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4493B1 - 수동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수동 포크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493B1
KR100954493B1 KR1020090094980A KR20090094980A KR100954493B1 KR 100954493 B1 KR100954493 B1 KR 100954493B1 KR 1020090094980 A KR1020090094980 A KR 1020090094980A KR 20090094980 A KR20090094980 A KR 20090094980A KR 100954493 B1 KR100954493 B1 KR 10095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vertical frame
vertical
leg portion
axial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이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현 filed Critical 이두현
Priority to KR102009009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3Fork-lift trucks adapted to be carried by transport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부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수직프레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다리부, 수직프레임, 포크부, 승강부

Description

수동 포크리프트{A FORK LIFT}
본 발명은 포크부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수직프레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포크리프트는 트럭, 용달차 등의 이동차량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작업현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트럭, 용달차 등의 이동차량에 상기 포크리프트가 접철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 선행기술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0260호(수동식 포터블·포크리프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15145호(접철식 수동 리 프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0260호(수동식 포터블·포크리프트)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15145호(접철식 수동 리프트)는 대게 포크부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상태의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리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포크부를 통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을 들어올린 상태로 이동할 시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중량물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포크부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수직프레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수동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단에 각각 캐스터가 형성된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상하경사도조절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포크부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는 상기 포크부의 타단부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과, 상 기 바닥면의 일측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일측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단차부와; 상기 제 1단차부의 일측방향에 상기 제 1단차부보다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 1단차부의 일측면 상측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일측 상부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단차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되고,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 상부에는 상기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을 위치고정시키는 수평고정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평고정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판에 형성되는 고정공에 삽입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을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고정부재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 전후로 가이드슬릿이 연장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슬릿을 따라 전후회전이동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단부 상하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재의 상단부가 전후회전이동할 시 전후이동하는 전후측 이동축과; 상기 전후측 이동축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부에 상기 전후측 이동축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후측 이동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고정되는 전후측 삽입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포크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전후로 축결합된 가이드축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부를 따라 상하회전이동하여 상하경사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전후측 포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포크부에는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의 수평부재의 타단부 상하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경사도 조절부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전후로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손잡이부재의 전측에 상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재의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시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전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가이드축의 외주연에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축이 회전할 시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의 수평부재의 타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평부재의 타단부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판과, 상기 가이드축의 전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하측과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상하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축을 회전시키는 회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포크부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의 무게 중심을 수직프레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에 적재된 대상물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부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가 특히,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차부 중 제 2단차부의 경사면을 통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이 상기 포크부의 상부면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가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을 위치고정시키는 수평고정부재로 인해 상기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을 트럭, 용달차 등의 이동차량에 적재시켜 작업현장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와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고정부재로 인해 상기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이 보다 더욱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수직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 손잡이부재, 전후측 이동축 및 전후측 삽입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수직고정부재로 인해 상기 수직프레임이 상기 다리부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보다 더욱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포크부가 몸체와 전후측 포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포크부에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의 수평부재의 타단부 상하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부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포크부의 상하경사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일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다리부(10), 수직프레임(30), 포크부(50) 및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다리부(10)는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수평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다리부(10)의 양단에는 작업현장 등의 바닥과 접하는 캐스터(101)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장방형의 형상을 이룰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포크부(50)는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것이다.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에 상하경사도조절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70)는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승강부(70)는 공지된 기술로써,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315145호(접철식 수동 리프트)의 승강기구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포크부(50)가 대상물(5)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의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단차부(51)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포크부(50)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상기 단차부(51)가 형성되기 때문에 도 2의 a), b),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가 특히, 작업현장 등의 바 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5)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51)는 도 2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 2단차부(510, 530)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단차부(510)는 상기 포크부(50)의 타단부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511)과; 상기 바닥면(511)의 일측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일측면(5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부(530)는 상기 제 1단차부(510)의 일측방향에 상기 제 1단차부(5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차부(530)는 상기 제 1단차부(510)의 일측면(513)의 상측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531)과; 상기 바닥면(531)의 일측 상부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51) 중 상기 제 2단차부(530)의 경사면(533)을 통해 도 2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5)이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50)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대상물(5) 방향으로 이동하여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상기 대상물(5)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수직프레임(30)이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의 a),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는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을 위치고정시키는 수평고정부재(1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을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수평고정부재(11)로 인해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음을 물론 상기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을 트럭, 용달차 등의 이동차량에 적재시켜 작업현장 등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상기 수평고정부재(11)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10)와 고정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 각각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130)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핀(130)과 접하는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1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좌우방향으로 수평형성되는 고정판(31)에 형성되는 고정공(310)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110)와 고정핀(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수평고정부재(11)로 인해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이 보다 더욱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수직고정부재(33)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을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수직고정부재(33)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수직고정부재(33)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330), 손잡이부재(331), 전후측 이동축(333, 335) 및 전후측 삽입축(337, 33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33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 전후로 가이드슬릿(330a)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331)는 상기 몸체(330)의 내부 중심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수직으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슬릿(330a)을 따라 전후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측 이동축(333)은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하단부 하측에 일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이동축(333)은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상단부가 전후 회전이동할 시 전후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측 이동축(335)은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하단부에 상측에 타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경사진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이동축(335)은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상단부가 전후 회전이동할 시 전후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측 삽입축(337)은 상기 전측 이동축(333)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삽입축(337)의 양단부는 상기 몸체(330)의 내부 상측에 전후방향으로 양단부가 각각 축결합되는 가이드축(330b)의 외주연에 상측이 축결합되는 전측 이동부재(336)의 일측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고정편(336a)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이동축(333)이 전후이동할 시 상기 전측 이동부재(336)와 상기 전측 삽입축(337)은 상기 전측 이동축(333)을 따라 전후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측 이동축(333)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전측 삽입축(337)의 타단부는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103)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삽입축(339)은 상기 후측 이동축(335)의 일단부에 타단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삽입축(339)의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축(330b)의 외주연에 상측이 축결합되는 후측 이동부재(338)의 일측면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는 고정편(338a)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이동축(335)이 전후이동할 시 상기 후측 이동부재(338)와 상기 후측 삽입축(339)은 상기 후측 이동축(335)을 따라 전후이동하게 된다.
상기 후측 이동축(335)를 따라 전후이동하는 상기 후측 삽입축(339)의 일단부는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내측에 형성되는 삽입공(103)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330), 손잡이부재(331), 전후측 이동축(333, 335) 및 전후측 삽입 축(337, 3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수직고정부재(33)로 인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보다 더욱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의 포크부(50)를 확대한 일부확대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는 몸체(550)와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55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7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는 수직부재(571, 591)와, 수평부재(573, 59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재(571, 591)는 상기 몸체(550)의 내부 상측에 전후로 축결합된 상기 가이드축(551)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평부재(573, 593)는 상기 수직부재(571, 59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부재(571, 591)의 하단부를 따라 상하회전이동하여 상하경사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에는 상기 단차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는 평상시 "┘"형상(도 3의 a)의 점선 참조.)을 이룬 상태에서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 "형상(도 3의 a)의 실선참조.)을 이룰 수 있다.
"└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는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포크부(50)가 상기 몸체(550)와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50)의 상하경사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에는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의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 상하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부(5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도 조절부(560)는 손잡이부재(561), 상하이동부재(563) 및 경사도 조절부재(5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561)는 상기 몸체(550)의 상부에 전후로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몸체(550)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후측이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63)는 상기 손잡이부재(561)의 전측에 상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재(561)의 후측이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시 상하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상기 경사도 조절부재(565)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축(565a), 경사도 조절판(565b) 및 회전판(565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565a)은 상기 몸체(550)의 하부에 전후측이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경사도 조절판(565b)은 상기 가이드축(565a)의 외주연에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축(565a)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의 수평부재(573, 593)의 타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65c)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축(565a)의 전측에 일단부가 용접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563)의 하측과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565c)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63)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하회전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축(565a)을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포크부(50)에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의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 상하경사도를 조절하는 상기 경사도 조절부(560)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포크부(50)의 상하경사도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포크부(50)의 상하경사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포크부(50)가 작업현장 등의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5)을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의 상하경사도를 조절하여 상기 포크부(50)에 적재된 대상물(5)의 무게 중심을 상기 수직프레임(30)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50)에 적재된 대상물(5)이 이동과정 중에 낙하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포크부가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3은 수직프레임이 다리부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수직고정부재의 내부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포크부를 확대한 일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 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포크부의 상하경사도가 조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대상물, 10; 다리부,
101; 캐스터, 103; 삽입공,
11; 수평고정부재, 110, 330, 550; 몸체,
111; 탄성부재, 130; 고정핀,
30; 수직프레임, 31; 고정판,
33; 수직고정부재, 330a; 가이드슬릿,
331, 561; 손잡이부재, 333, 335; 전후측 이동축,
336; 전측 이동부재, 336a, 338a; 고정편,
337, 339; 전후측 삽입축, 338; 후측 이동부재,
50; 포크부, 51; 단차부,
510, 530; 제 1, 2단차부, 511, 531; 바닥면,
513; 일측면, 533; 경사면,
330b, 551, 565a; 가이드축, 560; 경사도 조절부,
563; 상하이동부재, 565; 경사도 조절부재,
565b; 경사도 조절판, 565c; 회전판,
570, 590; 전후측 포크부재, 571, 591; 수직부재,
573, 593; 수평부재.

Claims (9)

  1. 양단에 각각 캐스터(101)가 형성된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에 상하경사도조절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을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재(33)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고정부재(33)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부에 전후로 가이드슬릿(330a)이 연장형성되는 몸체(330)와;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가이드슬릿(330a)을 따라 전후회전이동하는 손잡이부재(331)와;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하단부 상하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축결합된 상태에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재(331)의 상단부가 전후회전이동할 시 전후이동하는 전후측 이동축(333, 335)과;
    상기 전후측 이동축(333, 335)의 타단부와 일단부에 각각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330)의 내부에 상기 전후측 이동축(333, 335)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전후측 이동축(333, 335)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공(103)에 삽입고정되는 전후측 삽입축(337, 339);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2. 양단에 각각 캐스터(101)가 형성된 다리부(10)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에 상하경사도조절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타측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7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몸체(550)와;
    상기 몸체(550)의 상부에 전후로 축결합된 가이드축(551)에 상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는 수직부재(571, 591)와, 상기 수직부재(571, 59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축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부재(571, 591)의 하단부를 따라 상하회전이동하여 상하경사도조절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는 수평부재(573, 593)로 구성되는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포크부(50)에는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의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 상하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부(560)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경사도 조절부(560)는 상기 몸체(550)의 상부에 전후로 구비되고, 전측이 상기 몸체(550)의 상부에 축결합된 상태에서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손잡이부재(561)와;
    상기 손잡이부재(561)의 전측에 상측이 축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재(561)의 후측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시 상하이동하는 상하이동부재(563)와;
    상기 몸체(550)의 하부에 전후측이 각각 축결합되는 가이드축(565a)과, 상기 가이드축(565a)의 외주연에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축(565a)이 회전할 시 상기 전후측 포크부재(570, 590)의 수평부재(573, 593)의 타측면과 접하여 상기 수평부재(573, 593)의 타단부 경사도를 조절하는 경사도 조절판(565b)과, 상기 가이드축(565a)의 전측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상하이동부재(563)의 하측과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이동부재(563)의 상하이동에 따라 타단부가 상하회전이동하여 상기 가이드축(565a)을 회전시키는 회전판(565c)으로 구성되는 경사도 조절부재(56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50)의 단부에 하나 이상의 단차부(51)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51)는 상기 포크부(50)의 타단부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511)과, 상기 바닥면(511)의 일측 상부에 수직형성되는 일측면(5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단차부(510)와;
    상기 제 1단차부(510)의 일측방향에 상기 제 1단차부(510)보다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상기 제 1단차부(510)의 일측면 상측에 수평형성되는 바닥면(531)과, 상기 바닥면(531)의 일측 상부에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53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2단차부(5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 하부가 축결합되어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되고,
    상기 다리부(10)의 일단부 상부에는 상기 다리부(10)상으로 수평으로 접철된 상기 수직프레임(30)을 위치고정시키는 수평고정부재(11)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94980A 2009-10-07 2009-10-07 수동 포크리프트 KR10095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80A KR100954493B1 (ko) 2009-10-07 2009-10-07 수동 포크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4980A KR100954493B1 (ko) 2009-10-07 2009-10-07 수동 포크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4493B1 true KR100954493B1 (ko) 2010-04-22

Family

ID=4222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4980A KR100954493B1 (ko) 2009-10-07 2009-10-07 수동 포크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4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20-01-15 김정민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20-05-25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2369377B1 (ko) 2021-08-02 2022-03-02 지씨에스 주식회사 친환경 지게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138A (ja) * 2003-12-25 2005-07-14 Nippon Yusoki Co Ltd サヤフォーク
KR100517690B1 (ko) * 2004-11-17 2005-09-28 정영옥 유압식 지게 카트
KR20070068944A (ko) * 2005-12-27 2007-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접이식 포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138A (ja) * 2003-12-25 2005-07-14 Nippon Yusoki Co Ltd サヤフォーク
KR100517690B1 (ko) * 2004-11-17 2005-09-28 정영옥 유압식 지게 카트
KR20070068944A (ko) * 2005-12-27 2007-07-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접이식 포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20-01-15 김정민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20-05-25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2369377B1 (ko) 2021-08-02 2022-03-02 지씨에스 주식회사 친환경 지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092B1 (en) Lift for skids and pallets
US5890737A (en) Pothole protection mechanism for a lifting device
KR101685615B1 (ko) 핸드 트럭
KR20180109923A (ko) 승강 장치
KR100954493B1 (ko) 수동 포크리프트
CN115402393A (zh) 气体容器运送用台车
EP2818381B1 (en) Trolley for the transportation of a load on staircases
JP2008156039A (ja) ハンドリフター
KR20160005797A (ko) 휠 캠버 변화에 의한 들어올림 효과를 갖는 팔레트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식 롤링 디바이스
KR101733380B1 (ko)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JP3592537B2 (ja) 梱包ケースへの部品パッケージ積載装置
KR100763688B1 (ko) 핸드카
JP2004010296A (ja) パレット安定装置付きフォークリフト
KR20080003460U (ko) 수리 운반용 대차
JP2745214B2 (ja) 被運搬物等の持ち上げ移動装置
JP5854444B1 (ja) マスト装置、及び、該マスト装置を備えるフォークリフト
JP2666594B2 (ja) 作業床装置
KR200353320Y1 (ko) 탑승용 발판장치를 갖춘 보행식 이송장치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JP3827292B2 (ja) フォークリフトのパレットロック装置
JP2022087956A (ja) トンネルハウス用杭打機
KR200443186Y1 (ko) 다리부의 폭 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팔레트 스태커
JP3903230B2 (ja) スイングアップ装置を備えた車両
JP5268252B2 (ja) ローリフト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