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101Y1 - 건축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건축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101Y1
KR200230101Y1 KR2020000034157U KR20000034157U KR200230101Y1 KR 200230101 Y1 KR200230101 Y1 KR 200230101Y1 KR 2020000034157 U KR2020000034157 U KR 2020000034157U KR 20000034157 U KR20000034157 U KR 20000034157U KR 200230101 Y1 KR200230101 Y1 KR 200230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rope
pulley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34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10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고, 각 기둥의 내면에 안내홈이 형성된 프레임이 각각 하부프레임(1), 이동프레임(2) 및 작업판(13)이 구비된 상부프레임(3)으로 구성되어 상기 안내홈(1a)(2a)을 따라 서로 안테나식으로 미끄럼결합 되어 있고, 이 결합된 각각의 프레임에는 상하단에 폴리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1)의 일측에는 양쪽에 폴리(6)(6a)가 고정된 제1회전축(5)과 이와 연결되어진 구동모터(4)가 설치되어 있으되, 상기 회전축의 양쪽풀리와 상기 상부프레임(3)의 하단에는 로프(12)의 양끝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로프(12)를 각 프레임에 고정된 풀리에 각각 감겨지도록 하여 상기 구동모타(4)의 작동에 따라 각 프레임이 안테나식으로 미끄럼 이동하도록 하여 건축공사시 각층마다 설치해야 하는 별도의 버팀목이 필요없고,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공간 설정이 용이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건축용 리프트{LIFT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특히 작업판이 마련된 다단계의 리프트를 작업위치 및 작업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승시킬수 있는 건축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시 사용되는 건설장비는 크레인, 호이스트, 사다리식, 리프트등 여러종류가 있으나 이는 주로 규모막 큰 공사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어서, 한 공간에서 오랜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작업장이 협소한 곳에서는 이동속도 및 작업속도가 느리게 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건설장비를 쉽게 사용할 수 없는 소규모 공사인 일반주택의 외장공사시에는 작업자가 일일이 별도의 버팀목을 설치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인력수급, 공사기간지연 및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설치되는 버팀목이 필요없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협소한 작업공간에서도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작업자의 작업공간이 충분하며, 경제적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한 건축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부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의 작업판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프레임 1a,2a,3a : 안내홈
2 : 이동프레임 3 : 상부프레임
4 : 구동모타 5 : 제1회전축
6,7a,8,9,10,11 : 풀리 7 : 제2회전축
12 : 로프 13 : 작업판
14 : 경첩 15 : 로울러
16 : 안전대 17 : 후크
18 : 지지대 19 : 연결고리
20 : 고정구 21 : 와이어
22 : 도르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단계의 프레임의 그 크기에 따라 서로 결합되어 있고, 결합된 각각의 프레임이 로프의 이동방향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의 상승시 상면에 위치한 작업판은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리프트가 구동모타의 작동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사시도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내부에 세로방향의 안내홈(1a)(2a)에 형성된 각각의 기둥(1b)(2b)(3b)이 사각형으로 고정설치되는데 그것은 각각 하부프레임(1)과, 이동프레임(2) 및 상부프레임(3)으로 그 크기가 다르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각 프레임(1)(2)(3)은 서로 미끄럼 결합되는데 먼저 하부프레임(1) 각각의 기둥(1b) 상면 안내홈(1a)으로 이동프레임(2)의 기둥(2b) 하단면이 미끄럼식으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끼워진 이동프레임(2)의 기둥(2b)상면 안내홈(2a)으로 상부프레임(3)의 기둥(3b) 하단면이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의 일측에는 로프(12)가 감겨진 구동모타(4)와 이 구동모타(4)의 구동방향에 따라 로프(12)의 장력을 전달시킬 수 있는 풀리(6)(6a)가 결합된 회전축(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프레임(1)(2)(3) 기둥내면에는 그 상단과 하단에 회전가능한 풀리가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풀리에는 로프(12)가 서로 연결되어 구동모타(4)의 구동에 따라 움직이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프레임(3)의 상면 양쪽 지지대(3c)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위쪽을 향해 개방된 안내홈(3a)이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홈(3a)으로 작업판(13)에 구비된 로울러(15)가 삽입되어지는 한편, 상기 작업판(13)의 상면에는 순차적으로 포개어지는 안전지지대(15)의 각각 크기가 다른 경첩(1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각각의 안전지대(16)는 제1도에서와 같이 연결고리(19)에 의해 결속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 일측지지대(18)와 하부프레임(1)의 지지대(18a) 에는 일단에 도르래(22)를 설치할 수 있도록 후크(17)가 구비된 와이어(20)가 결속되어 있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20)은 고정구로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절곡된 브라켓트(20a)의 타단이 작업판(13)의 일면에 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건축용 리프트의 작동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건축용 리프트는 구동모타(4)의 풀리(4a) 또는 각각 프레임(1)(2)(3)의 풀리에 로프(12)가 감겨지고, 상기 로프(12)는 일단이 제1회전축(5)의 양쪽풀리(6)(6a)에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3)의 하단 양쪽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동모타(4)를 작동시키게되면 이와 연결된 제1회전축(5)의 양쪽풀리(6)(6a)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고정된 로프(12)를 회전방향에 따라 감게되고, 이대 감겨지는 로프(12)는 그 힘이 제2회전축(7)의 풀리(7)(7a) 및 각각 양쪽으로 설치된 풀리들의안내를 받으며 상기 로프(12)의 일단이 고정된 상부프레임(3)의 하단에 전달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의 하단을 당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당겨지는 로프(12)의 이동에 따라 상승되는 리프트를 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동모타(4)를 작동하면 로프(12)가 고정된 제1회전축(5)이 로프(12)를 감게되고, 상기 로프(12)는 제1회전축(7)의 제1풀리(7a)(7b)와 제2풀리(7a)(7b)및 하부프레임(1) 상하단에 고정된 제3, 제4풀리(8)(9)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이동 프레임(2)에 고정된 하단풀리(10)를 당기게 된다. 이때 로프(12)의 당김력에 의해 이동프레임(2)은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속해서 로프(12)는 이동프레임(2)의 상단에 고정된 제4풀리(9)의 안내를 받으며 로프(12)가 고정된 상부프레임(3)의 하단을 끌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각 프레임(1)(2)(3)은 단계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또한 하강시에는 구동모타(4)의 방향을 역회전시키면 되는데 이때 각 프레임(1)(2)(3)은 구동모타(4)의 구동력과 자중에 의해 먼저 상부프레임(3)의 기둥(3b)이 이동프레임(2)의 기둥(2b) 안내홈(2a)으로 미끄럼 하강되며, 연속해서 상기 이동프레임(2)의 기둥(2b)은 하부프레임(1)의 기둥(1b) 안내홈(1a)으로 미끄럼 하강된다.
그리고, 도면 제1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3)의 상면에 설치된 작업판(13)은 상기 작업판(13)의 로울러(15)가 상부프레임(3) 지지대(3c)의 안내홈(3a)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어, 작업자가 작업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각 측벽의 안전대(16)는 작업자가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이음부에 걸린 연결고리(19)를 풀고 경첩(14)의 크기순으로 접으면 되고, 작업시에는 포개어진 안전대(16)를 역순으로 펼쳐서 각 안전대(16)의 이음부분에 연결고리(19)를 끼우면 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판(13)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구(20)는 작업자가 작업판(13)을 원하는 위치만큼 이동시킨후 고정볼트(20b)를 조이게 되면 고정볼트(20b)의 나사부의 상부프레임(3)의 지지대(3c)를 눌러서 고정시키므로 작업판(13)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용 리프트는 건축공사시 각층마다 설치해야 별도의 버팀목이 필요없고,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작업공간 설정이 용이하고, 동일효과를 내는 건설장비에 비해 경제적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트럭의짐받이에 설치하여 작업하게 되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각 기둥(1b)(2b)(3b)의 내면에 안내홈(1a)(2a)(3a)을 각각 형성한 하부프레임(1), 이동프레임(2), 그리고 작업판(13)을 구비한 상부프레임(3)이 상기 안내홈(1a)(2a)을 따라 단계적으로 결합되고, 각각 프레임(1)(2)(3)의 상하단 내면에 풀리가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의 일측 양쪽에는 풀리(6)(6a)를 고정시킨 회전축(5)과 이와 연결되어진 구동모타(4)를 각기 설치하는 한편, 상기 회전축(5)의 양쪽풀리(6)와 상기 상부프레임(3)의 하단에 로프(12)의 양끝단을 고정시키고, 상기 로프(12)를 각 프레임에 고정된 풀리에 각각 잠겨지도록 한 건축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3)의 작업판(13)은 하면에 로울러(15)를 구비하고, 상면 측벽에는 경첩(14)에 의해 결합된 안전대(16)와 고정볼트(20b)가 체결된 고정구(20)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용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판(13)의 일측지지대(18)와 하부프레임(1)의 일측지지대(18a)에 후크(17)가 구비된 도르래(22)를 설치할 수 있도록 와이어(21)를 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용 리프트.
KR2020000034157U 2000-12-06 2000-12-06 건축용 리프트 KR200230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57U KR200230101Y1 (ko) 2000-12-06 2000-12-06 건축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157U KR200230101Y1 (ko) 2000-12-06 2000-12-06 건축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101Y1 true KR200230101Y1 (ko) 2001-07-31

Family

ID=7309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157U KR200230101Y1 (ko) 2000-12-06 2000-12-06 건축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1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4B1 (ko) * 2006-12-11 2007-11-28 윤은석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1796131B1 (ko) * 2016-03-04 2017-11-10 일웅이엔지(주)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94B1 (ko) * 2006-12-11 2007-11-28 윤은석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1796131B1 (ko) * 2016-03-04 2017-11-10 일웅이엔지(주)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96198B (fi) Vetopyörähissi
US6857529B2 (en) Pantographic device for conveying loads in vehicle assembly lines
CN219341474U (zh) 一种柱顶行走的吊装机
KR200230101Y1 (ko) 건축용 리프트
KR0127406Y1 (ko) 건축용 리프트
KR101566326B1 (ko) 대형조명용 다단식 승강장치
CA2060290A1 (en) Door manoeuvering arrangement
CN200940423Y (zh) 叠升式卷帘
JPS59158794A (ja) 鉄塔組立用クレ−ン
CN214114611U (zh) 一种超长幕墙人货梯门
JPH06263369A (ja) 昇降機
KR100331649B1 (ko) 소형 크레인
KR100337379B1 (ko) 곤도라의 리프트장치
JP3531820B1 (ja) 移動式簡易足場装置
EP2462046B1 (en) Parts handling device
JP2001039652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リフト
CN214935438U (zh) 一种装配式建筑墙板吊装装置
KR101834355B1 (ko) 사절회전기구를 이용한 관절식 리프트
CN2637466Y (zh) 电动套管升降机
KR970006525B1 (ko) 리프트
CN212954109U (zh) 一种机械生产用升降平台
US20040251081A1 (en) Scaffolding hoist
JPH0421977Y2 (ko)
KR20160113870A (ko) 크레인에 장착되는 고소 작업 장치
JPH0622709Y2 (ja) 高所作業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