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6691A -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 Google Patents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6691A
KR20200056691A KR1020180140664A KR20180140664A KR20200056691A KR 20200056691 A KR20200056691 A KR 20200056691A KR 1020180140664 A KR1020180140664 A KR 1020180140664A KR 20180140664 A KR20180140664 A KR 20180140664A KR 20200056691 A KR20200056691 A KR 2020005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unit
fork
lift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6691A/ko
Publication of KR2020005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6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66F9/087Monoma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부품이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이 담긴 박스, 과수 농가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작업자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와, 이 단일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중량물 탑재용 포크부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저면부 일측에는 작업자의 발을 이용하여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단일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롤러유닛에는 포크부 자체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부품 박스 등의 중량물을 좁은 작업장 내에서 수작업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과수원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Manual lifter of gravity carrier}
본 발명은 각종 부품이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이 담긴 박스, 과수 농가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작업자가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조 및 조립업체에 있어서는 부품 조립을 위해 소규모 단위로 분업화되어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개의 조립 라인에서는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작업을 되풀이하게 된다.
산업 로보트와 같은 자동화 설비의 경우, 장치 자체의 설치비가 고가이기는 하지만 작업 능률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잇점을 갖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큰 업체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반면에, 소규모 업체에서는 경비 부담이 적은 수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가공이나 조립을 위한 부품이 담겨져 있는 무거운 박스를 작업자 주위의 바닥까지 운반한 다음 다시 박스를 작업대 위로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제품을 박스에 담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힘겨운 일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한층 가중시키게 되어 능률을 떨어뜨리게 된다.
단순히 부품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조립하는 업체에서는 단순 작업이기 때문에 인건비가 비싼 고비용의 숙련공을 라인에 투입하지 않고 비교적 인건비가 싼 비숙련공을 채용하고 있으며, 비숙련공인 경우에도 남성보다 힘이 약한 여성작업자를 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보다는 무거운 박스를 들어 옮기는데 더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힘드는 일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에서는 조립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작업대까지 운반하거나 작업대 위로 들어 올리고 내리는 기능을 갖춘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일반 과수원 등의 경우에도 비좁은 현장에서 채취한 생산물을 차량 적재함까지 운반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등록특허 제0954493호(2010.04.15 등록) - 수동 포크리프트. 등록특허 제0994595호(2010.11.09 등록) - 수동 리프트. 등록특허 제1060497호(2011.08.24 등록) - 수동 리프트. 등록특허 제1060486호(2011.08.24 등록)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 리프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전,후의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수작업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과수 농가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운반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의 구동시에 단일 지주를 통해 포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치의 점유면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포크부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바퀴에 제동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량물의 탈락으로 인한 손실을 억제하고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와, 이 단일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중량물 탑재용 포크부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부의 한쪽 가장자리에 요홈 및 지지바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자의 발을 이용하여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단일 지주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의 요홈 내에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지지바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는 수직판 및 이 수직판의 하단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판을 가짐과 동시에 단일 지주 상에 조립되는 롤러유닛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은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 및 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지주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를 통해 수직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 및 이 발판의 선단부에 장착된 롤러와, 이 롤러를 포함한 가이드 롤러에 의해 유지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신축에 의해 바퀴 표면에 밀착되거나 이탈하는 패드와, 상기 발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력있게 설치된 누름편과, 이 누름편에 연동하여 발판에 형성된 톱니부를 걸어멈추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링크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롤러유닛은 단일 지주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 및 제2롤러가 양 브라켓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어지며, 이 제2롤러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포크부에는 자체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각도조절유닛은 포크부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각각 장공 및 통공이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과, 이 브라켓의 장공 및 통공에 각각 조립되는 편심축을 포함한 중심축과, 상기 편심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부품 박스 등의 중량물을 좁은 작업장 내에서 수작업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과수원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중량물을 들거나 내려야 하는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일 지주(支柱)를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 및 지지바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포크부의 승,하강시에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리프트 제작에 소요되는 철판 자재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용접작업을 최소화 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포크부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을 보다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다.
더구나, 중량물이 탑재되는 포크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트의 정차시에 바퀴의 움직임을 확실히 억제하여 제품 탈락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등록특허 제0994595호에 개시된 수동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포크부가 하향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트를 나타낸 전면측 사시도,
도 5는 수동 리프트의 후면측 사시도,
도 6은 수동 리프트의 측면도,
도 7a, 도 7b는 본체 프레임과 단일 지주의 결속관계를 나타낸 부분 발췌도,
도 8은 수동 리프트의 평면도,
도 9a, 도 9b는 포크부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10a, 도 10b는 브레이크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1은 브레이크 유닛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2은 브레이크 유닛을 구성하는 발판 및 누름편의 설치 상태 정면도,
도 13는 단일 지주에 장착된 롤러유닛 및 각도조절유닛의 사시도,
도 14a, 도 14b는 도 13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5는 각도조절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a, 도 16b는 각도조절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099459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리프트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10)과, 이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 측부에 각각 이동바퀴(310,32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포크부(50)와, 이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동 리프트의 수직프레임(10)과 포크부(50)에는 각각 롤러(11,51)가 구비된다. 즉 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X축)으로 형성되는 수평대(13)의 하부면 중심부에 롤러(11)가 전후방향(Y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크부(50)의 후면 중심부 상측에는 롤러(51)가 좌우방향(X축 참조)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70)는 와이어 윈치(710)와 와이어(730)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윈치(710)는 수평대(13)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수직프레임(10)의 중심부보다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좌우방향(X축)으로 고정대(15)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730)의 일단부는 와이어 윈치(7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 및 포크부(50)의 롤러(5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프레임(30)의 롤러(11)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수평대(13)의 하부면에 중심부가 볼록하게 나온 돌출부(13a)의 중심부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감겨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 윈치(710)를 이용하여 와이어(730)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고, 이 때 상기 포크부(50)는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방향(Z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거운 대상물(미도시)이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부(70)에 의해 포크부(50)가 승강할 때 와이어(730)를 통해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는 대상물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 중심부에는 와이어(730)를 통해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50)의 양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하방향(Z축)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방향(X축)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122)과 확장부(124)가 구비되며, 가이드홈(122)은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상하방향(Z축)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2)은 승강부(70)에 의해 승강하는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의 상하방향(Z축)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상기 확장부(124)는 가이드홈(122)과 연이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하부 전측방향(Y축 )으로 전,후의 폭이 확장된다.
상기 포크부(50)의 무게중심이 포크부(50)의 전측방향(Y축)에 위치함에 따라 포크부(50)가 지면에 다다를 때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가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안내되는 가이드홈(122)과, 상기 포크부(50)가 지면에 다다를 때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가 전측방향(Y축)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홈(122)의 하부에 전측방향(Y축)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크부(50)가 후측에서 전측방향(Y축)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어 포크부(50)가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의 하측과 확장부(124)의 상측 사이에 경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126)는 상측에서 하측방향(Z축)으로 갈수록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하부 전측방향(Y축)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확장부(124)내에 위치하는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가이드홈(122)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1)을 통해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폭이 넓은 양측 프레임(110,120)의 사이에서 포크부(50)가 승,하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비의 점유 공간으로 인해 비교적 좁은 통로를 갖추고 있는 사업장 내에서 운전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 자체가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품 가격에 따른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더구나, 상기 포크부(50)의 선단부가 경사진 상태에서 무거운 대상물을 들어 올리는 구조이므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제반 문제들을 고려하여 수작업 라인에서 조립용 부품이 담긴 박스, 과수 농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수동 리프트로서, 첨부된 도 4 내지 도 16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본체 프레임(20)과, 이 본체 프레임(20)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40)와, 이 단일 지주(40)를 따라 승,하강하는 중량물 탑재용 포크부(60)와, 이 포크부(6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바닥면 모서리부분에는 바퀴(21)가 장착되어 지면으로부터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측 평판부(22)의 안쪽 가장자리에 요홈(23) 및 지지바(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퀴(21)의 경우,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리프트의 방향 전환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저면부 일측에는 작업자의 발을 이용하여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26)이 구비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 유닛(26)은 본체 프레임(20)의 하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27a)과, 이 발판(27a)의 선단부에 장착된 롤러(27b)와, 이 롤러(27b)에 유지되는 와이어(28)와, 이 와이어(28)를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29a,29b)와, 와이어(28)의 신축에 의해 바퀴(21)의 표면에 밀착되거나 이탈하는 패드(30)와, 상기 발판(27a)의 일측에 장착되어 스프링(31)에 의해 탄력있게 설치된 누름편(32)과, 이 누름편(32)에 연동하여 발판(27a)에 형성된 톱니부(T)를 걸어멈추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링크(33)로 이루진다.
또, 상기 패드(30)의 일측면에는 스프링(34) 및 텐션조절볼트(35)가 하우징(36)을 개재하여 설치됨에 따라 바퀴(21)에 가해지는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지지바(24) 및 단일 지주(40)의 하단부 측면에는 결속편(25a,25b)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단일 지주(40)의 하단부를 요홈(23) 내로 조립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단일 지주(40)의 상부 선단에는 절결홈(41)이 형성되어 축(42)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43)가 장착된다.
상기 포크부(60)는 수직판(61)을 포함하여 이 수직판(61)의 하단부에서 전면으로 연이어져 돌출되는 수평판(62)을 가짐과 동시에 수직판(61)의 후면에 롤러유닛(63)이 장착되어 단일 지주(40)에 조립된다.
상기 롤러유닛(63)은 단일 지주(40)의 상,하측에 각각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64a) 및 제2롤러(64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롤러(64a,64b)는 양측의 평판형 브라켓(65)에 의해 결속되고, 이 제2롤러(64b)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66)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63)을 구성하는 평판형 브라켓(65)의 일측에는 포크부(60)의 자체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67)이 구비되어 있다.
이 각도조절유닛(67)은 포크부(6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각각 장공(68a) 및 통공(68b)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69)과, 이 브라켓(69)의 장공(68a) 및 통공(68b)에 각각 조립되는 편심축(70a)을 포함한 중심축(70b)과, 상기 편심축(70a)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7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동유닛(80)은 손잡이(81)를 갖는 케이싱(82) 내에 배치되어 배터리(83)에 의해 전원이 제공되는 감속모터(84) 및 이 감속모터(84)의 작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8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권취보빈(85)에 감겨지는 와이어(W)가 단일 지주(40)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43)를 통해 수직판(61)에 결속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작동스위치(86)를 조작하여 감속모터(84)를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와이어(W)가 권취보빈(85)에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포크부(60)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W)를 당겨 권취보빈(85)에 감아주게 되면 포크부(60)가 단일 지주(40)로부터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손잡이(81) 및 본체 프레임(20)의 바닥면에 장착된 바퀴(21)를 이용하여 리프트를 수작업 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리프트에 의해 부품이 담긴 박스(B)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정 위치에 리프트를 정차시킨 후 브레이크 유닛(26)을 이용하여 바퀴(21)에 제동력을 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감속모터(84)를 작동시켜 권취보빈(85)으로부터 와이어(W)를 풀어줌에 따라 포크부(60)는 자중에 의해 단일 지주(40)에서 하강하여 지면에 닿는 최 하단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부품 박스(B)를 포크부(60)에 탑재한 후 브레이크 유닛(26)에 의한 바퀴(21)의 제동을 풀어 리프트를 손쉽게 타 조립라인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유닛(26)의 경우, 평상시에는 항상 바퀴(21)에 제동력이 가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리프트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발판(27a)을 밟아줌으로써 롤러(27b)가 와이어(28)를 밀어올려 긴장시키게 되고, 패드(30)가 스프링(34)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바퀴(21)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제동력이 풀려 리프트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누름편(32)을 밟게 되면 링크(33)가 발판(27a)의 톱니부(T)에서 벗어남과 동시에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패드(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바퀴(21)에 제동력을 가함으로써 리프트는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포크부(60)는 단일 지주(40)의 하단부가 본체 프레임(20)에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23) 및 지지바(24)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롤러유닛(63)에 의해 단일 지주(40)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포크부(60)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어 박스(B)를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포크부(60)의 경우에는 자체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6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박스(B)를 포크부(60)에 탑재한 상태에서 후방측으로 기울여 박스(B)가 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유닛(67)을 구성하는 핸들(71)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브라켓(69) 상의 하단 중심축(70b)을 기준으로 상단의 편심축(70a)이 회동하게 되고, 이 편심축(70a)이 장공(68a) 내에서 시계방향으로 브라켓(69)을 밀어냄에 따라 포크부(60)를 구성하는 수평판(62)의 선단부가 지면에 대해 상향 유지된다.
따라서, 리프트의 이동시에 수평판(62) 상에 탑재된 박스(B)가 탈락하는 등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의하면, 부품 박스 등의 중량물을 좁은 작업장 내에서 수작업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과수원 등지에서의 생산물이 담긴 박스는 물론 드럼이나 철선 등과 같은 중량물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중량물을 들거나 내려야 하는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일 지주를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 및 지지바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포크부의 승,하강시에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리프트 제작에 소요되는 철판 자재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용접작업을 최소화 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포크부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을 보다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다.
더구나, 중량물이 탑재되는 포크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트의 정차시에 바퀴의 움직임을 확실히 억제하여 제품 탈락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20: 본체 프레임 21: 바퀴
22: 평판부 23: 요홈
24: 지지바 25a,25b: 결속편
26: 브레이크 유닛 27a: 발판
27b: 롤러 28: 와이어
29a,29b: 가이드 롤러 30: 패드
31: 스프링 32: 누름편
33: 링크 34: 스프링
35: 텐션조절볼트 36: 하우징
40: 지주 41: 절결홈
42: 축 43: 롤러
60: 포크부 61: 수직판
62: 수평판 63: 롤러유닛
64a: 제1롤러 64b: 제2롤러
65: 브라켓 66: 공간부
67: 각도조절유닛 68a: 장공
68b: 통공 69: 브라켓
70a: 편심축 70b: 중심축
71: 핸들 80: 구동유닛
81: 손잡이 82: 케이싱
83: 배터리 84: 감속모터
85: 권취보빈 86: 작동스위치

Claims (4)

  1.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20)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40)와, 이 단일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중량물 탑재용 포크부(60)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8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부(22)의 한쪽 가장자리에 요홈(23) 및 지지바(24)가 형성됨과 동시에 바퀴(21)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자의 발을 이용하여 바퀴에 제동력을 가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브레이크유닛(2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단일 지주(40)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의 요홈(23) 내에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지지바(24)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는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43)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60)는 수직판(61) 및 이 수직판(61)의 하단부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판(62)을 가짐과 동시에 단일 지주(40) 상에 조립되는 롤러유닛(6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유닛(80)은 감속모터(84)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85) 및 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W)가 지주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43)를 통해 수직 하우징(61)에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유닛(26)은 본체 프레임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27a) 및 이 발판의 선단부에 장착된 롤러(27b)와, 이 롤러를 포함한 가이드 롤러(29a,29b)에 의해 유지되는 와이어(28)와, 상기 와이어의 신축에 의해 바퀴 표면에 밀착되거나 이탈하는 패드(30)와, 상기 발판(27a)의 일측에 장착되어 스프링(31)에 의해 탄력있게 설치된 누름편(32)과, 이 누름편(32)에 연동하여 발판(27a)에 형성된 톱니부(T)를 걸어멈추거나 해제시키기 위한 링크(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63)은 단일 지주(40)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64a) 및 제2롤러(64b)가 양 브라켓(65)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어지며, 이 제2롤러(64b)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66)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60)에는 자체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유닛(67)이 구비되어 있고, 이 각도조절유닛(67)은 포크부(60)의 후면에 일체형으로 장착됨과 동시에 각각 장공(68a) 및 통공(68b)이 형성된 한쌍의 브라켓(69)과, 이 브라켓의 장공 및 통공에 각각 조립되는 편심축(70a)을 포함한 중심축(70b)과, 상기 편심축을 회동시키기 위한 핸들(7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20180140664A 2018-11-15 2018-11-15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56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64A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18-11-15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0664A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18-11-15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691A true KR20200056691A (ko) 2020-05-25

Family

ID=7091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664A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18-11-15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669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01A (ko) 2020-12-17 2022-06-24 김근호 차량 루프 적재용 화물 리프터
KR102602759B1 (ko) * 2022-12-30 2023-11-14 신행익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3B1 (ko) 2009-10-07 2010-04-22 이두현 수동 포크리프트
KR100994595B1 (ko) 2010-07-15 2010-11-15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1-08-30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3B1 (ko) 2009-10-07 2010-04-22 이두현 수동 포크리프트
KR100994595B1 (ko) 2010-07-15 2010-11-15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1-08-30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01A (ko) 2020-12-17 2022-06-24 김근호 차량 루프 적재용 화물 리프터
KR102602759B1 (ko) * 2022-12-30 2023-11-14 신행익 작업자 추락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257B2 (ja) メインローラ用リフタ
JP4928600B2 (ja) マスト式リフト及びマスト式リフトシステム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0591111B1 (ko) 스태커 크레인
KR102410611B1 (ko) 스태커 크레인
KR102340469B1 (ko) 무동력 리프트 장치
KR101007540B1 (ko) 건설공사용 리프트의 비상안전장치
CN206278846U (zh) 车间挂壁式大刚性悬臂起重机
KR20200004994A (ko)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10036610A (ko) 핸드리프트 트럭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JPS6225597B2 (ko)
JP5305344B2 (ja) 巻上機据付装置
JP7031183B2 (ja) 昇降装置、及び自動倉庫
CN214568546U (zh) 一种固定效果较好的运输装置
JP2020189714A (ja) 荷搬送作業車
JP5523214B2 (ja) エレベータ
JPH0357020B2 (ko)
JP2657849B2 (ja) オーダピッキングリフトトラック
CN109052140B (zh) 轧机牌坊吊装方法
JP4791719B2 (ja) ガスボンベ交換装置
CN219970792U (zh) 一种堆垛机
KR100828693B1 (ko) 오버 헤드 드롭 리프터 장치
KR101054857B1 (ko) 갠트리의 마스트
JP2500805Y2 (ja) 手動昇降台を有するスタッカクレ―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