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063B1 -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 Google Patents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063B1
KR102570063B1 KR1020210098600A KR20210098600A KR102570063B1 KR 102570063 B1 KR102570063 B1 KR 102570063B1 KR 1020210098600 A KR1020210098600 A KR 1020210098600A KR 20210098600 A KR20210098600 A KR 20210098600A KR 102570063 B1 KR102570063 B1 KR 102570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forks
rotatably coupled
hinge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963A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김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환 filed Critical 김승환
Priority to KR1020210098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063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을 갖는 버킷과,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상호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포크를 갖는 착용 장비의 제1 및 제2 포크의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의 선단과 제1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힌지홀을 갖는 제1힌지 브라켓과,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제1 및 제2포크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하고, 제1 및 제2포크의 돌출부분의 선단에는 제1힌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힌지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와 같은 착용 장비의 포크에 직접 힌지핀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면서도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bucket device attachable to the fork}
본 발명은 버킷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게차와 같은 착용 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포크에 버킷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차량의 전방으로 한 쌍의 포크가 돌출되어 짐을 싣고 위아래로 움직여서 짐을 나르는 중장비로서, 포크에 의해 들려질 수 있는 일정한 형상을 가진 물체만을 운반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지게차로도 흙이나 모래 등을 운반 및 하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0992318호에 지게차 부착용 버켓(이하 버킷이라 한다) 어셈블리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버킷 어셈블리는 지게차의 포크에 장착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버킷이 지게차의 포그의 수직부분에 근접되지 않고 실린더 길이 이상으로 이격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어 지게차를 기준으로 버킷의 회전토크가 증가하여 버킷을 통해 운반할 수 있는 허용 하중이 줄어들며 지게차가 지면으로부터 일부 들리게 회전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착용장비에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포크의 수직부분에 근접되게 버킷을 장착할 수 있으면서 버킷의 회전을 지원함과 아울러 결합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는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을 갖는 버킷과;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상호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포크를 갖는 착용 장비의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의 선단과 제1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힌지홀을 갖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포크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포크의 돌출부분의 선단에는 상기 제1힌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힌지홀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포크는 상기 돌출부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돌출부분의 후단 사이에 제3힌지홀이 형성된 홀딩브라켓;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는 상기 홀딩브라켓을 통해 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진퇴되는 로드는 상기 버킷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와 같은 착용 장비의 포크에 직접 힌지핀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면서도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버킷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킷 장치가 지게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버킷 장치를 분리하여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버킷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제1 및 제2포크(21)(22), 버킷(110),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포크(21)(22)는 지게차(10)에 승하강 가능하게 상호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제1 및 제2 포크(21)(22)는 지게차(10)에 결합되어 수직상으로 연장된 수직부분(21b)(22b)과 수직부분(21b)(22b)의 하단에서 전방을 향해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21a)(22a)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포크(21)(22)의 돌출부분(21a)(22a)의 선단에는 후술되는 버킷(1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제1힌지핀(131)이 삽입될 수 있는 제2힌지홀(25)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포크(21)(22)에는 수직부분(21b)(22b)의 하단에 접하는 돌출부분(21a)(22a)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21b)(22b) 사이에 후술되는 제1 및 제2실린더(141)(142) 결합용 제3힌지홀(30)이 형성된 홀딩브라켓(50)이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05는 홀딩브라켓(50)의 상면에 장착되어 버킷(110)이 안착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탄성소재 예를 들면 고무소재로 형성된 완충판이다.
버킷(110)은 상부 및 전방이 열리고 삼각형상의 적재공간(111)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버킷(110)의 형상을 구분하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바닥면(112)과, 바닥면(112)의 선단(112a)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114)과, 바닥면(112)의 후단(112b)에서 측면(114)과 일체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측면(114)들과 함께 적재공간(111)을 형성하는 배면(116)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힌지 브라켓(120)은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1힌지 브라켓(120)은 수직상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포크(21)(22)의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21a)(22a)의 선단에 형성된 제2힌지홀(25)과 제1힌지핀(131)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힌지홀(121)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2힌지 브라켓(160)은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에 제1힌지브라켓(120)과는 전후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위치상에 상호 이격되어 후술되는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의 로드(141b)(142b)와 힌지결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버킷(110)의 저부에는 제2힌지브라켓(160)의 장착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포크(21)(22)에 장착된 제1 및 제2실린더(141)(142)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버킷(110)의 바닥면(112) 저부에 상방으로 인입된 수용홈(112d)이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본체(141a)(142a)가 버킷(110)을 회동시킬 수 있게 제1 및 제2포크(21)(22)의 홀딩브라켓(50)에 각각 제2힌지핀(132)을 통해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버킷(110)의 바닥면(112)에 형성된 제2힌지브라켓(160)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다.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는 지게차(10)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게 결선되어 있다.
이러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100)는 버킷(110)의 바닥면(112) 선단(112a) 부근 바닥면(112) 저부와 제1 및 제2포크(21)(22)가 제1힌지핀(131)을 통해 직접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1 및 제2실린더(141)(142)를 통해 버킷(110)을 회동시킬 수 있어 결합구조가 단순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버킷을 지게차(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및 제2힌지핀(131)(132)을 통해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는 지게차(10)와 같은 착용 장비에 수직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제1 및 제2포크(21)(22)에 직접 제1 및 제2힌지핀(131)(132)을 통해 착탈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포크(21)(22)가 장착된 착용 장비로서 지게차(10)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및 제2포크(21)(22)를 장착하여 승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유압공급이 가능한 페이로더, 트랙터 등 각 종 착용 장비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에 의하면, 지게차와 같은 착용 장비의 포크에 직접 힌지핀을 이용하여 장착이 가능하면서도 버킷의 회전을 지원하여 버킷의 회전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버킷의 운반 허용 하중을 증가시키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버킷
120: 제1힌지브라켓
131: 제1힌지핀
132: 제2힌지핀
141, 142: 제1 및 제2실린더

Claims (2)

  1. 바닥면의 선단 양측에서 각각 후방으로 진행될 수록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바닥면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면들과 함께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배면을 갖는 버킷과;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 상호 이격되어 수직상으로 승하강되는 한 쌍의 제1 및 제2포크를 갖는 착용 장비의 상기 제1 및 제2 포크의 수평상으로 연장된 돌출부분의 선단과 제1힌지핀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1힌지홀을 갖는 제1힌지 브라켓과;
    상기 버킷을 회동시킬 수 있게 상기 제1 및 제2포크에 각각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버킷의 바닥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포크의 돌출부분의 선단에는 상기 제1힌지핀이 삽입될 수 있는 제2힌지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포크는 상기 돌출부분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분과 상기 돌출부분의 후단 사이에 제3힌지홀이 형성된 홀딩브라켓;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는 상기 홀딩브라켓을 통해 본체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본체로부터 진퇴되는 로드는 상기 버킷의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킷의 바닥면 저부에는 제2힌지브라켓의 장착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포크에 장착된 상기 제1 및 제2실린더의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상방으로 인입된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2. 삭제
KR1020210098600A 2021-07-27 2021-07-27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KR102570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600A KR102570063B1 (ko) 2021-07-27 2021-07-27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600A KR102570063B1 (ko) 2021-07-27 2021-07-27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63A KR20230016963A (ko) 2023-02-03
KR102570063B1 true KR102570063B1 (ko) 2023-08-22

Family

ID=8522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600A KR102570063B1 (ko) 2021-07-27 2021-07-27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00486A1 (en) 1999-04-08 2000-10-08 Richard Hein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KR100992318B1 (ko)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00557U (ko) * 1979-12-29 1981-08-07
JP2742311B2 (ja) * 1989-12-20 1998-04-22 三陽機器株式会社 フォークリフト着脱作業機
KR200170943Y1 (ko) * 1997-12-29 2000-03-02 이월영 경운기용 덤프식 트레일러의 안전장치
KR20010058406A (ko) * 1999-09-21 2001-07-06 정우종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 작업기
KR102270976B1 (ko) * 2019-08-09 2021-06-29 김승환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00486A1 (en) 1999-04-08 2000-10-08 Richard Hein Articulated bucket adapted for a fork-lift truck
KR100992318B1 (ko) 2009-12-30 2010-11-05 김진용 지게차 부착용 버켓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963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198B2 (en) Working machine
FI124889B (fi) Sovitelma metsäkoneessa ja vastaavalla sovitelmalla varustettu metsäkone
EP2868554B1 (en) Ballast assembly
US9688204B2 (en) Ladder of working vehicle
US20020056692A1 (en) Articulating truss boom
KR101188734B1 (ko) 굴삭기용 리프트 장치
KR102570063B1 (ko) 포크 장착용 버킷 장치
US3424328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lift assembly to a fork lift truck
US3709304A (en) Sway arrestor for a three point hitch
US6227569B1 (en) Stabilizer mechanical support linkage
US4236643A (en) Vehicle stabilizer assembly
EP1288065B2 (fr) Benne basculante.
CA2398228C (en) Telescopic lifting vehicle
JP2019206301A (ja) クローラクレーン
CN210000350U (zh) 带有转向功能的手推车
JP5036574B2 (ja) 建設機械のフロート取付装置
KR102270976B1 (ko) 지게차 장착용 버킷 장치
KR100723644B1 (ko)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JP2002513451A (ja) 建設機械用フレームアセンブリ
KR200473493Y1 (ko) 전도방지용 핸드파레트 트럭
US5226777A (en) Load lifting system for vehicles
JP2005029082A (ja) ハンド・フォーク・リフト
EP2910513A1 (fr) Engin de levage avec réglage de garde au sol
KR102518711B1 (ko) 굴삭기용 지게발 거치대
FI124715B (fi) Alustaraken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