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50B1 -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050B1
KR102454050B1 KR1020220083144A KR20220083144A KR102454050B1 KR 102454050 B1 KR102454050 B1 KR 102454050B1 KR 1020220083144 A KR1020220083144 A KR 1020220083144A KR 20220083144 A KR20220083144 A KR 20220083144A KR 102454050 B1 KR102454050 B1 KR 10245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ifting
elevating
pipes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석
Original Assignee
이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석 filed Critical 이건석
Priority to KR1020220083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4Storage and transport racks for scaffolding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을 신축하고 실내 공사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비계 파이프에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설치한 다음 견인모터에 의해 승강대차를 승강작동시켜 해당층으로 건축 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하는 것은 물로 비계를 이용하기때문에 설치공정이 간편하고, 또는 각층 바닥에 고정하기때문에 내구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는 고층 또는 저층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하고, 설치비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여러대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자재운반장치{Building material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건축물을 신축하고 실내 공사 등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비계 파이프에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설치한 다음 견인모터에 의해 승강대차를 승강작동시켜 해당층으로 건축 자재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이 상, 하층의 구조로 형성된 복수층의 건물을 건축함에 있어서, 하나의 층이 구축되고 나면 상층을 구축하는 방식으로 건축하며, 필요한 자재는 타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옮기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한다.
또한, 고층 건물의 건물을 시공한 다음 실내에 각종 배관 및 배선을 포함하여 실내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건축 자재를 지상에서 상층으로 옮겨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이와 같은 건자재의 운반을 작업자의 인력(곰방)에 의존하고 있어서, 작업자가 건축 자재를 등에 지고 계단을 통해 하층에서 상층으로 옮기는 방식으로 인해 무거운 하중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나 피로 등과 같은 이유로 건축 자재의 낙하 사고가 빈발하였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클뿐 아니라 건축 자재의 파손 우려도 높다.
따라서 인력 소모는 많으면서도 작업능률은 떨어져 공기를 포함한 전반적인 건축 공정관리와 인력 관리 측면에서 낭비요소가 크다.
또한, 아파트와 같은 건설현장에 건축 자재가 반입되어, 공사중인 상부 각층 공사현장까지 공급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공사현장에 반입되는 건축자재는 파렛트에 멀티 포장되어 화물차로 반입된후, 지게차가 하차하여, 건축용 리프트 주변에 내려놓았다가, 공사중인 건물 상부 각층에서 건축자재가 필요하게 되면, 멀티 포장된 자재 파렛트 포장을 전부 해체한후, 건축 자재를 소형 리어커에 조금씩 나누어 싣고, 리어커를 끌고 리프트 승강기에 탑승한뒤, 수직 상승하여, 상부 각층에 건축자재를 공급하고 있으며, 상부 각층에 건축 자재를 운반하기 때문에 여러번 나누어 운반해야 하고, 건축용 리프트도 반복해서 운행해야 한다.
상기 건축용 리프트는 올라가는 층수에 따라 상하로 세워진 마스트(MAST)에 상부에 위치한 견인모터에 의해 승강작동하는 승강기를 설치하여 건축 자재를 운반하는데, 상기 건축용 리프트는 철재형 마스트를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건축물이 완공될 때까지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여 설치장비의 대여비용부담이 매우커서 설치 및 유지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건축용 리프트는 설치 및 유지비용때문에 1개 내지 2개를 설치함으로 인해 각 층별로 작업 현장이 동시에 발생하여 한번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 기다려야함으로 인해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10층 이하의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건축용 리프를 설치하지않고 작업자가 인력으로 옮기기때문에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비계는 건축 공사시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임시 가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파이프 비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비계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것으로서, 통상 수직 및 수평 파이프와 비계발판 그리고 다수개의 클램프들로 구성되어 조립설치되는 것으로 비계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한국특허 10-1999-0002037 "건축용 리프트 안전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파트를 포함한 고층의 건축물을 시공할때 주로 사용하는 건축용 리프트를 대체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비용이 저렴하여 저층 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 건축용 자재 운반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하부에 결합된 받침대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공이 형성된 승강날개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승강 파이프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메인 승강 파이프의 상부에 연결 파이프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의 상부에 하부가 끼움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층수에 따라 연장되는 다수개의 서브 승강 파이프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에 각각 삽입된 한쌍의 이동 파이프와, 상기 이동 파이프의 하부에는 건축 자재를 안착할 수 있도록 바닥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파이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ㆍ하부 롤러부와, 상기 상ㆍ하부 롤러부의 내부에는 메인 승강 파이프와 서브 승강 파이프 외주면에 밀착되어 롤링되는 롤러와, 상기 이동 파이프 사이에 부착되어 견인모터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와 연결된 견인 브라켓에 의해 상하부 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승강대차와,
상기 서브 승강 파이프중 상단에 위치한 서브 승강 파이프의 상부에는 한쌍의 연결 파이프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부에는 한쌍의 구동 파이프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구동 파이프의 상부에는 견인모터가 설치되어 견인모터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는 견인 브라켓에 체결되어 승강대차를 승강작동하는 견인부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와 서브 승강 파이프의 승강날개에 형성된 체결공에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건축물에 설치된 비계의 파이프에 클램프를 체결하여 비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는 비계를 구성하는 비계 파이프에 설치함으로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하여 한대 이상 설치하여 동시에 작업이 가능함으로 인해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는 설치 공정이 간단하고 유지비용이 적어 저층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인원수를 줄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는 비계 또는 각층 바닥에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어 고층 또는 저층 건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확대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서 메인 승강 파이프와 승강대차의 배면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대차에서 상ㆍ하부 롤러부를 확대해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서 승강대차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서 승강대차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비계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9를 도시해 보인 확대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확대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서 메인 승강 파이프와 승강대차의 배면을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아파트를 포함한 고층 및 저층의 건축물을 시공할때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한대 이상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메인 승강 파이프(9)에 승강대차(2)가 결합되고, 메인 승강 파이프(9)에는 건축되는 층수에 맞게 서브 승강 파이프(22)가 결합되고, 맨위에 위치한 서브 승강 파이프(22)에는 견인부(15)가 결합된 상태에서 비계(23)의 비계 파이프(20)에 클램프(24)를 체결한 다음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를 따라 승강대차(2)가 승강작동하여 건축자재를 각층으로 운반한다.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는 관형상으로 하부에는 분리 및 결합되는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는 지면에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메인 승강 파이프(9)가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메인 승강 파이프(9)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공(12)이 형성된 승강날개(11)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와 동일한 모양으로 관형상에 승강날개(11)가 일체로 형성된 서브 승강 파이프(22)는 메인 승강 파이프(9) 상부에 끼움 결합된 연결 파이프(10)의 상부에 하부가 끼움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 파이프(10)와 서브 승강 파이프(22)가 반복적으로 결합되어 층수에 따라 연장된다.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를 따라 승강 작동하는 승강대차(2)는 메인 승강 파이프(9)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된 한쌍의 이동 파이프(5)와, 상기 이동 파이프(5) 하부에에 부착되어 건축 자재를 안착할 수 있는 바닥 플레이트(7)와, 상기 이동 파이프(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ㆍ하부 롤러부(3, 4)와, 상기 상ㆍ하부 롤러부(3, 4)의 내부에는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롤링되는 롤러(25)와, 상기 이동 파이프(5) 사이에 부착된 견인모터(16)와, 상기 견인모터(16)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17)와 연결된 견인 브라켓(8)에 의해 상ㆍ하부 방향으로 승강작동한다.
상ㆍ하부 롤러부(3, 4)는 내부에 삽입된 롤러(25)가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롤링되도록 내주면 일부를 절개하여 롤러(25)의 표면 일부가 노출되어 승강작동시 롤러가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표면을 따라 롤링된다.
또한, 상ㆍ하부 롤러부(3, 4)는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을 따라 승강작동시 승강날개(11)가 통과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공(6)을 형성한다.
상기 상ㆍ하부 롤러부(3, 4)는 승강날개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절개공으로 인해 승강작동시 간섭을 받지않는다
상기 서브 승강 파이프(2)중 상단에 위치한 서브 승강 파이프(22) 상부에는 한쌍의 연결 파이프(1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10)의 상부에는 견인부(15)가 분리 및 결합된다.
상기 견인부(15)는 연결 파이프(10) 상부에 한쌍의 구동 파이프(14)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구동 파이프(14)는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구동 파이프(14)의 상부에는 견인모터(16)가 설치되어 견인모터(16)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17)는 견인 브라켓(8)에 체결되어 승강대차(2)를 승강 작동시킨다.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승강날개(11)에 형성된 체결공(12)에 클램프(24)의 일측이 체결되고, 상기 클램프(24)의 타측은 건축물에 설치된 비계(23)의 비계 파이프(20)에 체결하여 비계(23)에 설치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 승강대차에서 상ㆍ하부 롤러부를 확대해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 상ㆍ하부 롤러부(3, 4)는 함체 내부에 4개의 롤러(25)가 사방으로 위치하여 승강작동시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롤링되고, 일측에는 절개공(6)이 형성되어 있어 승강날개(11)가 통과된다.
도 7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에서 승강대차의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를 비계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메인 승강 파이프(9)의 하부에 받침대(21)를 결합하고, 승강대차(2)의 이동 파이프(5)는 메인 승강 파이프(9)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 승강 파이프(9)의 상부에 연결 파이프(10)와 서브 승강 파이프(22)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층수에 맞게 조립한 다음 맨 상부에 위치한 서브 승강 파이프의 상부에는 구동파이프를 삽입하여 조립한 다음 견인모터에 권취된 와이어의 끝단을 승강대차의 견인 브라켓을 체결한 후,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승강날개에 형성된 체결공에 클램프의 일측을 체결하고 타측은 비계의 비계 파이프에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된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견인모터(16)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17)를 권취하거나 풀어서 승강대차를 승강작동시켜 건축 자재를 운반하여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건축물을 시공할때 설치하는 비계에 직접 설치함으로 인해 설치 비용 및 유지비용이 저렴하여 층수에 따라 여러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를 도시해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클램프(24)를 사용하지않고, 한쌍의 메인 승강 파이프(9)와 한쌍의 서브 승강 파이프(22)사이에 승강 파이프 바닥 고정 브라켓(19)을 위치한 다음 상기 승강 파이프 바닥 고정 브라켓(19)의 선단 양측은 한쌍의 메인 승강 파이프(9)와 한쌍의 서브 승강 파이프(22)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볼트(18)와 너트에 의해 조임 체결하고, 타측은 각층 바닥에 승강 파이프 고정 브라켓(19)을 볼트(18)로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비계를 사용하지않을 경우 각층 바닥에 승강 파이프 바닥 고정 브라켓(19)을 볼트로 고정한 다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1: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2: 승강대차
3: 상부 롤러부 4: 하부 롤러부
5: 이동 파이프 6: 절개공
7: 바닥 플레이트 8: 견인 브라켓
9: 승강 파이프 10: 연결 파이프
11: 승강날개 12: 체결공
13: 체결편 14: 구동 파이프
15: 견인부 16: 견인모터
17: 와이어 18: 체결볼트
19: 승강 파이프 고정 브라켓 20: 비계 파이프
21: 받침대 22: 서브 승강 파이프
23: 비계 24: 클램프
25: 롤러

Claims (2)

  1. 건축용 자재 운반장치에 있어서,
    관형상으로 하부에 결합된 받침대(21)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공(12)이 형성된 승강날개(11)가 일체로 형성된 메인 승강 파이프(9); 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메인 승강 파이프(9) 상부에 끼움 결합된 연결 파이프(10)의 상부에 하부가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층수에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서브 승강 파이프(22); 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된 한쌍의 이동 파이프(5)와, 상기 이동 파이프(5) 하부에에 부착되어 건축 자재를 안착할 수 있는 바닥 플레이트(7)와, 상기 이동 파이프(5)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된 상ㆍ하부 롤러부(3, 4)와, 상기 상ㆍ하부 롤러부(3, 4)의 내부에는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롤링되는 롤러(25)와, 상기 이동 파이프(5) 사이에 부착된 견인모터(16)와, 상기 견인모터(16)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17)와 연결된 견인 브라켓(8)에 의해 상ㆍ하부 방향으로 승강작동하는 승강대차(2); 와
    상기 서브 승강 파이프(22)중 상단에 위치한 서브 승강 파이프(22) 상부에는 한쌍의 연결 파이프(10)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연결 파이프(10)의 상부에는 한쌍의 구동 파이프(14)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구동 파이프(14)의 상부에는 견인모터(16)가 설치되어 견인모터(16)의 구동축에 권취된 와이어(17)는 견인 브라켓(8)에 체결되어 승강대차(2)를 승강 작동시키는 견인부(15); 와
    상기 메인 승강 파이프(9)와 서브 승강 파이프(22)의 승강날개(11)에 형성된 체결공(12)에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건축물에 설치된 비계(23)의 비계 파이프(20)에 클램프(24)를 체결하여 비계(23)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축용 자재운반장치(1)는 클램프(24)를 사용하지않고, 한쌍의 메인 승강 파이프(9)와 한쌍의 서브 승강 파이프(22)사이에 승강 파이프 바닥 고정 브라켓(19)을 위치한 다음 상기 승강 파이프 바닥 고정 브라켓(19)의 선단 양측은 한쌍의 메인 승강 파이프(9)와 한쌍의 서브 승강 파이프(22)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볼트(18)와 너트에 의해 조임 체결하고, 타측은 각층 바닥에 승강 파이프 고정 브라켓(19)을 볼트(18)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KR1020220083144A 2022-07-06 2022-07-06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KR10245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44A KR102454050B1 (ko) 2022-07-06 2022-07-06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44A KR102454050B1 (ko) 2022-07-06 2022-07-06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050B1 true KR102454050B1 (ko) 2022-10-12

Family

ID=8359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144A KR102454050B1 (ko) 2022-07-06 2022-07-06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0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037A (ko) 1997-06-18 1999-01-15 박병재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20110137864A (ko) * 2010-06-18 2011-12-26 양종덕 건축공사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037A (ko) 1997-06-18 1999-01-15 박병재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20110137864A (ko) * 2010-06-18 2011-12-26 양종덕 건축공사용 리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47329A1 (en) Load transportation system
JP2008144544A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US9440820B2 (en) Escalator lifting fra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3418443U (zh) 一种自爬式电梯井道作业平台
KR102454050B1 (ko) 건축용 자재운반장치
JP3579816B2 (ja) 躯体構築用多目的ステージ
JP4316514B2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KR200378217Y1 (ko) 고소작업용 틀비계
CN112942887B (zh) 一种旧有建筑物内在旧有连廊下方加建新连廊的施工方法
KR20040104223A (ko) 수직 이동식 작업대를 갖는 비계
JP2017197960A (ja) 吊り天井用の吊り鉄骨フレームの施工方法
CN218114727U (zh) 一种工具化的简便施工电梯通道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2683171B2 (ja) 建設用搬送足場装置
JP2008214062A (ja) リフト装置および構造材取り付け方法
CN219044810U (zh) 一种井道内简易物料提升装置
JP3920527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CN205531262U (zh) 一种可自动升降钢结构施工平台
KR100916292B1 (ko) 건축물 외장시공용 가설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외장시공법
CN220954585U (zh) 一种快捷安装新型施工电梯口平台、通道及配套安全护栏
CN116477445B (zh) 一种钢结构井道电梯整体预装配的施工方法
CN219990876U (zh) 一种便于电梯安装的装置
CN116335398B (zh) 一种多层快速施工方法
CN116181041B (zh) 一种多层快速施工的造楼机
KR100970283B1 (ko) 건축자재용 인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