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87B1 -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89287B1 KR101489287B1 KR20130037592A KR20130037592A KR101489287B1 KR 101489287 B1 KR101489287 B1 KR 101489287B1 KR 20130037592 A KR20130037592 A KR 20130037592A KR 20130037592 A KR20130037592 A KR 20130037592A KR 101489287 B1 KR101489287 B1 KR 1014892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st
- unit
- hoistway
- mast unit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6—Separating, lifting, removing of buildings; Making a new sub-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은 (A)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110)의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N은 자연수)번째 마스트 유닛(120a, Mast Unit)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이송수단(140)이 이송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승하강수단(150)으로 승강로(110)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 (C)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D)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하단에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단을 결합시켜, 승강로(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의 대형화, 고층화, 복잡화로 인하여 작업자 수와 자재량이 증가되어 양중계획(揚重計劃)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고층 건축공사에서 양중계획은 전체 공사계획의 근간이 되는 사항으로, 공기, 공사비, 안전관리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부적절한 양중계획은 공기지연 및 공사비 증대, 안전사고 발생 등 공사전체에 비효율적인 영향을 미친다.
국내의 경우, 1980년 후반부터 중점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주택건설사업으로 각 지역에 건설되고 있는 아파트, 빌딩 등의 대형화, 고층화 추세로 인하여, 건설기계에 의한 양중계획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효과적인 인화공용의 운반기계로서 건설용 리프트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여기서, 건설용 리프트는 동력을 사용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운반구를 매달아 화물을 운반할 수 있는 설비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성능을 가진 것으로 건설현상에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00조 참조). 이때, "동력"이란 전동기 등 전기적인 힘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을 의미하고,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이란 운반구의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마스트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구조임을 의미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을 따라 고정되므로, 외벽이 손상되고 외벽공사가 지체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게다가,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는 건축물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비/바람 등 외부환경에 취약하다. 뿐만 아니라, 래크와 피니언(Rack & Pinion) 등을 이용하여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엄청난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므로, 수많은 민원제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야간작업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건축물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로에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승강로에 건축용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는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는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의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이 이송한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이 N(N은 자연수)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측으로 승강시킨 후, 상기 이송수단이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송하여,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하단에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상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승강로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상기 마스트 유닛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마스트 구조물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마스트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상기 마스트 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유닛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하강부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기둥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롤러가 구비된 하부본체,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하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은 (A)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의 출입구를 통해서,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N은 자연수)번째 마스트 유닛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상기 이송수단이 이송한 상기 N번째 마스트 유닛을 승하강수단으로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D)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하단에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상단을 결합시켜, 상기 승강로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상기 마스트 유닛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에 있어서, (E)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단계, (F) 상기 승하강수단으로 상기 마스트 구조물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내부에 형성된 승강로에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승강로에 건설용 리프트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외벽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벽공사가 지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에 건설용 리프트가 설치되므로, 비/바람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건설용 리프트가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수단과 승하강수단을 이용하므로, 복잡한 시공/해체작업 없이, 간략하게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건설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해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사시도,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건설용 리프트의 사시도,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해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사시도, 및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은 (A)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110)의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N은 자연수)번째 마스트 유닛(120a, Mast Unit)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이송수단(140)이 이송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승하강수단(150)으로 승강로(110)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 (C)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D)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하단에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단을 결합시켜, 승강로(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은 2층 이상의 다층 건축물의 건설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내부에는 추후 일반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될 승강로(110)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승강로(110)에는 각 층과 연결되도록 개방된 출입구(115)가 형성된다. 이러한 출입구(115) 중, 소정 층의 출입구(115)를 통해서 마스트 유닛(120)을 이송할 이송수단(140)이 구비되고, 이송수단(140)에서 이송한 마스트 유닛(120)을 상측으로 승강시킬 승하강수단(150)이 구비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은 마스트 유닛(120)을 건축물의 하층으로부터 상층으로 한 개씩 밀어올리면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므로,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은 저층(예를 들어, 최저층인 지하층)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승강로(110)는 가장 저층인 지하층보다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지하층보다 하측으로 연장된 공간을 집수정(160)이라 한다. 집수정(160)에는 이송수단(140)이나 승하강수단(150)을 지지할 별도의 지지 구조물(165)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을 구비한 후, 마스트 구조물(130)을 다음과 같이 시공할 수 있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송수단(140)은 출입구(115)를 통해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므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적재한 후, 승강로(110)의 내측으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승하강수단(150)으로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승하강수단(150)은 이송수단(140)이 이송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전달받아, 승강로(110)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킨다. 다만, 다음 단계에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를 유닛이 승강로(110)의 내측으로 이송해야 하므로, 승하강수단(150)은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충분히 승강시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배치할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이송수단(140)은 N번째 마스트 유닛(120a)과 마찬가지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적재한 후, 승강로(110)의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시킨다. 이미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은 승하강수단(150)에 의해서 상측으로 승강시킨 상태이므로, 이송수단(140)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승강로(110)의 내측으로 이송시키면,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은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하측에 배치된다.
다음,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과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결합시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는 단계이다.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이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에 비해서 상측에 배치되었으므로(도 5 참조),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하단에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단을 결합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유닛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체결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단에는 제1 체결부(12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 형태로 형성된 제2 체결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제1 체결부(125)를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제2 체결부(127)에 삽입하고 볼트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N번째 마스트 유닛(120a)과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과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결합시키면, 승강로(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여, 마스트 유닛(120)을 계속 추가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트 구조물(130)은 승강로(110)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은 복잡한 시공작업 없이,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만으로 간단하게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사가 진행되면서, 승강로(110)의 높이가 계속 높아지더라도, 마스트 유닛(120)을 추가하여 높아진 승강로(110)의 높이에 대응하는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할 수 있다.
한편, 마스트 유닛(120)는 통상 일정한 높이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최근 건축물은 각층 높이가 다른 경우가 존재하므로, 마스트 유닛(120)의 높이가 출입구(115)의 높이에 맞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각층 높이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스트 유닛(120)은 출입구(115) 방향의 프레임이 생략될 수 있다. 즉, 마스트 유닛(120)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ㄷ"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도 15 참조).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건설용 리프트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 이상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의 내부에는 최종적으로 리프트카(170, Lift Car)가 구비되어 건설용 리프트(100)가 설치될 수 있다. 결국, 건설용 리프트(100)는 건축물의 내부인 승강로(110)에 설치되므로,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건설용 리프트에 비해서, 건축물의 외벽을 손상시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벽공사가 지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 또는 바람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건설용 리프트(100)가 구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한편, 건설용 리프트(1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마스트 구조물(130)의 내측면에는 리프트카(170)의 이동방향을 유도하는 가이드 레일(17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리프트카(170)에는 가이드 레일(171)을 따라 회전하는 가이드 롤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트 구조물(130)의 최상단과 리프트카(170)의 상단에는 와이어(172, Wire)가 감겨 회전할 수 있는 풀리(173, Pulley)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72)는 리프트카(170)와 집수정(160)에 구비된 권상기(174)를 연결하여 리프트카(17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리프트카(170)와 카운터 웨이트(175, Counter Weight)를 연결하여 중량 균형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마스트 구조물(130)의 일측에는 리프트카(170)가 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이동할 때, 구동력을 차단하거나, 비상정지 장치를 작동시키는 오버스피드 거버너(Overspeed Governor) 등의 안전장치(176)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해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해체방법은 (E) 마스트 구조물(130)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한 후,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하는 단계, (F) 승하강수단(150)으로 마스트 구조물(130)을 승강로(110)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G) 마스트 구조물(130)의 하단에 배치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분리한 후,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구조물(130)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측에 배치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승하강수단(150)이 지지한 상태에서,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하였으므로, 이송수단(140)은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적재한 후, 승강로(110)의 외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수단(150)으로 마스트 구조물(130)을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승하강수단(150)은 마스트 구조물(130)을 승강로(110)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켜, 이송수단(140)에 적재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구조물(130)의 하단에 배치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하였으므로, 마스트 구조물(130)의 하단에는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다. 이때,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상측에 배치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c)을 승하강수단(150)이 지지한 상태에서,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115)를 통해서 이송수단(140)으로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이송하는 단계이다. 이전 단계에서,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분리하였으므로, 이송수단(140)은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적재한 후, 승강로(110)의 외측으로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이송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를 반복하여, 마스트 구조물(130)로부터 마스트 유닛(120)을 하나씩 분리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트 구조물(130)을 완전히 해체할 수 있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해체방법은 복잡한 해체작업 없이,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만으로 간략히 마스트 구조물(130)을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마스트 구조물(130)의 해체가 완료되면, 승강로(110)는 빈공간되므로, 추후 일반 엘리베이터(Elevator)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이송수단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는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110)의 출입구(115)를 통해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마스트 유닛(120)을 이송하는 이송수단(140), 및 이송수단(140)이 이송한 마스트 유닛(120)을 승강로(110)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하강수단(15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140)은 마스트 유닛(120)을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송수단(140)은 출입구(115)를 통해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마스트 유닛(120)을 내외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수단(140)은 가이드부(141)와 이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141)는 이송부(143)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출입구(115)를 통해서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된다. 또한, 이송부(143)는 마스트 유닛(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이드부(141)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144)가 구비되어, 승강로(110)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43)는 하부본체(145), 상부본체(147), 및 거리조절수단(14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본체(145)는 양단에 가이드부(141)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14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147)는 하부본체(145)의 상측에 배치되어, 마스트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조절수단(149)은 상부본체(147)와 하부본체(14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로 작동하는 잭(Jack) 행태일 수 있다. 다만, 거리조절수단(149)은 반드시 잭 형태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원동기 등으로 구동되면서 수직으로 돌출할 수 있는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거리조절수단(149)으로 상부본체(147)와 하부본체(145)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부본체(147)에 지지된 마스트 유닛(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두개의 마스트 유닛(120)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때(상측의 마스트 유닛(120)의 제1 체결부(125)를 하측의 마스트 유닛(120)의 제2 체결부(127)에 삽입하거나 분리할 때, 도 15 참조), 거리조절수단(149)을 이용하여, 하측의 마스트 유닛(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150, 도 15 참조)은 마스트 유닛(120)을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승하강수단(150)은 승강로(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마스트 유닛(120)을 승강로(110)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거나, 마스트 유닛(120)이 결합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승강로(110)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킨다. 구체적으로, 승하강수단(150)은 기둥부(151)와 승하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151)는 마스트 유닛(120)의 외측(또는, 이송수단(140)의 외측)에 4개가 배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승하강부(153)는 각각의 기둥부(151)로부터 마스트 유닛(120) 방향으로 돌출되고, 기둥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승하강부(153)에 대응하도록, 마스트 유닛(12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마스트 유닛(120)의 돌출부(123)는 승하강부(153)의 지지를 받을 수 있다. 결국, 기둥부(151)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승하강부(153)는 마스트 유닛(120)의 돌출부(123)의 하측을 지지하여, 마스트 유닛(120)을 상측으로 승강시키거나, 마스트 유닛(120)이 결합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하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다만, 승하강부(153)가 하나의 마스트 유닛(120)을 승강시킨 후, 추가 마스트 유닛(120)을 승강시키기 위해, 하측으로 이동하면, 추가 마스트 유닛(120)의 돌출부(123) 상단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하강부(153)는 기둥부(15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부재(155), 및 제1 부재(15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부(153)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돌출부(123)의 상단에 걸리면, 제2 부재(157)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돌출부(123)를 통과할 수 있다(도 17의 점선 참조). 돌출부(123)를 통과한 제2 부재(157)는 다시 원래상태로 회전하여 돌출부(123)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도 17의 실선 참조). 한편, 승하강수단(150)의 일측에는 승하강수단(150)이나 이송수단(140)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180, Control Panel)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을 이용하여,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내용은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에서 이미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히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을 이용하여,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승하강수단(150)이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을 상측으로 승강시킨 후(도 3 참조), 이송수단(140)이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승강로(1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송하여(도 4 참조), N번째 마스트 유닛(120a)의 하단에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의 상단을 결합시킨다(도 5 내지 도 6 참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승강로(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시공할 수 있다(도 7 참조).
반대로, 이송수단(140)과 승하강수단(150)을 이용하여, 마스트 구조물(130)을 해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승하강수단(150)이 마스트 구조물(130)을 승강로(110)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키고, 상기 마스트 유닛(120)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분리한다(도 9 참조). 이후, 이송수단(140)이 출입구(115)를 통해서 승강로(1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마스트 유닛(120b)을 이송한다(도 10 참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승강로(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마스트 유닛(120)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130)을 해체할 수 있다(도 14 참조).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건설용 리프트 110: 승강로
115: 출입구 120: 마스트 유닛
120a: N번째 마스트 유닛 120b: N+1번째 마스트 유닛
120c: N-1번째 마스트 유닛 123: 돌출부
125: 제1 체결부 127: 제2 체결부
130: 마스트 구조물 140: 이송수단
141: 가이드부 143: 이송부
144: 롤러 145: 하부본체
147: 상부본체 149: 거리조절수단
150: 승하강수단 151: 기둥부
153: 승하강부 155: 제1 부재
157: 제2 부재 160: 집수정
165: 지지 구조물 170: 리프트카
171: 가이드 레일 172: 와이어
173: 풀리 174: 권상기
175: 카운터 웨이트 176: 안전장치
180: 컨트롤 패널
115: 출입구 120: 마스트 유닛
120a: N번째 마스트 유닛 120b: N+1번째 마스트 유닛
120c: N-1번째 마스트 유닛 123: 돌출부
125: 제1 체결부 127: 제2 체결부
130: 마스트 구조물 140: 이송수단
141: 가이드부 143: 이송부
144: 롤러 145: 하부본체
147: 상부본체 149: 거리조절수단
150: 승하강수단 151: 기둥부
153: 승하강부 155: 제1 부재
157: 제2 부재 160: 집수정
165: 지지 구조물 170: 리프트카
171: 가이드 레일 172: 와이어
173: 풀리 174: 권상기
175: 카운터 웨이트 176: 안전장치
180: 컨트롤 패널
Claims (9)
-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의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이 이송한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승하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이 N(N은 자연수)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측으로 승강시킨 후, 상기 이송수단이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송하여,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하단에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상단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승강로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상기 마스트 유닛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며,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롤러가 구비된 하부본체;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 유닛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마스트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상기 마스트 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승하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기둥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걸리면, 상기 제2 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기 돌출부를 통과한 상기 제2 부재는 다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마스트 구조물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A) 건축물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의 출입구를 통해서,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N은 자연수)번째 마스트 유닛을 이송시키는 단계;
(B) 상기 이송수단이 이송한 상기 N번째 마스트 유닛을 승하강수단으로 상기 승강로를 따라 상측으로 승강시키는 단계;
(C)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N+1번째 마스트 유닛을 이송시키는 단계; 및
(D)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하단에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의 상단을 결합시켜, 상기 승강로의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의 상기 마스트 유닛으로 형성된 마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승강로의 외측에서 내측까지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로의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이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롤러가 구비된 하부본체;
상기 마스트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상부본체와 상기 하부본체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마스트 유닛은,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마스트 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로부터 상기 마스트 유닛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기둥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돌출부의 하측을 지지하는 승하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기둥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2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부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돌출부의 상단에 걸리면, 상기 제2 부재는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고, 상기 돌출부를 통과한 상기 제2 부재는 다시 회전하여 상기 돌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E)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1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단계;
(F) 상기 승하강수단으로 상기 마스트 구조물을 상기 승강로를 따라 하측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마스트 구조물의 하단에 배치된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분리한 후, 상기 출입구를 통해서, 상기 이송수단으로 상기 승강로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리한 N번째 상기 마스트 유닛을 이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7592A KR101489287B1 (ko) | 2013-04-05 | 2013-04-05 |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037592A KR101489287B1 (ko) | 2013-04-05 | 2013-04-05 |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170A KR20140121170A (ko) | 2014-10-15 |
KR101489287B1 true KR101489287B1 (ko) | 2015-02-04 |
Family
ID=5199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30037592A KR101489287B1 (ko) | 2013-04-05 | 2013-04-05 |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8928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248B1 (ko) * | 2014-11-10 | 2015-05-12 | 주식회사 동광 | 건설리프트의 마스트 부분 제작용 지그장치 |
KR101518250B1 (ko) * | 2014-11-10 | 2015-05-12 | 주식회사 동광 | 건설리프트의 마스트 제작용 지그장치 |
KR101689702B1 (ko) | 2015-03-17 | 2016-12-26 | 이종영 | 렉기어식 리프트 |
CN107401288A (zh) * | 2017-07-26 | 2017-11-28 | 南通振华重型装备制造有限公司 | 一种升压站吊装转运工艺 |
EP4208405A1 (en) * | 2020-09-04 | 2023-07-12 | KONE Corporation | Construction time use elevator shaft element,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6313A (ja) * | 1994-01-17 | 1995-08-08 | Taisei Corp | 建設用リフトの増設・解体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H0826622A (ja) * | 1994-05-13 | 1996-01-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施工方法 |
KR0148135B1 (ko) * | 1993-11-05 | 1998-08-17 | 박만춘 |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
US20030213765A1 (en) * | 2002-05-20 | 2003-11-20 | Andre St-Germain | Tower crane with raising platform |
-
2013
- 2013-04-05 KR KR20130037592A patent/KR1014892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8135B1 (ko) * | 1993-11-05 | 1998-08-17 | 박만춘 | 톱크레인을 탑재한 케이지를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크레인의 클라이밍 장치 및 원리 |
JPH07206313A (ja) * | 1994-01-17 | 1995-08-08 | Taisei Corp | 建設用リフトの増設・解体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H0826622A (ja) * | 1994-05-13 | 1996-01-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施工方法 |
US20030213765A1 (en) * | 2002-05-20 | 2003-11-20 | Andre St-Germain | Tower crane with raising platfor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1170A (ko) | 2014-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2043522B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elevator and elevator | |
KR101489287B1 (ko) |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장치 및 건설용 리프트 시공 또는 해체방법 | |
US11858778B2 (en) | Method for operating a construction site device and construction site device | |
US10399822B2 (en) | Hydraulic elevating platform having no guide rails and elevating method | |
EP2394006B1 (en) |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floor buildings | |
CN105384035A (zh) | 导轨安装装置和用于安装导轨的方法 | |
CN105143575A (zh) | 建筑系统 | |
KR101923924B1 (ko) |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 |
EP2097347B1 (en) | Arrangement in the supply of rope to the speed limiter | |
CN107000992A (zh) | 在同一井道中具有多个轿厢的电梯装置 | |
WO2020142001A1 (en) | A moveable platform | |
KR101541044B1 (ko) |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 | |
KR101923925B1 (ko) | 크레인 장착형 마스트 구조물에 구비되는 고층빌딩 건설용 고속 고하중 로프식 엘리베이터 장치 | |
CN106915711A (zh) | 一种单驱多级同步升降的升降装置 | |
JP5988035B2 (ja) | 機械式駐車塔の昇降駆動装置 | |
JP2013216483A (ja) | 工事用エレベーターの揚程延長工法 | |
KR101023504B1 (ko) | 건물용 곤돌라 장치 | |
JP3920527B2 (ja) | 工事用エレベータ | |
EP1967478A1 (en) | Electromechanical apparatus for raising persons and/or loads | |
CN210825031U (zh) | 一种轿厢提升机 | |
KR101533557B1 (ko) | 상/하개폐식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개폐장치 | |
JP6834776B2 (ja) | エレベーターのケーブル送出装置およびケーブル送出方法 | |
JP4706973B2 (ja) | 開口養生付き工事用仮設エレベータ | |
RU172573U1 (ru) | Подъемник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й системы для обслуживания фасадов зданий | |
KR20080023506A (ko) | 골조용 크레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