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14B1 -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Google Patents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214B1 KR101610214B1 KR1020160012124A KR20160012124A KR101610214B1 KR 101610214 B1 KR101610214 B1 KR 101610214B1 KR 1020160012124 A KR1020160012124 A KR 1020160012124A KR 20160012124 A KR20160012124 A KR 20160012124A KR 101610214 B1 KR101610214 B1 KR 1016102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lifting
- plates
- lifting rope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05—Outdoor lighting of working places, building sites or the lik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5—Outdoor lighting of arena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체육시설이나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승강식 조명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와 체인을 연결하는 승강줄의 이동구간 내에 텐션스프링에 의해 하향 가압되게 한 압지롤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압지롤러는 승강줄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브레이크판과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캐리어의 추락방지수단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것이고, 기존 단순한 승강줄 단선에 의한 추락방지수단이 아닌 승강줄 및 체인의 단선에도 대응할 수 있는 추락방지수단이므로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캐리어와 연결된 승강줄을 맞물림 형태의 브레이크판에 의해 고정시켜 추락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므로 부드럽고 신속한 정지는 물론 캐리어 및 조명에 작용하는 충격 및 부하를 완충시켜 이들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추락방지수단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 지주 및 캐리어 등에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추락방지수단이 해제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안전한 정비 및 연결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단선 부분에 대한 연결 및 승강줄에 대한 장력 부여만으로도 추락방지수단의 작동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수리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캐리어의 추락방지수단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것이고, 기존 단순한 승강줄 단선에 의한 추락방지수단이 아닌 승강줄 및 체인의 단선에도 대응할 수 있는 추락방지수단이므로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캐리어와 연결된 승강줄을 맞물림 형태의 브레이크판에 의해 고정시켜 추락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므로 부드럽고 신속한 정지는 물론 캐리어 및 조명에 작용하는 충격 및 부하를 완충시켜 이들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추락방지수단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 지주 및 캐리어 등에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추락방지수단이 해제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안전한 정비 및 연결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단선 부분에 대한 연결 및 승강줄에 대한 장력 부여만으로도 추락방지수단의 작동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수리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항이나 공원 또는 체육시설이나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승강식 조명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식 조명탑의 지주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캐리어를 권취해권부로부터 고정하는 체인 및 승강줄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승강줄의 이동을 신속하게 고정시켜 캐리어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 및 캐리어와 조명의 파손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조명탑에 대한 것이다.
이전부터 공원이나 체육시설 또는 공항이나 항만과 같이 야간에 밝은 조명이 필요한 야외의 공간에는 지주의 상단에 복수 개의 등기구가 부설된 조명타워를 설치 운용하여 왔다. 이러한 통상의 조명타워는 야간에 야외의 공간을 밝게 조명하는 원래의 기능을 충실히 발휘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조명이 고장 난 경우에는 작업자가 사다리차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부로 직접 올라가서 조명등을 교체 또는 수리하게 되므로, 유지 관리에 따른 번거로움과 위험부담을 감수하여야 하는 결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 조명이 장착된 캐리어 혹은 승강틀이 지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한 승강식 조명탑이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식 조명탑은 조명에 대한 유지 및 관리의 편리함을 갖고 있는 동시에 조명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515605호와 같은 승강식 조명탑으로부터, 지주대의 상단에 지주대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래칫(ratch)을 고정시키고, 조명탑이 탑재된 캐리어에 멈춤쇠(pawl)를 회전가능하게 장착시켜서, 상기 캐리어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멈춤쇠가 상기 래칫에 비걸음되게 하고, 상기 캐리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멈춤쇠가 상기 래칫에 걸음되게 하며, 상기 캐리어가 상승 이동시에 상기 멈춤쇠가 상기 래칫에 접촉하여 캠운동하여 7시 또는 8시 방향의 자세를 취할 때 상기 멈춤쇠의 자세를 유지시키 위한 전자석 수단을 상기 캐리어에 구비시켜, 멈춤쇠가 확실하게 비걸음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또한 지주대의 하단에 상기 전자석에 의해 비걸음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멈춤쇠를 캐리어의 하강운동시에 걸음하여 강제적으로 걸음자세를 취하게 자세변경시키면서 캐리어를 지지하게 하는 버팀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비걸음상태에 있는 멈춤쇠가 비의도적인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자세변경되지 않게 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멈춤쇠가 자세이상을 보정하기 위한 작업을 배제시키고 그리고 조명이 탑재된 캐리어를 상기 캐리어에 달린 멈춤쇠와 지주대 하단에 달린 버팀대를 이용하여 지면 위에 안정적으로 위치결정시켜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조명탑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종래보다 절감할 수 있도록 안출한 바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제10-1571794호와 같이 원형의 캐리어에 120도의 위상 차를 두고서 3개의 현줄을 고정하고 상기 캐리어의 중심에서 상기 3개의 현줄에 내린 수선이 상기 3개의 와이어 중점에 3개의 승강줄 일단 각각이 고정되게 하고 3개의 승강줄 타단이 권취해권부에 접속된 체인에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에 120도 위상차를 두고서 3개의 승강줄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캐리어가 균형력을 가지고서 승강할 수 있도록 한 승강식 조명탑이 안출된 바 있다.
또 다른 기존 발명으로서 2000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8895호로서 출원한 것으로, 실용신안등록 제218042호의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승하강식 조명타워의 록킹장치'가 등록공고되어 있는 것으로서, 조명을 갖는 모빌부에 다수의 걸림쇠를 고정 형성함에 따라 상기 모빌부에 대한 추락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걸림쇠가 지주와 간섭하면서 모빌부의 추락이 방지되도록 안출한 바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178519호에서와 같이 외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압지판을 분할 형성하고, 상기의 압지판은 별도의 유동프레임에 결합 형성하며, 상기 유동프레임은 승강틀에 장착되는 별도의 고정프레임과 결합되게 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단에는 상기 압지판의 외측에 위치하면서도 압지판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갖는 착좌판을 고정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과 유동프레임은 승강틀과 함께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승강틀에 대한 급작스런 추락시 유동프레임에 비하여 고정프레임이 빠르게 낙하되면서 고정프레임의 착좌판에 형성된 경사면이 유동프레임의 압지판에 형성된 경사면과 간섭되면서 서로 이격된 압지판을 가압함에 따라 이들 압지판이 H형강의 웨브를 강력하게 밀착 및 압박하면서 승강틀에 대한 추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승강식 조명탑에서의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는 캐리어와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 외관이 불량한 것이고, 하중 또는 속도에 반응하여 작동되는 기계식 멈춤 구조를 갖고 있어 추락방지장치의 작동시 캐리어 및 조명에 심각한 충격을 가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캐리어 혹은 승강틀 추락방지장치는 캐리어의 하단에 지주를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체인 혹은 승강줄의 단선이 발생하는 순간 급강하되는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추락방지장치가 급작스럽게 작동하여 지주와의 마찰 혹은 간섭이 발생되게 하는 원리를 갖고 있는 바, 상기 추락방지장치가 외부로 드러나 있으므로 미관상 보기 좋지 않은 것이다.
또한, 급작스런 체인 혹은 승강줄의 단선으로 인해 캐리어가 급강하하게 되면 캐리어 자체의 중량 및 많은 수의 조명으로 인한 중량이 더해지면서 고중량체가 가속되면서 급격한 추락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중량체에 대한 추락방지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지주에 심각한 손상을 발생시키거나 멈춤 과정에서 캐리어와 조명 및 상기 조명의 고정 수단 등에 고도의 부하가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고도의 부하로 인해 캐리어의 변형 또는 조명의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 수명의 저하 및 2차 사고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캐리어와 체인을 연결하는 승강줄의 이동구간 내에 텐션스프링에 의해 하향 가압되게 한 압지롤러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압지롤러는 승강줄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 브레이크판과 연결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승강줄 또는 체인에 대한 단선으로 인해 승강줄의 장력이 상실되는 순간 상기 압지롤러의 하강으로 인해 브레이크판이 맞물림 방향으로 회전하며 승강줄을 강력하게 고정시키게 되므로 상기 캐리어의 추락을 부드럽고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주대의 상단에 현수대가 마련되고 상기 지주대의 하단에는 체인을 갖는 권취해권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의 외측으로는 조명이 탑재된 캐리어가 지주대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고, 상기 캐리어에는 120도의 위상 차를 두고 배치되어 양단이 캐리어에 고정되는 3개의 현줄이 형성되며, 상기 현줄과 체인을 연결하고 상기 현수대 상의 도드레를 경유하는 승강줄을 구비하여 권취해권부의 작동에 따라 캐리어가 승강되도록 한 승강식 조명탑에 있어서,
상기 현수대 상에는 현줄과 대응하도록 120도의 위상 차를 갖고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을 고정 형성하여 이들 지지판의 사이에 승강줄을 안내하는 도드레가 이격 결합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의 사이에는 승강줄에 대하여 하향 가압력을 갖는 압지롤러와 상기 승강줄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회전되게 한 브레이크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승강줄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게 한 작동대를 각기 구비하며,
상기 압지롤러와 작동대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 구성하고 상기 브레이크판과 작동대는 연결링크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상기 승강줄에 대한 장력이 상실되면 압지롤러의 하강에 의한 브레이크판의 회전으로 인해 브레이크판 사이의 승강줄이 물림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캐리어의 추락방지수단이 외부로 드러나거나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더욱 미려하고 고급스러운 것이고, 기존 단순한 승강줄 단선에 의한 추락방지수단이 아닌 승강줄 및 체인의 단선에도 대응할 수 있는 추락방지수단이므로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캐리어의 추락을 기계적인 저항 또는 마찰을 이용하여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와 연결된 승강줄을 맞물림 형태의 브레이크판에 의해 고정시켜 추락이 방지되게 하는 것이므로 부드럽고 신속한 정지는 물론 캐리어 및 조명에 작용하는 충격 및 부하를 완충시켜 이들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추락방지수단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 지주 및 캐리어 등에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추락방지수단이 해제되거나 완화되지 아니하므로 더욱 안전한 정비 및 연결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단선 부분에 대한 연결 및 승강줄에 대한 장력 부여만으로도 추락방지수단의 작동 해제가 이루어지므로 수리 및 유지 보수가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선단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선단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정상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단선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선단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추락방지수단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은 지상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지주대(1)의 선단에 본 발명의 추락방지수단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현수대(2)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지주대(1)의 하단 내측으로는 체인(3a)을 갖는 권취해권부(3)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지주대(1)의 외측으로는 상기 지주대(1)를 따라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캐리어(4)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캐리어(4)에는 사방 또는 특정 방향으로 복수의 조명(4a)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캐리어(4)의 높낮이에 대한 조정을 통해 조명(4a)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상기 조명(4a) 등에 대한 수리 및 교체 등이 필요한 경우 상기 캐리어(4)를 지상 가까이 하강시켜 안전하고 간편하게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지주대(1)에는 120도의 등간격으로 된 위상 차를 갖고 현줄(5)의 각 끝단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각각의 현줄(5) 중간부에는 승강줄(7)의 끝단이 각기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줄(7)의 타단은 전기한 권취해권부(3)의 체인(3a)과 지주대(1) 내부에서 연결되도록 함에 따라 권취해권부(3)의 작동을 통해 체인(3a)이 풀리거나 감기게 되면 상기 승강줄(7)은 현수대(2) 상의 도르레(6)(6')를 경유하면서 상기 현줄(5) 및 캐리어(4)에 대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현줄(5)은 등간격의 위상 차를 갖고 캐리어(4) 전체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캐리어(4)가 안정적으로 지주대(1)를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승강식 조명탑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수대(2) 상에 120도의 위상 차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상기 승강줄(7)과 대응하는 위치에 역시 120도의 위상 차를 갖는 한 쌍의 지지판(10)(10')을 서로 이격 형성한 것이고, 이들 지지판(10)(10')을 이용하여 상기 승강줄(7) 혹은 체인(3a)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신속하게 승강줄(7)을 고정시켜 상기 캐리어(4)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캐리어(4)에 충격이 최소화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지지판(10)(10')의 사이에는 상기 승강줄(7)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도드레(6)(6')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형성하여 상기 승강줄(7)이 도르레(6)(6')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들 도드레(6)(6')의 사이에는 압지롤러(20)와 브레이크판(30)(30') 및 작동대(40)를 결합 구성함에 따라 이들의 작동에 의해 단선된 승강줄(7)을 신속하고 부드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의 압지롤러(20)는 양측으로 롤러축(22)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10)(10')에는 상기 롤러축(22)이 삽입되는 슬릿공(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압지롤러(20)는 상기 슬릿공(11)을 따라 지지판(10)(10')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며, 상기 압지롤러(20)는 승강줄(7)의 상부에 올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축(22)의 끝단에는 텐션스프링(23)의 선단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텐션스프링(23)의 하단은 지지판(10)(10')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텐션스프링(23)의 압축력으로 인해 상기 압지롤러(20)는 항상 하강하려는 힘을 받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롤러축(22)에는 별도로 구비된 와이어(21)의 끝단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21)는 지지판(10)(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는 작동대(4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와이어(21)는 연질 탄력재로 만들어져 있어 자유로운 절곡 및 굴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것이다.
특히, 상기의 작동대(40)는 지지판(10)(10')에 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유동공(12)에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대(40)는 유동공(12)을 따라 전진과 후진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지지판(10)(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의 작동대(40) 끝단에 상기 와이어(21)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0)(10')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21)에 대한 유도 및 유동 경로를 위한 지지핀(24)(24')이 복수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와이어(21)는 지지핀(24)(24')을 경유하여 유동하게 되는데, 상기 압지롤러(20)가 하강하여 와이어(21)를 끌어당기면 상기 작동대(40)가 함께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압지롤러(20)가 상승하면 와이어(21)를 밀어내게 되므로 상기 작동대(40)가 후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판(10)(10')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작동공(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공(13)의 내부에는 전기한 승강줄(7)의 측부를 향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판(30)(30')이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작동공(13)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어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에 따라 승강줄(7)의 측부를 가압하거나 승강줄(7)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의 브레이크판(30)(30')은 일측에 상기 승강줄(7)을 향하여 톱니부(31)가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톱니부(31)는 승강줄(7)의 측부로 대향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브레이크판(30)(30')은 지지판(10)(10')의 외면에 장착된 브라켓(14)에 축 결합되어 있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일측에는 별도로 구비된 연결링크(41)(41')가 편심 위치로 각기 축 결합되어 있는 것이고, 이들 브레이크판(30)(30')에 결합된 연결링크(41)(41')는 상기 작동대(40)의 하측 중간부에 역시 축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대(40)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이 발생하면 상기 연결링크(41)(41')가 따라서 이동하면서 각도 변화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연결링크(41)(41')의 이동 및 각도 변화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회전 운동을 하게 될 것이므로 상기 작동대(40)의 직선 운동이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 운동으로 전환되면서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줄(7)을 가압 고정하거나 승강줄(7)로부터 이격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추락방지수단은 상기 승강줄(7)에 작용하고 있는 장력에 따라 상기 압지롤러(20)의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브레이크판(30)(30')을 회전시키게 될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 방향에 의해 상기 승강줄(7)에 대한 고정 또는 승강줄(7)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추락방지수단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이 정상적으로 운용되고 추락방지수단이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복수의 조명(4a)을 갖고 있는 캐리어(4)는 중량체이므로 상기 캐리어(4)의 중량은 현줄(5) 및 승강줄(7)을 통해 체인(3a)에 전달되고 있는 것이고, 상기 승강줄(7)은 캐리어(4)의 중량으로 인해 항상 고도의 긴장 상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줄(7)이 팽팽한 긴장 상태이므로 승강줄(7) 상부의 압지롤러(20)은 승강줄(7)의 긴장에 따라 텐션스프링(23)을 늘리며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지롤러(20)가 상승됨에 따라 와이어(21) 및 작동대(40)가 후퇴하게 될 것이고, 상기 작동대(40)의 후퇴로 인해 연결링크(41)(41')의 회전 및 이동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승강줄(7)로부터 이격 회전된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승강줄(7)에 긴장력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압지롤러(20)가 지속적으로 상승된 상태일 것이므로 승강줄(7)과 브레이크판(30)(30')과의 간섭은 전혀 발생하지 않아 캐리어(4)에 대한 자유로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조명탑의 체인(3a) 혹은 승강줄(7)이 단선된 상태에서의 추락방지수단에 대한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지주대(1) 내의 체인(3a)이나 승강줄(7)에 대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4)는 중량으로 인해 추락하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3a) 혹은 승강줄(7)의 단선과 동시에 상기 승강줄(7)은 긴장 상태가 해제될 것이므로 압지롤러(20)를 상승시키고 있던 장력이 상실될 것이고, 승강줄(7)에 대한 긴장 해제와 동시에 상기 압지롤러(20)는 텐션스프링(23)의 압축력에 의해 승강줄(7)을 누르며 빠르게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압지롤러(20)가 하강하게 되는 순간 압지롤러(20)의 롤러축(22)에 연결되어 있던 와이어(21)도 함께 딸려오면서 와이어(21)와 연결되어 있는 작동대(40)를 전진 방향으로 고속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대(40)가 전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작동대(40)에 축 결합되어 있는 연결링크(41)(41')에 대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연결링크(41)(41')의 회동 작용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톱니부(31)가 승강줄(7)을 향하여 밀착되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될 것이다.
이어,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톱니부(31)가 승강줄(7)과 간섭되기 시작하는 순간 상기 톱니부(31)에는 끌려 내려가려는 승강줄(7)과의 강력한 간섭이 발생하면서 상기 승강줄(7)의 이동 방향을 따라 브레이크판(30)(30')의 강력한 간섭 회전이 일어나게 될 것이고,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승강줄(7)을 향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마주하여 회전하므로 브레이크판(30)(30')의 상호 간섭력에 의해 더 이상 회전하지는 못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줄(7)만 강력하게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승강줄(7)의 단선이 발생하는 동시에 압지롤러(20)의 하강이 일어나고 상기 압지롤러(20)의 하강에 따라 와이어(21) 및 작동대(40)를 통해 양측 브레이크판(30)(30')이 승강줄(7)의 측부를 향하여 고속으로 대향 회전하면서 이들 브레이크판(30)(30') 사이의 승강줄(7)을 강력하게 조여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줄(7)에 작용하는 캐리어(4)의 중량은 상기 브레이크판(30)(30')을 더욱 강력하게 회전시키려는 힘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결국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대향 회전력은 더욱 증가하면서 상기 승강줄(7)을 강력하게 맞물어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체인(3a) 혹은 승강줄(7)에 대한 지주대(1) 내부에서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단선과 동시에 승강줄(7)의 긴장력이 해제되는 것을 이용하여 승강줄(7)의 풀림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되게 한 브레이크판(30)(30')을 통해 상기 승강줄(7)이 빠르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의 캐리어(4)는 체인(3a) 또는 승강줄(7)이 단선되더라도 추락하지 않을 것이고, 단선과 동시에 상기 승강줄(7)을 양측 브레이크판(30)(30')에 의해 움켜쥐듯 맞물려 고정시키므로 부드럽고 신속한 고정이 이루어져 상기 캐리어(4)에 전달되는 멈춤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4)에 대한 추락을 방지시켜 놓은 후 단선된 체인(3a)이나 승강줄(7)을 교체 혹은 보수하여 서로 연결시켜 놓은 후 상기 권취해권부(3)를 이용하여 상기 캐리어(4)를 상승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승강줄(7)에 대하여 다시 장력이 부여됨과 동시에 팽팽한 긴장 상태를 갖게 될 것이고, 승강줄(7)의 긴장 상태로 인해 다시 압지롤러(20)의 상승 및 그로 인해 브레이크판(30)(3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줄(7)과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추락방지수단은 강력하고 안전한 고정력을 갖고 있으면서도 추락 방지 과정에서 캐리어(4)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단선 부위에 대한 수리 및 교체를 마친 후에도 별도의 세팅이나 조작 없이 그대로 다시 재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선된 체인(3a) 및 승강줄(7)에 대한 복구 및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줄(7)의 긴장 상태가 부여되면 하강된 압지롤러(20)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줄(7)을 향하여 회전되었던 상태의 브레이크판(30)(30')이 역회전하게 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역회전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토션스프링(50)을 추가로 장착한 것이다.
즉,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연결링크(41)(41')를 통해 직전 운동을 하는 작동대(40)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작동대(40)의 전진 작동으로 인한 정방향 회전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것이나, 반대로 작동대(40)의 후진 작동으로 인한 역방향 회전은 링크 연결의 특성상 원활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12의 도시와 같이 지지판(10)(10')의 외측에 별도의 토션스프링(50)을 장착한 것이다.
특히, 상기의 토션스프링(50)은 지지판(10)(10')의 외면에 고정된 설치판(15) 상에 결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일단은 지지판(10)(10')의 외면에 계지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판(30)(30')과 연결링크(41)(41')의 축 결합부에 계지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축 결합부에 대하여 토션스프링(50)의 일단이 벌어지려는 힘을 지속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단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압지롤러(20)의 하강력은 토션스프링(50)의 전개력을 이기고 브레이크판(30)(30')에 전달되어 상기 승강줄(7)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단선부에 대한 처리 및 연결이 종료된 상태에서 다시 승강줄(7)이 긴장상태가 되고 압지롤러(20)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50)의 전개력이 브레이크판(30)(30')과 연결링크(41)(41')의 축 결합부에 영향을 끼쳐 상기 브레이크판(30)(30')이 더욱 신속하게 역방향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은 승강식 조명탑에 적용되는 추락방지장치는 외부로 드러남이 없이 현수대(2) 상에 모두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명탑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 것이고, 단선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즉시 캐리어(4)를 고정하는 승강줄(7)을 맞물려 고정시킴으로써 캐리어(4)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이며, 승강줄(7)을 빠르고 부드럽게 고정시키므로 추락 과정에서 캐리어(4)에 작용하는 멈춤 충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며, 단선 부에 대한 연결 후 추락방지수단에 대한 조작이나 점검 없이 그대로 다시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항상 단선에 따른 준비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더욱 안전한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지주대 2 : 현수대
3 : 권취해권부 3a : 체인
4 : 캐리어 4a : 조명
5 : 현줄 6,6' : 도드레
7 : 승강줄
10,10' : 지지판 11 : 슬릿공
12 : 유동공 13 : 작동공
14 : 브라켓 16 : 설치판
20 : 압지롤러 21 : 와이어
22 : 롤러축 23 : 텐션스프링
24,24' : 지지핀
30,30' : 브레이크판 31 : 톱니부
40 : 작동대 41,41' : 연결링크
50 : 토션스프링
3 : 권취해권부 3a : 체인
4 : 캐리어 4a : 조명
5 : 현줄 6,6' : 도드레
7 : 승강줄
10,10' : 지지판 11 : 슬릿공
12 : 유동공 13 : 작동공
14 : 브라켓 16 : 설치판
20 : 압지롤러 21 : 와이어
22 : 롤러축 23 : 텐션스프링
24,24' : 지지핀
30,30' : 브레이크판 31 : 톱니부
40 : 작동대 41,41' : 연결링크
50 : 토션스프링
Claims (6)
- 지주대(1)의 상단에 현수대(2)가 마련되고 상기 지주대(1)의 하단에는 체인(3a)을 갖는 권취해권부(3)가 형성되며, 상기 지주대(1)의 외측으로는 조명(4a)이 탑재된 캐리어(4)가 지주대(1)를 따라 상,하로 승강되고, 상기 캐리어(4)에는 120도의 위상차를 두고 배치되어 양단이 캐리어(4)에 고정되는 3개의 현줄(5)이 형성되며, 상기 현줄(5)과 체인(3a)을 연결하고 상기 현수대(2) 상의 도드레(6)(6')를 경유하는 승강줄(7)을 구비하여 권취해권부(3)의 작동에 따라 캐리어(4)가 승강되도록 한 승강식 조명탑에 있어서,
상기 현수대(2) 상에는 현줄(5)과 대응하도록 120도의 위상 차를 갖고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판(10)(10')을 고정 형성하여 이들 지지판(10)(10')의 사이에 승강줄(7)을 안내하는 도드레(6)(6')가 이격 결합되게 하고, 상기 지지판(10)(10')의 사이에는 승강줄(7)에 대하여 하향 가압력을 갖는 압지롤러(20)와 상기 승강줄(7)에 대하여 양측으로부터 회전되게 한 브레이크판(30)(30')과 상기 지지판(10)(10')으로부터 승강줄(7)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되게 한 작동대(40)를 각기 구비하며,
상기 압지롤러(20)와 작동대(40)는 와이어(21)에 의해 연결 구성하고 상기 브레이크판(30)(30')과 작동대(40)는 연결링크(41)(41')에 의해 결합되게 하여 상기 승강줄(7)에 대한 장력이 상실되면 압지롤러(20)의 하강에 의한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으로 인해 브레이크판(30)(30') 사이의 승강줄(7)이 물림 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제 1항에 있어서,
압지롤러(20)의 양측에는 지지판(10)(10')을 관통하여 돌출된 롤러축(22)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판(10)(10')에는 롤러축(22)이 상,하 승강되게 한 슬릿공(11)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판(10)(10')의 외면에는 상기 롤러축(22)에 선단이 결합된 텐션스프링(23)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텐션스프링(23)의 압축력에 의해 압지롤러(20)에 대한 하향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제 2항에 있어서,
롤러축(22)에는 와이어(21)의 일단을 연결 형성하고 상기 와이어(21)의 타단에는 지지판(10)(10')에 형성된 유동공(12)을 관통하여 돌출된 작동대(40)의 끝단을 연결하여 상기 압지롤러(20) 및 롤러축(22)의 승강에 의해 작동대(40)가 유동공(12)을 따라 횡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제 3항에 있어서,
지지판(10)(10')의 외면에는 상기 와이어(21)의 유도 및 안내를 위한 지지핀(24)(24')을 복수로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제 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판(30)(30')은 승강줄(7)을 향하여 일측에 톱니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판(30)(30')은 지지판(10)(10') 외면에 형성된 브라켓(14)에 축 결합되게 하여 지지판(10)(10')에 관통 형성된 작동공(13)을 통해 회전되게 하되,
상기 브레이크판(30)(30')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대(40)의 중앙부와 축 결합되는 연결링크(41)(41')를 축 결합하여, 상기 작동대(40)의 왕복 운동에 따라 연결링크(41)(41')를 통한 브레이크판(30)(30')의 회전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제 5항에 있어서,
작동판(10)(10')의 외측면에는 설치판(15)을 고정 형성하고, 상기 설치판(15)에는 브레이크판(30)(30')과 연결링크(41)(41')의 축 결합부에 일측단이 계지되게 한 토션스프링(50)을 결합 형성하여, 상기 토션스프링(50)에 의해 브레이크판(30)(30')의 역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24A KR101610214B1 (ko) | 2016-02-01 | 2016-02-01 |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24A KR101610214B1 (ko) | 2016-02-01 | 2016-02-01 |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214B1 true KR101610214B1 (ko) | 2016-04-20 |
Family
ID=5591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124A KR101610214B1 (ko) | 2016-02-01 | 2016-02-01 |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214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8226B1 (ko) | 2017-08-21 | 2018-01-17 | 주식회사 엠라이테크 | 과부하 방지활차 |
KR101944453B1 (ko) * | 2018-06-04 | 2019-01-31 | 주식회사 이스온 |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
CN110526147A (zh) * | 2019-08-27 | 2019-12-03 | 成都金瑞建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斗提搅拌站料斗保护装置 |
KR20200095695A (ko) * | 2019-02-01 | 2020-08-11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CN112661049A (zh) * | 2020-12-31 | 2021-04-16 | 深圳华侨城文化旅游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轨道车提升机构 |
CN113503497A (zh) * | 2021-07-14 | 2021-10-15 | 四川华体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灯杆 |
KR20210143049A (ko) * | 2020-05-19 | 2021-11-26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KR20230008546A (ko) * | 2021-07-07 | 2023-01-16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215B1 (ko) | 2013-05-07 | 2014-10-08 | 전대훈 | 현수막 및 중량물 승강장치 |
KR101571794B1 (ko) | 2015-08-20 | 2015-11-25 | 주식회사 진우엘텍 | 승강식 조명탑 |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124A patent/KR1016102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8215B1 (ko) | 2013-05-07 | 2014-10-08 | 전대훈 | 현수막 및 중량물 승강장치 |
KR101571794B1 (ko) | 2015-08-20 | 2015-11-25 | 주식회사 진우엘텍 | 승강식 조명탑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8226B1 (ko) | 2017-08-21 | 2018-01-17 | 주식회사 엠라이테크 | 과부하 방지활차 |
CN110552544B (zh) * | 2018-06-04 | 2021-05-18 | 伊森株式会社 |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
KR101944453B1 (ko) * | 2018-06-04 | 2019-01-31 | 주식회사 이스온 | 와이어로프 제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강 시스템 |
CN110552544A (zh) * | 2018-06-04 | 2019-12-10 | 伊森株式会社 |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
KR20200095695A (ko) * | 2019-02-01 | 2020-08-11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KR102168234B1 (ko) | 2019-02-01 | 2020-10-20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CN110526147B (zh) * | 2019-08-27 | 2021-10-22 | 成都金瑞建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斗提搅拌站料斗保护装置 |
CN110526147A (zh) * | 2019-08-27 | 2019-12-03 | 成都金瑞建工机械有限公司 | 一种斗提搅拌站料斗保护装置 |
KR20210143049A (ko) * | 2020-05-19 | 2021-11-26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KR102390491B1 (ko) | 2020-05-19 | 2022-04-25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CN112661049A (zh) * | 2020-12-31 | 2021-04-16 | 深圳华侨城文化旅游科技集团有限公司 | 一种轨道车提升机构 |
KR20230008546A (ko) * | 2021-07-07 | 2023-01-16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KR102577791B1 (ko) | 2021-07-07 | 2023-09-12 | 주식회사 이스온 | 폴의 승하강 무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CN113503497A (zh) * | 2021-07-14 | 2021-10-15 | 四川华体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灯杆 |
CN113503497B (zh) * | 2021-07-14 | 2023-01-17 | 四川华体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高灯杆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214B1 (ko) | 캐리어 추락방지장치를 갖는 승강식 조명탑 | |
TWI603032B (zh) | 高處安裝設備用之升降裝置 | |
JP5827347B2 (ja) | 電動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 |
CN110552544B (zh) | 钢丝索制动装置以及包含上述钢丝索制动装置的竖杆升降系统 | |
KR101870896B1 (ko) |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 | |
US3949842A (en) | Free fall safety device | |
KR102088492B1 (ko) |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 |
KR101996595B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CN106276619B (zh) | 起吊设备的安全绳保护装置及起吊设备 | |
JP2015502884A (ja) | 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 |
KR101063308B1 (ko) | 승강틀에 대한 추락방지구조를 갖는 승,하강식 조명타워 | |
KR101566326B1 (ko) |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 |
KR200401381Y1 (ko) | 삭도용 수평 캐리지 | |
KR20200095695A (ko) |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 |
KR100955403B1 (ko) | 조명 타워용 리프트 추락 방지장치 | |
WO2003074818A1 (fr) | Echafaudage orbital automatique a deplacement vertical | |
KR200435725Y1 (ko) | 승강식 조명타워의 회전식 승강캐리어장치 | |
KR101006241B1 (ko) | 리프트 승강식 조명탑의 안전장치 | |
KR100989152B1 (ko) | 등기구 견인장치 | |
JP2014030606A (ja) | 昇降用安全装置 | |
JP2003272435A (ja) | 昇降式照明装置 | |
CN220811697U (zh) | 一种舞台机械检测预警装置 | |
JP2003077332A (ja) | 昇降式架台付き照明柱及びその架台昇降方法並びにウインチ運搬用キャリヤー | |
KR101178519B1 (ko) | 조명타워용 승강틀 추락방지장치 | |
JP2003040551A (ja) | エレベータの主索移動装置並びに同装置による主索の撤去方法及び新設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