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759B1 -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02759B1 KR102602759B1 KR1020220191224A KR20220191224A KR102602759B1 KR 102602759 B1 KR102602759 B1 KR 102602759B1 KR 1020220191224 A KR1020220191224 A KR 1020220191224A KR 20220191224 A KR20220191224 A KR 20220191224A KR 102602759 B1 KR102602759 B1 KR 1026027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motor
- worker
- lowering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93—Fall arrest reel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5—Vertical lifelin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66D3/06—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with more than one pulley
- B66D3/10—Applications of braking or detent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자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자 추락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자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건물, 교량 등과 같은 구조물을 건설하는 건설공사장이나 철탑 및 전신주 작업, 대형 조선 구조물의 조립 작업등 지상으로부터 높은 위치에서 작업(통상 고소작업이라 칭함)시에는 추락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생명줄이라 불리는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일명 죔줄)를 포함한 안전벨트를 의무적으로 착용하여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고소작업장에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며, 추락방지 구조물에는 작업자의 안전벨트와 연결된 추락방지용 안전로프를 걸 수 있도록 추락방지용 안전줄(로프, 강봉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함, 안전고정대라고도 칭함)이 설치되어 있다.
고소작업시 모든 작업자는 의무적으로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의 안전고리를 추락방지 구조물의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걸고 작업하여야 한다.
그러나, 많은 작업자들이 안전고리를 안전줄에 걸고 작업을 할 경우 작업간 이동 및 동작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의 작업상 불편함을 이유로, 안전고리를 체결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으며, 실제 건설공사의 경우 2018년 기준 사망자의 50%이상이 추락사고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리자들은 고소작업자의 안전벨트 착용 여부를 관리하고 있으나, 실제 안전고리의 체결 여부는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작업자들 역시 안전고리 체결 여부를 관리자가 쉽게 파악할 수 없다는 점을 알고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안전고리를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체결하지 않고 작업을 하고 있다.
작업자들은 안전벨트 착용 후에는 추락방지용 안전로프의 안전고리는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의 전면부 좌측 또는 우측의 밴드, 안전그네 밴드, 뒷측의 안전로프 연결고리 등 작업자의 안전벨트에 안전고리를 체결하고 이동한다.
고소작업시에 추락방지용 안전줄에 안전고리를 체결해야 하지만 상기와 같이 안전벨트에 안전고리를 체결한 상태 그대로 작업을 실시하거나, 심지어는 안전줄에 체결하지 않고 바닥에 두고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자 추락방지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는, 지면 일측으로 제1지지기둥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수직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제1수직기둥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제1지지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지지기둥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와이어고정부재와, 지면 타측으로 제2지지기둥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수직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제2수직기둥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제2지지기둥과, 고정와이어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지지기둥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와이어고정부재와, 와이어윈치의 무게를 지지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제1와이어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와이어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와, 작업자연결와이어를 권취하며,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작업자연결와이어가 자동 권출되도록 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연결와이어를 브레이킹하여 권출되지 못하도록 고정와이어에 연결 형성되는 와이어윈치와, 와이어윈치가 고정와이어에 결속되며, 작업자의 이동시 고정와이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윈치 일측으로 형성되는 윈치고정고리와, 작업자와 와이어윈치 간의 연결을 위해 일측이 작업자의 안전띠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윈치에 권취 형성되는 작업자연결와이어와,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제1수직기둥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수직기둥 상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수평고정프레임과, 수평고정프레임이 건물벽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평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건물벽에 매립 형성되는 벽체고정관과,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파손방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는, 차량 상부 위치로 작업자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자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승하강부는, 승하강모터의 구동으로 제1수직기둥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제1수직기둥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승하강모터의 구동시 연결되는 승하강와이어에 의해 승하강관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하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판과, 승하강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제1수직기둥 상부로 형성되는 모터지지판과, 모터풀리를 회전시켜 승하강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모터지지판에 안착 형성되는 승하강모터와, 승하강모터의 구동시 회전되어 승하강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모터풀리와, 승하강와이어가 관통되어 모터지지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터지지판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와이어관통홀과, 승하강모터의 동시 모터풀리로 권취되거나, 모터풀리로부터 권출되어 승하강판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모터풀리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고리에 고정 형성되는 승하강와이어와, 승하강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승하강판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고리와, 승하강관에 연결되는 회전축에 의해 승하강관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제2수직기둥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관과, 승하강가이드관의 슬라이드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가이드관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바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승하강되는 가이드바가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제2수직기둥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바가 밀착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바관통홀과, 축회전모터를 지지하도록 승하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고정판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모터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회전모터와, 축회전모터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이 축회전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베어링에 삽입 형성되는 회전축과, 축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베어링고정판과,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되어 축회전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고정판에 삽입형성되는 축베어링과,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됨으로 사용시 차량측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미사용시 수직방향으로 원위치되도록 회전축 상에 결합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권취가 이루어지는 와이어윈치를 통해 작업자가 차량 상부에서 추락시 와이어윈치 내부의 브레이크를 통해 와이어가 권출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추락방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자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량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자승하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량높낮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추락방지장치(100)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100)는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100)는 제1수직기둥(110), 제1지지기둥(111), 제1와이어고정부재(112), 제2수직기둥(113), 제2지지기둥(114), 제2와이어고정부재(115), 고정와이어(116), 와이어윈치(117), 윈취고정고리(118), 작업자연결와이어(119), 수평고정프레임(120), 벽체고정관(121), 파손방지관(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수직기둥(110)은 지면 일측으로 제1지지기둥(111)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지기둥(111)은 고정와이어(116)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117)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지지기둥(111)은 제1수직기둥(110)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재(112)는 고정와이어(116)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고정부재(112)는 제1지지기둥(111)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수직기둥(113)은 지면 타측으로 제2지지기둥(114)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지지기둥(114)은 고정와이어(116)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117)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지지기둥(114)은 제2수직기둥(113)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재(115)는 고정와이어(116)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와이어고정부재(115)는 제2지지기둥(114)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와이어(116)는 와이어윈치(117)의 무게를 지지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와이어(116)는 일측이 제1와이어고정부재(112)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와이어고정부재(1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윈치(117)는 작업자연결와이어(119)를 권취하며,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작업자연결와이어(119)가 자동 권출되도록 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연결와이어(119)를 브레이킹하여 권출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와이어윈치(117)는 고정와이어(116)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윈치고정고리(118)는 와이어윈치(117)가 고정와이어(116)에 결속되며, 작업자의 이동시 고정와이어(116)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윈치고정고리(118)는 와이어윈치(117)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연결와이어(119)는 작업자와 와이어윈치(117)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작업자연결와이어(119)는 일측이 작업자의 안전띠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윈치(117)에 권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고정프레임(120)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고정프레임(120)은 일측이 제1수직기둥(110)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수직기둥(113) 상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고정관(121)은 수평고정프레임(120)이 건물벽에 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체고정관(121)은 일측이 수평고정프레임(120)에 고정되고, 타측이 건물벽에 매립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손방지관(122)은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파손방지관(122)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작업자승하강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며,도 4는 도 3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승하강부(200)는 작업자 추락방지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자승하강부(200)는 차량 상부 위치로 작업자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자승하강부(200)는 승하강관(210), 승하강판(211), 모터지지판(212), 승하강모터(213), 모터풀리(214), 와이어관통홀(215), 승하강와이어(216), 와이어고리(217), 승하강가이드관(218), 가이드바(219), 가이드부재(220), 바관통홀(221), 모터고정판(222), 축회전모터(223), 회전축(224), 베어링고정판(225), 축베어링(226), 발판(2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관(210)은 승하강모터(213)의 구동으로 제1수직기둥(110)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관(210)은 제1수직기둥(110)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판(211)은 승하강모터(213)의 구동시 연결되는 승하강와이어(216)에 의해 승하강관(21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판(211)은 승하강관(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지지판(212)은 승하강모터(213)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지지판(212)은 제1수직기둥(110)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모터(213)는 모터풀리(214)를 회전시켜 승하강와이어(216)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모터(213)는 모터지지판(212)에 안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풀리(214)는 승하강모터(213)의 구동시 회전되어 승하강와이어(216)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풀리(214)는 승하강모터(213)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관통홀(215)은 승하강와이어(216)가 관통되어 모터지지판(212)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관통홀(215)은 모터지지판(212)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와이어(216)는 승하강모터(213)의 동시 모터풀리(214)로 권취되거나, 모터풀리(214)로부터 권출되어 승하강판(211)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와이어(216)는 일측이 모터풀리(214)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고리(217)에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고리(217)는 승하강와이어(216)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고리(217)는 승하강판(211)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가이드관(218)은 승하강관(210)에 연결되는 회전축(224)에 의해 승하강관(210)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가이드관(218)은 제2수직기둥(113)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바(219)는 승하강가이드관(218)의 슬라이드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바(219)는 일측이 승하강가이드관(218)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바관통홀(221)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승하강되는 가이드바(219)가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20)는 제2수직기둥(113) 상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관통홀(221)은 가이드바(219)가 밀착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바관통홀(221)은 가이드부재(220)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고정판(222)은 축회전모터(223)를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모터고정판(222)은 승하강관(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회전모터(223)는 회전축(224)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회전모터(223)는 모터고정판(222)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224)은 축회전모터(223)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224)은 일측이 축회전모터(223)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베어링(226)에 삽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고정판(225)은 축베어링(226)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고정판(225)은 승하강가이드관(218)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베어링(226)은 회전축(224)의 타측이 삽입되어 축회전모터(223)의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축(224)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축베어링(226)은 베어링고정판(225)에 삽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227)은 회전축(224)의 회전시 회전됨으로 사용시 차량측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미사용시 수직방향으로 원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발판(227)은 회전축(224) 상에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량높낮이조절부(3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높낮이조절부(300)는 작업자 추락방지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량높낮이조절부(300)는 차량의 높이에 따라 와이어윈치(117)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높낮이조절부(300)는 높낮이조절관(310), 조절모터(311), 스크류부재(312), 승하강스크류(313), 이탈방지단(314), 스크류홈(315), 정지단(316), 차량높이감지센서(3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관(310)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 상부에서 각각 결합되어 슬라이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모터(311)는 승하강스크류(313)를 회전시켜 제1수직기둥(110) 상에서 높낮이조절관(31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제2수직기둥(113) 상에서 높낮이조절관(310)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모터(311)는 각각의 높낮이조절관(310) 내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부재(312)는 승하강스크류(313)에 결합되어 승하강스크류(313)의 회전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부재(312)는 높낮이조절관(310) 내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스크류(313)는 조절모터(311)의 구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스크류(313)는 일측이 조절모터(311)의 모터축에 연결되고, 타측이 스크류부재(312)에 결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단(314)은 회전되는 승하강스크류(313)를 따라 승하강되는 높낮이조절관(310)이 각각의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 상에서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단(314)은 승하강스크류(313)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홈(315)은 높낮이조절관(310)의 승하강시 승하강스크류(313)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의 각각 내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홈(315)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 각각 내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지단(316)은 하강되는 높낮이조절관(310)을 정지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정지단(316)은 제1수직기둥(110)과 제2수직기둥(113) 각각의 하부 외둘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높이감지센서(317)는 진입하는 차량의 높이를 감지하며, 감지된 정보를 조절모터(311)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차량높이감지센서(317)는 각각의 높낮이조절관(310) 외부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인 차양조절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양조절부(400)는 작업자 추락방지장치(100)에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차양조절부(400)는 진입되는 차량의 상부로 조사되는 빛을 차단하고, 우천시 차량 상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조절부(400)는 막케이스(410), 막고정바(411), 막이송바(412), 차양막(413), 텐션와이어(414), 이송부재(415), 막이송홈(416), 권취모터(417), 권취기어(418), 권취와이어(419), 조사량감지센서(420), 습도감지센서(4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케이스(410)는 막이송바(412)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막케이스(410)는 제1지지기둥(111)과 제2지지기둥(114) 일측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고정바(411)는 제1지지기둥(111)측 막케이스(410)와 제2지지기둥(114)측 막케이스(410) 일측에서 차양막(413)의 일측을 고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이송바(412)는 일측이 제1지지기둥(111)측에 형성되는 막케이스(4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부재(415)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지지기둥(114)측에 형성되는 막케이스(410)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이송부재(415)에 결합되며, 차양막(413)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양막(413)은 빛을 차단하고,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텐션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차양막(413)은 일측이 막고정바(411)에 고정되고, 타측이 막이송바(412)에 고정되어 텐션에의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텐션와이어(414)는 막이송바(412)에 의해 펼쳐지는 차양막(413)을 막이송바(412)를 당겨 초기 위치로 자동 접혀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텐션와이어(414)는 일측이 이송부재(415)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막케이스(410) 내부 일측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부재(415)는 권취모터(417)의 구동시 막이송홈(416)을 따라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권취모터(417)의 미구동시 막이송홈(416)을 따라 초기 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부재(415)는 막이송바(412)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막이송홈(416)은 막케이스(410) 일측으로 이송부재(415)가 슬라이드 이동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모터(417)는 권취기어(418)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모터(417)는 막케이스(410) 타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기어(418)는 권취모터(417)의 구동시 권취와이어(419)를 권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기어(418)는 권취모터(417)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권취와이어(419)는 권취모터(417)의 구동시 권취기어(418) 측으로 권취되며, 권취모터(417)의 미구동시 텐션와이어(414)에 의해 권취기어(418)에서 자동 풀리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권취와이어(419)는 일측이 이송부재(415)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권취기어(418)에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사량감지센서(420)는 빛의 조사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권취모터(417)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사량감지센서(420)는 제1지지기둥(111) 측에 형성되는 막케이스(4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습도감지센서(421)는 빗물이나 수분을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권취모터(417) 측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습도감지센서(421)는 제2지지기둥(114) 측에 형성되는 막케이스(410)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추락방지장치
110 : 제1수직기둥 111 : 제1지지기둥
112 : 제1와이어고정부재 113 : 제2수직기둥
114 : 제2지지기둥 115 : 제2와이어고정부재
116 : 고정와이어 117 : 와이어윈치
118 : 윈치고정고리 119 : 작업자연결와이어
120 : 수평고정프레임 121 : 벽체고정관
122 : 파손방지관
200 : 작업자승하강부 210 : 승하강관
211 : 승하강판 212 : 모터지지판
213 : 승하강모터 214 : 모터풀리
215 : 와이어관통홀 216 : 승하강와이어
217 : 와이어고리 218 : 승하강가이드관
219 : 가이드바 220 : 가이드부재
221 : 바관통홀 222 : 모터고정판
223 : 축회전모터 224 : 회전축
225 : 베어링고정판 226 : 축베어링
227 : 발판
300 : 차량높낮이조절부 310 : 높낮이조절관
311 : 조절모터 312 : 스크류부재
313 : 승하강스크류 314 : 이탈방지단
315 : 스크류홈 316 : 정지단
317 : 차량높이감지센서
400 : 차양조절부 410 : 막케이스
411 : 막고정바 412 : 막이송바
413 : 차양막 414 : 텐션와이어
415 : 이송부재 416 : 막이송홈
417 : 권취모터 418 : 권취기어
419 : 권취와이어 420 : 조사량감지센서
421 : 습도감지센서
110 : 제1수직기둥 111 : 제1지지기둥
112 : 제1와이어고정부재 113 : 제2수직기둥
114 : 제2지지기둥 115 : 제2와이어고정부재
116 : 고정와이어 117 : 와이어윈치
118 : 윈치고정고리 119 : 작업자연결와이어
120 : 수평고정프레임 121 : 벽체고정관
122 : 파손방지관
200 : 작업자승하강부 210 : 승하강관
211 : 승하강판 212 : 모터지지판
213 : 승하강모터 214 : 모터풀리
215 : 와이어관통홀 216 : 승하강와이어
217 : 와이어고리 218 : 승하강가이드관
219 : 가이드바 220 : 가이드부재
221 : 바관통홀 222 : 모터고정판
223 : 축회전모터 224 : 회전축
225 : 베어링고정판 226 : 축베어링
227 : 발판
300 : 차량높낮이조절부 310 : 높낮이조절관
311 : 조절모터 312 : 스크류부재
313 : 승하강스크류 314 : 이탈방지단
315 : 스크류홈 316 : 정지단
317 : 차량높이감지센서
400 : 차양조절부 410 : 막케이스
411 : 막고정바 412 : 막이송바
413 : 차양막 414 : 텐션와이어
415 : 이송부재 416 : 막이송홈
417 : 권취모터 418 : 권취기어
419 : 권취와이어 420 : 조사량감지센서
421 : 습도감지센서
Claims (3)
- 차량 상부에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자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는,
지면 일측으로 제1지지기둥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1수직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제1수직기둥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제1지지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지지기둥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와이어고정부재와,
지면 타측으로 제2지지기둥을 지지하도록 매립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제2수직기둥과,
고정와이어의 처짐을 방지하고, 와이어윈치의 무게와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제2수직기둥 상부로 연결 형성되는 제2지지기둥과,
고정와이어의 타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지지기둥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2와이어고정부재와,
와이어윈치의 무게를 지지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제1와이어고정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와이어고정부재에 연결되는 고정와이어와,
작업자연결와이어를 권취하며, 작업자의 이동에 따라 작업자연결와이어가 자동 권출되도록 하며, 작업자의 추락시 작업자연결와이어를 브레이킹하여 권출되지 못하도록 고정와이어에 연결 형성되는 와이어윈치와,
와이어윈치가 고정와이어에 결속되며, 작업자의 이동시 고정와이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와이어윈치 일측으로 형성되는 윈치고정고리와,
작업자와 와이어윈치 간의 연결을 위해 일측이 작업자의 안전띠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윈치에 권취 형성되는 작업자연결와이어와,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을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측이 제1수직기둥 상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수직기둥 상부 일측으로 결합 형성되는 수평고정프레임과,
수평고정프레임이 건물벽에 고정 될 수 있도록 일측이 수평고정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건물벽에 매립 형성되는 벽체고정관과,
진입하는 차량으로 인한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제1수직기둥과 제2수직기둥 하부 둘레로 형성되는 파손방지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추락방지장치는,
차량 상부 위치로 작업자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자승하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승하강부는,
승하강모터의 구동으로 제1수직기둥에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제1수직기둥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승하강모터의 구동시 연결되는 승하강와이어에 의해 승하강관이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하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승하강판과,
승하강모터를 지지하기 위해 제1수직기둥 상부로 형성되는 모터지지판과,
모터풀리를 회전시켜 승하강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기 위해 모터지지판에 안착 형성되는 승하강모터와,
승하강모터의 구동시 회전되어 승하강와이어를 권취하거나, 권출하도록 승하강모터의 모터축에 연결 형성되는 모터풀리와,
승하강와이어가 관통되어 모터지지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모터지지판 일측으로 관통형성되는 와이어관통홀과,
승하강모터의 동시 모터풀리로 권취되거나, 모터풀리로부터 권출되어 승하강판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일측이 모터풀리에 연결되고, 타측이 와이어고리에 고정 형성되는 승하강와이어와,
승하강와이어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승하강판 상면 일측으로 형성되는 와이어고리와,
승하강관에 연결되는 회전축에 의해 승하강관의 승하강시 동시에 승하강될 수 있도록 제2수직기둥 상에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승하강가이드관과,
승하강가이드관의 슬라이드 승하강시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이 승하강가이드관 상면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바관통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바와,
승하강되는 가이드바가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해 제2수직기둥 상부로 형성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바가 밀착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바관통홀과,
축회전모터를 지지하도록 승하강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모터고정판과,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생성하기 위해 모터고정판 일측으로 형성되는 축회전모터와,
축회전모터의 구동시 회전될 수 있도록 일측이 축회전모터에 연결되고, 타측이 축베어링에 삽입 형성되는 회전축과,
축베어링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승하강가이드관 일측으로 형성되는 베어링고정판과,
회전축의 타측이 삽입되어 축회전모터의 구동시 회전되는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고정판에 삽입형성되는 축베어링과,
회전축의 회전시 회전됨으로 사용시 차량측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며, 미사용시 수직방향으로 원위치되도록 회전축 상에 결합 형성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91224A KR102602759B1 (ko) | 2022-12-30 | 2022-12-30 |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91224A KR102602759B1 (ko) | 2022-12-30 | 2022-12-30 |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02759B1 true KR102602759B1 (ko) | 2023-11-14 |
Family
ID=88744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91224A KR102602759B1 (ko) | 2022-12-30 | 2022-12-30 |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02759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4776A (ja) * | 2000-09-28 | 2002-04-10 | Takenaka Komuten Co Ltd | 輸送車両からの墜落防止用自動車 |
JP2012024500A (ja) * | 2010-07-27 | 2012-02-09 | Mitani Sekisan Co Ltd | 落下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下防止方法 |
KR20200056691A (ko) * | 2018-11-15 | 2020-05-25 |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
JP2020146090A (ja) * | 2019-03-11 | 2020-09-17 | 加藤 隆 | 貨物自動車荷台からの墜落防止装置 |
KR20220095550A (ko) * | 2020-12-30 | 2022-07-07 | 김재헌 | 물건 승하강 장치 |
KR102418954B1 (ko) | 2022-04-19 | 2022-07-12 | (주)채움종합건설 | 추락방지를 위한 작업자 안전고리 체결확인시스템 |
-
2022
- 2022-12-30 KR KR1020220191224A patent/KR10260275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04776A (ja) * | 2000-09-28 | 2002-04-10 | Takenaka Komuten Co Ltd | 輸送車両からの墜落防止用自動車 |
JP2012024500A (ja) * | 2010-07-27 | 2012-02-09 | Mitani Sekisan Co Ltd | 落下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落下防止方法 |
KR20200056691A (ko) * | 2018-11-15 | 2020-05-25 |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
JP2020146090A (ja) * | 2019-03-11 | 2020-09-17 | 加藤 隆 | 貨物自動車荷台からの墜落防止装置 |
KR20220095550A (ko) * | 2020-12-30 | 2022-07-07 | 김재헌 | 물건 승하강 장치 |
KR102418954B1 (ko) | 2022-04-19 | 2022-07-12 | (주)채움종합건설 | 추락방지를 위한 작업자 안전고리 체결확인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98835U (ja) | タワークレーンの昇降安全装置 | |
US20180177351A1 (en) | Washing apparatus with operator station | |
KR102251663B1 (ko) |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 |
KR102267639B1 (ko) | 안전수직패널을 포함하는 시스템비계장치 | |
KR101423496B1 (ko) |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 |
KR102602759B1 (ko) |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 |
KR102560658B1 (ko) |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 |
KR101982932B1 (ko) | 타워크레인의 승강 안전시스템 | |
KR200413596Y1 (ko) | 빌딩보수ssp장치 | |
US20070267249A1 (en) | Roof safety system | |
US8534420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lowering user from structure | |
KR200367314Y1 (ko) | 작업자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 |
JP4669692B2 (ja) | クライミング型ジブクレーン | |
US20200386051A1 (en) | Escape system comprising extendible ladder | |
JP3034574U (ja) | ベルト巻取式墜落防止装置 | |
CN212837426U (zh) | 一种光电的智能防护装置 | |
KR101166116B1 (ko) | 안전 사다리 장치 | |
KR102336668B1 (ko) | 조합놀이장치 | |
CN218759101U (zh) | 一种具有辅助安全攀爬功能的灯杆式塔 | |
KR102446293B1 (ko) | 사다리차 탑승장치 | |
KR102540016B1 (ko) | 현수막 고소설치형 현수막게시장치 | |
CN219972956U (zh) | 一种用于安装铁路桥梁人行道钢支架的吊篮装置 | |
CN213898040U (zh) | 一种用于室外建筑的建筑平台 | |
CN217581358U (zh) | 一种桩孔临时安全防护装置 | |
CN114232963B (zh) | 一种钢结构建筑墙体安装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