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711B1 -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711B1
KR102518711B1 KR1020210014095A KR20210014095A KR102518711B1 KR 102518711 B1 KR102518711 B1 KR 102518711B1 KR 1020210014095 A KR1020210014095 A KR 1020210014095A KR 20210014095 A KR20210014095 A KR 20210014095A KR 102518711 B1 KR102518711 B1 KR 10251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lift
coupling
excavator
rot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880A (ko
Inventor
김세경
Original Assignee
김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경 filed Critical 김세경
Publication of KR2021010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용 하중에 근접하는 중량물 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굴삭기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과도하게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발이 장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굴삭기에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회동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방 사이에서 회동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FORKLIFT HOLDER FOR EXCAVATOR}
본 발명은 중량물 운반시 사용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허용 하중에 근접하는 중량물 운반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굴삭기가 중량물의 무게에 의해 과도하게 한 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인 굴삭기(포크레인)는 그의 암(Arm) 선단에 버킷(Bucket)이나 파쇄기 등을 고정시켜 굴착작업, 평탄작업, 철거작업 및 파쇄작업 등과 같은 각종 건축, 토목 공사를 시행하는 유용한 장비이다.
공사 시공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는 보도블록, 벽돌 및 타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운반하기 위해 지게차나 굴삭기 등의 차량을 주로 이용한다. 특히, 무거운 석재 보도블록이나 벽돌 등은 지게차의 허용 하중을 초과하거나 적재 시간이 오래걸리는 이유로 지게차보다는 굴삭기의 암에 고정된 형태의 지게발을 연결시켜 해당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는 거치부(2) 및 거치부(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2)의 전방으로는 지게발(1)이 연결된다. 즉, 지게발(1)의 상부가 거치부(2)의 상부에 걸리고,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지게발(1)의 하부가 거치부(2)의 후방에서 볼트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거치부에 체결된다. 결합부(3)는 거치부(2)의 후방에 형성되며, 결합부(3)를 통해 굴삭기(미도시)와 연결된다. 결합부(3)에는 굴삭기와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링크(도면부호 미기재)가 형성된다.
이때, 굴삭기에 장착되는 지게발(1)은 주로 철 재질로 제작되므로 그 무게만도 상당하다. 따라서, 일정 하중 이상의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 굴삭기의 무게중심이 한 쪽으로 과도하게 쏠리면서 굴삭기가 전복되거나 들어올린 중량물이 낙하되어 파손되는 사고들이 발생되고 있다. 더욱이 평탄하지 않은 작업현장의 도로사정을 감안할 경우 이는 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0001)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9-207230호 (0002) 일본공개특허공보 공개평H11-035296호 (0003)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6-001317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게발을 장착하는 거치대를 회동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중량물의 무게와 이동 거리에 따라 무게 중심점을 변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거치대 회동시와 지게발의 위치 이동시 이를 지지시키기 위한 결합수단의 연결구조를 마그넷(Magnet) 결합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합수단 탈착시 작업시간 단축은 물론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킨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마그넷 결합방식과 함께 결합수단의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탈착이 용이한 구조의 코터핀을 사용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는, 지게발이 장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굴삭기에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회동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방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방 사이에서 회동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게발이 장착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지게발의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지게발을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거치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거치프레임의 양측 상부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회동되거나 회동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의 최대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회동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버킷(Bucket)이 연결되는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프레임에는, 상기 링크연결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지지부와 상기 결합부 상호간에는 각각, 상기 결합부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홀; 및 상기 결합부의 회동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홀;이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홀에는 회동지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지지홀에는 상기 결합부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결합수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결합수단은,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에는 마그넷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는 코터핀(Cotter Pins)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터핀은 'R핀'이 사용되며, 상기 체결고정홀에 체결시, 직선 형태의 핀은 상기 체결고정홀에 삽입되고, 라운딩지게 형성된 핀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면을 따라 접촉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결합부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들어올리거나 이동시켜야 하는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무게 중심점을 변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으로 볼트 타입이 아닌 핀 타입의 샤프트를 사용함과 동시에 마그넷을 통해 고정시키는 구조이므로, 탈착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 단축과 함께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제한수단을 통해 결합부의 최대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동지지부와 결합부 상호간에 각각 형성된 회동지지홀의 중심축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가이드하여 결합수단 체결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링크를 형성함으로써, 중량물을 들어올릴 때 무게 중심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으며, 굴삭기를 통한 중량물의 이동 반경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넷 고정방식을 적용한 결합수단에 코터핀을 추가로 결합하여 체결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코터핀 사용시 'R'형태의 코터핀을 사용하여 체결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의 일 실시례에 따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에 거치된 지게발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구성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수단을 통해 거치프레임에 지게발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의 결합부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프레임에 회동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9는 회동지지프레임에 회동프레임 결합시 제2결합수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수단과 제2결합수단의 체결 상태 및 코터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가 거치부의 상부 전방으로 회동된 후 제2결합수단을 통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제2결합수단 체결 후 코터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프레임과 링크를 나타낸 요부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가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가 회동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의 일 실시례(이하, '제1실시례'라 함)에 따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에 거치된 지게발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의 제1실시례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는 거치부(10), 회동지지부(20) 및 결합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부(10)는 거치프레임(11)과 제1결합수단(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치프레임(11)은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11)은 거치부(1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거치부(10) 즉, 거치프레임(11)의 상부에는 지게발(1)의 후방 상부가 걸려 지지된다. 지게발(1)의 후방 하부는 거치프레임(11)의 하부 후방에서 제1결합수단(12)을 통해 거치프레임(11)과 체결되며, 체결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게발(1)의 체결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20)는 거치부(10)의 후방에서 상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20)는 거치부(10)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20)는 결합부(30)의 회동 상태를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결합부(30)는 회동프레임(31)과 결합프레임(32)을 포함하며, 회동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회동프레임(31)의 상부가 회동지지부(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회동프레임(31)이 회동지지부(20)의 상부 내측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회동지지부(20)의 상부 외측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회동프레임(31)의 하부에는 결합프레임(32)이 연결된다. 결합프레임(32)에는 복수개의 링크(32-1)가 형성되며, 각각의 링크(32-1)의 형상과 이격 간격 등은 굴삭기의 링크연결부(미도시)의 형상에 대응된다. 즉, 굴삭기는 링크연결부를 통해 버킷(Bucket)과 연결되는데, 이와 동일한 연결구조로 결합프레임(32)에 형성된 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30)의 회동구조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다른 실시례(이하, '제2실시례'라 함)에 따른 구성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의 제2실시례에 따른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실시례에 따른 구조는 전술한 제1실시례의 구조와 거치부(10)의 형상, 즉, 거치프레임(11)의 형상만 다르고 다른 구성부의 형상과 구조는 동일하므로, 거치프레임(11)의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시례에 의하면, 전술한 제1실시례와 달리 거치프레임(11)을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각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시 거치프레임(11)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체결봉(도면부호 미기재)을 형성할 수 있으며, 체결봉에 지게발(1)의 상부가 걸려 지지되는 구조이다. 제2실시례에 의한 프레임 형상의 거치프레임(11)의 구조를 통해 제1실시례에 의한 플레이트 형상의 거치프레임(11)의 구조에 비해 재료비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제1결합수단(12)을 통한 지게발(1)의 고정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수단을 통해 거치프레임에 지게발이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지게발(1) 하부를 거치프레임(11)에 결합시키는 상태 및 제1결합수단(12)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거치프레임(11)의 하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 개의 체결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된다. 지게발(1)에도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는 결합홀(도면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과 상기 결합홀 상호간이 제1결합수단(12)을 통해 체결고정되거나, 체결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결합수단(12)은 볼트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샤프트(12-1), 머리부(12-2) 및 마그넷(1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프트(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나사산이 없는 구조이다. 샤프트(12-1)의 일단부에는 볼트 머리 형상과 같은 머리부(52)가 형성된다. 머리부(52)에는 마그넷(12-3)이 결합되며, 마그넷(12-3)을 통한 자력에 의해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에 제1결합수단(12)이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각 구성부는 모두 철 재질이므로, 자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마그넷(12-3)의 결합구조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일례로 머리부(12-2)에 마그넷(12-3)의 형상과 크기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마그넷(12-3)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그넷(12-3)은 자력이 강한 네오디뮴 자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마그넷(12-3) 고정방식을 적용한 제1결합수단(12)을 통해서도 거치프레임(11)과 지게발(1) 상호간의 체결상태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데 사용하게 되므로, 그 무게에 의해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 및 이에 체결된 샤프트(12-1) 상호간이 견고하게 맞물리면서 쉽게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마그넷(12-3)을 통한 자력에 의해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에 제1결합수단(12)의 체결 상태만 유지될 수 있다면, 체결고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넷(12-3) 이외에도 체결고정력을 보다 강화시키기 위해 코터핀(60, Cotter Pins)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자세히 도시되진 않았으나, 샤프트(12-1)의 타측에 체결고정홀을 형성하고, 샤프트(12-1)가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에 체결된 상태에서 코터핀(60)을 상기 체결고정홀에 체결하여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에 체결된 제1결합수단(12)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코터핀(60)은 'R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코터핀의 경우 상기 체결고정홀에 체결한 상태에서 그 단부를 각각 외측 방향으로 구부려서 사용하나, 이와 같은 체결 구조는 작업 시간이 오래걸리고, 한 번 사용한 코터핀은 폐기될 수 있으므로 항상 여분의 코터핀을 준비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R핀'을 사용할 경우 상기 체결고정홀에 용이한 체결과 분리는 물론, 체결된 상태에서도 소정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코터핀(60)을 상기 체결고정홀에 체결시, 직선 형태의 핀은 상기 체결고정홀에 삽입되고, 라운딩지게 형성된 핀은 샤프트(51)의 둘레면을 따라 접촉지지되면서 소정의 고정력이 확보된다. 이때, 미도시 하였으나, 샤프트(12-1)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라운딩지게 형성된 핀이 접촉지지되어 결합되는 방향으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마그넷(12-3)을 제거하고, 전술한 코터핀(60)의 결합 구조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수단(12)을 적용할 경우, 종래 대비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작업 시간과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지게발(1)을 거치프레임(11)에 체결고정시키기 위해 볼트와 너트 등을 사용하였다. 볼트와 너트 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간격 다수 개로 형성된 상기 체결홀과 결합홀의 내측 둘레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해야 하고, 이에 체결되는 볼트 자체에도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이 체결된다. 그러나, 작업현장에서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를 사용시 흙이나 이물질 등이 상기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에 쌓이거나 고착되면서 볼트의 체결 및 분리 작업 자체가 매우 곤란한 상황이 발생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결합수단(12) 적용시 상기 암나사부나 수나사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작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흙이나 이물질 등이 쌓이거나 고착되지 않음은 물론, 흙이나 이물질 등이 쌓이거나 고착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종래 대비 체결 및 분리 작업을 훨씬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의 결합부의 회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는 결합부(30)가 회동지지부(20)에 지지되면서 거치프레임(11)의 후방과 거치프레임(11)의 전방 사이에서 회동된다. 회동 각도는 대략 180도 정도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이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회동프레임(31)과 결합프레임(32)은 결합부(30)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며, 거치프레임(11)의 후방에 위치 시 회동프레임(31)과 결합프레임(32)은 'ㄴ'자(측면 기준)로 형성되고, 거치프레임(11)의 상부와 전방에 위치시 'ㄱ'자(측면 기준)로 형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프레임에 회동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고, 도 9는 회동지지프레임에 회동프레임 결합시 제2결합수단이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동지지수단과 제2결합수단의 체결 상태 및 코터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가 거치부의 상부 전방으로 회동된 후 제2결합수단을 통해 지지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며, 도 12는 도 11에서 제2결합수단 체결 후 코터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회동지지부(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30)의 체결 상태 및 연결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회동지지부(20)는 회동지지프레임(21)과 회동제한수단(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30)는 회동프레임(31)과 결합프레임(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회동지지부(20)를 구성하는 회동지지프레임(21)의 상부 중심에는 회동홀(23)이 형성되고, 회동홀(23)의 양측에는 각각 회동지지홀(24)이 형성된다. 회동홀(23)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회동지지홀(24)의 이격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결합부(30)를 구성하는 회동프레임(31)의 상부에도 회동홀(33)이 형성되며, 회동지지프레임(21)에 형성된 회동홀(23)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즉, 회동지지프레임(21)과 회동프레임(31)에 형성된 회동홀(23, 33)에 회동지지수단(40)이 체결된다. 회동홀(23, 33)에 체결된 회동지지수단(40)은 회동프레임(31)의 회동을 위한 중심축 역할을 수행한다. 회동지지수단(40)은 회동홀(23, 33)에 체결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 등(도면부호 미기재)을 이용하여 체결된 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회동프레임(31)은 회동지지수단(4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구조이므로, 회동프레임(31)에 형성된 회동홀(33)과 회동지지수단(40) 상호간에는 원활한 회동 동작을 위해 윤활유 등이 투입될 수 있으며, 윤활유 투입을 위해 회동프레임(31)의 회동홀(33) 외측 둘레부에는 내측과 연통형성되는 주입홀(41)이 구비된다. 또한, 미도시 하였으나, 주입홀(41)을 통해 투입된 윤활유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별도의 밀폐부재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회동 동작을 위해 회동홀(33)과 회동지지수단(40) 상호간에는 볼 베어링 등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회동 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윤활유를 투입하는 구조 및 상기 밀폐부재의 구성 등은 공지의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프레임(31)의 상부는 'ㄱ'자 형상(측면 기준)으로, 회동홀(33)의 일측으로 회동지지부(20)에 형성된 회동지지홀(24)의 형상과 크기 및 위치에 대응되는 회동지지홀(34)이 형성된다. 즉, 결합부(30)가 거치부(10)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회동프레임(31)의 회동지지홀(34)과 회동지지프레임(21)의 일측에 형성된 회동지지홀(24)에 제2결합수단(50)이 체결되어 결합부(30)가 회동지지부(20)에 고정된다.
제2결합수단(50)에도 샤프트(51), 머리부(52) 및 체결고정홀(53) 등이 구비되며, 마그넷을 통한 고정방식과 함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R' 형태의 코터핀(60)을 함께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제2결합수단(50)의 형상과 체결 구조 및 체결 방식 등은 전술한 제1결합수단(12)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과 함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결합부(30)를 거치부(10)의 상부와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수단(50)을 회동지지프레임(21)과 회동프레임(31)의 회동지지홀(24, 34)로부터 분리한다. 분리된 이후에는 회동프레임(31)이 회동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회동프레임(31)을 들어올려 거치부(10)의 상부로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프레임(31)에 형성된 회동홀(33)은 회동지지프레임(21)의 타측에 형성된 회동홀(23)의 위치로 이동된다. 결합부(30)의 회동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2결합수단(50)을 반대편으로 이동한 회동홀(23, 33)에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물론, 다시 원상태로 회동시킬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대로 수행한다.
한편, 회동제한수단(22)은 회동지지프레임(21)에 결합되며, 결합부(30)의 최대 회동각도를 제한한다. 즉,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의 상부로 회동되는 회동프레임(31)이 과도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회동프레임(31)에 접촉되어 회동프레임(31)의 회동 동작을 제한한다. 이때, 회동제한수단(22)의 위치는 회동지지프레임(21)과 회동프레임(31)에 형성된 회동지지홀(24, 34)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거치부(10)의 하부로 회동프레임(31)이 위치하는 상태에서도 전술한 회동제한수단(미도시)을 구성하여 회동프레임(31)의 회동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프레임과 링크를 나타낸 요부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결합프레임(32)을 굴삭기의 링크연결부(미도시)에 결합하여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를 사용할 수 있다.
결합프레임(32)은 회동프레임(31)의 타측(하부)에 연결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된다. 좌우 한 쌍으로 이격된 결합프레임(32) 상호간에는 복수 개의 링크(32-1)가 결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링크(32-1)를 3개로 구성하였으며, 링크(32-1)를 통해 굴삭기에 결합할 수 있다. 즉,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는 일명 바가지로 불리우는 버킷(Bucket)이 결합되는데, 결합된 버킷(미도시)을 분리하고 링크연결부를 링크(32-1)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결합프레임(32) 상호간의 이격 간격 및 링크(32-1)의 형상과 크기 등은 링크연결부에 대응되어 형성된다. 링크연결부는 세 개의 링크(32-1) 중 두 개에 결합되며, 중심부와 전방에 형성된 링크(32-1) 및 중심부와 후방에 형성된 링크(32-1) 중 어느 한 곳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는 중심부에 결합된 링크(32-1)를 기준으로 결합프레임(32)이 하부로 소정 각도 절곡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전술한 링크연결부와의 결합이 가능한 구조라면 결합프레임(32)의 형상 등을 도시된 상태로만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가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가 회동된 상태에서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도면으로,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 등은 도 2 내지 도 13의 도면부호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굴삭기는 붐(4, Boom) 선단에 암(5, Arm)이 연결되며, 암(5)의 선단에는 링크연결부(6)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링크연결부(6)에는 본 발명인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H)가 체결된다.
도 14와 같은 형태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굴삭기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들어올린 물체를 먼 거리까지 이동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써, 결합부(30)를 거치부(10)의 후방으로 위치시켜 사용한다.
보다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굴삭기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들어올린 물체를 짧은 거리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링크연결부(6)를 중심에 형성된 링크(32-1)와 전방에 형성된 링크(32-1)에 결합시켜 사용한다.
또한, 중량물의 무게가 굴삭기의 허용 한도에 가까울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0)를 거치부(10)의 상부와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30)를 회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들어올리거나 이동시켜야 하는 중량물의 무게에 따라 무게 중심점을 선택적으로 변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마그넷 고정 방식의 결합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지게발 2 : 거치부
3 : 결합부 4 : 붐
5 : 암 6 : 링크연결부
10 : 거치부 11 : 거치프레임
12 : 제1결합수단 12-1 : 샤프트
12-2 : 머리부 12-3 : 마그넷
20 : 회동지지부 21 : 회동지지프레임
22 : 회동제한수단 23 : 회동홀
24 : 회동지지홀 30 : 결합부
31 : 회동프레임 32 : 결합프레임
32-1 : 링크 33 : 회동홀
34 : 회동지지홀 40 : 회동지지수단
41 : 주입홀 50 : 제2결합수단
51 : 샤프트 52 : 머리부
53 : 체결고정홀 60 : 코터핀

Claims (9)

  1. 지게발이 장착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굴삭기에 탈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는 회동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거치부의 후방과 상기 거치부의 전방 사이에서 회동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회동지지부는,
    상기 거치부의 후방에서 상기 거치부의 양측 상부로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회동되거나 회동된 상태가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회동지지프레임; 및
    상기 회동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의 최대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수단;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게발이 장착되는 거치프레임; 및
    상기 거치프레임에 장착된 상기 지게발의 장착 위치에 따라 상기 지게발을 상기 거치프레임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동지지부에 회동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회동프레임; 및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측으로 연결되어 버킷(Bucket)이 연결되는 굴삭기의 링크연결부에 결합되는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프레임에는,
    상기 링크연결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링크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지지부와 상기 결합부 상호간에는 각각,
    상기 결합부의 회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회동홀; 및
    상기 결합부의 회동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홀;이 대응되어 형성되며,
    상기 회동홀에는 회동지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회동지지홀에는 상기 결합부의 회동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고정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2결합수단이 결합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수단 및 상기 제2결합수단은,
    원기둥 형상의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머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머리부에는 마그넷이 결합된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는 코터핀(Cotter Pins)이 체결되기 위한 체결고정홀을 더 포함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터핀은 'R핀'이 사용되며,
    상기 체결고정홀에 체결시, 직선 형태의 핀은 상기 체결고정홀에 삽입되고, 라운딩지게 형성된 핀은 상기 샤프트의 둘레면을 따라 접촉지지되는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KR1020210014095A 2020-02-26 2021-01-29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KR102518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312 2020-02-26
KR20200025312 2020-0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880A KR20210108880A (ko) 2021-09-03
KR102518711B1 true KR102518711B1 (ko) 2023-04-06

Family

ID=77785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095A KR102518711B1 (ko) 2020-02-26 2021-01-29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7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81Y1 (ko) * 2000-02-24 2000-08-16 최동일 굴삭기용 포크리프트 장치
KR101188734B1 (ko) 2012-05-10 2012-10-10 임장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733380B1 (ko) 2017-03-16 2017-05-08 임장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6720Y2 (ko) * 1975-07-29 1980-11-01
JPH1135296A (ja) 1997-07-18 1999-02-09 Tohoku Jikou Kk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取り付けて用いられる懸吊装置
PL3572767T3 (pl) 2018-05-25 2021-08-02 Mettler-Toledo Gmbh Dynamiczne wymiarowanie palety – tarowanie wózka widłowego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081Y1 (ko) * 2000-02-24 2000-08-16 최동일 굴삭기용 포크리프트 장치
KR101188734B1 (ko) 2012-05-10 2012-10-10 임장범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733380B1 (ko) 2017-03-16 2017-05-08 임장범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880A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503B2 (en) Pipe-laying machine
US20100224583A1 (en) Counterweight block and assemblies for cranes
CN207959327U (zh) 工具系统和适配件
KR101188734B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US20230183047A1 (en) Mobile Crane Having A Counterweight Device
US20180222729A1 (en) Counterweight Attachment and Removal Device and Combination of Same with Counterweight
KR102518711B1 (ko)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KR101393051B1 (ko) 차량탑재형 오거크레인의 다목적 접이식 장착대
KR20110070940A (ko) 중장비의 카운터 웨이트 구조
KR200488425Y1 (ko) 굴착기용 지게차 어태치먼트
JP4730343B2 (ja) 建設機械のアタッチメントの分解輸送用架台
JP2012021389A (ja) 作業機械、作業機械のブームアダプタ及び作業機械のフロントブーム積み下ろし方法
CN216865309U (zh) 底盘和作业机械
KR102007663B1 (ko) 인양용 러그 장치
US2564929A (en) Tractor mounted crane mast and backstay system
JP7425221B2 (ja) 上部構造と下部構造の迅速着脱機構を備える大型機械及び積み下ろし方法
JP2015036322A (ja) クローラクレーン
JP6294716B2 (ja) 掘削機械
KR102528143B1 (ko) 휠로더용 톤백 및 파레트 상하차 장치
CN203237993U (zh) 装卸货物专用叉货架
JP6443017B2 (ja) ジブの着脱機構
KR102570063B1 (ko)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CN210416352U (zh) 一种自卸车货箱举升装置
CN217146910U (zh) 一种人工挖孔桩土方倾倒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