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326B1 -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326B1
KR101566326B1 KR1020150064352A KR20150064352A KR101566326B1 KR 101566326 B1 KR101566326 B1 KR 101566326B1 KR 1020150064352 A KR1020150064352 A KR 1020150064352A KR 20150064352 A KR20150064352 A KR 20150064352A KR 101566326 B1 KR101566326 B1 KR 101566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pair
hollow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식
송인철
Original Assignee
(주) 탑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탑텍 filed Critical (주) 탑텍
Priority to KR1020150064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6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21V21/38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with a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에 넓은 공간을 밝게 비출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조명등이 구비된 대형조명을 지상으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직경이 큰 붐의 중공에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 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다단의 붐에 장착된 다수의 와이어의 연동에 의하여 다수 개의 붐이 동시에 인출되어 펼쳐지거나 인입되어 접힐 수 있도록 작동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단붐과 제3단붐의 외측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제2와이어가 제3단붐의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방향전환되기 때문에, 제2단붐과 제3단붐 간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확연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모두 단일이 와이어로 구성되어 제2단붐과 제3단붐을 각각 인출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와이어의 길이 변화 또는 붐 인출시의 붐의 순간적인 흔들림으로 인한 와이어의 장력 변화로 유발되는 다단 붐 전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Multistage lifting apparatus for large lighting}
본 발명은 야간에 넓은 공간을 밝게 비출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조명등이 구비된 대형조명을 지상으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직경이 큰 붐의 중공에 작은 직경을 가지는 다수 개의 붐이 순차적으로 내입되고, 다단의 붐에 장착된 다수의 와이어의 연동에 의하여 다수 개의 붐이 동시에 인출되어 펼쳐지거나 인입되어 접힐 수 있도록 작동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을 밝게 조사해야 할 항만, 공항, 철도역 및 고속도로 인터체인지 주변, 넓은 주차장 및 공원, 공장부대시설, 주요건물 또는 운동경기장 등에 비교적 높은 위치에서 넓은 범위에 밝은 조명을 비추어 줄 수 있도록 지상으로부터 대략 20~30m 높이의 전주에 다수개의 조명등이 설치되어 점ㆍ소등되게 운용되는 타워조명장치(본 발명의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와 대응됨.)가 있다.
상기 타워조명장치는 다수개의 전주의 하단부가 지면에 매입되어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 고정되고, 상기 전주의 상부에 다수의 조명등이 결합된 프레임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타워조명장치는 조명기구 설치 및 수리, 전등교체 작업시 별도의 고가 사다리 또는 크레인, 셔틀 엘리베이터장치가 구비된 특장차량 등의 기구나 장치가 필수적으로 있어야만 작업이 수행되며, 조명등 설치작업 또는 소켓 및 접속구조 해체, 수리, 고체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작업중인 작업자의 부주의 등에 의한 낙상사고의 발생률이 높아 제품에 대한 안정성과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다음은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436호는 다단식 조명타워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고정축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회전드럼; 일단이 각각의 상기 승강축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럼에 연결되어 길이가 증감하는 복수 개의 가변와이어; 일단이 상기 승강축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베이스 고정축에 고정되며 길이가 일정한 고정와이어; 및 상기 가변와이어와 상기 고정와이어가 걸쳐지며 상기 승강축에 설치되는 풀리가 구비되는 구성을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조명타워를 신축시키기 위한 와이어가 승강축의 내부에서 작동하여 부식이 최소화되고, 이물질의 부착이 방지되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의 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 개의 와이어가 복잡하게 얽혀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와이어라도 늘어나게 되면 다수 개의 승강축(본 발명의 붐과 대응됨.)이 서로 어긋나게 상승 또는 하강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99695호(2008.01.2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0436호(2005.03.22)
본 발명은 대형조명 승강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다단 붐을 이용한 승강장치가 와이어를 이용한 인출방식으로 적용되는 경우, 서로 인접된 붐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의 이동로와 와이어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도르레와 같은 방향전환부재의 장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어느 하나의 붐 중공에 내입되는 다른 붐에 대한 이격공간이 커야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그 결과 이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테나 타입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는 다수 개의 붐의 직경이 커져야 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대형조명 승강장치의 다단 붐 전체의 무게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어느 하나의 붐을 인출시키기 위한 인출력을 다수의 와이어로 가할 경우, 각 와이어의 길이 변화 또는 장력의 변화에 의하여, 인출되는 붐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1와이어가 권취된 권양기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고정대; 일측은 고정대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타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도르레를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를 구비하는 제1단붐; 상기 제1단붐의 중공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도르레를 구비하는 제2단붐; 상기 제2단붐의 중공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중공의 일측에는 제2와이어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조명등 모듈이 장착되는 제3단붐 및; 일단은 제1단붐의 어느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2단붐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를 거쳐 제2단붐의 중공으로 인입되며, 제3단붐의 관통공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단붐의 중공에서 인출되며, 제2단붐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를 거쳐 제1단붐의 다른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에 타단이 체결되도록 길이 연장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는 제2단붐과 제3단붐의 외측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하여 이동되는 제2와이어가 제3단붐의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방향전환되기 때문에, 제2단붐과 제3단붐 간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확연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2와이어가 이동되고 방향전환되는 이격공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2단붐의 중공의 직경이 작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다단식 승강장치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 모두 단일이 와이어로 구성되어 제2단붐과 제3단붐을 각각 인출시키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와이어의 길이 변화 또는 붐 인출시의 붐의 순간적인 흔들림으로 인한 와이어의 장력 변화로 유발되는 다단 붐 전체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가 접혀진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가 펼쳐진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의 제2단붐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의 제3단붐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
본 발명은 야간에 넓은 공간을 밝게 비출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조명등(60)이 구비된 대형조명을 지상으로부터 승강시키기 위한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와이어(40)가 권취된 권양기(51)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고정대(50); 일측은 고정대(5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11)의 타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를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를 구비하는 제1단붐(10); 상기 제1단붐(10)의 중공(1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도르레(22a, 22b)를 구비하는 제2단붐(20); 상기 제2단붐(20)의 중공(2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중공(31)의 일측에는 제2와이어(41)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조명등 모듈이 장착되는 제3단붐(30) 및; 일단은 제1단붐(10)의 어느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2단붐(20)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22a)를 거쳐 제2단붐(20)의 중공(21)으로 인입되며,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인출되며, 제2단붐(20)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22b)를 거쳐 제1단붐(10)의 다른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b)에 타단이 체결되도록 길이 연장되는 제2와이어(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는 제1단붐(10), 제2단붐(20) 및 제3단붐(30)이 안테나 형식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형태이고, 권양기(51)와 제1와이어(40)를 이용하여 다단 붐의 펼침 또는 접힘에 대한 구동력을 제2단붐(20)에 전달하면, 제3단붐(30)은 제2단붐(20)의 인출력을 제1단붐(10) 내지 제3단붐(30)을 아우르며 연결된 제2와이어(41)를 통하여 전달받아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세 개의 서로 다른 붐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붐의 펼침을 위한 제1와이어(40)와 제2단붐(20)의 결합관계 또는 제2와이어(41)와 제1단붐(10) 내지 제3단붐(30)의 결합관계에 있으므로,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은 다단 붐의 인출에 주안점을 두며 기재하겠다.
즉, 고정대(50)는 제1와이어(40)가 권취된 권양기(51)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단붐(10) 내지 제3단붐(30)으로 이루어진 다단 붐의 하부에 해당하는 제1단붐(10)의 일측을 지지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고정대(50)는 금속의 구조물 또는 건축물이 될 수도 있고, 고정대(50)의 상부 또는 측부에는 제1단붐(10)의 일측이 고정되어, 제1단붐(10)이 길이 방향으로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고정대(5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권양기(51)와 같은 권취 또는 인출수단이 구비되어 제1와이어(40)의 양쪽 말단을 권취하거나 인출시킨다.
이때, 권양기(51)의 회전축에는 제1와이어(40)의 양쪽 말단이 각각 고정체결되어 권양기(51)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제1와이어(40)의 양쪽 말단이 동시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단붐(10)은 일측이 고정대(5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11)의 타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를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제1단붐(10)의 하부에 해당하는 일측은 고정대(50)에 체결되고, 제1단붐(10)은 일측에서 상부로 길이를 형성하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대(50)에 세워진다.
이때, 제1단붐(10)은 도 1과 같이 제2단붐(20)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11)을 가지고, 중공(11)의 내부에는 제2단붐(20)이 내재되며, 중공(11)의 타측에는 제1와이어(40)가 걸리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가 구비되며, 수평단면이 다각형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길이방향의 굽힘력에 대한 저항력이 더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단붐(10)의 중공(11)의 타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는 제1와이어(40)를 걸어 제1단붐(10)의 하부에 위치된 권양기(51)에 양쪽 말단이 체결된 제1와이어(40)의 연장부가 제1단붐(10) 중공(11)의 타측에서 방향전환되어 제2단붐(20) 하부에 구성된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40)는 도 1 또는 4와 같이 양쪽 말단이 권양기(51)의 회전축에 고정체결되고, 양쪽 말단에서 연장되어 길이를 형성하는 연장부는 폐쇄된 라인을 형성한다. 이때, 폐쇄된 라인의 중간에 해당하는 중간부는 하기 제2단붐(20)의 한 쌍의 관통공(23a, 23b)에 위치된다.
즉, 제1와이어(40)의 어느 한쪽의 말단인 일단은 권양기(51)의 회전축에 고정체결되고, 어느 한쪽의 말단에서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 연장부의 반대쪽에 위치된 다른 한쪽의 말단인 타단은 제1단붐(10)의 중공(11)임과 동시에 제1단붐(10)과 제2단붐(20)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따라 제1와이어(40)의 타측방향으로 길이 연장되어 한 쌍의 도르레(13a, 13b) 중 어느 하나의 도르레(13a)를 거쳐 제2단붐(20)의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다시 다른 하나의 도르레(13b)를 거쳐 권양기(51)의 회전축에 고정체결된다.
아울러 제1단붐(10)의 중공(11)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는 제2단붐(20)의 외부와 제1단붐(10) 중공(11)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일정부분에 각각 구비되어, 제1단붐(10)의 상부로 향하는 제1와이어(40)의 방향을 제2단붐(20)의 일측에 해당하는 하부로 전환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나, 도 4와 같이 제1단붐(10)의 중공(11) 타측의 양쪽 내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도르레(13a, 13b) 각각이 제2단붐(2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성을 하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에 의하여 걸쳐지는 제1와이어(4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이 권양기(51)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된 타단은 제1단붐(10)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13a)를 거쳐 제2단붐(20)의 관통공(23a, 23b)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1단붐(10)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13b)를 거쳐 권양기(51)의 회전축에 연장부의 말단인 타단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단붐(20)은 상기 구성의 제1와이어(40)에 의하여 형성된 폐쇄된 라인의 중간부에 제2단붐(20)의 일측에 해당하는 하부에 구비된 관통공(23a, 23b)이 위치되고, 제2단붐(20)의 양쪽 측부에 위치된 제1와이어(40)에 의하여 제2단붐(20)이 들어 올려질 수 있기 때문에, 제2단붐(20)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제1단붐(10)의 중공(11) 내에서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1와이어(40)에 의한 제2단붐(20)의 인출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1단붐(10)에 구비되는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는 고정대(50)와 체결된 제1단붐(10)의 일측에서 길이 연장되는 타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제2와이어(41)의 양쪽 말단을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 각각에 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는 제1단붐(10) 타측의 상부에 각각 돌출구성되어 제2와이어(41)의 양쪽 말단을 각각 파지시키고, 특히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 간은 소정 간격이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3단붐(30)의 폭에 해당하는 간격이 이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와 제2와이어(41) 간의 체결은 일반적인 볼트ㆍ너트 체결이 가능하나, 지속적인 다단 붐의 사용으로 제2와이어(41)가 늘어난 경우 제2와이어(4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에는 중공을 가지는 핀이 구비되고, 제2와이어(41)의 말단은 상기 핀의 중공을 관통한 후 관통되는 제2와이어(41) 말단의 길이가 핀의 중공에서 조절가능하도록 볼트ㆍ너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2와이어(41)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하겠다.
또한 제2단붐(20)은 상기 제1단붐(10)의 중공(1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도르레(22a, 22b)를 구비하는 구성으로서, 제1와이어(40)에 의하여 제1단붐(10)의 중공(11)에서 인출 또는 인입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지고, 양쪽 말단이 제1단붐(10)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에 체결된 제2와이어(41)의 연장방향을 전환시키는 도르레(22a, 22b)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즉, 제2단붐(20)은 도 5와 같이 제1단붐(10)의 중공(11)에 내입될 수 있는 외형과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1단붐(10)의 중공(11) 내측면과 제2단붐(20)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1와이어(40)의 연장부와 한 쌍의 도르레(13a, 13b)가 위치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을 형성시키는 구성이다.
더불어 제2단붐(20)은 일측부터 제1단붐(10)의 중공(11)에 내입되는데, 이때, 제2단붐(20)의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은 제1와이어(40)의 연장부를 관통시켜 제1와이어(40)가 제2단붐(20)의 일측에서 다시 방향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2단붐(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은 제1와이어(40)가 관통공(23a, 23b)을 통하여 관통함으로써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은 도 5와 같이 제2단붐(20) 일측의 측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1와이어(40)의 티단이 어느 하나의 관통공(23a)을 통과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23b)을 통과하며 방향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성의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은 중공(21)을 가지는 제2단붐(20) 일측의 양단을 통기시키고, 서로 통기되는 관통공(32a)과 관통공(32b)으로 제1와이어(40)를 관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2단붐(20)에 인출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단일의 제1와이어(40)만으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붐(10)에서 제2단붐(20)을 인출시키는 인출력이 두 개 이상이 와이어에 의하여 제2단붐(20)에 전달되면, 권양기(51)에 의하여 권취되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다른 와이어보다 더 빠르게 권취되는 경우 와이어에 의한 제2단붐(20)의 인출속도가 부분적으로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달라진 와이어의 인출속도에 의하여 제2단붐(20)이 기울어진 상태로 제1단붐(10)에서 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제2단붐(20)에 구비되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은 와이어를 단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여,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즉, 제1와이어(40)는 양쪽 말단이 동일한 권양기(51)의 회전축에 고정체결되어 동일한 인출속도로 제2단붐(20)을 제1단붐(10)에서 인출시킬 수 있으나, 회전축에 감져진 제1와이어(40) 양쪽 말단의 권취직경이 서로 달라진 경우에는 회전축의 동일한 회전수에 대하여 제1와이어(40)의 권취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와이어(40)의 중간부를 중심으로 제1와이어(40)의 사이에 위치된 제2단붐(20)의 양쪽 인출속도가 달라진 경우, 제2단붐(20)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은 제1와이어(40)를 제2단붐(20)의 일측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단붐(20) 양쪽에 대한 제1와이어(40)에 의한 인출력을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2단붐(20)의 한 쌍의 관통공(23a, 23b)에 리턴부재(70a)를 장착하여, 관통공(23a, 23b)에 대한 제1와이어(4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평상시 상기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관통하는 제1와이어(40)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중심으로 양쪽의 절반 각각 부분이 동일한 장력을 받으나, 반복적인 승강장치의 사용으로 인하여 제1와이어(40)의 어느 한쪽 절반이 늘어나게 되거나, 권양기(51)의 회전축에 감긴 제1와이어(40)의 권취속도 차이로 제2단붐(20)의 좌ㆍ우 균형이 흐트러져 제1와이어(40)의 양쪽 장력이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는데, 이때 리턴부재(70a)는 제1와이어(40)의 중간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용이하게 이동시켜 제1와이어(40)의 양쪽 장력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턴부재(70a)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 사이에 구비되고, 제1와이어(40)가 인입되어 이동가능한 와이어홈(71a)이 제1와이어(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나, 도 4와 같이 외주의 중앙에 와이어홈(71a)을 구비하는 판상의 반원형태로 구성되고, 반원형태의 외주 중간부는 와이어홈(71a)보다 더 깊게 절개된 절개부(72a)를 구비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의 리턴부재(70a)는 판상의 반원형태로 구성되어 반원형태의 양쪽 말단 각각이 관통공(23a, 23b) 각각에 위치되고, 외주의 중앙에 구비된 와이어홈(71a)에 제1와이어(40)가 걸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반원형태 리턴부재(70a)의 양쪽 말단은 어느 한쪽 말단으로 제1와이어(40)를 인입받고 다른 한쪽 말단으로 제1와이어(40)를 인출하기 때문에 와이어홈(71a)의 전체에는 제1와이어(40)가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72a)는 도 4와 같이 반원형태의 외주 중간부를 양분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반원형태의 리턴부재(70a) 외주의 중간부에 걸쳐지는 제1와이어(40)가 리턴부재(70a)에 닿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절개부(72a)는 와이어홈(71a)보다 더 깊게 절개된 형태로 반원형태 리턴부재(70a)의 외주 중간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소정의 곡면을 가지는 반원형태의 양쪽 부분에 걸쳐있는 제1와이어(40)가 절개부(72a)에서는 리턴부재(70a)에 닿지 않도록 하여, 리턴부재(70a)와 제1와이어(40) 간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더불어 일반적인 상황에서 제1와이어(40)의 중간부는 상기 구성의 절개부(72a)에 위치되고, 리턴부재(70a)를 중심으로 제1와이어(40)의 어느 한 쪽의 장력에 변화가 생기면 제1와이어(40)의 중간부는 리턴부재(70a)를 중심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당겨져 이동함으로써 장력의 균형을 맞추게 된다. 이때, 상기 구성의 절개부(72a)는 제1와이어(40)와 리턴부재(70a) 간의 마찰을 줄여 제1와이어(40)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단붐(2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도르레(22a, 22b)는 도 4와 같이 제1단붐(10)에 체결된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에서 연장되는 제2와이어(41)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제2와이어(41)의 연장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즉, 한 쌍의 도르레(22a, 22b)는 제2단붐(20)의 타측 외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 간의 간격과 동일 또는 유사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더불어 한 쌍의 도르레(22a, 22b)는 제2단붐(20)의 타측의 상부임과 동시에 제2단붐(20)의 타측 말단에 해당하는 부분에 구비되어 제2와이어(41)의 연장부가 제2단붐(20)과의 간섭없이 제2단붐(20)의 중공(21)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르레(22a, 22b)의 회전 방향은 제2단붐(20) 및 제3단붐(30)의 인출ㆍ인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양쪽 말단이 제1단붐(10)에 체결되고 도르레(22a, 22b)에 걸린 제2와이어(41)의 연장부는 제2단붐(20)의 중공(21)으로 인입되도록 방향전환되어 제2단붐(20)의 중공(21)에 내입된 제3단붐(30)의 일측 방향으로 길이 연장된다.
아울러 제3단붐(30)은 상기 제2단붐(20)의 중공(2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중공(31)의 일측에는 제2와이어(41)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조명등 모듈이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1단붐(10) 및 제2단붐(20)에 연결된 제2와이어(41) 연장부의 당김력에 의하여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인출되는 구성이다.
즉, 제2단붐(20)은 권양기(51)에 의한 제1와이어(40)의 인출력에 의하여 제1단붐(10)의 중공(21)에서 인출되나, 제3단붐(30)은 제2단붐(20)의 인출에 의한 제2단붐(20)의 도르레(22a, 22b) 위치변화에 따른 제2와이어(41)의 당김력으로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타측방향인 상부로 인출되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제3단붐(30)은 도 5와 같이 제2단붐(20)의 중공(21)에 내입될 수 있는 외형과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제2단붐(20)의 중공(21)에 긴밀하게 내입되어 제2단붐(20)에서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단붐(30)은 일측부터 제2단붐(20)의 중공(21)에 내입되는데, 이때, 제3단붐(30)의 일측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은 제2단붐(20)에 구비된 한 쌍의 관통공(23a, 23b)과 동일한 원리로, 제2와이어(41)의 연장부를 관통시켜 제2와이어(41)가 제3단붐(30)의 일측에서 다시 방향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제3단붐(30)은 일측의 내부를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이 구비되어 제2와이어(41)가 관통공(32a, 32b)을 통하여 관통함으로써 방향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은 도 5와 같이 제3단붐(30) 일측의 측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제2와이어(41)의 일단이 어느 하나의 관통공(32a)을 통과한 후 다른 하나의 관통공(32b)을 통과하며 방향전환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관통공(32a, 32b)은 제2단붐(20)의 직경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2단붐(20)의 타측에 위치된 한 쌍의 도르레(22a, 22b)가 체결되는 위치를 제2단붐(20)의 타측 상부에서 타측 중간부까지 하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여, 제2단붐(20) 타측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더불어 제3단붐(30)의 타측에 장착되는 조명등 모듈은 다수 개의 조명등(60)과 조명등(60)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다수 개의 프레임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프레임 조립체의 일측이 제3단붐(30)의 타측에 체결되고, 프레임 조립체의 외측에는 다수 개의 조명등(60)이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장착되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을 조명등 모듈은 제3단붐(30)의 타측에 해당함과 동시에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의 꼭대기에 위치되어 주변을 밝히게 된다.
또한 제2와이어(41)는 일단은 제1단붐(10)의 어느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2단붐(20)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22a)를 거쳐 제2단붐(20)의 중공(21)으로 인입되고,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인출되며, 제2단붐(20)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22b)를 거쳐 제1단붐(10)의 다른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b)에 타단이 체결되도록 길이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제1단붐(10)에서 인출되는 제2단붐(20)의 인출력을 제3단붐(3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2와이어(41)는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된 구성으로서, 양쪽 말단 각각이 제1단붐(10)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에 각각 체결되어 폐쇄된 라인을 형성하고, 폐쇄된 라인의 중간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에 걸쳐져 제1단붐(10)에 대한 제2단붐(20)의 인출에 따라 제3단붐(30)도 제2단붐(2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1단붐(10)에서 제2단붐(20)이 제1와이어(40)의 인출력에 의하여 인출되고, 길이가 일정으로 한정되고 양쪽 말단이 제1단붐(10)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에 각각 체결된 제2와이어(41)의 연장부는, 제1단붐(10)에 대한 제2단붐(20)의 인출로 인하여 제2단붐(20) 타측의 도르레(22a, 22b)에 걸린 상태로 제1단붐(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제2와이어(41) 연장부의 중간부는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에 끼워진 상태로 제3단붐(30)을 제2단붐(20) 중공(21)의 타측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어, 제3단붐(30)이 제2단붐(20)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제2와이어(41)는 길이의 절반부분이 제3단붐(3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고, 다른 절반부분이 제3단붐(30)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반복되는 다단식 승강장치 사용으로 인하여 제2와이어(41)의 어느 쪽 절반이 늘어나더라도 관통공(32a, 32b)에서 제2와이어(41)의 중간부가 관통공(32a, 32b)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와이어(41)의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장력을 다른 한쪽에도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3단붐(30)의 한 쌍의 관통공(32a, 32b)에는 외주의 중앙에 와이어홈(71b)을 구비하는 판상의 반원형태로 구성되고, 반원형태의 외주 중간부는 와이어홈(71b)보다 더 깊게 절개된 절개부(72b)를 구비하는 리턴부재(70b)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제3단붐(30)에 더 장착될 수 있는 리턴부재(70b)는 제2단붐(20)에 구비된 리턴부재(70a)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가진다. 단, 제2단붐(20)에 장착되는 리턴부재(70a)에는 제1와이어(40)가 걸리도록 구성되나 제3단붐(30)에 장착되는 리턴부재(70b)는 제2와이어(41)가 걸리는 차이가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이하, 제3단붐(30)에 장착되는 리턴부재(70b)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2단붐(20)에 장착된 리턴부재(70a)에 관한 구성 및 작용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대신하겠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한 쌍의 관통공(23a, 23b 또는 32a, 32b)의 인접 부분 각각에 해당하는 제2단붐(20)의 외측 또는 제3단붐(30)의 외측에는 "ㄴ"자 형태 또는 "ㄷ"자 형태의 와이어 가이드(80a, 80b)가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가이드(80a, 80b)는 관통공(23a, 23b 또는 32a, 32b)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제1와이어(40) 연장부 또는 제2와이어(41)의 연장부를 지지하여 제1와이어(40) 또는 제2와이어(41)가 안정적으로 관통공(23a, 32a)에 인입되거나 관통공(23b, 32b)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단붐(10), 제2단붐(20) 및 제3단붐(30)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더 긴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단붐(10) 내지 제3단붐(30)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추가적인 다단 붐 세트를 제3단붐(3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추가적인 다단 붐 세트가 제3단붐(30)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3단붐(30)은 제1단붐(10)의 기능을 하게 되고, 제3단붐(30)에는 제2단붐(20)의 기능을 하는 제4단붐(미도시)이 장착되고, 제4단붐에 제3단붐(30)의 기능을 하는 제5단붐(미도시)이 장착되는 구성을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다단 붐은 제1단 내지 제3단붐(30)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3단붐(30)의 타측에는 제3단붐(30)을 중심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진 프레임 조립체가 장착되고, 프레임 조립체의 외측에는 다수 개의 조명등(6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고정대(50)의 하부는 지면에 설치된 시멘트 구조물의 상부에 고정체결되어 있고, 고정대(50)의 내부에는 제1와이어(40)의 양쪽 말단이 회전축에 고정체결된 권양기(51)가 구비된다.
우선, 작업자는 제1와이어(40)의 양쪽 말단이 체결된 권양기(51)를 작동시켜 제1와이어(40)를 감는다. 이때, 제1와이어(40)는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제1단붐(10)의 중공(11)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도르레(13a, 13b)에 연장부가 걸린 상태로 제2단붐(20)을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제2단붐(20)은 상기와 같은 제1와이어(40)에 의한 인출력으로 제1단붐(10)에서 인출된다.
이후, 제1단붐(10)의 중공(11)에서 인출되는 제2단붐(20)의 타측에 구비된 한 쌍의 도르레(22a, 22b)는 제2와이어(41)를 전방으로 밀고, 길이가 일정하게 한정된 제2와이어(41)의 중간부는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 또는 리턴부재(70b))을 전방으로 밀어 제3단붐(30)을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인출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동순서로 제3단붐(30)의 타측에 장착된 조명등 모듈은 상승하고, 조명등(60)에서 발산되는 빛은 더욱 먼 거리까지 펴져 나갈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제1단붐 11 : 중공
12a, 12b : 제2와이어 체결구 13a, 13b : 도르레
20 : 제2단붐 21 : 중공
22a, 22b : 도르레 23a, 23b : 관통공
30 : 제3단붐 31 : 중공
32a, 32b : 관통공 40 : 제1와이어
41 : 제2와이어 50 : 고정대
51 : 권양기 60 : 조명등
70a, 70b : 리턴부재 71a, 71b : 와이어홈
72a, 72b : 절개부 80a, 80b : 와이어 가이드

Claims (7)

  1. 제1와이어(40)가 권취된 권양기(51)를 구비하고, 승강장치 전체를 지지하는 고정대(50);
    일측은 고정대(50)에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체결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11)의 타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를 걸 수 있는 한 쌍의 도르레(13a, 13b)를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한 쌍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 12b)를 구비하는 제1단붐(10);
    상기 제1단붐(10)의 중공(1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중공(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와이어(40)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23a, 23b)을 구비하며, 일측에서 길이 연장된 타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도르레(22a, 22b)를 구비하는 제2단붐(20);
    상기 제2단붐(20)의 중공(21)에 일측부터 내입되고, 길이 방향으로 구성된 중공(31)의 일측에는 제2와이어(41)가 관통되는 한 쌍의 관통공(32a, 32b)을 구비하며, 타측에는 조명등 모듈이 장착되는 제3단붐(30) 및;
    일단은 제1단붐(10)의 어느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a)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2단붐(20)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22a)를 거쳐 제2단붐(20)의 중공(21)으로 인입되며, 제3단붐(30)의 관통공(32a, 32b)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2단붐(20)의 중공(21)에서 인출되며, 제2단붐(20)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22a)를 거쳐 제1단붐(10)의 다른 하나의 제2와이어 체결구(12b)에 타단이 체결되도록 길이 연장되는 제2와이어(4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붐(10)의 한 쌍의 도르레(13a, 13b)는,
    제1단붐(10)의 중공(11) 타측의 양쪽 내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대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와이어(40)는,
    일단이 권양기(51)의 회전축에 체결되고, 일단에서 길이 연장되는 연장부는 제1단붐(10)의 어느 하나의 도르레(13a)를 거쳐 제2단붐(20)의 관통공(23a, 23b) 한 쌍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제1단붐(10)의 다른 하나의 도르레(13b)를 거쳐 권양기(51)의 회전축에 연장부의 말단인 타단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붐(20)의 한 쌍의 관통공(23a, 23b)에는,
    외주의 중앙에 와이어홈(71a)을 구비하는 판상의 반원형태로 구성되는 리턴부재(70a)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70a)는,
    반원형태의 외주 중간부에 와이어홈(71a)보다 더 깊게 절개된 절개부(72a)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관통공(23a, 23b, 32a, 32b)의 인접 부분 각각에 해당하는 제2단붐(20)의 외측 또는 제3단붐(20)의 외측에는 "ㄴ"자 형태 또는 "ㄷ"자 형태의 와이어 가이드(80a, 80b)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붐(30)의 한 쌍의 관통공(32a, 32b)에는,
    외주의 중앙에 와이어홈(71b)을 구비하는 판상의 반원형태로 구성되는 리턴부재(70b)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부재는,
    반원형태의 외주 중간부에 와이어홈(71b)보다 더 깊게 절개된 절개부(72b)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1020150064352A 2015-05-08 2015-05-08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KR101566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52A KR101566326B1 (ko) 2015-05-08 2015-05-08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52A KR101566326B1 (ko) 2015-05-08 2015-05-08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6326B1 true KR101566326B1 (ko) 2015-11-06

Family

ID=5460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352A KR101566326B1 (ko) 2015-05-08 2015-05-08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702A (zh) * 2017-02-23 2017-05-31 郑浩杰 一种桥梁用风能交通灯
CN111306514A (zh) * 2020-03-31 2020-06-19 广州市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高杆灯分绳器安装方法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1702A (zh) * 2017-02-23 2017-05-31 郑浩杰 一种桥梁用风能交通灯
CN106781702B (zh) * 2017-02-23 2017-12-22 盐城明钰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用风能交通灯
CN111306514A (zh) * 2020-03-31 2020-06-19 广州市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高杆灯分绳器安装方法
CN111306514B (zh) * 2020-03-31 2021-03-30 广州市机电安装有限公司 一种高杆灯分绳器安装方法
KR102527192B1 (ko) * 2022-05-03 2023-05-02 주식회사 화신이앤비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승하강식 조명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CN102341336A (zh) 电梯配置和方法
CA2554183C (en) Self-elevating staging with rack-and-pinion posts
KR100738869B1 (ko) 무대장치의 와이어 로프 시스템
JP5065814B2 (ja) 電線張替工法
KR20070078521A (ko) 승강구동식 조명타워
EP3786103A1 (en) Lift assembly with two sheave mounts
JP5888603B2 (ja) 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方法及び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装置
CN219341474U (zh) 一种柱顶行走的吊装机
KR20090015168A (ko) 상하 레일 이동식 조명장치
JP6698900B1 (ja) 昇降装置
CN114873506A (zh) 一种机电管线提升装置
KR100849520B1 (ko) 동기식 체인 리프트 장치
KR100989152B1 (ko) 등기구 견인장치
KR20110055765A (ko) 리깅장치
US20240119872A1 (en) Cross Street Banner Suspension System
KR101879689B1 (ko) 승강형 조명타워
JP4631990B1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システム
RU21164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JPH0761773A (ja) ジブクレーン
US20220398950A1 (en) Cross Street Banner Suspension System
CN215336041U (zh) 中杆灯角度调整装置
CN212503686U (zh) 一种基于bim的装配式建筑的施工装置
KR200230101Y1 (ko) 건축용 리프트
KR101781163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구동부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