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986B1 -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986B1
KR100377986B1 KR10-2000-0046929A KR20000046929A KR100377986B1 KR 100377986 B1 KR100377986 B1 KR 100377986B1 KR 20000046929 A KR20000046929 A KR 20000046929A KR 100377986 B1 KR100377986 B1 KR 10037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late
support body
aerial work
moving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3271A (ko
Inventor
김남경
Original Assignee
김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경 filed Critical 김남경
Priority to KR10-2000-004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986B1/ko
Priority to CNB011199245A priority patent/CN1200873C/zh
Priority to US09/906,183 priority patent/US6571914B2/en
Priority to JP2001221260A priority patent/JP3584317B2/ja
Publication of KR20020013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the object being a workshop for servicing, for maintenance, or for carrying workmen dur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떠한 고소(高所) 위치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한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양단이 개구된 4각 통체의 안내 케이싱, 그 안내 케이싱의 하부 개구로부터 상부개구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4각기둥을 형성하는 소정의 굴곡강도를 갖는 다수개의 탄성판체들, 이 판체들을 고소위치 까지 이동할 수 있는 4각 기둥체를 이루게 연결편들로 이루어진 이동 지지각체를,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의 적재함 위에 하나 혹은 둘 이상 장착후, 상기 각 판체들의 어느 일단을 적재함 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각 권취드럼들에 권취되게 하고, 상기 권취용 드럼들과 지지각체에는 차량 전원에 의해 가동되는 구동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 전달로 지지각 이동체나 혹은 권취용 드럼을 구동되게 함에 의해, 그 권취용 드럼들로 부터 풀리는 탄성판체들로부터 연속하여 형성되는 사각 기둥체들로 하여금, 어느 고소 위치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소망하는 작업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Lift up and down Appartus using a height work}
본 발명은 고층 아파트나 빌딩 등의 도색 혹은 청소작업, 고층건물의 화재 진화작업, 고층 아파트나 빌딩등의 이삿짐 운반 작업, 고소 위치의 교통 시설물 점검 및 전기 작업 등에 사용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권취용 드럼으로부터 풀려나오는 탄성판체들로 하여금 연속되는 지지각(脚)을 형성할 수 있게하여, 어느 고소 위치에도 쉽게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이룰 수 있게 한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아파트나 빌딩 등의 도색 혹은 청소작업, 고층건물의 화재진화작업, 고층 아파트나 빌딩 등의 이삿짐 운반 작업 등을 함에는 텔레스코픽 (Telescopic)구조의 신축자재한 다리를 갖는 고가 사다리 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텔레스코픽 구조의 고가 사다리차는 높은 고소 위치로의 이동에는 중량이나 그 밖의 기계적인 구조 특성상 큰 제한을 받고 있음이 현실 정이다. 이 때문에 기존에는 고층 건물(아파트나 혹은 빌딩)등의 청소나 혹은 도색 작업을 함에는 건물 옥상으로부터 아래 쪽으로 길게 늘어트린 로프 등에 몸을 지탱한 상태로써 벽의 도색이나 혹은 청소 등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등의 불안정한 상태에 의해, 항시 추락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높이의 제한을 받음이 없이 어느 고소의 위치라도 쉽게 접근하여 소망하는 작업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할수 있게 한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는 청구항1의 발명과 관련된 특징은 어느 양단 만이 개방된 중공구조의 4각 통체를 이루어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벽부위에는 개방된 안내홈들이 설치된 안내 케이싱과, 상기 안내 케이싱의 하부로부터 각 안내홈과 상부개구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입설하여 4각 기둥을 형성하게 한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탄성판체들과, 상기 탄성판체들의 전 길이에 걸쳐서 동일 간격을 두고 취부되어 그 탄성판체들을 하나의 4각 기둥을 이루게 끼움 고정함에 의해 상기 탄성판체들이 고소위치 까지 이동하기 위한 지지력을 부여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연결편들로 된 이동 지지각체;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각 탄성판체들과의 대응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탄성판체를 롤 상으로 권취하기 위한 힘을 부여하는 권취드럼; 상기 이동 지지각체와의 인접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어느 권취용 드럼과 축 연결됨에 의해, 상기 권취용 드럼측으로 상기 이동지지 각체의 탄성판체들을 권취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 수단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어느 탄성판체와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구동수단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구동수단; 상기 제1,제2구동수단을 온 혹은 오프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안내 케이싱은 소정 넓이를 갖는 금속 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마주보는 어느 두개의 금속판들에는 상단부위에 그리고 다른 두개의 상기 금속판들에는 하단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동 지지각체에서 4각 기둥을 형성하는 탄성판체들의 상단부위는 외부를 둘러싸는 띠상(帶狀)의 후레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편들은 소정 강도를 갖는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판체로부터 착탈되게 체결되고, 상기 연결편들 중 상기 탄성판체들의 폭(幅)을 초과하는 길이를 이루는 연결편의 양단에는 짧은 연결편들의 양단과 아울러 이들이 설치된 탄성 판체들의 양단을 끼움 고정하기 위한 상기 끼움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상단에는 고소 작업자를 위한 박스 형태의 작업대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제1구동 수단은 정역 구동 모우터이며, 상기 제2구동 수단은 상기 안내 케이싱의 어느 측벽판에 상기 지지각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래칫 기어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박스내에 회전되게 지지되어 상기 지지각체의 기어 박스측과 대면하게 위치된 탄성 판체에 전 길이를 따라 설치된 체인과 치합되게 한 래칫(Ratch)기어와, 상기 래칫 기어와 축 연결되며 축을 통해 상기 체인과 치합되게 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지지각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우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 수단은 전원 공급용 밧테리와 상기 제1구동 수단 및 제2구동 수단과를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되게 연결하여, 상기 구동수단들의 어느 하나 혹은 양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온 혹은 오프되게 하는 버튼들을 갖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에서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 연동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작업대를 지지되게 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는 이동과 사용에 편리성을 위해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이동 지지각체의 높이는 권취용 드럼에 감긴 탄성판체의 길이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지지각의 높이는 드럼에 감긴 탄성판체의 길이에 따라서 어느 고소 위치에도 쉽게 도달되게 하여 필요한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량 적재 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위 만을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 부위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부위가 상부로 이동되어 입설된 상태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표시의 권취 드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에 채용된 또 다른 구동장치의 일예를 위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승강이동장치 200 : 이동 지지각(脚)체
210 : 안내 케이싱 212,214 : 상하부 개구
215 : 프레임 216,218 : 안내홈
220 : 사각 기둥체 222a~222d : 탄성판체
240a,240b : 연결편 228a,228b : 끼움홈
300a~300d : 권취용 드럼 400,800 : 제1,제2구동장치
410,810 : 제1,제2구동모우터 420,812 : 구동축
600 : 제어장치 610 : 전원 밧테리
620 : 콘트롤 박스 700 :작업대
820 : 기어박스 830 : 래칫기어
840 : 체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용 승강이동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차량 적재 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위 만을 확대 도시한 분리 사시도를, 도 3은 도 2의 B 부위만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를 ,도 4는 도 1의 A부위가 상부로 이동되어 입설된 상태를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를 그리고 도 5는 도 4의 I-I선 방향에 따른 확대 평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100)은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차량(10)등과 같은 운송수단의 적재함(20)위에 설치할 수 있는 이동 지지각체(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은 상기 적재함(20)으로부터 고소 위치로 이동하는 구조물인데, 대별하면 안내 케이싱(210), 탄성판체들(222a ~ 222d) 및 연결편들(240a,24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 케이싱(210)은 도면 3에서 보아 어느 양단 즉,상하단 만을 개구(212,214)시킨 중공(中空)구조의 4각 통체를 이루어, 차량(10)의 적재함(2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d)을 두고 장착되어 있으며, 내벽 부위에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상기 개구들(212,214)를 통하여 안내하기 위한 일부가 개방된 안내홈들(216,2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내부를 통하여 이동하면서 후술하는 사각 기둥체를 형성하게 된다.상기 안내 케이싱(210)은 소정 넓이를 갖는 고강도의 금속 판들(211a ~ 211d)을 용착이나 혹은 체결 방법 등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그 크기(높이 및 넓이)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222d)의 크기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안내홈들(216,218)중 어느 하나의 안내홈(216)을 형성하는 안내부재 (226)은 마주보는 어느 두개의 금속판들(211c,211d)의 상단 부위에 취부되는 반면, 다른 하나의 홈(218)을 형성하는 안내부재(228)은 다른 두개의 마주보는 금속판들 (211a,211b)의 하단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안내홈들(216,218)을 안내 케이싱(210)의 금속판들(211a~211d)의 상하 위치로 엇갈리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탄성판체들 (222a~222d)에 대한 안내 이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내홈들 (216 ,218)은 상기 금속판들(211a~211d)에 직접적으로 형성할수도 있으나, 도면(도4) 표시와 같이 별도의 안내부재들(226,228)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부재들(226,228)은 상기 금속판들(211a~211d)에 전기적인 용접 혹은 나사 체결 등으로 취부할 수 있다.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일반적인 핫 코일과 같이 소정의 굴곡강도를 갖는 판상의 금속판체로 형성되는데, 긴 길이를 갖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각각의 어느 일단,즉 도2에서 보아 상단은 외부로부터 차량(10)의 바닥면과 적재함(20)과의 간격(d)쪽으로 넣어서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하부개구(212)를 통과하게 한후,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각 안내홈들(216,218)과 그리고 상부 개구(214)를 통해 외부로 입설함에 의해,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도 1및 도2의 표시와 같이 상기 안내 케이싱(210)으로부터 대략 사각 기둥체를 이루게 배치되게 하는 반면,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타단은 후술하는 각 권취용드럼들(300a~300d)의 외주에 롤상으로 권취된다.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상부로 대략 사각 형태를 이루게 입설된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상단 부위들은 프레임(21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됨에 의해, 일체화된 4각 기둥체(220)을 형성하며(도1,도2 참조), 그 위로는 작업자들을 위한 박스 형태의 작업대(70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안내케이싱(210)으로부터 사각 기둥체(220)의 형태로 승강이동 되는데, 상기 4각 기둥체(220)의 높이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길이에 따라서 임의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폭은 상기 안내 케이싱(210)내의 안내홈들(216,218)을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그리고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길이와 두께는 후술하는 권취용 드럼들(300a~300d)의 주위로 감길수 있는 정도이면 바람직한데, 그 폭과 길이는 상기 홈들(216,218)의 크기 변경이나 혹은 권취용 드럼의 크기 변동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연결편들(240a,240b)는 상기 안내 케이싱(210)으로부터 사각 기둥체 (220)를 이루면서 이동되는 상기 탄성 판체들(222a ~ 222d)를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일체화된 4각 기둥체(220)를 이루도록 결속하는 데에 사용된다. 상기 탄성 판체들(222a ~ 222d)는 상기 연결편들(240a,240b)에 의해 일체화 된 사각 기둥체(220)을 이루게 결속 됨에 의해, 상기 안내 케이싱(210)으로부터 이동되는 상기 사각 기둥체(220)를 고소의 위치까지 견고하게 이동할 수 있는 지지력 및 보강력을 갖게 한다. 즉,상기 연결편들(240a,240b)는 고 강도를 갖는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판체들(222a ~ 222d)의 전 길이에 걸쳐서 동일 간격을 두고 체결되어 있다.따라서 상기 탄성 판체들(222a ~ 222d)를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안내홈들 (216,218)의 안내를 받게하면서 상부로 이동되게 하는 경우(이에 대해서는 후술 한다),상기 연결편들(240a,240b)중에서 그 탄성판체의 폭보다 짧게된 연결편(240b)가 설치되어 있는 탄성판체들(222a,222b)는, 상기 연결편들(240a,240b)중에서 그 탄성판체들의 폭(幅)을 초과하는 길이를 이루는 연결편(240a)가 설치된 탄성판체 들(222c,222d)와 만나는 순간, 상기 연결편(240a)의 양단에 형성된 끼움홈 (228a,228b)의 내부로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222b)와 연결편(240b)들이 끼워짐에 의해(도5참조),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일체화된 사각 기둥체(220)을 이루면서,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상부개구(214)를 통해 위쪽을 향해 길게 이동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1 및 도4참조). 따라서 상기 사각 기둥체(220)은 고소 위치로 진행 되더라도 상기 연결편들(240a,240b)가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일체화 되게 잡아주는 보강력에 의해서 어느 일측으로 휘거나 혹은 절곡되는 일 없이 직립된 상태를 이루면서 원하는 위치로 상승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사각 기둥체(220)이 하강 이동되는 경우에는, 그 사각 기둥체(220)을 이루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가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하부 개구(212)로부터 각각의 간격(d)을 통하여 외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그 동안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상호간을 일체 적으로 끼움 연결하고 있던 상기 연결편들(240a,240)는 자동적으로 분리 되면서 상기 탄성판체들과 같이 권취용 드럼들(300a~300d)측으로 감겨지게 된다.
상기에서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그 상단부가 프레임(215)에 의해서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 케이싱(210)을 통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때문에 상기 연결편들(240a,240b)는 항상 정위치에서 연결되는 상태를 이루며, 상기 안내홈(218)은 상기 연결편(240a)가 설치된 탄성판체 들(222a,222b)가 상기 탄성판체들(222c,222d)의 연결편(240b)의 양측 홈(228a ,228b)에 끼워지게 하기 위해 상기 안내홈(218)은 상기 안내홈(216)에 비하여 상기 연결편(240b)의 홈들 (228a ,228b)가 위치되는 상태까지 더 앞쪽으로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편들(240a,240b)중 (240a)는 안내홈(216)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안내홈(216)과는 이격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고, 또한 (240b)는 안내홈(218)의 길이보다는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가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안내홈들(216,218)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 이동함에 전혀 장해를 주지않는다.
상기 차량(10)의 적재함(20)위에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어느 일단부, 즉 도1에서 보아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하단은 상기 차량(10)의 적재함(20)바닥면 위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각 탄성판체들(222a ~ 222d)와의 대응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롤 상으로 권취하는 권취용 드럼들(300a~300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 ~300d)는 그 구성이 전부 동일 하므로 도 1에서 보아 도면 부호(300b)로 표시한 권취용 드럼(300b)만을 일 예로들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표시의 권취용 드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권취용 드럼(300b)는 축공(304b)를 갖는 복수개의 원판(302b)를 동심원을 이루게 하여 배치한 다수개의 연결부재 (306b)에 의해서 일적으로 연결하여 된 것으로, 상기 연결부재(306b)의 주위로 어느 하나의 탄성판체(222b)가 권취되고, 상기 축공(304b)으로는 상기 적재함(20)으로부터 입설된 축받이(308b)에의해 지지되는 축(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서 회전되게 지지된다.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의 크기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길이에 따라서 임의로 변형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가 풀리지 않게 롤상으로 권취되어 있도록하기 위한 권취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권취용 드럼들 (300a~300d)의 직경은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굽힘 강도에 상응하는 직경을 이루도록 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편들(240a,240b)가 일체로 부착된 탄성판체 들(222a ~ 222d)는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의 주위로 무리 없이 권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에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감아져 있게 하거나 혹은 감는 권취력을 부여하는 수단은 제1구동장치(400)에 의해서 실행되는데, 이 구동장치(40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구동장치(400)는 정역 구동모우터(410)로 구성되며, 상기 차량(10)의 적재함(20)상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와의 인접 위치에 장착되어 어느 하나의 권취용 드럼(300a)와 일체로 회전되게 축(420)연결되어 상기 권취용 드럼(300a)측으로 구동력을 전달되게 함에 의해, 상기 구동모우터(410)은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측으로 상기 이동지지 각체(200)의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권취함에 필요한 구동력을 전달되게 한다. 상기 제1구동장치(400)은 후술하는 전원 제어장치(600)에 의해서 온/오프되게 하는데, 상기 제1구동장치(400)은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사각 기둥체(220)이 도 1의 가상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하강 이동시에 상기 드럼들(300a~300d)를 구동하게 하여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권취하며, 상기 기둥체(220)이 완전히 하강 이동한 상태, 즉 실선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에 동력을 부여하면서 그 드럼들(300a~300d)로 하여금 계속하여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권취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한다. 이러한 구동을 하는 상기 구동모우터(410)은 기존의 일반적인 것을 채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에서 제1구동장치(400)는 상기 권취용 드럼들의 각각에 대응하여 장착 할 수 있으나,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의 주위로 감기는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가 상기 프레임(215)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어느 하나에만 구동력을 부여하면 된다. 이때문에 제작원가 절감이나 혹은 구성의 간결화를 위해 어느 하나의 드럼에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1에서는 상기 제1구동장치(400)을 도면부호(300a)로 표시한 권취용 드럼에 장착한 것을 일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권취용 드럼(300a)이외의 다른 권취용 드럼에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에 있어서 사각 기둥체(220)의 승강 이동 혹은 정지는 상기 제1구동 장치(400)과는 별개적으로 설치되어 제어장치(600)에 의해서 조정되는 제2구동장치(800)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제2구동 장치(800)은 상기 차량(10)의 적재 함(20)위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어느 일측에 위치되게 장착된 정역 구동모우터(8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역 구동모우터(810)의 구동축(812)은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어느 측벽판, 즉 도3 및 도4에서 보아 우측 측벽판(222b)의 상단 중앙 부위에 상기 기둥체(222)측으로 노출되게 설치한 래칫 기어 박스(82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래칫(Ratch)기어(83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래칫기어(830)은 상기 기둥체(220)을 형성하게 되는 어느 하나의 탄성판체(222b)에 전 길이를 따라 설치된 체인(840)에 치합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우터(810)으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구동축(812)를 통하여 상기 래칫기어(830)측으로 전동되면서 그 래칫 기어 (830)을 회동하게되고, 상기 래칫기어(830)의 회전력은 치합된 상기 체인(840)측으로 전달되어 상기 기둥체(220)을 도 1의 가상선 위치나 혹은 실선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힘으로 변환된다. 상기 구동모우터(810)의 정 혹은 역 회전에 따라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사각 기둥체(220)역시 도 1의 가상선 위치로 상승되거나 혹은 실선 위치로 하강 이동되는데, 상기 제2구동모우터(810)이 정(正)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사각 기둥체(220)를 도 1의 가상선 표시와 같이 상승 이동 시킬 시에는, 상기 제1모우터(410)은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측으로 동력이 단절되는 무부하 상태를 이루게 하여,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는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로부터 용이하게 풀려 상기 안내 케이싱(210)의 내부로 공급됨에 의해 고소 위치로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상기 기둥체(220)을 만들수 있게 한다.
상기와는 반대로 상기 제2구동모우터(810)이 역(逆)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1 표시의 가상선 위치의 사각 기둥체(220)을 실선 위치로 하강 이동시킬 경우, 상기 제1구동모우터(410)은 상기 실시 예와는 달리 상기 제2구동모우터(810)과 같이 구동하면서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의 각각을 상기 권취용 드럼들 (300a ~ 300d)의 각각에 권취되게 한다. 또한 상기 이동 지지각체(200)의 사각 기둥체(220)을 도 1 및 도 4의 표시와 같이 상기 안내 케이싱 (210)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입설시킨 상태에서 정지 상태를 이루게 할 시에는 상기 제2구동장치(800)의 구동을 멈추게 하여 상기 래칫기어(830)이 상기 체인(840)에 치합된 상태로 있게 하면 된다. 아울러 상기 제1구동장치(400)역시 상기 권취용 드럼들(300a~300d)측으로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가 권취된 상태를 유지 하도록 하기 위해 일시 구동을 정지시킨 상태를 이루게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2 구동장치들(400,800)에 대한 온/오프 제어는 제어장치(600)에 의해서 실시되는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구동장치(800)을 도 1및 도 4에서 보아 상기 탄성판체(220b)에 설치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실제로는 그 밖의 다른 탄성 판체들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장치들(400,800)의 제어 장치(600)은 조작의 편리성을 위해 차량의 운전 실에 설치함이 바람직 한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차량(10)외부의 적재함 (20)측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600)은 전원 공급용 밧테리(610)과 상기 제1,제2구동 장치들(400,800)을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되게 연결하여, 상기 구동장치들(400,800)중 어느 하나 혹은 양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게 하는 조작 버튼(622)들을 갖는 콘트롤 박스(620)으로 이루어 져 있다. 상기 콘트롤 박스(620)의 어느 하나씩의 버튼(622)들을 조작하면, 상기 전원 밧테리(610)으로부터 상기 제1,제2구동장치들(400,800)측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상태, 혹은 상기 제1구동장치 (400)만을 구동되게 하는 상태, 혹은 상기 제2구동장치(800)을 구동하는 상태, 또는 상기 제1,제2구동장치를 같이 구동 시킬수 있는 상태를 이루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제어 구성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별도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전원 공급용 밧테리(610)을 차량에 기 부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표시 하였으나, 별도의 밧테리를 사용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100)의 이동과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차량에 설치한 것을 일 예로들어 설명 하였으나, 이동 가능한 것이라면 차량 이외에 다른 운송 수단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에 채용된 제1 구동장치의 또 다른 일예를 위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 예의 제1구동장치(400)에 의해 어느 하나의 권취용 드럼(300a)만을 구동하여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이동하게 한 것과는 달리, 권취용 드럼들(300a~300d)각각에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 구동축들( 530a~530d)를 베벨기어들(542,546,548)에 의해서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축(530a)에 설치된 스프로켓 휠(514)와 구동모우터(510)에의 구동축(520)에 설치된 스프로켓 휠(512)를 전동 체인(516)을 통하여 연결하는 구동장치(500)을 형성 한 것에 의해, 상기 구동모우터(510)으로부터 전동되는 전동력이 상기 구동축들(530a~530d)과 베벨기어들(542,546,548)을 통하여 상기 권취용드럼들(300a~300d)를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탄성판체들(222a ~ 222d)를 직접적으로 구동할수 있는 힘이 전달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장치(500)은 상기 구동장치(300)에 비하여 구성은 복잡 하지만, 상기 권취용드럼들(300a~300d)의 회전에 큰 구동력이 미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동장치들의 구성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권취용드럼에 구동력을 미치게 할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를 복수개 설치한 또 다른 실시예를 정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100a)는 상기 실시 예에 따른 각각의 이동 지지각 장치들(200a,200b)를 나란히 복수개 설치하여 하나의 작업 대(700a)를 지지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승강 이동장치(100a)에서 제1구동장치 (400a)는 제1구동 모우터 (410a)의 구동축(420a)를 길게 연장하여 2개의 권취용 드럼들(310a,320a)과 동축을 이루게 함에 의해(도8참조), 상기 제1구동 모우터(410a)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이 상기 이동 지지각 장치들(200a,200b)의 모든 권취용 드럼들(310a~310d)(320a~320d)측으로 전달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승강 이동장치 (100a)에서 제2구동장치(800a)의 상기 제2구동모우터(810a)역시 구동축(812a)를 길게 연장하여 안내 케이싱들(210a,210b)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어 사각 기둥체 들(230a,230b)의 어느 일측에 설치한 체인들(840a,840b)에 각각 치합되게 한 래칫기어들(830a,830b)에 연결하고 있다(도7및 도 8참조). 이 때문에 상기 제2구동모우터(810a)로 하여금 상기 이동 지지각체들(200a,200b)의 사각 기둥체들(230a,230b)를 동시에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일시예의 하나의 이동 지지각 장치(200)만으로 이루어 진 것에 비하여 보다 견실하고 안정적인 지지력을 갖게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그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일시예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권취용 드럼으로부터 풀려나오는 탄성판체들로 하여금 사각체의 지지각(脚)을 연속하여 형성할 수 있게 한 구조이기 때문에, 어느 고소 위치에도 도달할 수 있는 높이를 이루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어느 양단 만이 개방된 중공구조의 4각 통체를 이루어 바닥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내벽부위에는 개방된 안내홈들이 설치된 안내 케이싱과, 상기 안내 케이싱의 하부로부터 각 안내홈과 상부개구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입설하여 일체화 된 4각 기둥체를 형성되게 하는 소정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탄성판체들과, 상기 탄성판체들의 전 길이에 걸쳐서 동일 간격을 두고 취부되어 그 탄성판체들을 하나의 4각 기둥을 이루게 끼움 고정함에 의해 상기 탄성판체들이 고소위치 까지 이동하기 위한 지지력을 부여하는 서로 다른 길이의 연결편들로 된 이동 지지각체;
    바닥면 상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각 탄성판체들과의 대응 위치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각 탄성판체를 롤 상으로 권취하는 권취용 드럼들;
    상기 이동 지지각체와의 인접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어느 권취용 드럼과 축 연결됨에 의해, 상기 권취용 드럼측으로 상기 탄성판체들을 권취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1구동수단;
    상기 제1구동 수단과는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어느 탄성판체와 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구동수단의 구동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력을 부여하는 제2구동수단;및
    상기 제1,제2구동수단을 온 혹은 오프 상태로 구동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승강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케이싱은 소정 넓이를 갖는 금속 판들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홈은 마주보는 어느 두개의 금속판들에는 상단부위에 그리고 다른 두개의 상기 금속판들에는 하단 부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에서 4각 기둥을 형성하는 탄성판체들의 상단부위는 외부를 둘러싸는 띠상(帶狀)의 후레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들은 소정 강도를 갖는 금속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판체로부터 착탈되게 체결되고, 상기 연결편들 중 상기 탄성판체들의 폭(幅)을 초과하는 길이를 이루는 연결편의 양단에는 짧은 연결편들의 양단과 아울러 이들이 설치된 탄성 판체들의 양단을 끼움 고정하기 위한 상기 끼움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지각체의 상단에는 고소 작업자를 위한 박스 형태의 작업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 수단은 정역 구동 모우터 임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 수단은 상기 안내 케이싱의 어느 측벽판에 상기 지지각체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된 래칫 기어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박스내에 회전되게 지지되어 상기 지지각체의 기어 박스측과 대면하게 위치된 탄성 박판체에 전 길이를 따라 설치된 체인과 치합되게 한 래칫(Ratch)기어와, 상기 래칫 기어와 축 연결되며 축을 통해 상기 체인과 치합되게 하는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지지각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8. 제1항,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원 공급용 밧테리와 상기 제1구동 수단 및 제2구동 수단과를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되게 연결하여, 상기 구동수단들의 어느 하나 혹은 양측 모두를 선택적으로 온 혹은 오프되게 하는 버튼들을 갖는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 연동되게 설치되어 하나의 작업대를 지지함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는 이동의 편리성을 위해 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의 적재함 위에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고소 작업용 승강 이동장치.
KR10-2000-0046929A 2000-08-14 2000-08-14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KR10037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29A KR100377986B1 (ko) 2000-08-14 2000-08-14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CNB011199245A CN1200873C (zh) 2000-08-14 2001-06-29 高空作业用升降移动装置
US09/906,183 US6571914B2 (en) 2000-08-14 2001-07-16 Lifting apparatus for high-place work
JP2001221260A JP3584317B2 (ja) 2000-08-14 2001-07-23 高所作業用昇降移動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929A KR100377986B1 (ko) 2000-08-14 2000-08-14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090U Division KR200221856Y1 (ko) 2000-08-14 2000-08-14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271A KR20020013271A (ko) 2002-02-20
KR100377986B1 true KR100377986B1 (ko) 2003-03-29

Family

ID=1968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929A KR100377986B1 (ko) 2000-08-14 2000-08-14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1914B2 (ko)
JP (1) JP3584317B2 (ko)
KR (1) KR100377986B1 (ko)
CN (1) CN120087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7365B2 (en) 2003-04-17 2008-04-15 Tower Solutions, Llc Extendable/retractable support column
US7694486B2 (en) * 2003-12-12 2010-04-13 Alliant Techsystems Inc. Deployable truss having second order augmentation
CN100396224C (zh) * 2004-09-24 2008-06-25 胡建华 高层楼面清洗装置
US8042305B2 (en) * 2005-03-15 2011-10-25 Alliant Techsystems Inc. Deployable structural assemblies, systems for deploying such structural assemblies
US7694465B2 (en) 2005-04-08 2010-04-13 Alliant Techsystems Inc. Deployable structural assemblies, systems for deploying such structural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US20060261207A1 (en) * 2005-04-19 2006-11-23 Woodruff Christopher 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tractable mast
US20110012003A1 (en) * 2005-04-19 2011-01-20 Geo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retractible mast
JP5276952B2 (ja) * 2008-11-05 2013-08-28 サカセ・アドテック株式会社 伸展構造物
US8303143B2 (en) * 2010-01-28 2012-11-06 Clark Equipment Company Retractable light tower
US8950125B2 (en) * 2010-10-29 2015-02-10 Tower Solutions, Llc Extendable/retractable support column
US10119292B1 (en) 2015-07-02 2018-11-06 M.M.A. Design, LLC Deployable boom and deployable boom with solar blanket
CN106115555B (zh) * 2016-07-06 2018-09-25 倪淑君 一种岩土工程用浆砌石升降搬运机
CN108202655A (zh) * 2016-12-20 2018-06-26 天津绪阳本华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设备故障检修车
CN109259677A (zh) * 2017-07-18 2019-01-25 上海阿发渔具厂 金属管支柱高空机器人
US10920444B2 (en) 2018-03-22 2021-02-16 Tower Solutions, Llc Mobile tower for transportation and remote deployment
CN111894440A (zh) * 2020-08-03 2020-11-06 武汉亿维登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便于移动搬运的电力检修支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000A (en) * 1979-02-10 1980-08-16 Mitsuhiro Kishi Device for vertical movement
JPS62233597A (ja) * 1986-04-03 1987-10-13 松谷 敬之助 巻取り可能な伸縮構造体
JPH03244757A (ja) * 1990-02-20 1991-10-31 Hikoma Seisakusho Kk リフト装置
JPH0662091U (ja) * 1993-02-10 1994-09-02 株式会社ミヨシ 移動式高所作業台
JPH08113497A (ja) * 1994-10-19 1996-05-07 Tohoku Densetsu Kk 高所作業台
KR19980067268U (ko) * 1997-05-24 1998-12-05 박성구 차량용 화물 이동장치
KR200221856Y1 (ko) * 2000-08-14 2001-04-16 김남경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31982A (en) * 1923-10-12 1925-03-31 Sago Charles Portable fire escape
US2661082A (en) * 1951-04-23 1953-12-01 Tobias F Ziegler Multipart retractable structure
US3016988A (en) * 1959-10-19 1962-01-16 Charles W Browning Lifting device
US3213573A (en) * 1962-07-12 1965-10-26 Thiokol Chemical Corp Extensible and retractable member
US3457685A (en) * 1967-08-07 1969-07-29 Roy H Stein Extendable rigid column assembly
US3596735A (en) * 1969-10-30 1971-08-03 Howard H Denier Portable elevator working and load-lifting platform
US3811633A (en) * 1972-10-20 1974-05-21 Rockwell International Corp Tubular extendable structure
US4386485A (en) * 1981-03-04 1983-06-07 Fairchild Industries, Inc. Multicomponent extendible structure
US4651480A (en) * 1985-12-18 1987-03-24 Fairchild Industries, Inc. High strength multicomponent extendible structure
US4920710A (en) * 1989-04-25 1990-05-01 Paine David L Retractable column and method of forming
US5025606A (en) * 1989-04-27 1991-06-25 Rapid Deployment Towers, Inc. Guy control system for extensible mast
AU631478B2 (en) 1990-01-22 1992-11-26 Nikken Corporation Lifting apparatus
AU643493B2 (en) 1990-02-02 1993-11-18 Nikken Corporation Lifting apparatus
EP0539478A4 (en) * 1990-07-16 1993-07-14 Polytech Technical Services Pty. Ltd. Extendable mast support system
US6112474A (en) * 1998-01-27 2000-09-05 Paine; David L. Retractable web colum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000A (en) * 1979-02-10 1980-08-16 Mitsuhiro Kishi Device for vertical movement
JPS62233597A (ja) * 1986-04-03 1987-10-13 松谷 敬之助 巻取り可能な伸縮構造体
JPH03244757A (ja) * 1990-02-20 1991-10-31 Hikoma Seisakusho Kk リフト装置
JPH0662091U (ja) * 1993-02-10 1994-09-02 株式会社ミヨシ 移動式高所作業台
JPH08113497A (ja) * 1994-10-19 1996-05-07 Tohoku Densetsu Kk 高所作業台
KR19980067268U (ko) * 1997-05-24 1998-12-05 박성구 차량용 화물 이동장치
KR200221856Y1 (ko) * 2000-08-14 2001-04-16 김남경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84317B2 (ja) 2004-11-04
US20020020583A1 (en) 2002-02-21
CN1337334A (zh) 2002-02-27
US6571914B2 (en) 2003-06-03
JP2002154791A (ja) 2002-05-28
CN1200873C (zh) 2005-05-11
KR20020013271A (ko) 200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986B1 (ko)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US2922623A (en) Hoists
KR200221856Y1 (ko) 고소 작업용 승강이동 장치
US3223199A (en) Scaffolding hoist
KR20090015168A (ko) 상하 레일 이동식 조명장치
EP0876987A1 (en) Outside up-down elevator
KR101504235B1 (ko) 건설용 리프트 장치
KR20220048897A (ko) 고소 작업을 위한 곤도라
US4369014A (en) Panel hanger
KR200300641Y1 (ko) 철근 절곡기
KR200317693Y1 (ko) 리프트장치
JP2007113344A (ja) 建築用シャッターにおける巻き取りユニットの取り付け方法
JP4078173B2 (ja) 作業ユニット
KR200329414Y1 (ko) 건축용 갱폼 인양기
JPH0319567Y2 (ko)
CN212101771U (zh) 一种用于空调室外机的吊装装置
JPH028928Y2 (ko)
EP1497516A1 (en) Storage installation
KR20090085213A (ko) 건축용 판넬 고정장치
WO200407415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4804013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類におけるトップシーブユニットのクライミング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トップシーブユニット
KR20130107463A (ko) 건축용 자재인양장치
JP3000517U (ja) 異常時のシート開閉機構を有するシートシャッタ
JPH08128020A (ja) 車止めの昇降ポール飛出し防止装置
JPH0646932Y2 (ja) 移動する揚重機を備えた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