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294B1 -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294B1
KR100780294B1 KR1020060125609A KR20060125609A KR100780294B1 KR 100780294 B1 KR100780294 B1 KR 100780294B1 KR 1020060125609 A KR1020060125609 A KR 1020060125609A KR 20060125609 A KR20060125609 A KR 20060125609A KR 100780294 B1 KR100780294 B1 KR 100780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ulley
base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은석
Original Assignee
윤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은석 filed Critical 윤은석
Priority to KR102006012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나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나사축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각 나사축에 결합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상판과;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상판의 상측에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임의 형상의 조형물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 모형물의 외관 전시 뿐아니라 그 내부도 함께 전시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모형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분리 전개되도록 구성되어 소정 높이로 승강 가능함은 물론 도르래 원리를 적용하여 그 승강 높이를 증대시켜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다단형으로 건축모형물을 적층 구성하여 승강 동작에 의해 단계적으로 펼쳐지도록 함으로서 입체적이고 능동적인 건축 모형물 입체 전시 효과를 발휘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조형물, 승강, 리프트장치, 와이어, 도르래, 구동벨트, 구동풀리, 모터

Description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Lift device of Construction model}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상승 상태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하강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의 동력 전달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가 적용된 건축용 모형물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상승 상태의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하강 상태의 정단면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가 적용된 건축용 모형물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나사축
12 : 프레임 13 : 상판
14 : 모터 15 : 고정축
16 : 가이드홈 17 : 가동축
18 : 안내축 20 : 구동풀리
21 : 구동벨트 22 : 벨트풀리
23 : 텐션풀리 24 : 텐션조절풀리
30,31 : 조감플레이트 40 : 도르래
50 : 와이어 M : 조형물
M1 : 주변경관모형물 M2 : 건물외관모형물
M3 : 건물내부모형물 K : 장식외장케이스
본 발명은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모형물의 외관 전시 뿐만아니라 그 내부도 함께 전시할 수 있도록 상기 건축 모형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분리 전개되도록 구성하여 소정 높이로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체적이고 능동적인 건축 모형물 전시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모형물은 아파트나 빌딩, 주택, 그리고 토목 사업이나 대형 산업 설비 공사 등을 하기 전에 설계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모형으로 제작하여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감도와 더불어 모델 하우스등과 같은 전시관 등에 설치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건축모형물들은 주로 외관 위주로 제작되어 전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건물 내부 구조 또는 특정 부위를 부각시켜 전시하기 위해서는 모델링에 의한 사진 형태와 같은 이미지 출력물을 통해 전시하였으며, 꼭 필요한 경우 에만 내부 구조를 상세히 보여 주기 위한 모형을 별도 제작하여 전시함으로서 건축물 모형 전시에 따른 제작 기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건물 내부와 외부의 구조를 동시에 입체적으로 전시할 수가 없으므로 건축물 모형을 관람하는 일반인들에게 건축물 외관과 더불어 내부 구조를 입체적으로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건물의 주변의 경관과 더불어 건물의 외관 및 내부를 동시에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변 경관용 모형, 외관 모형, 내부 모형 등 여러 개의 모형물이 필요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비경제적인 문제가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정 높이로 승강 가능한 조감 플레이트 위에 외관을 나타내는 건축 모형물을 설치하도록 하고, 상기 조감플레이트 하부에는 건축 내부 모형물을 함께 전시할 수 있도 록 상기 건축 모형물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분리 전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입체적인 건축 모형물 전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단형으로 적층 구성되는 각각의 조감플레이트에 건축 모형물을 적층하여 각각 설치하고, 제한된 소정 높이로 승강 되는 상기 조감플레이트의 승강 높이를 도드레 원리에 의해 승강 높이를 증대시켜 다단형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조감플레이트 상,하부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각각의 건축 모형물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건축물 내,외부 전체를 능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는 다수의 나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나사축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각 나사축에 결합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상판과;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상판의 상측에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임의 형상의 조형물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나사축에는 각각 벨트풀리가 설치되고, 각 벨트풀리 및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구동벨트가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 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상판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나사축을 따라 상,하로 소정 높이로 승강 동작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는 조감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조감플레이트의 윗면에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므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건축모형물을 교체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리프트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에 조형물이 설치되는 가동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가동축의 하측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도르래를 거쳐서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축의 승강시 상기 가동축이 동시에 승강되도록 구성함으로서 상기 나사축의 길이에 의한 승강 높이가 제한되는 상태에서 상기 상판의 승강 동작으로 상기 조감플에이트의 승강 높이가 증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축의 상측 일단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축의 내부로 연장되는 안내축이 더 설치되고, 이 안내축의 상단에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정축의 상단과 상기 가동축의 상단에 각각 조감플레이트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므로서 그 상부에 각각 설치된 건축 모형물이 상기 고정축과 가동축의 절첩 동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접히면서 건축물 내,외부 전체를 입체적으로 전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일실시예로서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상승 상태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를 나타낸 하강 상태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의 동력 전달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의 승강 구조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 형상의 건축모형물(M)(이하, 필요에 따라 "조형물"이라고 함)을 입체적인 전시가 가능한 구성으로서, 베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 상에 다수의 나사축(11)이 적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10)에는 상기 나사축(11)의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2)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0)와 프레임(12) 사이에는 상기 나사축(11)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나사축(11)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는 상판(13)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각 나사축(11)은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프레임(12)에 베어링 구조로 조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상판(13)은 상기 각 나사축(11)과 각각 나사 조립되어 나사축(11)이 정,역회전하면 나선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조 립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 상측으로는 다수의 상기 나사축(11)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14)가 구비되며, 상기 상판(13)의 상측에는 상기 조형물(M)을 설치하기 위한 파이프 형태의 고정축(15)이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0)는 전시하고자 하는 조형물의 형상에 따라 사각, 원형 등 그 형태가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의 외관에 감싸지는 장식외장케이스(K)의 형태와 더불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또한, 상기 나사축(11)의 갯수와 배치 위치 또한 상기 조형물(M)의 전체적인 중량 및 무게 중심을 고려하여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판(13) 위에 설치되는 조형물(M)의 무게가 무거워도 상기 나사축(11)에 의한 승강 구조이므로 상기모터(14)의 용량과 감속비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적은 소비전력으로 중량이 무거운 상기 조형물(M)을 승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리프트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14)는 다수의 상기 각 나사축(11)을 동일한 힘과 회전력으로 정,역회전시켜 상기 상판(13)을 상,하로 승강 가능하기 위한 구동 장치로서, 상기 각 나사축(11)의 하단부에는 상기 모터와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구성과 함께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축(11)에서 승강되는 상기 상판(13)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이 되어야 하므로 상기 모터(14)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이 각각의 상기 나사축(11)에 정확히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4)와 상기 나사축(11)을 서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어 방식과 벨트풀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벨트풀리 방식을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14)에는 구동풀리(20)가 구비되고, 상기 각 나사축(11)의 하단부에는 상기 구동풀리(20)와 구동벨트(21)로 연결되기 위한 벨트풀리(2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동풀리(20) 및 구동벨트(21)는 일반적인 벨트 및 풀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보다 더 확실한 상기 모터(14)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타이밍 벨트 및 타이밍 풀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4)의 구동풀리(20)의 좌,우에는 한 쌍의 텐션풀리(23)가 추가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벨트(21)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하므로서 상기 구동벨트(21)가 상기 구동풀리(20)에 밀착되어 상기 모터(14)의 동력이 확실히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나사축(11)의 중간에는 상기 베이스(10)에 형성된 가이드 홈(1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텐션조절풀리(24)가 더 구비되어서 상기 구동벨트(21)의 전체적인 장력을 조절하여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고정축(15)에 상기 조형물(M)을 직접 설치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조형물(M)을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축(15)의 상단에 조감플레이트(30)를 더 구비하여 고정 설치하므로서, 별도로 제작되는 상기 조형물(M)을 상기 조감플레이트(30)에 얹혀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차후에 다른 조형물과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승강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팅장치는 상기 모터(1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구동풀리(20)에 연결된 상기 각 나사축(11)의 벨트풀리(22)에 상기 구동벨트(21)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므로서 상기 각 나사축(11)은 동일한 회전 방향과 힘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상판(13)은 상기 나사축(11)의 나선 방향을 따라 상,하로 반복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되므로서 상기 조감플레이트(30) 상에 설치된 상기 조형물(M)이 함께 승강 동작되므로서 조형물 외관을 눈높이 차이를 두면서 상세히 관람할 수 있게 되어 관람객으로 하여금 입체적인 전시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2) 상면에 가장자리로 보조적인 주변 경관 모형물(M1)을 전시하고, 상기 조감플레이트(30)에 건물 외관 모형물(M2)을 얹혀 승강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상판(13) 상면에는 건물 내부 모형물(M3)이나 또는 건물 하부에 구성되는 지하주차장 및 지하 상가 등을 추가로 구성하여 배치하게 되면 상기 조감플레이트(30)에 의해 건물 외관 모형물(M1)이 승강되면서 내부가 개방되기 때문에 그로 인하여 건물 내부와 지하 공간을 투시하여 보는 듯한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조형물 전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장치는 상기 조형물(M)이 승강되는 높이가 관람하는 일반인의 눈높이에 대비하여 상기 나사축(11)의 길이에 대비하여 동일 치수가 되므로서 승강 높이를 더 늘리거나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 나사축(11)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면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승강 높이를 더 높이고자 하는 경우 상기 나사축(11)의 길이를 너무 높게 설정하게 되면 리프트장치의 전체적인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형물(M)의 설치 위치가 높아져 전시 관람 눈높이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전시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된 승강 높이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판(13)의 승강 동작에 의한 동력을 이용한 도르래 원리를 적용하여 제한된 상기 나사축(11)의 제한된 길이에 대해 리프트장치의 승강 높이를 증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도르래 원리에 의해 상기 조감플레이트(30)의 전체적인 승강 높이가 증대되는 경우에 최상의 상기 조감플레이트(30) 하부에 추가로 조감플레이트(31)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조형물(M)을 추가로 각각의 조감플레이트(30)에 배치하여 다단 형태의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게 되므로서 다단으로 배치된 건축 모형물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닫히면서 조형물 내,외부 전체를 입체적으로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15)의 내측에는 상기 조형물(M)이 설치되기 위한 파이프 형태의 가동축(17)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15)의 상측 일단에는 상기 가동축(17)과 간섭되지 않도록 도르래(40)가 설치된다.
상기 도르래(40)에는 와이어(50)의 일단부가 상기 가동축(17)의 하측 일단에 고정되며 그 중간이 도르래(40)를 걸쳐 타단부가 상기 상판(13)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상면에 고정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 도르래(40)의 설치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축(17)과 상기 고정축(15)이 실린더와 피스톤로드 동작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승강 동작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축(15)의 상측 일단이 외측으로 확장 결개되어서 그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도르래(40)에 걸려지지 되는 상기 와이어(50)는 상기 가동축(17)과 상기 고정축(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과하여 각각의 단부가 상기 가동축(17)과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조감플레이트(30)는 상기 가동축(17)의 상단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조형물(M)은 상기 조감플레이트(3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르래의 설치 구조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3)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축(15)의 내부로 연장되는 안내축(18)이 더 설치되고, 이 안내축(18)의 상단에 상기 도르래(40)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5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고정축(15)과 가동축(17)의 조립 부위에 상기 도르래(40)를 설치 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상판(13)의 윗면에 상기 안내축(18)을 수직으로 세워 상기 고정축(15) 내부 중심부에 설치하고 그 상단부에 상기 도르래(4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축(18)과 상기 도르래(40)의 크기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 진 상기 가동축(17)의 내경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축(17)이 상기 고정축(15)과 상기 안내축(18) 사이의 공간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의 동작을 임의의 건축 모형물이 적용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과 도 10 내지 도 12는 지상층에 건물이 구비되고 지하층에 주차 공간이 마련된 저층의 건축물을 전시한 것을 도시하였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주변 경관 모형물(M1)은 장식 외장 케이스(K)와 일체로 제작되어 있고, 상기 장식 외장 케이스(K)의 중앙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감플레이트(30) 상측에는 건물의 외관을 나타낸 건물 외관 모형물(M2)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지하주차장 등과 같은 건물 내부 모형물(M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건물 내부 모형물(M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3)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단 구조로 상기 고정축(15)에 설치된 또 다른 조감플레이트(31) 위에 건물 내부 모형물(M3)을 설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14)가 구동하면 구동벨트(21)에 의해 회전 동력이 상기 벨트풀리(22)에 전달되므로서 상기 각 나사축(11)이 회전하게 되므로서 상기 상판(13)은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판(13)의 상승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축(15)이 함께 상승하면 상기 도르래(40)에 걸려있는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50) 한쪽 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와이어(50)의 타단부에 고정된 상기 가동축(17)의 하단부가 상기 와이어(50)에 당겨져 올라가게 되므로서 상기 가동축(17)의 함께 상승되므로서 상기 조감플레이트(30)가 같이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조형물(M)이 승강하게 된다.
여기서, 도 5의 경우는 상기 가동축(17)의 조감플레이트(30)에 설치된 건물 외관 모형물(M2)과 상기 고정축(15)의 상단부에 설치된 조감플레이트(31)의 건물 내부 모형물(M3)이 함께 적정 간격을 벌리면서 상승되므로 입체적인 전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1의 경우에는 건물 내부 모형물(M3)이 상기 프레임(12) 상에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때는 상기 가동축(17)의 조감플레이트(30)에 설치된 건물 외관 모형물(M2)만 상승되어 건물 내부 모형물(M3)이 외부로 들어나 보이게 되므로서 건물의 내부 및 외부를 동시에 전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최상점까지 승강된 상태에서 그 상승 높이를 살펴보면 상기 나사축(11)의 길이에 비하여 도르래 원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50)가 당겨진 길이 만큼 대략 두 배 이상 더 높이 조감플레이트(30)가 상승된 상태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프레임(11)과 최상의 조감플레이트(30)의 공간 사이에 추가로 상기 조감플레이트(31)를 다단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더 다양한 형태로 조형물(M)을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형물(M)의 외형과 내부 구성을 승강 동작에 의한 입체적인 전시효 과를 발휘할 수 있어서 이를 관람하는 고객들에게 조형물의 가치를 높이는 홍보 및 광고 효과를 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한 층의 가동축(17)이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상기 가동축(17)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가동축과 와이어를 동일한 구성으로 설치하게 되면, 다층의 승강작용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즉, 가동축(17)과 와이어(50) 및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세트가 상측으로 추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다수 층을 형성하여 동시에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 외부 모형물을 승강시켜 그 하부에 설치된 내부 모형물을 함께 전시할 수 있게 되므로 입체적인 건축 모형물 전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높이를 도르래 원리에 의하여 고정축과 가동축을 함께 두배 이상 높게 승강시켜서 그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부에 다단형으로 조감플레이틀 적절히 추가로 배치하여 조형물을 설치하게 되므로서 다단형으로 펼쳐지는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조감플레이트 상,하부에 다단으로 적층 설치된 각각의 건축 모형물 이 순차적으로 펼쳐지면서 건축물 내,외부 전체를 능동적이고 입체적으로 전시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다수의 나사축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베이스와;
    상기 나사축의 상단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서 상기 각 나사축에 결합되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상판과;
    상기 각 나사축의 회전을 구동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측으로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상판의 상측에서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임의 형상의 조형물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나사축에는 각각 벨트풀리가 설치되어 있고, 각 벨트풀리 및 상기 모터를 연결하는 구동벨트가 설치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는 조감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감플레이트의 윗면에 상기 조형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그 상단에 조형물이 설치되는 가동축과; 상기 고정축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는 도르래와; 일단이 상기 가동축의 하측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도르레를 거쳐서 타단이 상기 베이스의 일단에 고정된 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축의 승강시 상기 가동축이 동시에 승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물 리프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상측 일단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고정축의 내부로 연장되는 안내축이 더 설치 되고, 이 안내축의 상단에 상기 도르래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축의 내부에 추가적으로 다른 가동축을 인입 설치하고, 이 추가적인 가동축의 내부 상단에도 도르래를 설치하며, 이 도르래에 와이어를 걸어서 그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추가적인 가동축의 하단에 연결함으로써 가동축과 와이어에 의한 복층의 구조를 나타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상단과 상기 가동축의 상단에 각각 조감플레이트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20060125609A 2006-12-11 2006-12-11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0780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09A KR100780294B1 (ko) 2006-12-11 2006-12-11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09A KR100780294B1 (ko) 2006-12-11 2006-12-11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0294B1 true KR100780294B1 (ko) 2007-11-28

Family

ID=3908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609A KR100780294B1 (ko) 2006-12-11 2006-12-11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29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947A (zh) * 2013-03-05 2013-07-24 北京铁路电气化学校 教学仿真电梯电气装调考评实训系统
CN109215484A (zh) * 2018-10-12 2019-01-15 郑州泰隆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售楼展示用建筑沙盘
CN110009971A (zh) * 2019-03-29 2019-07-12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数学教学用展示装置
KR102008282B1 (ko) * 2019-06-13 2019-08-07 최한혁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CN110415599A (zh) * 2019-07-03 2019-11-05 河南艺树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建筑用电子沙盘
CN111326058A (zh) * 2020-04-21 2020-06-23 中域(杭州)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楼盘模型展示工具
CN111968480A (zh) * 2020-09-08 2020-11-20 威海职业学院 一种空调系统的教学模型装置
KR102394919B1 (ko) * 2021-12-21 2022-05-09 오상훈 분양용 건축 모형 및 그 제작 방법
KR102521146B1 (ko) * 2021-11-02 2023-04-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035A (en) * 1995-10-19 1997-09-16 Hughes; Douglas J. Overhead platform elevation device
KR970062284U (ko) * 1996-05-18 1997-12-10 이상권 건축용 리프트
KR200230101Y1 (ko) * 2000-12-06 2001-07-3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7035A (en) * 1995-10-19 1997-09-16 Hughes; Douglas J. Overhead platform elevation device
KR970062284U (ko) * 1996-05-18 1997-12-10 이상권 건축용 리프트
KR200230101Y1 (ko) * 2000-12-06 2001-07-3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리프트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8947A (zh) * 2013-03-05 2013-07-24 北京铁路电气化学校 教学仿真电梯电气装调考评实训系统
CN109215484A (zh) * 2018-10-12 2019-01-15 郑州泰隆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售楼展示用建筑沙盘
CN110009971A (zh) * 2019-03-29 2019-07-12 日照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数学教学用展示装置
KR102008282B1 (ko) * 2019-06-13 2019-08-07 최한혁 승강형 모형 건축물이 적용된 견본 주택
CN110415599A (zh) * 2019-07-03 2019-11-05 河南艺树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建筑用电子沙盘
CN110415599B (zh) * 2019-07-03 2021-03-30 河南艺树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建筑用电子沙盘
CN111326058A (zh) * 2020-04-21 2020-06-23 中域(杭州)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楼盘模型展示工具
CN111326058B (zh) * 2020-04-21 2021-12-03 中域(杭州)建筑设计咨询有限公司 一种楼盘模型展示工具
CN111968480A (zh) * 2020-09-08 2020-11-20 威海职业学院 一种空调系统的教学模型装置
KR102521146B1 (ko) * 2021-11-02 2023-04-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형상 변형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전시 장치
KR102394919B1 (ko) * 2021-12-21 2022-05-09 오상훈 분양용 건축 모형 및 그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0294B1 (ko) 건축모형물 리프트장치
KR100556785B1 (ko) 이중 승강구조를 갖는 현수용 광고장치
US7926540B2 (en) Window blind with controlling axle
MX2007007341A (es) Aparato para subir y bajar un cartel.
CN103243938A (zh) 一种舞台结构
CN202473104U (zh) 收卷式视角可调led显示屏
CN206917340U (zh) 一种钢丝绳传动两级伸缩式升降台
CN203361696U (zh) 一种舞台结构
KR102030061B1 (ko) 현수막 거치장치
CN111231560B (zh) 立体雕像活动件的连接机构
JP6199589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昇降装置
US895176A (en) Rotary building.
CN215895809U (zh) 一种可展示空间利用的综合沙盘结构
CN211906741U (zh) 一种升降展开式建筑楼层模型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JP6398142B2 (ja) ゲート調査装置
CN201269035Y (zh) 电动自平衡门窗帘
KR101291508B1 (ko) 리프터
CN217767763U (zh) 一种多广告位升降式广告灯箱
CN105525851A (zh) 可分层调节进光量的窗帘
CN204745678U (zh) 一种双动环形帷幕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RU1051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опускания декораций
CN110159884B (zh) 螺旋屏及其多媒体设备
CN203718691U (zh) 一种吊灯自动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