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144A - 휴대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144A
KR20180044144A KR1020160137880A KR20160137880A KR20180044144A KR 20180044144 A KR20180044144 A KR 20180044144A KR 1020160137880 A KR1020160137880 A KR 1020160137880A KR 20160137880 A KR20160137880 A KR 20160137880A KR 20180044144 A KR20180044144 A KR 2018004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
lift unit
wire
unit
shea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영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영산업
Priority to KR1020160137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4144A/ko
Publication of KR2018004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휴대용 리프트는 복수의 리프트유닛들 및 상기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유닛들은 외부 리프트유닛 및 내부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은 외부에 형성되어 장비를 지지하고 고정되며, 상기 내부 리프트유닛들은 각각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에 대하여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리프트{PORTABLE LIFT}
본 발명은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거운 중량의 장비를 들어올리는 휴대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는 건축자재, 실외기 또는 태양광 전지 등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주는 리프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중량이 있는 물건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해야하고, 안정적으로 물건을 옮겨야한다. 하지만, 안정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지니는 물건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리프트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특허공개 제2015-0007929호는 리프트프레임부를 서포트모듈에 삽입하여 흔들림이나 진동을 억제하며 리프트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등록 제10-1544642호는 중앙의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고 복수의 수직지지구조물들과 결합한 회전 유닛을 상승시키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낮은 중량을 가지면서 안정적으로 물건을 상승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중량이 낮아 휴대성이 우수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리프트유닛들을 와이어를 통해 상승시켜 장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휴대용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리프트는 복수의 리프트유닛들 및 상기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유닛들은 외부 리프트유닛 및 내부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에 형성되어 장비를 지지하며, 복수의 도르래들과 상기 도르래들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리프트유닛들은 각각이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이고, 상기 내부리프트 유닛들은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동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서로 근접하는 복수의 제2, 제3 및 제4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 각각은 하단프레임, 상단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프레임은 하부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하고, 상기 상단프레임은 상부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하단프레임에서 상기 상단프레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 상기 제2 리프트유닛, 상기 제3 리프트유닛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및 제4 리프트유닛들이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은 제1 및 제2 도르래들, 제1 외부와이어 및 제1 내부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들은 상기 제1 리프트 유닛의 일측면 모서리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외부와이어는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들을 축으로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내부와이어는 상기 제1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1 내부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은 제3 및 제4 도르래들, 제2 외부와이어 및 제2 내부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및 제4 도르래들은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한 일측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와이어는 상기 제3 및 제4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내부와이어는 상기 제2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제3 및 제4 도르래들을 축으로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과 상기 제2 외부와이어를 연결하는 제1 고정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2 내부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은 제5 및 제6 도르래들, 제3 외부와이어 및 제3 내부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및 제6 도르래들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한 일측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외부와이어는 상기 제5 및 제6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내부와이어는 상기 제3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제5 및 제6 도르래들을 축으로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리프트유닛과 상기 제3 외부와이어를 연결하는 제2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4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3 와이어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리프트는 알루미늄, 복합소재 또는 경량의 소재들을 사용하여 휴대성이 높고, 구동부를 통해 제1 와이어를 당기는 단순한 동작으로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을 동시에 상부로 이동시켜 로드부에 적재된 장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리프트는 제1 내지 제3 와이어들만을 사용하여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을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어 휴대용 리프트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연결부를 통해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이 동시에 상승하도록 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한다.
또한,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은 각각이 프레임구조로 형성되어 중량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장비를 적재할 수 있고, 제1 리프트유닛의 내부에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이 수납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편의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도르래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들은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구동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리프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도르래와 와이어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들은 도 1의 휴대용 리프트의 구동순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는 제1 리프트유닛(200), 제2 리프트유닛(300), 제3 리프트유닛(400) 제4 리프트유닛(500), 연결부(600), 구동부(700), 로드부(800) 및 롤러(9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은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장비를 지지하며 고정시키는 외부 리프트유닛이고, 상기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은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리프트유닛들로 형성된다.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는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사용되는 태양광패널이나 풍력발전기 등을 포함하는 장비들을 높은 곳에 배치하기 위해 사용되고,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의 재료들을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은 각각이 육면체의 프레임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크기를 형성하며, 모양은 상기 육면체로 한정하지 않고 원기둥이나 다각형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은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내부로 밀착하면서 슬라이딩하며 삽입되고,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상부에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 또한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상부에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내부로 삽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600)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을 와이어를 통해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 각각은 상기 연결부(60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을 상승시키면,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는 상기 장비들을 적재하기 전에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내부를 활용하여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을 수납할 수 있어 휴대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3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은 제1 하단프레임(210), 제1 상단프레임(215), 제1 수직프레임(220), 제1 도르래(230), 제2 도르래(240), 제1 외부와이어(250), 제1 내부와이어(255), 제7 도르래(260) 및 제8 도르래(2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600)는 제1 고정와이어(610), 제1 고정부(620) 및 제2 고정부(6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은 육면체의 프레임구조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상단프레임(21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을 지지하는 상기 제1 하단프레임(2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프레임(220)은 상기 제1 하단프레임(21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상기 제1 상단프레임(215)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도르래(230)는 상기 제1 하단프레임(210)의 일측면 모서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르래(240)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상단프레임(215)의 일측면 모서리에 상기 제1 도르래(230)와 대칭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 및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는 상기 제1 도르래(230) 및 상기 제2 도르래(240)를 감싸고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안쪽에 위치한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의 일부분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하부 모서리와 결합된다.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하부의 일측면 모서리에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700)와 연결된 와이어가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를 하부로 당기면,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는 상기 제1 도르래(230)에 권취되고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내부쪽에서 상부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내부와이어(255)와 결합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 하단프레임(210) 상에는 상기 제1 도르래(230)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7 도르래(2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8 도르래(270)는 상기 제1 상단프레임(215)의 일측면 모서리에 상기 제7 도르래(260)와 대칭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7 도르래(260) 및 상기 제8 도르래(270)는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에 적재되는 상기 장비들 중 어느 하나의 중량이 큰 경우 끌어올리는 힘을 증가시키기 위해 추가되어 상기 제2, 제3,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을 상승시키는 힘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는 일단이 상기 제1 하단프레임(210)의 일측면 모서리에 상기 제1 고정부(620)를 통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에 형성되는 도르래를 감싸는 와이어와 결합하게 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은 제2 하단프레임(310), 제2 상단프레임(315), 제2 수직프레임(320), 제3 도르래(330), 제4 도르래(340), 제2 외부와이어(350), 제2 내부와이어(355), 제9 도르래(360) 및 제10 도르래(3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600)는 제2 고정와이어(640), 제3 고정부(650), 제4 고정부(660) 및 제5 고정부(6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상기 제2 하단프레임(310)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단프레임(315)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직프레임(320)은 상기 제2 하단프레임(31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 상단프레임(315)까지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육면체의 프레임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제3 도르래(330) 및 상기 제9 도르래(360)는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하단프레임(310)에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4 도르래(340) 및 상기 제10 도르래(370)는 각각이 상기 제3 도르래(330) 및 상기 제9 도르래(360)와 상하부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2 상단프레임(315)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는 상기 제3 도르래(330) 및 상기 제4 도르래(340)를 축으로 하여 감싸고,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3 도르래(330)를 통해 권취되고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안쪽에 위치여 형성되는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의 일부분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하부 모서리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는 상기 제2 하단프레임(310)에 형성된 상기 제3 고정부(650)를 통해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과 결합하고,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의 타단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가 하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와 상기 제3 고정부(650)를 통해 결합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이 상기 제2 방향과 반대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와 결합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는 자연스럽게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에 의해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3 도르래(330)를 통해 권취되어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내부쪽에 위치하는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는 상기 제3 도르래(330)를 거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의 일부분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가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내부와이어(255)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와 결합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와 결합된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도르래(330)와 상기 제9 도르래(360)의 사이에는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의 일단이 상기 제4 고정부(660)를 통해 상기 제2 하단프레임(3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의 타단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에 형성되는 도르래의 와이어와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5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은 제3 하단프레임(410), 제3 상단프레임(415), 제3 수직프레임(420), 제5 도르래(430), 제6 도르래(440), 제3 외부와이어(450), 제3 내부와이어(455), 제11 도르래(460) 및 제12 도르래(47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600)는 제6 고정부(6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 하단프레임(410)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상단프레임(415)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직프레임(420)은 상기 제3 하단프레임(410)의 가장자리에서 수직으로 상기 제3 상단프레임(415)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5 도르래(430) 및 상기 제11 도르래(460)는 상기 제3 하단프레임(410)의 일측면 모서리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6 도르래(440) 및 상기 제12 도르래(470)는 각각의 상기 제5 도르래(430) 및 상기 제11 도르래(460)와 상하부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3 상단프레임(415)의 일측면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는 상기 제5 도르래(430) 및 상기 제6 도르래(440)를 축으로 하여 감싸고,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가 상기 제5 도르래(430)를 통해 권취되고,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안쪽에 형성되는 상기 제3 내부와이어(455)의 일부분은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일측면 하부 모서리와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는 상기 제3 하단프레임(410)에 형성된 상기 제6 고정부(680)를 통해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과 결합하고,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의 타단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내부와이어(355)와 상기 제6 고정부(680)를 통해 결합된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와 결합된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는 자연스럽게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에 의해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의 내부쪽에 위치한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는 상기 제5 도르래(430)를 거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의 일부분은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하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가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를 통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가 이동하여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이 상승하고, 상기 제1 고정와이어(610)가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를 끌어당겨 상기 제2 외부와이어(350)가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에 의해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6들을 참조하면,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은 제4 하단프레임(510), 제4 상단프레임(515) 및 제4 수직프레임(52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600)는 제7 고정부(6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은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 상단프레임(515)은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4 수직프레임(520)은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 및 상기 제4 상단프레임(515)과 연결되고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과 상기 제4 상단프레임(515)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7 고정부(690)는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의 외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의 일부는 상기 제7 고정부(690)를 통해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고정와이어(640)가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를 끌어당기면, 상기 제3 외부와이어(450)가 상기 제5 도르래(430)를 통해 권취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3 내부와이어(455)의 일부는 상기 제4 하단프레임(510)과 결합하고 상기 제3 내부와이어(455)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들 각각의 가장자리들에는 상기 롤러(900)가 형성되어 슬라이딩하여 상승할 경우 흔들리지 않게 유지하고, 소정의 마찰력을 유지하여 상기 제2 리프트유닛(300), 상기 제3 리프트유닛(400)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500)들 각각이 급격하게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를 끌어당기게 된다. 상기 구동부(700)는 상기 로드부(800)에 적재되는 태양전지패널이나 풍력발전기 등을 사람의 힘으로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복수의 기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제7 내지 제12 도르래들(260, 270, 360, 370, 460, 470)은 상기 제1 내지 제6 도르래들(230, 240, 330, 340, 430, 440)과 동일하게 와이어를 사용하여 상기 로드부(800)에 적재된 장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는 알루미늄, 복합소재 또는 경량의 소재들을 사용하여 휴대성이 높고, 상기 구동부(700)를 통해 상기 제1 외부와이어(250)를 당기는 단순한 동작으로 상기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을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로드부(800)에 적재된 장비를 용이하게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외부와이어들(250, 350, 450)만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상기 휴대용 리프트(100)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연결부(600)를 통해 상기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이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200, 300, 400, 500)은 각각이 프레임구조로 형성되어 중량을 최소한으로 하면서 안정적으로 상기 장비를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제1 리프트유닛(200)의 내부에 상기 제2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300, 400, 500)이 수납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편의성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리프트는 가정 및 회사에서 중량의 장비를 상부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휴대용 리프트 200: 제1 리프트유닛
300: 제2 리프트유닛 400: 제3 리프트유닛
500: 제4 리프트유닛 600: 연결부
700: 구동부 800: 로드부

Claims (12)

  1. 복수의 리프트유닛들 및 상기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유닛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에 형성되어 장비를 지지하며, 복수의 도르래들과 상기 도르래들에 연결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외부 리프트유닛; 및
    각각이 상기 외부 리프트 유닛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는 내부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하는 휴대용 리프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리프트유닛은 하나의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이고,
    상기 내부리프트 유닛들은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상승하면서 서로 이격되거나 동시에 상기 제2 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서로 근접하는 복수의 제2, 제3 및 제4 리프트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 각각은,
    하부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어 지지하는 하단프레임;
    상부에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상단프레임; 및
    상기 하단프레임에서 상기 상단프레임으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 상기 제2 리프트유닛, 상기 제3 리프트유닛 및 상기 제4 리프트유닛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리프트유닛들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3 및 제4 리프트유닛들이 동시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프트 유닛은,
    상기 제1 리프트 유닛의 일측면 모서리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도르래들;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1 및 제2 도르래들을 축으로 외부에 형성되는 제1 외부와이어; 및
    상기 제1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내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1 내부와이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은,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한 일측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3 및 제4 도르래들;
    상기 제3 및 제4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1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2 외부와이어; 및
    상기 제2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제3 및 제4 도르래들을 축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제2 내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리프트유닛과 상기 제2 외부와이어를 연결하는 제1 고정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2 내부와이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리프트유닛은,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한 일측면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5 및 제6 도르래들;
    상기 제5 및 제6 도르래들을 감싸고 상기 제2 리프트유닛의 상기 모서리와 근접하게 형성되는 제3 외부와이어; 및
    상기 제3 외부와이어가 상기 제3 도르래에 권취되어 상기 제5 및 제6 도르래들을 축으로 내부에 형성되는 제3 내부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리프트유닛과 상기 제3 외부와이어를 연결하는 제2 고정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리프트유닛의 하단프레임의 일측면 모서리는 상기 제3 내부와이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리프트.





KR1020160137880A 2016-10-21 2016-10-21 휴대용 리프트 KR20180044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80A KR20180044144A (ko) 2016-10-21 2016-10-21 휴대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880A KR20180044144A (ko) 2016-10-21 2016-10-21 휴대용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144A true KR20180044144A (ko) 2018-05-02

Family

ID=6218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880A KR20180044144A (ko) 2016-10-21 2016-10-21 휴대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41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89A (ko) * 2018-05-10 2019-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3165751A (zh) * 2018-12-06 2021-07-23 美国联合包裹服务公司 便于通过无人飞行器递送包裹的无人机递送平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89A (ko) * 2018-05-10 2019-11-20 삼성물산 주식회사 선조립 철골 구조물의 실내 리프팅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랙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3165751A (zh) * 2018-12-06 2021-07-23 美国联合包裹服务公司 便于通过无人飞行器递送包裹的无人机递送平台
CN113165751B (zh) * 2018-12-06 2024-04-12 美国联合包裹服务公司 便于通过无人飞行器递送包裹的无人机递送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17127B1 (en) Jump elevator and jumping method
KR20180044144A (ko) 휴대용 리프트
JP2000211894A (ja) タワ―内でプラットフォ―ムを昇降するための巻上げ機構
EP0201645A2 (en) Telescoping lightweight antenna tower assembly and the like
JP2008033004A (ja) 平面型表示装置の移動装置
KR20220095550A (ko) 물건 승하강 장치
CN206088665U (zh) 免爬设备
KR101953899B1 (ko) 절첩식 캠핑 컨테이너
CN215331211U (zh) 一种电缆竖井
CN212712517U (zh) 一种建筑工程施工用的拉升吊篮
CN214368680U (zh) 户外屏幕及电脑灯升降系统
CN212313599U (zh) 运输车及运输系统
CN210407549U (zh) 垂直升降桌
CN219620804U (zh) 一种升降装置及仓储机器人
CN217296995U (zh) 烟架升降装置
CN204850680U (zh) 轻型折叠式多功能吊装帐篷支架
KR100956073B1 (ko) 무대리프트의 구동장치
CN214462365U (zh) 一种建筑施工用功能架
KR101614655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CN218434707U (zh) 用于折叠显示屏的托盘升降系统
CN220684543U (zh) 一种安装工程吊装设备
CN211127706U (zh) 一种伸缩太阳能板
KR101533786B1 (ko)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방법
CN219709062U (zh) 一种具有多个升降台面的高效升降台
CN212462423U (zh) 一种户外用防雨防雷配电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