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550A - 물건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물건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550A
KR20220095550A KR1020200187178A KR20200187178A KR20220095550A KR 20220095550 A KR20220095550 A KR 20220095550A KR 1020200187178 A KR1020200187178 A KR 1020200187178A KR 20200187178 A KR20200187178 A KR 20200187178A KR 20220095550 A KR20220095550 A KR 2022009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lifting
support
vertical direction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강민재
곽주현
김용훈
김윤하
Original Assignee
김재헌
강민재
곽주현
김용훈
김윤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헌, 강민재, 곽주현, 김용훈, 김윤하 filed Critical 김재헌
Priority to KR102020018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5550A/ko
Publication of KR2022009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물건 승하강 장치는 건물의 내부 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지지 풀리, 상기 지지 풀리에 걸리는 상태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구동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건 지지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건 승하강 장치{Apparatus for lifting and lowering objects}
본 발명은 건물에서 물건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빌딩 등에 물건을 넣거나 반출하기 위해 사다리 차량을 이용하여 건물 외부로 물건을 승하강시키거나 엘리베이터를 통해 물건을 운반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물건의 승하강을 위해 별도의 사다리 차량을 준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엘리베이터의 손상이나 주민의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사다리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건물 주위의 지상에 사다리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충분한 지상 공간이 없는 경우 사다리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한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실1995-0008127 (1995.10.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다리 차량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건물의 2층 이상의 층으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물건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는 건물의 내부 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지지 풀리, 상기 지지 풀리에 걸리는 상태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구동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건 지지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는 상기 물건 지지판의 승하강 이동 시 상기 물건 지지판의 횡방향 거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상에 고정된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로프,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프와 상기 물건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일단이 상기 물건 지지판과 함께 승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와이어 또는 상기 물건 지지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이드 로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물건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상에 고정된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나 별도의 사다리차를 이용하지 않고 건물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물건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후 올려진 물건을 들어올린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의 가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는 물건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이사를 위해 지상에서 아파트와 같은 건물의 특정 층으로 올리거나 건물의 특정 층의 물건을 지상으로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물건 승하강 장치가 건물의 2층에 설치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물건 승하강 장치는 3층 이상의 원하는 층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 구조물(10)은 건물(100)의 내부 공간의 바닥(101)과 천장(102)에 각각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 구조물(10)은 다수의 수직 기둥(11, 12)을 구비할 수 있다. 수직 기둥(11, 12)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101)과 천장(10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기둥(11, 12)은 전후, 좌우로 네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수직 기둥(11, 12)은 서로 다른 높이의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직 기둥(11, 12)은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두 개의 기둥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두 개의 기둥의 나사 결합을 통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 구조물(10)은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 기둥(11, 12)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 로드(21, 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 구조물(10)은 지지 풀리(31)를 지지하기 위한 풀리 지지 로드(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 지지 로드(24)는 수직 기둥(1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외측 단이 건물(1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평 연결 로드(21, 22)와 풀리 지지 로드(24)는 분해 가능한 방식으로 수직 기둥(11, 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수직 기둥(11, 12), 수평 연결 로드(21, 22) 및 풀리 지지 로드(24)는 물건의 승하강이 필요한 건물의 특정 층에 조립될 수 있고 물건의 승하강이 이루어진 후에는 분해될 수 있다.
지지 풀리(31)는 풀리 지지 로드(2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풀리(31)는 건물(100)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풀리 지지 로드(24)의 외측 단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와이어(40)는 지지 풀리(31)에 걸리는 상태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 와이어(40)는 승하강되는 물건의 허용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 풀리(31)에 감긴 상태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체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51)는 구동 와이어(40)를 감거나 풀기 위한 힘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51)는 지지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동 모터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51)는 수직 기둥(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구동 샤프트(5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 샤프트(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구동 풀리(32)가 구동 샤프트(52)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 샤프트(52)에 체결되고, 구동 와이어(40)는 구동 풀리(32)에 감긴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51)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구동 풀리(32)가 회전하고, 구동 와이어(40)가 구동 풀리(32)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 와이어(40)는 도 1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건 지지판(61)은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물건 지지판(61)은 구동 와이어(40)에 연결되어 구동 와이어(40)의 감김 및 풀림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물건 지지판(61)은 구동 와이어(40)의 하측 단에 연결 부재(6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62)는 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물건 지지판(61)의 가장자리에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는 물건 지지판(61)의 승하강 이동 시 물건 지지판(61)의 횡방향 거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유닛(70)은 가이드 로프(71)와 연결 부재(7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로프(7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로프(71)의 상단 및 하단은 지지 구조물(10)에 연결되는 지지 로드(26) 및 지상에 설치되는 고정 구조물(74)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상에 설치되는 고정 구조물(74)은 지면에 설치되는 고리형 체결 구조물일 수 있으며, 물건 승하강 공간을 고려하여 적당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는 고정 구조물(74)이 지면에 고정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가이드 로프(71)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74)은 물건의 운반을 위한 차량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가이드 로프(71)는 그 하단에 구비되는 체결 부재(73)을 통해 고정 구조물(74)에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 로프(71)는 휘어질 수 있는 끈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물건의 승하강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72)가 구동 와이어(40) 또는 물건 지지판(61)을 가이드 로프(71)에 연결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연결 부재(73)의 일단이 구동 와이어(40)의 하단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73)는 물건 지지판(61)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연결 부재(72)의 다른 일단은 체결 고리(75)에 의해 가이드 로프(7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 의해 물건 지지판(61)의 상하방향 이동 시 물건 지지판(61)의 횡방향 거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로프(71)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물건 지지판(61)이 외력이나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물건 지지판(61)에 올려진 물건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는 액추에이터(51)의 작동에 의해 구동 와이어(40)가 감겨 물건(300)이 올려진 물건 지지판(61)이 건물의 원하는 층으로 상승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나 별도의 사다리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물건의 승하강이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건 승하강 장치의 가이드 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 로프(71)가, 별도의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물건 지지판(61)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63)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물건 지지판(61)의 상하방향 이동 시 물건 지지판(61)의 횡방향 거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건물
101: 바닥
102: 천장
10: 지지 구조물
11, 12: 수직 기둥
21, 22: 수평 연결 로드
24: 풀리 지지 로드
31: 지지 풀리
32: 구동 풀리
40: 구동 와이어
51: 액추에이터
52: 구동 샤프트
61: 물건 지지판
70: 가이드 유닛
71: 가이드 로프
72: 연결 부재

Claims (5)

  1. 건물의 내부 공간의 바닥과 천장에 각각 고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지 구조물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되는 지지 풀리,
    상기 지지 풀리에 걸리는 상태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구동 와이어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 와이어의 감김 및 풀림에 따라 승하강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물건 지지판
    을 포함하는 물건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물건 지지판의 승하강 이동 시 상기 물건 지지판의 횡방향 거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물건 승하강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상에 고정된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로프,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로프와 상기 물건 지지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물건 승하강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일단이 상기 물건 지지판과 함께 승하강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와이어 또는 상기 물건 지지판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가이드 로프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물건 승하강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물건 지지판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연결되고 하단은 지상에 고정된 구조물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로프를 포함하는
    물건 승하강 장치.
KR1020200187178A 2020-12-30 2020-12-30 물건 승하강 장치 KR20220095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78A KR20220095550A (ko) 2020-12-30 2020-12-30 물건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178A KR20220095550A (ko) 2020-12-30 2020-12-30 물건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550A true KR20220095550A (ko) 2022-07-07

Family

ID=8239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178A KR20220095550A (ko) 2020-12-30 2020-12-30 물건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55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59B1 (ko) * 2022-12-30 2023-11-14 신행익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27A (ko) 1993-09-16 1995-04-17 하야마 노보루 인쇄장치의 인쇄화상 후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27A (ko) 1993-09-16 1995-04-17 하야마 노보루 인쇄장치의 인쇄화상 후처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759B1 (ko) * 2022-12-30 2023-11-14 신행익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5098B2 (en) Attic lift system and method
US20140054110A1 (en) Method for accessing the outer surface of wind turbine towers and device for use with this method
KR101517066B1 (ko) 다중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가변형 온실구조물
US4598506A (en) Swimming pool cover
WO2011120075A1 (en) Expandable flat pack dwelling module
CN105668428A (zh) 一种适于安装在窗口处的提升运输装置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JP4987313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KR102560658B1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KR101489287B1 (ko)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KR102059627B1 (ko) 커튼월시공용 미니크레인
KR101890490B1 (ko) 식물공장형 시설 하우스의 환기 장치
JP2002047805A (ja) 竪管の施工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られる吊り上げ装置
JP4888694B2 (ja) 揚重装置及びそのクライミング方法
US20150314989A1 (en) Material Lift Hoist Assembly
KR10225135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방음벽
KR20180044144A (ko) 휴대용 리프트
JP2010270434A (ja) 昇降式足場
KR102553833B1 (ko) 승강이 용이한 자유게양식 그물망
KR0148135B1 (ko)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CN214527828U (zh) 基于三角贴合固定风管安装用吊装设备
KR101407984B1 (ko) 리프터
KR200397103Y1 (ko) 건설 공사용 화물 차량 리프터
JP2003082873A (ja) 昇降花壇付き駐車装置
KR100970283B1 (ko)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