는 별도의 스프링(40)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축(25)(25')의 끝단은 지지구(21)(21')에 형성된 유동홈(26)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유동홈(26)에는 지지구(21)(2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나사공(2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나사공(27)에는 별도의 탄발스프링(41)이 삽입된 상태의 조절볼트(42)가 지지구(21)(2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공(27)에 결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압지판(22)(22')의 내면에는 부직포 또는 샌드페이퍼와 같이 금속재 H형강 표면에 대한 마찰력을 유발할 수 있는 소재로 된 마찰패드(30)(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고정프레임(10)의 안내홈(14)(14')으로 연결대(24)(24')를 각기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24)(24')의 상,하단에 상기 지지구(21)(21')의 측면을 고정하게 되면 상기 지지구(21)(21')는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은 가능하나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는 조립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구(21)(21')에 대하여 스프링(40)을 이용하여 별도의 압지판(22)(22')이 고정프레임(10)의 착좌판(12)(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결합 형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기한 바와 같은 지주(110)의 H형강(120)으로 본 발명의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를 삽입하게 되면 H형강(120)의 웨브(121)는 서로 이격된 압지판(22)(2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고 H형강(120)의 외측 플랜지부는 지지구(21)(21')와 압지판(22)(22')의 사이로 삽입될 것이므로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는 H형강(120)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의 자유로운 승강은 이루어지면서도 H형강으로부터 이탈 및 분리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는 조립 및 설치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조절볼트(42)는 회전방향에 따라 양측 압지판(22)(22')에 대한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압지판(22)(22')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H형강(120)의 웨브(121)와 지나치게 간섭하여 마찰 과다로 인해 승강틀(110)의 상,하 높이 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고, 압지판(22)(22')에 대한 간격이 과다하게 넓은 경우에는 승강틀(110)의 추락 상황시 고정프레임(10)과 유동프레임(20)이 동시에 같은 타이밍에서 추락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상호 간의 시간차 추락에 의한 가압 고정상태를 연출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압지판(22)(22')에 대한 간격 조절 작용은 상기 조절볼트(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절볼트(42)의 끝단과 가이드축(25)(25')의 끝단이 간섭하여 조절볼트(42)가 전진하면 가이드축(25)(25')이 H형강(120)의 웨브(121) 측으로 이동하면서 서로 이격된 상태의 압지판(22)(22')에 대한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고, 조절볼트(42)를 후퇴 회전시키면 가이드축(25)(25') 끝단이 유동홈(26)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결국 상기 압지판(22)(22')은 서로 벌어지면서 웨브(121)와의 마찰력이 약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조절볼트(42)에 대한 회전 방향을 통해 서로 이격된 압지판(22)(22')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압지판(22)(22')의 간격 조절은 결국 H형강(120)의 웨브(121)와 압지판(22)(22')의 마찰패드(30)(3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가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8의 도시와 같이 케이블 등을 이용하여 승강틀(110)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틀(110)에 고정된 상태인 고정프레임(10)이 함께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고정프레임(10)이 상승됨에 따라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의 유동프레임(20)도 H형강(120)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은 내측의 마찰패드(30)(30')가 H형강(120)의 웨브(121)에 닿아 있는 상태를 갖도록 함에 따라 고정프레임(10)은 승강틀(110)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되게 하고 유동프레임(20)은 웨브(121)와의 마찰상태에서 고정프레임(10)의 선단이 유동프레임(20)의 상측 지지구(21) 하단을 밀어올려 고정프레임(10)과 함께 상승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틀(110)을 매달아 지지하고 있던 케이블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의 승강틀(110)은 자체의 고중량으로 인해 급속하게 하강하게 되는 것인데, 승강틀(110)의 하강과 동시에 고정프레임(10) 역시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반면, 유동프레임(20)은 압지판(22)(22')이 H형강(120)의 웨브(121)에 마찰력을 갖고 밀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와 같은 마찰력에 의해 상기 고정프레임(10)이 유동프레임(20)의 하측으로 이동될 동안은 하강되지 않고 고정프레임(10)의 착좌판(12)(12')과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이 서로 간섭되는 순간 비로소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고정프레임(10)이 하강을 하게 되면 고정프레임(10)의 착좌판(12)(12')에 형성된 내측의 착좌경사면(13)이 함께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고, 하강하는 착좌경사면(13)은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에 형성된 압지경사면(23)과 맞닿으면서 상호 간의 경사각에 의해 서로 이격 상태인 압지판(22)(22')은 내측으로 즉, 웨브(121)를 향하여 좁아지는 형태의 가압력을 받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프레임(10)의 상승 상태에서는 착좌판(12)(12')이 상승됨에 따라 착좌경사면(13)과 압지경사면(23)이 서로 간섭되지 아니하므로, 압지판(22)(22') 자체가 웨브(121)의 표면에 크지 않은 마찰력을 갖고 밀착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상승될 수 있으나, 고정프레임(10)이 하강을 하게 되면 착좌판(12)(12')의 착좌경사면(13)이 압지판(22)(22')의 압지경사면(23)을 경사각에 따라 내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결국 서로 이격되어 있던 두 개의 압지판(22)(22')은 H형강(120)의 웨브(121)를 향하여 강력하게 가압 밀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웨브(121)에 대한 압지판(22)(22')의 가압 밀착력은 승강틀(110)의 중량이 클수록, 승강틀(110)의 추락속도가 빠를수록 커지게 되는 것으로, 경사면에 의한 쐐기 구조를 갖고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유동프레임(20)에 계지 고정되는 것이고, 유동프레임(20) 내의 압지판(22)(22')은 지속적인 마찰력을 갖고 웨브(121)에 가압 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고정프레임(10)은 더 이상 하강 또는 추락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와 더불어 고정프레임(10)이 결합된 승강틀(110) 역시 추락될 수 없는 멈춤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의 단선이나 구동모터 및 윈치 등의 고장으로 인해 승강틀(110)에 대한 추락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유동프레임(20) 보다 고정프레임(10)이 빠르게 하강하면서 유동프레임(20) 내의 압지판(22)(22')을 고정프레임(10)의 착좌판(12)(12')이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결국 고중량체인 승강틀(110)에 의한 강력한 가압력을 갖고 상기의 압지판(22)(22')은 H형강(120)의 웨브(121)에 밀착되므로 상기와 같이 추락되려는 승강틀(110)은 빠르고 안전하게 멈출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승강틀(110)에 대한 추락 방지상태에서 케이블에 대한 연결 및 구동모터나 윈치 등에 대한 수리가 종료되어 승강틀(110)을 다시 들어올리게 되면 양측 경사면에 의해 쐐기 결합구조를 갖고 있던 고정프레임(10)과 유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이 먼저 상승을 시작하면서 착좌판(12)(12')의 착좌경사면(13)과 압지판(22)(22')의 압지경사면(23)이 서로 상,하로 어긋나 벌어지면서 유동프레임(20)을 끌고 올라가는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는 승강틀(110)에 대한 상승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 승강틀(110)에 급격한 속도를 갖고 추락을 하는 경우에는 상호 경사면에 의한 쐐기 작용을 통해 H형강에 견고하게 가압 밀착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케이블의 조절을 통해 승강틀(110)을 서서히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절볼트(42)의 회전을 통해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과 H형강(120)의 웨브(12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가감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고정프레임(10)이 승강틀(110)과 함께 하강을 시작하면 유동프레임(20)은 자중에 의해 상기 압지판(22)(22')과 웨브(121) 간의 마찰력을 이기고 하강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본 발명의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는 승강틀(110)에 대한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승강틀에 대한 급격한 추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 매우 합리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고정프레임 11 : 승강틀고정판
12,12' : 착좌판 13 : 착좌경사면
14,14' : 안내홈
20 : 유동프레임 21,21' : 지지구
22,22' : 압지판 23 : 압지경사면
24,24' : 연결대 25,25' : 가이드축
26 : 유동홈 27 : 나사공
30,30' : 마찰패드
40 : 스프링 41 : 탄발스프링
42 : 조절볼트
100 : 지주
110 : 승강틀
120 : H형강 121 : 웨브

Claims (5)

  1. 일측에는 승강틀고정판(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서로 이격된 착좌판(12)(12')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0)과, 상하로 이격된 지지구(21)(21')의 내측에 서로 이격된 압지판(22)(22')이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 유동프레임(20)을 각기 구비하여, 상기 착좌판(12)(12')의 사이로 압지판(22)(22')이 위치하도록 고정프레임(10)과 유동프레임(20)을 서로 조립하여 구성하되,
    상기 착좌판(12)(12')의 내면에는 착좌경사면(13)을 형성하고, 상기 압지판(22)(22')의 외면에는 압지경사면(23)을 형성하여, 승강틀고정판(11)에는 조명타워의 지주(100)를 따라 상하로 유동하는 승강틀(110)이 고정되게 하고, 지주(100)의 외면에 고정된 H형강(120)의 웨브(121)는 압지판(22)(22')의 사이에 위치되게 함에 따라 승강틀(110)의 추락에 의해 고정프레임(10)이 급하강하면 착좌판(12)(12')의 착좌경사면(13)이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에 형성된 압지경사면(23)을 간섭하여 양측의 압지판(22)(22')이 H형강(120)의 웨브(121)에 가압 밀착되면서 H형강(120)으로부터 승강틀(110)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프레임(10)의 승강틀고정판(11)에는 양측으로 안내홈(14)(14')을 형성하고, 유동프레임(20)의 지지구(21)(21') 일측에는 상기 안내홈(14)(14')으로 삽입되는 연결대(24)(24')를 고정하여, 상기 유동프레임(20)이 상기 연결대(24)(24')에 의해 고정프레임(10)으로부터 상,하로 유동 가능하면서도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 내면에는 마찰패드(30)(30')를 부착 형성하여, 상기 마찰패드(30)(30')에 의해 H형강(120)의 웨브(121)와 상호 마찰력이 증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유동프레임(20)의 압지판(22)(22')에는 지지구(21)(21')를 향하는 가이드축(25)(25')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축(25)(25')에는 별도의 스프링(40)을 삽입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축(25)(25')의 끝단은 상기 지지구(21)(21')에 형성된 유동홈(26)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여, 상기 압지판(22)(22')이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지지구(21)(21')의 유동홈(26)에는 나사공(27)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27)에는 지지구(21)(21')의 외측으로부터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조절볼트(42)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조절볼트(42)에는 조절볼트(42)가 임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별도의 탄발스프링(41)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조절볼트(42)의 끝단과 가이드축(25)(25')의 끝단이 서로 간섭되면서 조절볼트(42)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축(25)(25')을 통한 양측 압지판(22)(22')의 간격이 조절되게 하여 압지판(22)(22')과 웨브(121)와의 마찰력이 가감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KR1020120056478A 2012-05-29 2012-05-29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KR101178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78A KR101178519B1 (ko) 2012-05-29 2012-05-29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478A KR101178519B1 (ko) 2012-05-29 2012-05-29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519B1 true KR101178519B1 (ko) 2012-08-30

Family

ID=4688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478A KR101178519B1 (ko) 2012-05-29 2012-05-29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5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25B1 (ko) 2009-11-19 2010-06-24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1063308B1 (ko) 2011-03-14 2011-09-07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825B1 (ko) 2009-11-19 2010-06-24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단선시의 안전수단을 갖는 승강식 조명타워
KR101063308B1 (ko) 2011-03-14 2011-09-07 조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14B1 (ko)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KR101063308B1 (ko)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CN107724661B (zh) 一种剪力墙井道结构施工可吊移式自动升降平台
KR101178519B1 (ko)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KR102168234B1 (ko)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CN210031529U (zh) 一种用于挂索施工的自动爬升平台
WO2022262667A1 (zh) 用于轨道式起重机的分离式铁鞋防风装置
CN213923753U (zh) 一种承重装置及桥式起重机
WO2003074818A1 (fr) Echafaudage orbital automatique a deplacement vertical
KR20130004700A (ko) 고가 사다리차
KR101006241B1 (ko)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CN116281564B (zh) 一种用于桥梁建设的吊装设备
CN111170131A (zh) 一种无机房电梯安装设备
KR102635155B1 (ko) 고소작업대용 협착방지장치
CN216235761U (zh) 一种塔式起重机的过载保护装置
CN220012048U (zh) 一种桥梁墩柱施工升降机
CN102976183A (zh) 一种在建建筑的施工升降机
CN219448993U (zh) 一种煤矿井口检修平台
CN210854885U (zh) 一种带安全气垫的乘客电梯
CN203064945U (zh) 一种在建建筑
CN203064941U (zh) 一种在建建筑的施工升降机
CN203158960U (zh) 一种在建建筑的施工升降机
CN203064929U (zh) 一种在建建筑
CN203158971U (zh) 一种建筑的施工升降机的防坠系统
CN112727039A (zh) 一种安全施工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