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380B1 -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3380B1 KR101733380B1 KR1020170033020A KR20170033020A KR101733380B1 KR 101733380 B1 KR101733380 B1 KR 101733380B1 KR 1020170033020 A KR1020170033020 A KR 1020170033020A KR 20170033020 A KR20170033020 A KR 20170033020A KR 101733380 B1 KR101733380 B1 KR 1017333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k
- pair
- plate
- excavator
- forkli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측에 이격 배치되고 후측에 힌지공(112)을 갖는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부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링크브래킷(120)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00);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선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 측에 체결되는 한쌍의 지게발을 갖는 포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은 링크플레이트 측에 근접되어 유격 배치되는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측에 고정 결합되는 선단 링크축(122) 및 후단 링크축(123);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 링크축(122)을 링크플레이트(110) 측 힌지공(112)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링크브래킷(120)을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2)은 타원형으로 수직 배치하여 상기 포크부(300)가 체결된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지면상태에 따라 좌우측 유동에 의한 자연스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를 이용한 포크리프트의 사용에 있어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에서도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공사현장 등지에서의 자재 운반 및 상하차 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굴삭기를 이용한 포크리프트의 사용에 있어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에서도 안정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공사현장 등지에서의 자재 운반 및 상하차 작업에 따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사현장에서 많이 사용되는 굴삭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링크부를 구비 및 상기 링크부의 선단부에 한쌍의 지게발을 갖는 포크부를 포함하며 굴삭기 암의 조정에 따라 리프팅 기능을 수행하여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굴삭기용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일체형 고정식 타입에서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구성과 지면조건에 맞춰 좌우측방향에 대해 기울임이 가능한 틸트식 구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공사현장 등 사용장소에서의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된 상하차 작업과 포크리프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용 포크리프트는 토목공사나 각종 건설현장 등지에서 무거운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등의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 공사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에 결합하여 굴삭기 암의 기계적 조작에 따라 리프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을 갖는 공사현장에서 지게차를 대신하여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굴삭기용 포크리프트는 보통 굴삭기의 암의 선단부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링크부를 가지며, 상기 링크부의 선단부에 위치하여 자재의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지게발인 한쌍의 포크가 결합되어 일체 구비된다.
즉, 종래에는 링크부와 포크부가 단순 결합에 의해 일체화되고 서로 고정되는 고정식 구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종래 고정식 구성의 굴삭기용 포크리프트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굴삭기의 암(arm)의 조정각도에 따른 기계적 조작의 제약을 극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대부분이 평탄하지 않는 지면 및 작업 조건을 갖는 공사현장에서 링크부 측에 굴삭기 암을 결합하는 작업과 리프팅 작업을 수행하는데 따른 불편함이 있었으며, 공사현장에서의 원하는 장소와 정확한 사용위치로 자재를 운반 및 하차시키지 못하고 이웃하는 평탄 지면을 찾아 그곳에 자재를 하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부연하여, 공사현장에서의 평탄하지 않는 굴곡지면이나 경사지면에서 자재의 상하차 작업시, 지게발인 포크를 운반 자재가 적재된 파레트(pallet)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빼내는데 어려움 및 불편함이 있었고, 지게발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굴삭기를 정교하게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나 하차 위치의 지면에 대해 평면 다지기를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 등 안정적이면서 용이한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재의 안정된 하차를 수행하지 못하고 운반 자재가 넘어지게 되는 등 또 다른 작업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게발인 포크를 운반 자재가 적재된 파레트(pallet)에 삽입 또는 인출시 굴삭기의 암을 무리하게 조작함에 따라 포크리프트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본원출원인은 국내등록특허 제10-1188734호에 기재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를 제안한 바 있으며, 이하에 구조 개선에 의해 새로운 구성을 갖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 및 이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 일체형 고정식 타입 등을 비롯한 종래 포크리프트들의 단점을 개선하여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구성과 좌우측방향에 대해 유동성을 부여하여 기울임이 가능한 틸트식 구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굴삭기를 이용한 사용 장소에서의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시 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자재의 안정된 상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굴삭기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포크리프트의 안전한 사용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링크브래킷의 상하방향 접이식 구성을 통해 굴삭기 암의 조정각도에 따른 기계적 조작의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좌우측방향에 대한 틸트식 구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공사현장 등 사용 장소에서의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여 자재를 운반함은 물론 자재의 안정된 하차작업 및 지면으로의 안착 배치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굴삭기 암의 기계적 조작에 따른 제약성을 극복하여 공사현장을 비롯한 사용 장소에서의 평탄하지 않는 지면 등 원하는 장소와 정확한 사용위치에 자재를 하차 및 안정되게 안착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 사용 장소의 여건 및 상황에 따라 틸트 접이식의 사용뿐만 아니라 고정식 타입으로도 세팅(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는, 굴삭기의 암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굴삭기용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측에 이격 배치되고 후측 상단부에 각각 힌지공(112)을 갖는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부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링크브래킷(120)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00);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선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는 지게발 체결 지지용 지지플레이트(2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 측에 체결되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지게발로 이루어진 포크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링크플레이트 측과 유격 배치되는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측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선단 링크축(122) 및 후단 링크축(123);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 링크축(122)의 양측부를 베이스링크(121)를 관통하여 링크플레이트(110) 측 힌지공(112)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링크브래킷(120)을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2)은 타원형으로 수직 배치하여 상기 포크부(300)가 체결된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지면상태에 따라 좌우측 유동에 의한 자연스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센터홀(132)을 형성 및 그 좌우측에 제1체결공(134)을 형성한 플레이트고정판(130);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선단부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는 센터맞춤돌기(142)를 형성 및 그 좌우측에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제1체결공(134)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144)을 형성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맞춰 평행하게 수평 배치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뒤쪽에 밀착 위치됨과 동시에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 측에 삽입 배치되게 한 링크고정판(1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센터홀(132)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크기를 확장시킨 홀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 구조는 상기 센터맞춤돌기(14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고 하부 구조는 상부 구조에 연장되어 확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맞춤돌기(142)의 삽입시 약간의 좌우측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링크고정판(140)의 센터맞춤돌기(142)는 상기 센터홀(132) 측 삽입시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 구조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되게 삽입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일체형 고정식 타입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구성과 좌우측방향에 대해 유동성을 부여하여 기울임이 가능한 틸트식 구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지게차의 움직임이 곤란한 공사현장 등지에서의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을 기존에 비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굴삭기를 이용한 리프팅 처리 등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재의 안정된 상하차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굴삭기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포크리프트의 안전한 사용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링크브래킷의 상하방향 접이식 구성을 통해 굴삭기 암의 조정각도에 따른 기계적 조작의 제약성을 극복하여 조정각도를 확장할 수 있고 좌우측방향에 대한 틸트식 구성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공사현장 등 사용 장소에서의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리프팅 작업을 실시하여 자재를 운반함은 물론 자재의 안정된 하차작업 및 지면으로의 안착 배치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을 갖더라도 안정되게 자재를 운반 및 안정되게 하차할 수 있고 한 번에 원하는 장소와 정확한 사용위치로 운반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이차 이동작업 및 평탄면으로 다지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지게차가 근접하지 못하거나 지게차로 상하차 작업이 어려운 장소에서 굴삭기를 이용하여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 사용 장소의 여건 및 상황에 따라 틸트 접이식 타입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식 타입으로도 세팅(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틸팅 동작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의 샘플 제작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굴삭기에 결합하여 포크부를 자재적재용 파레트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굴삭기에 결합하여 자재적재용 파레트를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다른 각도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및 틸팅 동작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의 샘플 제작품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굴삭기에 결합하여 포크부를 자재적재용 파레트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굴삭기에 결합하여 자재적재용 파레트를 들어 올리는데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는,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삭기가 갖는 암(10)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링크부(100)와 지지플레이트(200) 및 포크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링크부(100)는 좌우측에 위치하여 이격 배치되고 후측 상단부의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힌지공(112)을 형성시킨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부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굴삭기의 암(10)의 선단부(일명 클램프부)를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링크브래킷(1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가 갖는 힌지공(112)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 구조로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수직 배치함으로써 상기 링크브래킷(120)과의 놀음을 통해 상기 포크부(300)가 체결된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지면상태에 따라 좌우측 유동(遊動)에 의한 자연스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링크브래킷(120)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상기 링크플레이트(110) 측과 약간의 간극 형성에 의한 놀음 가능한 구조를 통해 지면상태에 따른 틸팅이 자유롭도록 유격(slack) 배치되는 한쌍의 베이스링크(121)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측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베이스링크(121)를 연결 지지 및 굴삭기 암(10)의 선단부를 삽입하여 상호 결합 가능하도록 간격 배치되는 선단 링크축(122) 및 후단 링크축(1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선단 링크축(122)은 후단 링크축(123)에 비해 양측부를 각각 연장하되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을 관통하여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가 갖는 각각의 타원형 힌지공(112)에 삽입 배치 및 결합함으로써 링크브래킷(120)을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링크브래킷(120)의 상하방향 접이식 구조를 통해 굴삭기 암(10)의 조정각도에 따른 기계적 조작의 한계를 극복하여 더욱 확장된 움직임으로 각도 조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 이와 더불어 굴삭기에 결합되는 포크리프트에 대한 좌우측방향으로의 틸트식 구조를 통해 공사현장 등 사용 장소에서의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에서도 포크부(300)를 자재적재용 파레트(pallet)(1) 측에 용이하게 삽입 및 안정된 리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링크부(100)에는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센터홀(132)을 형성 및 그 센터홀의 좌우측 방향으로 제1체결공(134)을 형성한 플레이트고정판(130)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선단부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는 센터맞춤돌기(142)를 형성 및 그 센터맞춤돌기의 좌우측 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제1체결공(134)에 대응하는 위치 및 개수로 제2체결공(144)을 형성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맞춰 평행하게 수평 배치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뒤쪽에 밀착 위치됨과 동시에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 측에 삽입 배치되게 한 링크고정판(14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센터홀(132)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크기를 확장시킨 홀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 구조는 상기 센터맞춤돌기(142)에 대응하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하며, 하부 구조는 상부 구조에 연장되어 확장되는 것으로서 센터맞춤돌기(142)의 상하부 이동에 대한 용이성을 위해 대략 삼각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센터맞춤돌기(142)가 위치시 좌우측방향으로 약간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고정판(140)의 센터맞춤돌기(142)는 상기 센터홀(132) 측 삽입시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 구조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밀려들어가 안정되게 삽입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틸트 접이식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를 사용할 시 기존에 비해 자재의 안정된 상하차 작업은 물론 자재를 안전하게 리프팅하여 운반할 수 있고 지면으로의 안착 배치를 더욱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공사현장 등 평탄하지 않는 지면을 갖는다 하더라도 원하는 장소 및 위치로의 자재 운반이 가능하고 정확한 사용위치에 자재를 하차 및 안정되게 안착 배치할 수 있으며, 굴삭기를 이용한 포크리프트의 사용에 따른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센터홀(132)과 상기 링크고정판(140)의 센터맞춤돌기(142)에 대한 상호 대응 구성을 통해서는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에 삽입 및 상부에 위치될 시 링크브래킷(120)에 대해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측 좌우측 쏠림 구조가 아닌 센터(중심)를 맞출 수 있게 되고, 자재적재용 파레트(1) 측에 포크부(300)를 삽입한 상태에서 리프팅 처리시 중심이 잡힌 상태이므로 자재적재용 파레트(1)를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들어 올릴 수 있게 되며 자재의 안정된 운반 및 하차 작업까지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제1체결공(134)과 상기 링크고정판(140)의 제2체결공(144)을 통해서는 평탄한 지면조건 등 필요에 따라 이들에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채워 체결함으로써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에 고정시킨 고정식 구조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포크부(300)를 구성하는 한쌍의 엘자(L)형 지게발을 체결 및 지지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선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00)는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교차시켜 직립 배치 및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일체 구성을 갖도록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에는 상면 좌우측에 체결홈을 간격 형성하여 지게발을 체결시 좌우 위치를 조정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한쌍의 지게발에 대한 간격을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크부(30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 측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지게발로 이루어지며,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삽입하여 자재를 운반 및 상하차 작업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는 링크부(100)의 링크브래킷(120)에 굴삭기의 암(10)의 선단부를 삽입하되 링크축(122)(123)에 암(10)의 선단부에 구비된 고리를 걸어 지지 결합함으로써 리프팅 처리 등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에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굴삭기를 포크리프트에 결합한 상태에 굴삭기의 암(10)을 조작하여 포크리프트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데, 도 9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포크부(300)를 자재적재용 파레트(1) 측에 삽입함에 의해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평탄화 지면에 자재적재용 파레트(1)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굴삭기의 암(10)을 간단하게 조작하여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포크부(300)를 삽입 및 리프팅하여 운반할 수 있으나, 공사현장 등지의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을 갖는 사용장소에서는 굴삭기의 암(1)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포크부(300)를 삽입 및 리프팅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며, 무리한 조작에 의해 포크리프트 또는 자재적재용 파레트가 파손되기도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는 링크브래킷(12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침이 가능한 접이식 구성을 가지므로 굴삭기 암(10)의 기계적 조작에 따른 제약을 극복하여 더욱 확장된 회동각도를 만들어낼 수 있어 공사현장 등지의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에 대응하여 링크브래킷(120)의 회동각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포크부(30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사현장 등지의 비평탄화된 지면에 배치된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포크부(300)를 삽입시, 링크브래킷(120)은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에 좌우측 유격지게 배치되고 선단 링크축(122)의 양측단부가 타원형 힌지공(112)에 위치되어 있어 상호 자유롭게 움직임이 가능한 구성을 제공하므로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200) 및 이 지지플레이트(200)에 체결되고 비평탄화된 지면에 접촉되는 포크부(300)가 굴곡이나 경사 지형에 맞춰 자연스럽게 틸팅 처리되며, 무리한 조작없이 포크부(300)를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삽입할 수 있어 포크리프트 또는 자재적재용 파레트(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틸트식 구조에 의해 공사현장 등지의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에서도 작업성을 높여 자재의 리프팅에 의한 운반을 실시할 수 있고, 비평탄화된 지면으로 하차하는 작업까지도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자재를 공사현장의 원하는 사용 장소로 운반 및 정확한 사용 위치에 안착 배치할 수 있어 부가적인 이동작업 없이 한 번에 자재의 운반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굴삭기의 암(10)의 조작을 통해 포크부(300)를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삽입한 후 자재 운반을 위해 리프팅 처리하는 경우에는 도 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맞춰 평행하게 수평 배치한 상태로 조정하여 리프팅 처리함이 바람직한데, 이는 자재의 운반 후 지면 하차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할 것이다.
부연하여, 비평탄화된 지면조건에서 포크부(300)를 자재적재용 파레트(1)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지면조건에 맞춰 포크부(300)를 비롯한 지지플레이트(200) 및 링크플레이트(110)가 틸트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굴삭기에 결합된 링크브래킷(120)와는 상호 뒤틀림이 있는 구조로서, 상호간 센터를 맞춤에 따라 자재적재용 파레트(1)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리프팅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맞춰 평행하게 수평 배치하게 되면 플레이트고정판(130)의 뒷면에 링크고정판(140)이 밀착 배치되고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에 삽입 처리되며 굴삭기 암(10)의 조작에 따른 리프팅 작업에 의해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의 상부에 위치되고 링크플레이트(110) 상에서 링크브래킷(120)이 센터에 위치된 상태로 자재적재용 파레트(1)를 들어 올리게 된다.
즉, 자재적재용 파레트(1)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리프팅 처리할 수 있고 자재 운반 후 안정된 하차작업까지 원하는 장소 및 정확한 위치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링크부 110: 링크플레이트
112: 힌지공 120: 링크브래킷
121: 베이스링크 122: 선단 링크축
123: 후단 링크축 130: 플레이트고정판
132: 센터홀 134: 제1체결공
140: 링크고정판 142: 센터맞춤돌기
144: 제2체결공 200: 지지플레이트
300: 포크부
112: 힌지공 120: 링크브래킷
121: 베이스링크 122: 선단 링크축
123: 후단 링크축 130: 플레이트고정판
132: 센터홀 134: 제1체결공
140: 링크고정판 142: 센터맞춤돌기
144: 제2체결공 200: 지지플레이트
300: 포크부
Claims (3)
- 굴삭기의 암(10)의 선단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굴삭기용 포크리프트에 있어서,
좌우측에 이격 배치되고 후측 상단부에 각각 힌지공(112)을 갖는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와,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부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링크브래킷(120)으로 이루어진 링크부(100);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선단에 위치하여 고정 결합되는 지게발 체결 지지용 지지플레이트(200); 상기 지지플레이트(200)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지지플레이트 측에 체결되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한쌍의 지게발로 이루어진 포크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은 상호 이격 배치되고 링크플레이트 측과 유격 배치되는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측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선단 링크축(122) 및 후단 링크축(123);을 포함하되, 상기 선단 링크축(122)의 양측부를 베이스링크(121)를 관통하여 링크플레이트(110) 측 힌지공(112)에 삽입 결합함으로써 링크브래킷(120)을 상하방향으로 접고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2)은 타원형으로 수직 배치하여 상기 포크부(300)가 체결된 지지플레이트(200)에 대해 지면상태에 따라 좌우측 유동에 의한 자연스런 틸팅(tilting)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링크부(100)는 상기 한쌍의 링크플레이트(110) 후측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센터홀(132)을 형성 및 그 좌우측에 제1체결공(134)을 형성한 플레이트고정판(130); 상기 한쌍의 베이스링크(121) 선단부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중심부에 전방(前方)으로 돌출되는 센터맞춤돌기(142)를 형성 및 그 좌우측에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제1체결공(134)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144)을 형성하며, 상기 링크브래킷(120)을 링크플레이트(110) 측에 맞춰 평행하게 수평 배치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뒤쪽에 밀착 위치됨과 동시에 센터맞춤돌기(142)가 센터홀(132) 측에 삽입 배치되게 한 링크고정판(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고정판(130)의 센터홀(132)은 상부에 비해 하부의 크기를 확장시킨 홀 구조로 형성하되, 상부 구조는 상기 센터맞춤돌기(142)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고 하부 구조는 상부 구조에 연장되어 확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센터맞춤돌기(142)의 삽입시 약간의 좌우측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링크고정판(140)의 센터맞춤돌기(142)는 상기 센터홀(132) 측 삽입시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상부 구조에 걸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되게 삽입 가능하도록 선단부를 테이퍼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020A KR101733380B1 (ko) | 2017-03-16 | 2017-03-16 |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020A KR101733380B1 (ko) | 2017-03-16 | 2017-03-16 |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33380B1 true KR101733380B1 (ko) | 2017-05-08 |
Family
ID=6016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020A KR101733380B1 (ko) | 2017-03-16 | 2017-03-16 |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333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106445A1 (de) * | 2019-03-13 | 2020-09-17 | Mts Maschinentechnik Schrode Ag | Baggeranbaugerät |
KR20210108880A (ko) * | 2020-02-26 | 2021-09-03 | 김세경 |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734B1 (ko) * | 2012-05-10 | 2012-10-10 | 임장범 |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
-
2017
- 2017-03-16 KR KR1020170033020A patent/KR1017333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8734B1 (ko) * | 2012-05-10 | 2012-10-10 | 임장범 |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9106445A1 (de) * | 2019-03-13 | 2020-09-17 | Mts Maschinentechnik Schrode Ag | Baggeranbaugerät |
KR20210108880A (ko) * | 2020-02-26 | 2021-09-03 | 김세경 |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
KR102518711B1 (ko) | 2020-02-26 | 2023-04-06 | 김세경 |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12876B2 (ja) | 作業アタッチメント用フロント部材の支持方法及び同装置 | |
US8567795B2 (en) | Lower frame for a product holder, holder and operating procedure | |
KR101188734B1 (ko) |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 |
KR101733380B1 (ko) |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 |
SE430054B (sv) | Pallastare | |
US20060285960A1 (en) | Forklift attachment | |
KR101307653B1 (ko) | 장력 조절 기능이 구비된 벽돌 운반용 손수레 | |
US5993134A (en) | Hand truck with load lifting mechanism | |
CN105692507A (zh) | 一种基于叉车运输的物料周转箱自动翻转装置 | |
US20150368079A1 (en) | Load supporting and orienting apparatus for a lift device | |
KR101861061B1 (ko) | 트럭크레인의 원스톱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 |
JP5606170B2 (ja) |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 |
KR100954493B1 (ko) | 수동 포크리프트 | |
JP7438541B2 (ja) | フォークリフト装置 | |
JP2007001689A (ja) | リフター装置 | |
JP6579962B2 (ja) | チュービング装置の輸送用治具 | |
JP2019048540A (ja) | ダンプトラック | |
KR101824898B1 (ko) |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 |
JP6744246B2 (ja) | 資材等移送装置及び資材等移送方法 | |
JP5574373B2 (ja) | 荷受台昇降装置 | |
JP2002173295A (ja) | 荷重取扱装置 | |
JP2011046482A (ja) | 上部旋回体の輸送時支持装置および上部旋回体の輸送方法 | |
JP2013154818A (ja) | 可搬式コンテナ台座 | |
JP6246707B2 (ja) | ブーム取付装置およびクレーン | |
JP7074569B2 (ja) | アウトリガ装置の積載方法及び積載用治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