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83B1 -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283B1
KR100970283B1 KR1020080042595A KR20080042595A KR100970283B1 KR 100970283 B1 KR100970283 B1 KR 100970283B1 KR 1020080042595 A KR1020080042595 A KR 1020080042595A KR 20080042595 A KR20080042595 A KR 20080042595A KR 100970283 B1 KR100970283 B1 KR 100970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uilding
fixed
material loading
build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839A (ko
Inventor
김문기
Original Assignee
김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기 filed Critical 김문기
Priority to KR102008004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2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25Motor operated winches
    • B66D2700/015Actuated by chain, belt or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시공시에 사용되는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를 시공할 때 사용된 거푸집 등의 각종 건축시공용 자재를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여 생산성 내지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신축건물의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에 설치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의 아래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건축자재가 적재되는 건축자재 적재수단과; 상기 이송구의 위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통해 아래층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위해 하단은 건축자재 적재수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선;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건축자재, 거푸집, 인상장치, 적재수단, 구동수단,

Description

건축자재용 인상장치{A Device for tranferring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된 거푸집(form) 등과 같은 각종 건축자재를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시키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에는 아래층에서 사용된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를 위층으로 올려서 사용하기 위해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이송구를 형성하여 이 이송구를 통해 거푸집 등과 같은 각종 건축시공 자재를 작업자의 인력으로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이송하여 시공하고 있으나,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를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이송하는 관계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고층건물을 신축할 경우에 타워크레인이나 타워리프트를 이용하여 건축시공용 자재를 이송하고 있으나, 타워크레인이나 타워리프트는 신축중인 건축물에 인접한 지상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대형 철구조물인 마스트를 포함하는 고가의 장비이므로 이러한 장비를 설치하여 운전 및 유지 보수하는데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타워크레인이나 타워리프트는 시공되는 건축물의 높이가 높아질 때마다 마스트의 높이도 높여주어야 하므로 단위 마스트를 연장 조립할 수 있는 장비나 기구를 반드시 구비해야만 하고, 단위 마스트를 연장 조립하는데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단위 마스트를 연장 조립하는 도중에는 안전상 가동을 중지해야만 하므로 가동률이 낮은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축시공용 자재, 특히 콘크리트 기둥용 거푸집, 콘크리트 벽체용 거푸집, 콘크리트 바닥용 거푸집 및 엘리베이터 통로용 거푸집 등과 같은 건축시공용 자재는 수개층에서 반복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사용된 거푸집을 다시 사용하기 위해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반복적으로 이송하여야만 하는 것이어서 공사중인 건축물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마스트가 계속하여 연장되어야 하는 타워크레인이나 타워리프트는 비용이나 효과면에서도 경제적이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형 고층건물이 아닌 아파트 등의 건축물 시공에는 타워크레인이나 타워리프트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를 통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용 자재의 이송방법이 지금도 시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인력에 의한 건축시공용 자재의 이송방법은 작업능률이 낮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여 생산성이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된 건축시공 자재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이송하여 생산성 내지 작업능률을 향상하기 위한 건축자재용 인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축건물의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의 아래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건축자재를 적재하는 건축자재 적재수단과, 상기 이송구의 위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과,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에 결합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통해 아래층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기둥부재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하단은 건축자재 적재수단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선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은, 직사각판 형태의 하판과; 상기 하판의 저면에 조립고정되어 하판의 상면쪽으로 인출된 한쌍의 판코일스프링과; 상기 하판 상에 눌림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판코일스프링에 의하여 탄성복원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무판이 부착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과 하판의 상면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무게감지스위치와; 상기 무게감지스위치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과 연결되는 신호전달선과; 상기 하판의 양측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선의 하단이 연결되는 견인고리와; 상기 하판의 정면쪽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기둥부재와 결합되는 한쌍의 안내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상판에는 다수개의 안내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에는 상기 안내구멍에 삽입되는 안내바가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하판의 저면을 따라 무게감지스위치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신호전달선에 수동식의 시동 및 정지스위치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승하강 구동수단은, 상기 기둥부재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과 일체로 제작되는 받침프레임 및 이 받침프레임의 저부로부터 연장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휠과; 상기 받침프레임상에 고정장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반과;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제1스프로킷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와이어선의 상단끝이 권취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휠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와이어선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어반의 일측면에는 상기 신호전달선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의하면, 아파트 등의 건물신축 현장에서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를 통해 아래층에서 사용한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를 위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시키게 되므로 종래의 인력에 의한 이송방법에 비해 생산성 내지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승하강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승하강 구동수단과 건축자재 적재수단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는 아파트 등의 건물신축 현장에서 사용된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를 아래층에서 위층으로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를 통해 들어올리는 장치로서, 그 구성은 크게 건축자재를 적재시킬 수 있는 건축자재 적재수단(100)과, 이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200)과,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과 승하강 구동수단(200)간을 지지해주는 기둥부재(300)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과 건축자재 적재수단(100) 간에 연결되는 와이어선(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은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를 중심으로 그 아래층의 바닥면쪽에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의 일 구성으로서 직사각판 형태의 하판(102)이 구비 되는 바, 이 하판(102)의 저면에서 그 양쪽에는 한쌍의 판코일스프링(106)이 조립 장착된다.
상기 판코일스프링(106)의 판코일 부분은 상기 하판(102)의 조립 고정위치로부터 하판(102)의 상면쪽으로 탄성력이 부여되며 연장된다.
상기 하판(102) 상에는 상판(104)이 판코일스프링(106)을 압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상판(104)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구멍(108)에 상기 하판(102)에 일체로 조립된 다수개의 안내바(110)가 삽입되어 그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판코일스프링(106)에 의하여 상판(104)은 하판(10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상판(104)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판(104)은 판코일스프링(106)을 압축시키면서 하판(102) 상에 밀착 이동되고, 하중이 해제되면 상기 상판(104)은 판코일스프링(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상판(104)이 하판(102)에 대하여 판코일스프링(106)을 압축하면서 하강하거나 또는 판코일스프링(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승강할 때, 상기 상판(104)의 안내구멍(108)내에 삽입된 안내바(110)는 상판(104)의 상하 이동에 대한 직진성을 부여하며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판(104)의 저면과 하판(102)의 상면 사이 공간에는 무게감지스위치(112)가 설치되는 바, 이 무게감지스위치(112)는 일종의 하중감지 센서로서 상기 상판(104) 상에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가 올려짐과 동시에 그 하중에 의하여 상판(104)이 하판쪽으로 이동하면 스위칭, 즉 센싱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무게감지스위치(112)로부터 신호전달선(114)이 연장되는데, 이 신호전달선(114)은 하판(102)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반(210)의 커넥터(212)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하판(102)의 저면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신호전달선(114)에 수동식의 시동 및 정지스위치(116,118)가 더 장착되며, 이 수동식 시동스위치(116)는 후술하는 구동모터(214)의 구동을 온(ON)시키는 스위치이고, 상기 수동식 정지스위치(118)는 후술하는 구동모터(214)의 구동을 오프(OFF)시키는 스위치이다.
한편, 상기 하판(102)의 양측면에는 상기 와이어선(400)의 하단이 고정되는 견인고리(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판(102)의 정면쪽에는 상기 기둥부재(300)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고리(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둥부재(300)의 하단은 상기 하판(102)의 안내고리(122)를 통하여 아래층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하며, 바닥면의 지지부에는 나무판 등과 같은 별도의 받침부재를 끼워넣을 수도 있다.
여기서, 위층과 아래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의 위쪽 즉, 위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에 대한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의 골격체 역할을 하는 프레임(202)이 구비되는데, 이 프레임(202)은 상기 기둥부재(300)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4)과, 이 고정프레임(204)과 일체로 제작되는 받침프레임(206) 및 이 받침프레임(206)의 저부로부터 연장된 지지프레임(228)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04)은 받침프레임(206)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상기 기둥부재(300)의 상단 중공부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06)의 양측에 베어링(208)이 고정되고, 이 베어링(208)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216)이 체결되며, 이 회전축(216)의 양단에는 휠(218)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받침프레임(206)에는 프레임(202)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8)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프레임(206) 상에는 구동모터(214)가 장착 고정되고, 이 구동모터(214)의 일측에는 릴레이 및 타이머(미도시됨) 등이 집적된 제어반(210)이 조립되며, 이 제어반(2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신호전달선(114)이 연결되는 커넥터(212)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구동모터(214)의 축에 제1스프로킷(220)이 체결되고, 상기 회전축(216)의 일측쪽에 제2스프로킷(222)이 체결되는 바, 이 제1 및 제2스프로킷(220,222)은 체인(224)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휠(218)의 외주면에는 상기 와이어선(400)의 상단끝이 권취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는 와이어선 고정홀(226)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건축시공용으로 사용되는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작동상태의 측면도로서, 도 5는 건축자재 적재전의 상태, 도 6은 건축자재 적재후 승강상태, 도 7 은 건축자재 이송후 하강상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위층 및 아래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를 중심으로 그 아래층과 위층에는 각각 건축자재 적재수단(100) 및 승하강 구동수단(200)을 배치하고, 이송구(500)의 양쪽에는 기둥부재(300)를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기둥부재(300)는 그 하단이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의 하판(102)에 형성된 안내고리(122)에 안내되도록 끼워짐과 동시에 기둥부재(300)의 하단을 아래층의 바닥면에 지지고정시키는 바, 나무판 등과 같은 별도의 받침부재(미도시됨)를 끼워넣어 기둥부재(300)를 받쳐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300)는 상기 이송구(500)를 통해 위층쪽으로 세워지게 한 후에 이 기둥부재(300)의 상단 중공부에는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의 고정프레임(204)을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은 기둥부재(300) 및 고정프레임(204)에 의하여 위층상에 배치 고정된 상태가 되고,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28)에 의하여 위층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하강 수동수단(200)의 휠(218)에 형성된 고정홀(226)에 와이어선(400)을 순차적으로 끼운 후에 휠(218)을 돌려줌으로써 와이어선(400)이 휠(218)에 권취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와이어선(400)의 하단은 아래층에 배치되어 있는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의 하판(102)에 형성된 견인고리(12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축자재 즉, 거푸집을 위층으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하 게 된다.
즉, 아래층에서 사용된 거푸집(콘크리트 기둥용 거푸집, 콘크리트 벽체용 거푸집 및 콘크리트 바닥용 거푸집 등) 및 기타 건축자재들을 위층으로 올려서 사용하고자 할 때 본 발명의 인상장치를 가동시키게 된다.
먼저, 거푸집 등의 각종 건축시공 자재를 상기 미끄럼 방지용 고무판(124)이 부착된 상판에 올려 놓는다.
이때, 상기 상판(104)에 올려진 건축자재의 하중이 작용하면 상판(104)이 그 아래쪽의 판코일스프링(106)을 압축시키면서 하판(102)쪽으로 하강 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무게감지스위치(112)가 온(ON)되는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무게감지스위치(112)의 스위칭신호가 신호전달선(114)을 통해 상기 제어반(210)에 전송된다.
이에, 상기 제어반(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의 구동모터(214)가 구동되는 동시에 제1스프로킷(220)이 회전을 하게 되고, 연이어 체인(224)을 통해 회전력이 제2스프로킷(222)으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축(216)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회전축(216)과 결합된 휠(218)이 회전을 하게 되면서 와이어선(400)을 권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선(400)의 하단은 상기 하판(102)의 견인고리(120)에 고정되어 있는 바, 이에 상기 와이어선(400)이 권취되면서 하판(102)을 들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판(102) 및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가 적재된 상판(104)이 위층쪽으로 승강 이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반(210)의 타이머 조작을 통해 위층과 아래층 간의 콘크리크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에 도달할 때까지 승강 이송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이송구(500)를 통과한 건축시공 자재를 위층상에서 옮기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의 인력에 의한 거푸집 등의 건축시공 자재 이송에 비하여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송하게 되므로 작업능률이나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물론, 상기 상판(104)으로부터 거푸집 등의 건축자재가 제거되어 상판(104)이 판코일스프링(106)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무게감지스위치(112)의 무게감지 해제신호가 제어반(210)으로 전송되고, 이와 동시에 제어반(2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14)가 역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상판(104) 및 하판(102)은 아래층으로 하강 이송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동식 시동 및 정지스위치(116,118) 조작으로도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의 상판(104) 및 하판(102)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승하강 구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건축자재 적재수단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승하강 구동수단과 건축자재 적재수단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도 5는 건축자재의 적재전 상태, 도 6은 건축자재의 적재후 승강상태, 도 7은 건축자재의 이송후 하강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축자재 적재수단 102 : 하판
104 : 상판 106 : 판코일스프링
108 : 안내구멍 110 : 안내바
112 : 무게감지스위치 114 : 신호전달선
116 : 수동식 시동스위치 118 : 수동식 정지스위치
120 : 견인고리 122 : 안내고리
124 : 고무판 200 : 승하강 구동수단
202 : 프레임 204 : 고정프레임
206 : 받침프레임 208 : 베어링
210 : 제어반 212 : 커넥터
214 : 구동모터 216 : 회전축
218 : 휠 220 : 제1스프로킷
222 : 제2스프로킷 224 : 체인
226 : 와이어선 고정홀 300 : 기둥부재
400 : 와이어선 500 : 이송구

Claims (6)

  1. 삭제
  2. 신축건물의 아래층과 위층 간의 콘크리트구조물에 형성된 이송구(500)의 아래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건축자재를 적재하는 건축자재 적재수단(100)과, 상기 이송구(500)의 위층의 바닥면쪽에 배치되어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 구동수단(200)과,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에 결합고정되며 하단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을 통해 아래층의 바닥면에 지지고정되는 기둥부재(300)와,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하단은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에 고정되고 상단은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에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와이어선(400)을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축자재 적재수단(100)은, 직사각판 형태의 하판(102)과;
    상기 하판(102)의 저면에 조립고정되어 하판(102)의 상면쪽으로 인출된 한쌍의 판코일스프링(106)과;
    상기 하판(102) 상에 눌림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판코일스프링(106)에 의하여 탄성복원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무판(124)이 부착된 상판(104)과;
    상기 상판(104)의 저면과 하판(102)의 상면 사이 공간에 장착되는 무게감지스위치(112)와;
    상기 무게감지스위치(11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과 연결되는 신호전달선(114)과;
    상기 하판(102)의 양측면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선(400)의 하단이 연결되는 견인고리(120)와;
    상기 하판(102)의 정면쪽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기둥부재(300)와 결합되는 한쌍의 안내고리(1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판(104)에는 다수개의 안내구멍(108)이 형성되고, 상기 하판(102)에는 안내구멍(108)에 삽입되는 안내바(110)가 일체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판(102)의 저면을 따라 무게감지스위치(112)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신호전달선(114)에 수동식 시동 및 정지스위치(116,118)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구동수단(200)은, 기둥부재(300)의 상단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프레임(204)과 이 고정프레임(204)과 일체로 제작되는 받침프레임(206) 및 이 받침프레임(206)의 저부로부터 연장된 지지프레임(228)으로 구성되는 프레임(202)과;
    상기 받침프레임(206)의 양측에 고정된 베어링(208)과;
    상기 베어링(208)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216)과;
    상기 회전축(216)의 양단에 결합되는 휠(218)과;
    상기 받침프레임(206)상에 고정 장착되는 구동모터(214)와;
    상기 구동모터(214)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반(210)과;
    상기 구동모터(214)의 축에 연결된 제1스프로킷(220)과;
    상기 회전축(216)의 일측쪽에 형성된 제2스프로킷(222)과;
    상기 제1 및 제2스프로킷(220,222)을 연결하는 체인(22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휠(218)의 외주면에는 와이어선(400)의 상단끝이 권취가능하게 삽입 고정되도록 다수개의 와이어선 고정홀(22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KR1020080042595A 2008-05-08 2008-05-08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KR100970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95A KR100970283B1 (ko) 2008-05-08 2008-05-08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595A KR100970283B1 (ko) 2008-05-08 2008-05-08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39A KR20090116839A (ko) 2009-11-12
KR100970283B1 true KR100970283B1 (ko) 2010-07-15

Family

ID=4160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595A KR100970283B1 (ko) 2008-05-08 2008-05-08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6414A (zh) * 2019-04-03 2019-07-02 浙江工业大学之江学院 一种建筑机械升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794A (ko) * 2004-04-23 2005-10-27 금강공업 주식회사 내부 인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2794A (ko) * 2004-04-23 2005-10-27 금강공업 주식회사 내부 인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839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1100A (ja) 揚重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構築資材の運搬方法
CN206606977U (zh) 一种液压升降机
WO1996036780A1 (fr) Ossature provisoire utilisee dans la construction d&#39;un batiment
CN105668428A (zh) 一种适于安装在窗口处的提升运输装置
JP4987313B2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A2728798C (en) A system comprising a movable work platform, as well as an apparatus and a crane device
KR100795209B1 (ko) 거푸집 리프트
US3223199A (en) Scaffolding hoist
KR100970283B1 (ko)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US20130087410A1 (en) Lift platform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5973216B2 (ja) 昇降台車
KR20090012578U (ko) 건축자재 승하강 이송을 위한 기둥부재 결합장치
KR101030795B1 (ko) 독립된 인양수단이 구비된 건축용 케이지
CN108100896B (zh) 一种管道提升输送装置及方法
JP2585114B2 (ja) ホームエレベータ
JP651021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解体方法、組立方法、及び解体組立装置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KR102454050B1 (ko)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KR102457959B1 (ko) 건설용 리프트의 통신케이블 권선유도장치
CN113503044B (zh) 一种建筑施工用卸料平台
RU27811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строительных грузов при малоэтажном строительстве
KR200446225Y1 (ko) 건축물 층간 건축자재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