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1649B1 - 소형 크레인 - Google Patents

소형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1649B1
KR100331649B1 KR1020000000955A KR20000000955A KR100331649B1 KR 100331649 B1 KR100331649 B1 KR 100331649B1 KR 1020000000955 A KR1020000000955 A KR 1020000000955A KR 20000000955 A KR20000000955 A KR 20000000955A KR 100331649 B1 KR100331649 B1 KR 100331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gear
main body
sides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838A (ko
Inventor
임찬묵
Original Assignee
임찬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찬묵 filed Critical 임찬묵
Priority to KR1020000000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1649B1/ko
Priority to KR2020000000555U priority patent/KR200191014Y1/ko
Publication of KR20010068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1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16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6Apparatus or processes for fitting the drippers to the hoses or the pi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휴대용으로 제작되며, 건물의 옥상이나 각층의 벽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간판이나 샤시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크레인에 관한것이다.
종래의 소형크레인은 중량물이어서 이동이 어렵고 간판이나 샤시를 설치할 때에도 비용의 소모가 많았었다.
이에 본 발명은 벽체의 두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편하고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본체의 양측으로 형성된 다리에 대칭되게 설치된 고정장치와, 본체의 일측에서 인출이 가능하고 각도 조절되는 붐대와, 본체가 조립되는 고정판에 동력모터와 드럼을 설치하고 동력전달장치와 회전장치로 드럼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 크레인을 제공하여 가벼워서 이동이 간편하고 혼자서도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소형 크레인 {A small size crane}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휴대용으로 제작되며, 건물의 옥상이나 각층의 벽체에 간편하게 설치되어 간판이나 샤시의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크레인에 관한것이다.
크레인(윈치)은 중량물을 자동차에 상,하차할때 또는 건물에 간판 또는 샤시등을 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은 중량물이므로 사람이 직접 이동할 수 없는 결점이 있으며, 특히 건물의 외벽에 간판을 설치하거나 샤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특수 크레인을 이용하게 되므로 많은 설치비용과 인건비 및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소형 크레인은 모터의 무게와 본체의 무게가 많아서 인력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여러명이 이동을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소형이면서 가볍게 성형된 크레인을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된 후 건물의 옥상이나 창문을 떼어내고 벽체의 다양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지상에서 간판이나 샤시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크레인의 붐대를 다단으로 돌출되도록 하며 크레인이 본체에 간편하게 조립식으로 분리되어 중량물인 경우 분리하여 가볍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으로 다리를 돌출시키고 다리에 고정장치를 채용하여 옥상이나 건물의 벽체 두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고정판에 본체를 조립식으로 조립이 가능하고 붐대는 다단으로 돌출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시에 동력전달장치와 회전장치에 의해 드럼을 안정되고 용이하게 회전시켜 혼자서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붐대를 접은 상태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평면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크레인을 고정판에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래칫기어와 래칫의 연결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레인 2 : 고정장치
3 : 동력전달장치 4 : 회전장치
5 : 붐대 6 : 고정부
10 : 본체 11 : 드럼
11' : 연결대 12 : 와이어
13 : 고정판 20, 20' : 다리
21, 21' : 고정판 22, 22' : 스크류
23, 23' : 안내축 24, 24' : 돌출부
25, 25' : 손잡이 27 : 형강
28 : 조립날개 31 : 동력기어
32 : 회전판 33 : 디스크
34 : 래칫기어 35 : 래칫
36 : 회전축 37 : 8줄나사
40 : 기어 41 : 중간기어
42 : 최종기어 43 : 드럼기어
50 : 제1붐대 51 ; 제2붐대
53 : 각도조절공 54 : 돌출조절공
본 발명은 본체(10)의 양측으로 다리(20)(20')를 돌출시켜 벽체와 같은 고정부(6)의 다양한 형상에도 불구하고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장치(2)를 제공한다.
고정장치(2)는 양측의 다리(20)(20')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옥상의 난간이나 건물의 도어를 분리하여 고정부(6)의 어떠한 형상에도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부(6)의 양쪽에 위치하게될 사각형의 고정판(21)(21')은 내부에 요철을 주어 미끄럼이 없이 고정되도록 하고, 외측으로 다리(20)(20')를 관통되는 스크류(22)(22')가 설치된 후 선단에 손잡이(25)(25')를 채용하여 손잡이(25)(25')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2)(22')가 다리(20)(20')에 지지되어 고정판(21)(21')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고정부(6)가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든 크레인(1)을 원하는 곳에 고정시킬 수 있게된다.
그리고 스크류(22)(22')의 선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부(24)(24')를 돌출시키고 안내축(23)(23')이 다리(20)(20')를 관통하여 고정판(21)(21')에 연결된 후 스크류(22)(22')가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활을 하게된다.
본체(10)의 하측에는 받침대(10')를 설치하여 고정부(6)의 상단이 문틀과 같이 본체(10)가 올려져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쿠션이 있는 재질을 채용한다.
본체(10)의 상측은 형강(27)을 설치하고 양측으로 조립날개(28)를 형성하여 고정판(13)의 조립턱(15)에 조립식으로 고정이 가능하여 이동시 무거우면 간단하게 분리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붐대(5)를 힌지축(52)으로 연결한 후 각도조절공(53)에서 다양한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붐대(5)의 내부에는 제1붐대(50)와 제2붐대(51)를 다단으로 인출되도록 하고제2붐대(51)에는 돌출조절공(54)을 형성하여 돌출되는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제1붐대(50)도 붐대(5)에서 돌출된 후 고정되도록 한다.
제2붐대(51)의 선단에는 와이어(12)를 안내하는 안내구(55)를 형성하고 하측으로 고리(56)를 채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다.
결국 붐대(5)는 돌출길이가 자유롭게 조절되는 동시에 경사각이 각도조절공 (53)에서 다양하게 조절되므로 들어올리려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서 돌출길이와 경사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판(13)은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판(13)의 상단에는 드럼(11)과 동력모터(14)가 설치된다.
드럼(11)의 양측에는 동력전달장치(3)와 회전장치(4)가 설치되어 드럼(11)의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동력전달장치(3)는 동력모터(14)의 모터기어(16)와 기어식 또는 타이밍밸트나 체인(17)을 이용하여 동력기어(31)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동력기어(31)는 8줄나사(39)의 외측에서 너트(30)로 고정되며, 안쪽으로 래칫기어(34)의 양측에 디스크(33)와 회전판(32)을 설치하고, 래칫기어(34)에는 래칫(35)을 설치하여 드럼(11)이 회전중에 갑자기 역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회전장치(4)는 8줄나사(39)와 연결된 회전축(36)이 드럼(11)을 관통하여 반대편에서 기어(40)와 연결되면 기어(40)의 양측에는 중간기어(41)가 연결된 후 안쪽에서 최종기어(42)가 연결되어 드럼기어(43)의 양측에 연결한다.
그러면 동력모터 (14)의 동력은 동력전달장치(3)와 회전장치(4)를 통하여 변속된 후 최종기어(42)에서 연결대(11')를 드럼(11)과 연결하면 드럼(11)이 최종기어(42)를 통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드럼(11)에는 와이어(12)가 감겨져 있으며 안내구(55)를 통하여 고리(56)에 연결되어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크레인(1)은 중량이 20㎏이므로 혼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간판을 설치하거나 건물에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크레인(1)을 옥상이나 문틀과 같은 벽체에 고정장치(2)를 이용하여 고정부(6)의 두께와 형상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된 크레인(1)은 접혀져서 붐대(5)의 내부로 들어간 제1붐대(50)와 제2붐대(51)를 돌출시켜 돌출조절공(54)을 통하여 돌출길이를 조절하고 붐대(5)의 각도는 각도조절공(53)을 통하여 조절한 후 필요한 각도로 고정한다.
드럼(11)을 회전시켜 와이어(12)로 고리(56)를 지상에 이르도록 하고 간판이나 샤시등의 물품을 고리(56)에 연결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동력모터(14)를 정회전 시킨다.
그러면 동력기어(31)가 정회전되면서 8줄나사(39)에 설치된 회전판(32)과 디스크(33) 및 래칫기어(34)가 빠른 속도로 동력기어(31)쪽으로 접촉되면서 동력을 회전축(36)에 전달하므로 회전장치(4)에서 변속되어 드럼기어(43)를 통하여 드럼(11)이 강한 힘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12)를 당겨 중량물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래칫기어(34)가 회전되면서 래칫(35)이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드럼(11)이 갑자기 역회전되는 경우에는 래칫기어(34)가 역회전될 때 래칫(35)에 래칫기어(34)가 걸려 역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브레이크 작용을 하게된다.
또한 드럼(11)의 역회전시에는 동력모터(14)가 역회전되면서 동력전달장치 (3)에서 8줄나사(39)의 역회전으로 동력기어(31)에서 회전판(32)이 분리되므로 드럼(11)은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상에서 물품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고리(56)와 와이어(12)를 지상으로 내리거나 하측으로 물품을 하역할 때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체의 하측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다리에 대칭되도록 고정장치를 채용하여 건물의 옥상이나 벽체의 두께나 다양한 형상에 관계없이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크레인은 20㎏정도의 무게로 혼자서도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혼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붐대의 돌출길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를 모터와 드럼에 설치된 고정판에 조립식으로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분리하여 이동하거나 모터와 드럼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혼자서도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유,무선을 이용하여 더욱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본체(10)의 양측으로 다리(20)(20')를 설치하고 양측이 대칭되도록 고정판 (21)(21')에 연결된 스크류(22)(22')가 다리(20)(20')를 관통하여 연결되고 돌출부(24)(24')와 고정판(21)(21')을 안내축(23)(23')으로 연결하는 고정장치(2)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 힌지축(52)에 고정되며 제1붐대(50)와 제2붐대 (51)를 인출가능하게 설치하고 각도조절공(53)에서 각도가 조절되는 붐대(5)와,
    상기 본체(10)가 연결되는 고정판(13)에 동력모터(14)와 드럼(11)의 양측으로 동력모터(14)의 동력으로 정,역회전되는 동력기어(31)와 래칫기어(34)의 양측으로 디스크(33)와 회전판(32)이 8줄나사(39)에 고정된 동력전달장치(3)와,
    상기 동력전달장치(3)의 8줄나사(39)가 연결된 회전축(36)이 드럼(11)을 관통하여 기어(40)와 중간기어(41)를 통하여 최종기어(42)와 연결된 드럼기어(43)가 드럼(11)과 연결되는 회전장치(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상측에서 형강(27)의 양측에 조립날개(28)를 형성하여 고정판(13)의 조립턱(15)에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크레인.
KR1020000000955A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KR100331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955A KR100331649B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KR2020000000555U KR200191014Y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955A KR100331649B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55U Division KR200191014Y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838A KR20010068838A (ko) 2001-07-23
KR100331649B1 true KR100331649B1 (ko) 2002-04-15

Family

ID=196374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55U KR200191014Y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KR1020000000955A KR100331649B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555U KR200191014Y1 (ko) 2000-01-10 2000-01-10 소형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101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80B1 (ko) * 2014-02-20 2014-12-15 한국기계연구원 빌딩 외벽 관리용 자중 클램프식 곤도라 행거
KR101478610B1 (ko) * 2014-02-20 2015-01-02 한국기계연구원 빌딩 외벽 관리용 조임 나사식 곤도라 행거
KR101510045B1 (ko) 2014-03-11 2015-04-07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각도조절이 가능한 곤돌라장치 와이어 행거
KR20200078087A (ko) 2018-12-21 2020-07-01 진연수 이동식 전동 크레인
KR20220085449A (ko) 2020-12-15 2022-06-22 박종철 이동 가능한 조립식 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94215A (zh) * 2021-04-08 2021-05-14 新乡纷呈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厂房用小型门式起重机及其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980B1 (ko) * 2014-02-20 2014-12-15 한국기계연구원 빌딩 외벽 관리용 자중 클램프식 곤도라 행거
KR101478610B1 (ko) * 2014-02-20 2015-01-02 한국기계연구원 빌딩 외벽 관리용 조임 나사식 곤도라 행거
KR101510045B1 (ko) 2014-03-11 2015-04-07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각도조절이 가능한 곤돌라장치 와이어 행거
KR20200078087A (ko) 2018-12-21 2020-07-01 진연수 이동식 전동 크레인
KR20220085449A (ko) 2020-12-15 2022-06-22 박종철 이동 가능한 조립식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838A (ko) 2001-07-23
KR200191014Y1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0658B1 (en) Movable sunshade base
CA2280450A1 (en) Bi-fold door lift apparatus
KR100331649B1 (ko) 소형 크레인
CN107002423B (zh) 升降机构、升降设备、使用此设备的升降方法
KR100377986B1 (ko)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US6508456B2 (en) Heavy duty cable puller
CN112110347A (zh) 作业现场的吊装装置
US4683677A (en) Power beam for rotating structural member
KR200191032Y1 (ko) 전동식 이동 크레인 장치
KR200230101Y1 (ko) 건축용 리프트
CN112392210A (zh) 一种可调节的雨棚顶钢结构
JPH0114635Y2 (ko)
CN220336373U (zh) 一种吊顶板材辅助安装机构
JPH053517Y2 (ko)
CN220467382U (zh) 一种安全建筑起吊装置
CN217177987U (zh) 一种抹墙机垂直度调整装置
CN218205796U (zh) 一种建筑施工悬挑式移动落料平台
CN217631177U (zh) 一种智能爬架承重装置
CN215717380U (zh) 一种用于钢结构厂房屋安装的顶吊装设备
CN214616327U (zh) 一种带照明装置的升降梯安装支架
CN216516165U (zh) 一种移动式房屋用固定机构
CN212867253U (zh) 一种仓谷门吊轨的固定调节装置
CN2716231Y (zh) 高层楼房吊装机
KR19990028698A (ko) 저층용 엘리베이터의 구조
CA1043182A (en) Slotted tubular flag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