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131B1 -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 Google Patents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131B1
KR101796131B1 KR1020160026471A KR20160026471A KR101796131B1 KR 101796131 B1 KR101796131 B1 KR 101796131B1 KR 1020160026471 A KR1020160026471 A KR 1020160026471A KR 20160026471 A KR20160026471 A KR 20160026471A KR 101796131 B1 KR101796131 B1 KR 10179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lowering
lifting
driving memb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490A (ko
Inventor
서웅율
Original Assignee
일웅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웅이엔지(주) filed Critical 일웅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6002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13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E04G3/32Hoisting device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B66D1/605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scaffolding win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6Struts or stiffening rods, e.g. diagonal r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벽체 하부에 승.하강을 이루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공사를 위한 건축물의 외부에 구비되어 승.하강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열되어 상호 고정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 하부에 연장되게 구비된 가이드 기둥과; 상기 가이드 기둥을 내측으로 수용하며 승.하강 하는 승.하강 기둥과; 상기 승.하강 기둥 하부 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승.하강 기둥을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 기둥 하부 끝단에 구비되는 작업대;로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bench}
본 발명은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설벽체 하부에 승.하강을 이루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축 공사는 예전에는 단순히 건물을 건설하는 것에만 관심을 두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주변의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또한 공사중에 발생하는 분진 등 각종 오염물질이 공사현장 이외의 외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법도 시공 전 주요 고려해야할 상황이다.
이러한 결과로 주요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벽체를 따라서 골조를 형성하고 그 골조에 의하여 외부와 차단하는 일종의 차단막을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이러한 차단막은 이제 건축물의 상층부에서 건축 자재 부스러기, 블록, 이물질 등이 낙하되는 것을 막고, 분진발생의 환경오염은 물론 현장 주변을 통행하는 사람이나 차량 등에 피해를 주거나 특히 작업자의 추락 사고와 같은 산재를 막기 위하여 필수적인 하나의 의무사항이 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외부 가설 차단막은 외부에 짜놓은 골조에 의지하여 천이나 기타 추락 방지망을 설치하는 등의 구조가 대부분이나 이는 설치 및 해체가 번거롭고 그 효과가 미비한 미봉책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히,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외부적인 기상여건이나 장비의 자중 때문에 파손되어 자칫 2차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또한 설치는 더더욱 어려워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1997-34160호 및 특허출원 제1998-0030290호에서는 H형강 등의 건축물 골조를 이용하여 승강되는 건축 공사용 안전 펜스와 같은 여러 해결 방안이 나왔으나 그 구조는 기본적으로 랙과 피니언 또는 체인의 형식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사용 안전 펜스는 고층으로 승강된 상태에서 고층 건물 외벽의 공사를 이루기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승.하강 작업대에 대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0101호(2001.07.31.),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2922호(2008.11.26.)에 제시된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설벽체 하부에 승.하강을 이루는 작업대가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건축 공사용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에 있어서, 공사를 위한 건축물의 외부에 구비되어 승.하강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열되어 상호 고정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 하부에 연장되게 구비된 가이드 기둥과; 상기 가이드 기둥을 내측으로 수용하며 승.하강 하는 승.하강 기둥과; 상기 승.하강 기둥 하부 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구동되어 승.하강 기둥을 승.하강하는 승.하강부재와; 상기 승.하강 기둥 하부 끝단에 구비되는 작업대;로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와이어가 감거나 풀어주는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재는 와이어의 당김과 풀림에 의해 승.하강 기둥을 승.하강 하는 롤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의 와이어는 상기 승.하강롤러와, 가이드롤러가 와이어 의해 상호 역김되게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롤러와 가이드롤러와 역김된 와이어의 끝단은 가이드 기둥 상부 내측에 고정되며, 타측이 구동부재에 권취된 상태를 이루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기둥 하부 끝단 외측에 승.하강 부재의 가이드 롤러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 기둥 상부 내측에 승.하강 롤러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는 승.하강 기둥의 하강에 의해 작업대가 간편하게 하강됨으로 작업자는 하강된 작업대에 의해 건축물의 외부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간편한 조작으로 작업대를 승.하강 할 수 있어 고층의 건축물 외벽시공 또는 마무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작업자는 작업대에 의해 안전하게 작업을 이룰 수 있어 고층의 건축물 시공이 더욱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룰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가 건축물 외부에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작업대가 하부로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부재와 승.하강부재에 의해 작업대가 하강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a)는 정 단면도이고, (b)는 측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작업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로서,
(a)는 정 단면도이고, (b)는 측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승.하강 작업대(이하. 가설벽체라 칭함)(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20)과, 가이드 기둥(30), 승.하강 기둥(40), 구동부재(50), 승.하강부재(60), 작업대(80)로 구비된다.
상기 기둥(20)은 공사를 위한 건축물(12)의 외부에 구비되어 승.하강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열되어 상호 고정되게 구비된다.
상기 기둥(20)은 공지의 가설벽체와 같이 건축물(12) 외벽에 일정기간 고정되고, 건축물 일정부분의 공사가 마무리 되면 공지의 승.하강 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며, 외부에는 공지의 가림막(1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기둥(30)은 상기 기둥(20) 하부에 각각 연장되게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기둥(30)은 승.하강 기둥(40)이 승.하강을 이루는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 기둥(30)은 기둥(20)과 동일 또는 작거나 크게 구비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 기둥(40)은 상부가 개방되어 가이드 기둥(30)이 수용되고, 하부에 구동부재(50)가 삽입되어 구동부재(5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고정되는 구동부재 삽입공간(22)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50)는, 상기 승.하강 기둥(40) 내에 구비된 구동부재 삽입공간(22)에 삽입 고정되어 승.하강 기둥(40)을 승.하강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50)는, 와이어(52)가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권취되어 와이어(52)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구비된 모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부재(60)는, 상기 구동부재(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기둥을 승.하강 하는 롤러(62.64)로 구비된다.
상기.승.하강부재(60)는 가이드 기둥(30) 끝단의 외측에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62)와, 승.하강 기둥(40)의 상부 끝단 내측에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승.하강 롤러(64)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50)에 구비된 와이어(52)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 기둥(40)에 구비된 승.하강롤러(64)를 당김 또는 풀림하여 승.하강 기둥(40)을 승.하강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80)는 승.하강 기둥(40)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어 건축물(12) 방향이 개방된 안전난간(62)과, 발판(64)이 구비된다.
아울러, 기둥(20) 하부의 가림막(14) 끝단 또는 작업대(80) 외측 하부에 가림막이 권취되어 작업대(80)의 하강시 가림막이 펼쳐지고, 승강시 가림막이 감기는 가림막수단(86)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림막수단(86)은 탄력적으로 가림막을 감고 펼쳐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의 가설벽체(1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기둥(20)이 배열되어 공지의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가설벽체(10)를 형성한다.
물론, 상기 가설벽체(10)는 외부에 가림막(14)이 구비되고, 기존의 가설벽체와 같이 건축물(12)의 외부에 일정기간 고정되고, 일정기간 경과 후 승강을 이루게 결합 된다.
그리고, 상기 가설벽체(10) 각각의 기둥(20) 하부로 가이드 기둥(30)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기둥(30)을 상부로 수용하는 승.하강 기둥(40)이 가이드 기둥(30)을 수용하게 결합된다.
이때, 승.하강 기둥(40) 내에 구동수단(50)이 와이어(52)를 권취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기둥(30) 하부 끝단 외측에 승.하강 부재(60)의 가이드 롤러(62)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승.하강 기둥(40) 상부 내측에 승.하강 롤러(64)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롤러(64)와, 가이드 롤러(62)는 와이어(52) 의해 상호 역김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 롤러(64)와 가이드 롤러(62)와 역김된 와이어(52)의 끝단은 승.하강 기둥(40) 상부 내측에 고정되며, 타측은 구동부재(50)에 권취된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 기둥(40)의 하부 끝단에 작업대(80)가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상호 결합된 가설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50)에 권취된 와이어(52)가 일정한 장력을 이루며 연장되어 고정된 상태임으로 승.하강롤러(64)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로 고정을 이룬다.
그러므로, 승.하강 기둥(40)은 가이드 기둥(30)이 삽입되어 수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 기둥(40) 내에 구비된 구동부재(50)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52)를 감으면 가이드 롤러(6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와이어(52)가 당김됨으로 승.하강롤러(64)가 와이어(52)의 당김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하강롤러(64)의 하강에 의해 승.하강 기둥(40)이 하강을 이루어 승.하강 기둥(40) 하부에 구비된 작업대(80)가 하강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 기둥(40)의 하강에 의해 작업대(80)가 간편하게 하강됨으로 작업자는 하강된 작업대(80)에 의해 건축물(12)의 외부 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간편한 조작으로 작업대를 승.하강 할 수 있어 고층의 건축물 외벽시공 또는 마무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작업자는 작업대에 의해 안전하게 작업을 이룰 수 있어 고층의 건축물 시공이 더욱더 안전하고 간편하게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가설벽체 12: 건축물
14: 가림막 20: 기둥
30: 가이드 기둥 40: 승.하강 기둥
42: 구동부재 삽입공간
50: 구동부재 52: 와이어
60: 승.하강 부재 62: 가이드롤러
64: 승.하강롤러 80: 작업대
82: 안전난간 84: 발판
86: 가림막 수단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20)과, 가이드 기둥(30), 승.하강 기둥(40), 구동부재(50), 승.하강부재(60), 작업대(80)로 구비되되,
    상기 기둥(20)은 공사를 위한 건축물(12)의 외부에 구비되어 승.하강을 이루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열되어 상호 고정되게 구비되며, 가설벽체와 같이 건축물(12) 외벽에 일정기간 고정되고, 건축물 일정부분의 공사가 마무리 되면 승.하강 수단에 의해 승.하강되며, 외부에는 가림막(14)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기둥(30)은 상기 기둥(20) 하부에 각각 연장되게 구비되며, 승.하강 기둥(40)이 승.하강을 이루는 길이에 대응되게 연장되어 상기 기둥(20)과 동일 또는 작거나 크게 구비되어 연장되고,
    상기 승.하강 기둥(40)은 상부가 개방되어 가이드 기둥(30)이 수용되고, 하부에 구동부재(50)가 삽입되어 구동부재(5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고정되는 구동부재 삽입공간(22)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재(50)는, 상기 승.하강 기둥(40) 내에 구비된 구동부재 삽입공간(22)에 삽입 고정되어 승.하강 기둥(40)을 승.하강하게 구비되고, 와이어(52)가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권취되어 와이어(52)를 풀고 감을 수 있도록 구비된 모터로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부재(60)는, 상기 구동부재(50)에 의해 상기 승.하강 기둥을 승.하강 하는 롤러(62.64)로 구비되어 가이드 기둥(30) 끝단의 외측에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롤러(62)와, 승.하강 기둥(40)의 상부 끝단 내측에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승.하강 롤러(64)로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재(50)에 구비된 와이어(52)의 풀림과 감김에 의해 승.하강 기둥(40)에 구비된 승.하강롤러(64)를 당김 또는 풀림하여 승.하강 기둥(40)을 승.하강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80)는 승.하강 기둥(40)의 하부 끝단에 구비되어 건축물(12) 방향이 개방된 안전난간(62)과, 발판(64)이 구비되며,
    기둥(20) 하부의 가림막(14) 끝단 또는 작업대(80) 외측 하부에 가림막이 권취되어 작업대(80)의 하강시 가림막이 펼쳐지고, 승강시 가림막이 감기는 가림막수단(86)이 탄력적으로 가림막을 감고 펼쳐지게 구비되어 고층건물의 외벽시공을 안전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26471A 2016-03-04 2016-03-04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KR10179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71A KR101796131B1 (ko) 2016-03-04 2016-03-04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71A KR101796131B1 (ko) 2016-03-04 2016-03-04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90A KR20170103490A (ko) 2017-09-13
KR101796131B1 true KR101796131B1 (ko) 2017-11-10

Family

ID=5996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71A KR101796131B1 (ko) 2016-03-04 2016-03-04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1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101Y1 (ko) * 2000-12-06 2001-07-3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101Y1 (ko) * 2000-12-06 2001-07-3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490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3628A (ko) 승강형 지주대
KR100922315B1 (ko) 아케이드 지붕청소 및 점검장치
JP2000053387A (ja) 建築工事用安全フェンス
KR101796131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하부 승.하강 작업대
JP5181275B2 (ja) 外周養生装置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の施工方法
KR100583785B1 (ko) 건축물의 외측에 가설되는 건축자재 인양장치
KR101541044B1 (ko)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KR20170103498A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승.하강 작업대
KR100967174B1 (ko) 케이지 리프트
JP2010106607A (ja) 昇降式足場
CN210561720U (zh) 一种墩柱养护修补操作平台
KR200165564Y1 (ko) 안전그물망장치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JP2002339570A (ja) 建物の構築方法および建物
KR102024881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1796139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용 조립작업대
JP3531504B2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10112051A (ja) 昇降式足場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JP2010270434A (ja) 昇降式足場
KR101190300B1 (ko) 신축공사현장의 커튼식 건물외부면 보호막 설치구조
KR200445361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KR200445362Y1 (ko) 안전그물망 장치의 하부지지대
KR20200091314A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2454666B1 (ko) 대형탱크용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