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734B1 -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734B1
KR101188734B1 KR1020120049716A KR20120049716A KR101188734B1 KR 101188734 B1 KR101188734 B1 KR 101188734B1 KR 1020120049716 A KR1020120049716 A KR 1020120049716A KR 20120049716 A KR20120049716 A KR 20120049716A KR 101188734 B1 KR101188734 B1 KR 101188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ork
excavator
support plate
side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범
김정연
Original Assignee
임장범
김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장범, 김정연 filed Critical 임장범
Priority to KR102012004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3Movements of forks relative to each other - 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 등지에서 지게차를 대신하여 굴삭기에 결합하여 리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두 측부플레이트;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 상부에 개재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포크;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 하부에 개재되고, 상기 포크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게 되는 서포트플레이트; 를 포함하되,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에 샤프트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에 포크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삭기를 이용한 리프팅 작업에 따른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LIFT APPARATUS FOR EXCAVATOR}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리프팅 기능을 수행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에서의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시 작업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는 토목공사나 각종 건설현장 등지에서 무거운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가 필요할 경우에 지게차를 별도로 부르지 않고 공사에서 필수적으로 갖추게 되는 굴삭기를 이용하여 지게차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비포장된 공사현장 등에서 지게차보다 간단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047호(2006년 09월 20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발을 갖는 리프트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통상의 포크레인의 암에 장착되어 질 수 있는 맞물림수단과 상기 맞물림수단의 양측으로 형성된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전방으로 형성된 지게발이 좌우 이동이 가능토록 걸림수단에 의하여 걸림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지게차에 사용되는 리프트를 굴삭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굴삭기용 리프트를 포함하는 종래 제안 및 사용되고 있는 굴삭기용 리프트들은 지게발이 지지벽에 고정 배치되는 구조들로 굴삭기의 암(arm)의 각도에 따라 지게발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을 뿐더러 지게발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굴삭기를 정교하게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포장된 공사현장은 대부분이 평탄하지 않는 지면 및 작업조건에 직면하게 되는데, 지게발이 고정되는 구조 및 유동성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자재의 하차시 지게발을 운반 자재로부터 용이하게 빼내지 못하거나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 작업의 어려움 및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사현장에서의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시 작업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포크(지게발)의 탈착, 좌우 위치이동, 선회 동작, 지면조건에 따른 유동성 확보 등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리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굴삭기를 이용한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시 전반적으로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는,
상호 이격 배치되는 두 측부플레이트;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 상부에 개재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포크;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 하부에 개재되고, 상기 포크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게 되는 서포트플레이트; 를 포함하되,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에 샤프트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에 포크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 전단부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투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크의 수직부 하단부에는 상기 투스부와 치합(齒合)되는 대응투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에는 상부 내측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하게 되고 상하로 길죽한 형태의 요홈 구조를 갖는 샤프트유동장착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 장착되게 하되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포크를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포크의 수직부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포크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접촉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 상기 체결공과 마주하도록 상기 서프트플레이트에 이의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대응체결공; 상기 체결공을 지나 상기 대응체결공에 삽입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면, 지게차의 움직임이 곤란한 공사현장에서의 굴삭기를 이용한 자재의 운반 및 상하차 작업을 종래에 비해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굴삭기를 이용한 리프팅 작업의 작업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포크(지게발)의 탈착, 좌우 위치이동, 선회 동작, 지면조건에 따른 유동성 확보 등의 개선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평탄하지 않는 지면조건에서도 용이하게 리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굴삭기를 이용한 리프팅 작업의 전반적인 작업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의 배면 사시도.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와 같은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본 발명의 목적과 구성 및 그에 따른 특징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설명에 앞서, 도 1을 기준으로 포크(300)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前方), 링크부(700)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後方)이라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2의 "A"는 해당부위의 확대도이며, 도 5의 "B"는 해당부위의 단면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측부플레이트(100), 샤프트(200), 포크(300) 및 서포트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측부플레이트(100)는 두 개가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상호 이격 배치된다.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에는 상부 내측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하게 되고 상하로 길죽한 형태의 요홈 구조를 갖는 샤프트유동장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유동장착부(110)는 홈 형태로 가공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형태로 가공한 후 그 외측에 별도의 커버(120) 등을 장착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샤프트(200)를 장착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 중앙에는 지지프레임(600)이 개재(介在)되고, 상기 지지프레임(600)에는 본 발명의 리프트 장치를 굴삭기 암(arm)(10)에 장착하기 위하여 공지의 링크부(700)가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00)는 두 측부플레이트(100)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양단부(兩端部)가 각각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의 샤프트유동장착부(110)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샤프트(200)는 원형의 봉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샤프트유동장착부(110) 상에서 선회 가능하게 배치됨은 물론 작업 조건 및 지면 상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상하 유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포크(300)는 두 개가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수평부(310)와, 상기 수평부(310)의 후단부(後端部)에서 상향 절곡된 수직부(320), 그리고 상기 수직부(320)의 상단부(上端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끼워지는 결합부(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30)는 원통형으로 관통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샤프트(200)를 타고 좌우 이동 및 상기 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된다.
부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는 샤프트(200)가 두 측부플레이트(10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고, 한 쌍의 포크(300)가 샤프트(20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 암(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굴삭기 암(10)의 조정각도에 따라 포크(300)의 전후방향 선회동작을 유도할 수 있어 자재 운반용 파렛트(pallet) 내부로 포크(300)의 용이한 진입을 시도할 수 있게 되며, 자재의 상하차 작업을 불편함 없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포크(300)는 샤프트(200)의 앞쪽으로 선회시켜 샤프트(200)와 비접촉상태에 있게 한 다음 원하는 좌우방향으로 움직이면 포크(300)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좌우 이격되는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포크(300)는 두 측부플레이트(100)에 형성된 요홈 구조의 샤프트유동장착부(110)에 의해 샤프트(200)와 함께 상하 유동이 가능한 구성을 갖게 되는데,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00)의 좌우측 기울기 배치에 따라 두 포크(300)가 각기 다른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특히 지면이 평탄하지 못한 경우에도 파렛트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하거나 파렛트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샤프트(200)와 상기 포크(300)가 모두 선회 동작되는 구조를 갖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샤프트(200) 또는 상기 포크(300)가 선택적으로 선회 동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샤프트(200)가 두 측부플레이트(10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포크(300)가 샤프트(20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는 두 측부플레이트(100) 하부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상기 포크(300)의 후면 하단부(下端部)와 접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 상면에는 링크부(700) 하단부가 연결되고, 이에 따라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는 지지프레임(600)과 함께 링크부(70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가 마련됨에 따라, 굴삭기 운전자는 상기 포크(300)가 파렛트 내부에 진입한 상태에서 굴삭기 암(10)을 조정하여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가 상기 포크(300)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화물 운반 시 상기 포크(300)가 후방으로 선회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포크(30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는 상기 포크(300)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게 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포크(300)의 후방 선회 동작을 제한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에는 그 전단부(前端部)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다수의 투스(tooth)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포크(300)의 수직부(320) 하단부에 투스부(410)와 이 맞물려 치합되는 대응투스부(34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투스부(410)와 대응투스부(340)는 톱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와 상기 포크(300)가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치합(齒合; 이 맞물림)되는 구조이며, 상호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300)가 좌우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는 고정수단(5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0)은 포크(300)를 서포트플레이트(4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포크(300)의 수직부(320) 후면에 형성되되, 포크(300)와 서포트플레이트(400)의 접촉시 서포트플레이트(400)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플레이트(510); 상기 고정플레이트(510)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520); 상기 체결공(520)과 마주하도록 서포트플레이트(400)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대응체결공(530); 상기 체결공(520)을 지나 대응체결공(53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5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부연하여, 작업자는 상기 포크(30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 후, 포크(300)가 서프트플레이트(40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40)를 상기 체결공(520) 및 이에 마주하게 되는 대응체결공(530)에 삽입함으로써, 포크(300)가 샤프트(200)를 타고 좌우 이동되거나, 상기 샤프트(200)를 중심으로 선회 동작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 되며, 포크(300)의 고정이 요구되는 작업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측부플레이트
110 ; 샤프트유동장착부 120 ; 커버
200 ; 샤프트
300 ; 포크
310 ; 수평부 320 ; 수직부
330 ; 결합부 340 ; 대응투스부
400 ; 서포트플레이트
410 ; 투스부
500 ; 고정수단
510 ; 고정플레이트 520 ; 체결공
530 ; 대응체결공 540 ; 고정부재
600 ; 지지프레임
700 ; 링크부

Claims (4)

  1. 굴삭기의 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리프팅 기능을 수행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두 측부플레이트(100);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 상부에 개재되는 샤프트(200); 상기 샤프트(200) 상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평부(310)와, 상기 수평부(310) 후단부에서 상향 절곡된 수직부(320) 및, 상기 수직부(320)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200)에 끼워지는 결합부(330)로 이루어진 포크(300);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 하부에 개재되고, 상기 포크(300)의 후면 하단부와 접하게 되는 서포트플레이트(400); 를 포함하되,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에 샤프트(20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200)에 포크(300)가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 전단부에는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투스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포크(300)의 수직부(320) 하단부에는 상기 투스부(410)와 치합(齒合)되는 대응투스부(3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측부플레이트(100)에는 상부 내측방향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하게 되고 상하로 길죽한 형태의 요홈 구조를 갖는 샤프트유동장착부(110)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200)의 양단부가 각각 삽입 장착되게 하되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300)를 위한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500)은,
    상기 포크(300)의 수직부(320) 후면에 형성되되, 상기 포크(300)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의 접촉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플레이트(510);
    상기 고정플레이트(510)에 상하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520);
    상기 체결공(520)과 마주하도록 상기 서포트플레이트(400)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대응체결공(530);
    상기 체결공(520)을 지나 상기 대응체결공(530)에 삽입되는 고정부재(5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20120049716A 2012-05-10 2012-05-10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188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716A KR101188734B1 (ko) 2012-05-10 2012-05-10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9716A KR101188734B1 (ko) 2012-05-10 2012-05-10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8734B1 true KR101188734B1 (ko) 2012-10-10

Family

ID=4728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716A KR101188734B1 (ko) 2012-05-10 2012-05-10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73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00Y1 (ko) 2014-05-09 2015-10-23 조계형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733380B1 (ko) * 2017-03-16 2017-05-08 임장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KR20180003062U (ko) 2018-01-02 2018-10-24 김대길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KR20190003390A (ko) * 2017-06-29 2019-01-09 주식회사 대양스틸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포크
KR20210108880A (ko) * 2020-02-26 2021-09-03 김세경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CN113603024A (zh) * 2021-06-28 2021-11-05 湖南中联重科智能高空作业机械有限公司 货叉属具及具有其的叉车
KR102430102B1 (ko) 2022-02-23 2022-08-04 안치현 틸트 동작이 가능한 지게발 수납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굴삭기
KR20220123787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이널리 친환경 마감재료를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9868U (ko) * 1975-07-29 1977-02-12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9868U (ko) * 1975-07-29 1977-02-12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600Y1 (ko) 2014-05-09 2015-10-23 조계형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733380B1 (ko) * 2017-03-16 2017-05-08 임장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KR20190003390A (ko) * 2017-06-29 2019-01-09 주식회사 대양스틸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포크
KR102070080B1 (ko) * 2017-06-29 2020-03-03 주식회사 대양스틸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지게포크
KR20180003062U (ko) 2018-01-02 2018-10-24 김대길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KR20210108880A (ko) * 2020-02-26 2021-09-03 김세경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KR102518711B1 (ko) 2020-02-26 2023-04-06 김세경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KR20220123787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이널리 친환경 마감재료를 이용한 실내 인테리어 시공방법
CN113603024A (zh) * 2021-06-28 2021-11-05 湖南中联重科智能高空作业机械有限公司 货叉属具及具有其的叉车
KR102430102B1 (ko) 2022-02-23 2022-08-04 안치현 틸트 동작이 가능한 지게발 수납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굴삭기
KR20230126623A (ko) 2022-02-23 2023-08-30 안치현 틸트 동작이 가능한 지게발 수납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굴삭기
KR20240110773A (ko) 2022-02-23 2024-07-16 안치현 지게발 수납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굴삭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734B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JP6107890B2 (ja) 移動式クレーン
GB2051000A (en) Cargo handling loader for pallets
KR200488425Y1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US4159059A (en) Truss boom for material handling truck
US20220267988A1 (en) An excavator having a lifting device for lifting a pallet
KR101733380B1 (ko)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JP7033784B2 (ja) メッシュパレット運搬車
KR102225453B1 (ko) 운반 카트
KR101824898B1 (ko) 트럭크레인의 웨이트 이송 및 장탈착장치
JP2013154818A (ja) 可搬式コンテナ台座
KR200478600Y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JPH0372123A (ja) 作業機の運転室
CN210416352U (zh) 一种自卸车货箱举升装置
JP7074569B2 (ja) アウトリガ装置の積載方法及び積載用治具
JP2015155229A (ja) クローラ式車両の下部走行体
JP6331836B2 (ja) 建設機械
KR102518711B1 (ko)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JP3824557B2 (ja) 車両搭載型計重装置
JPH11246197A (ja) サイドシフト装置
JP2019073235A (ja) コンテナ荷役車両用のアダプタ
KR200404944Y1 (ko) 굴삭기용 리프팅 장치
KR20170134714A (ko) 신축 붐의 장착 구조
JP6548469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