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994A -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 Google Patents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994A
KR20200004994A KR1020180078086A KR20180078086A KR20200004994A KR 20200004994 A KR20200004994 A KR 20200004994A KR 1020180078086 A KR1020180078086 A KR 1020180078086A KR 20180078086 A KR20180078086 A KR 20180078086A KR 20200004994 A KR20200004994 A KR 20200004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ller
fork
box
body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김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민 filed Critical 김정민
Priority to KR102018007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4994A/ko
Publication of KR20200004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4Electrical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된 부품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라인에서 부품이 담겨지거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을 담겨진 박스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와, 이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박스 탑재용 포크부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부의 한쪽 가장자리에 요홈 및 지지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의 요홈 내에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지지바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크부는 수직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 수직 하우징의 하단부 양측에서 연이어져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 아암을 가짐과 동시에 수직 하우징의 후면에 제동수단을 구비한 롤러유닛이 지주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구동유닛은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 및 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지주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를 통해 수직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Manual lifter of carrying box}
본 발명은 가공된 부품을 수작업으로 조립하는 라인에서 부품이 담겨지거나 조립이 완료된 제품을 담겨진 박스를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능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제조 및 조립업체에 있어서는 부품 조립을 위해 소규모 단위로 분업화되어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개의 조립 라인에서는 장시간 동안 동일한 작업을 되풀이하게 된다.
산업 로보트와 같은 자동화 설비의 경우, 장치 자체의 설치비가 고가이기는 하지만 작업 능률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당한 잇점을 갖기 때문에 비교적 규모가 큰 업체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는 반면에, 소규모 업체에서는 경비 부담이 적은 수동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대부분 가공이나 조립을 위한 부품이 담겨져 있는 무거운 박스를 작업자 주위의 바닥까지 운반한 다음 다시 박스를 작업대 위로 들어 올려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한다. 또한 작업이 완료된 후에도 박스에 담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힘겨운 일을 반복적으로 되풀이해야 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도를 한층 가중시키게 되어 능률을 떨어뜨리게 된다.
단순히 부품을 수작업에 의존하여 조립하는 업체에서는 단순 작업이기 때문에 인건비가 비싼 고비용의 숙련공을 가공라인에 투입하지 않고 비교적 인건비가 싼 비숙련공을 채용하고 있다.
또, 비숙련공인 경우에도 남성보다 힘이 약한 여성작업자를 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보다는 무거운 박스를 들어 옮기는데 더 많은 애로를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힘드는 일을 기피하는 현상으로 인해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소규모 업체에서는 조립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작업대까지 운반하거나 작업대 위로 들어 올리고 내리는 기능을 갖는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0954493호(2010.04.15 등록) - 수동 포크리프트. 등록특허 제0994595호(2010.11.09 등록) - 수동 리프트. 등록특허 제1060497호(2011.08.24 등록) - 수동 리프트. 등록특허 제1060486호(2011.08.24 등록) -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 리프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전,후의 부품이 들어 있는 박스를 수작업 라인으로 운반하거나 작업이 완료된 제품을 운반하는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의 구동시에 단일 지주를 통해 포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장치의 점유면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와, 이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박스 탑재용 포크부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부의 한쪽 가장자리에 요홈 및 지지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의 요홈 내에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지지바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크부는 수직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 수직 하우징의 하단부 양측에서 연이어져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 아암을 가짐과 동시에 수직 하우징의 후면에 제동수단을 구비한 롤러유닛이 지주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구동유닛은 감속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 및 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가 지주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를 통해 수직 하우징에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롤러유닛은 지주의 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 및 지주의 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2롤러가 양 브라켓에 의해 결속되어 있고, 이 제2롤러 중에서 하측에 장착된 롤러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를 갖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 상기 롤러유닛에 구비된 제동수단은 브라켓에 장착된 제1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쌍의 링크 및 제2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받침편을 포함하여 이 받침편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의 상,하부 선단에는 와이어에 밀착되는 제1지지롤러 및 받침편의 일측 끝단부를 유지하는 제2지지롤러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편의 타측 끝단부에는 지주 및 제1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쐐기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들에 의해, 부품 박스를 좁은 작업장 내에서 수작업 라인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무거운 박스를 들거나 내려야 하는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일 지주(支柱)를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 및 지지바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포크부의 승,하강시에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포크부에 설치된 제동수단에 의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리프트 제작에 소요되는 철판 자재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용접작업을 최소화 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포크부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박스를 보다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0994595호에 개시된 수동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포크부가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리프트를 나타낸 전면 사시도,
도 5는 수동 리프트의 후면 사시도,
도 6은 수동 리프트의 측면도,
도 7은 수동 리프트의 평면도,
도 8a, 도 8b는 포크부의 승,하강 상태를 나타낸 일부 측면도,
도 9는 지주에 장착된 롤러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롤러유닛 내에 설치되는 제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1a, 도 11b는 제동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기술내용과 관련이 있는 하나의 예로서 등록특허 제099459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리프트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10)과, 이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후 측부에 각각 이동바퀴(310,320)가 구비되는 하부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포크부(50)와, 이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동 리프트의 수직프레임(10)과 포크부(50)에는 각각 롤러(11,51)가 구비된다. 즉 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X축)으로 형성되는 수평대(13)의 하부면 중심부에 롤러(11)가 전후방향(Y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포크부(50)의 후면 중심부 상측에는 롤러(51)가 좌우방향(X축 참조)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승강부(70)는 와이어 윈치(710)와 와이어(730)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윈치(710)는 수평대(13)의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수직프레임(10)의 중심부보다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수직프레임(10) 사이에 좌우방향(X축)으로 고정대(15)의 후면에 설치된다.
상기 와이어(730)의 일단부는 와이어 윈치(7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 및 포크부(50)의 롤러(51)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직프레임(30)의 롤러(11)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수평대(13)의 하부면에 중심부가 볼록하게 나온 돌출부(13a)의 중심부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감겨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 윈치(710)를 이용하여 와이어(730)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고, 이 때 상기 포크부(50)는 수직프레임(10)을 따라 상하방향(Z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거운 대상물(미도시)이 안착된 상태에서, 승강부(70)에 의해 포크부(50)가 승강할 때 와이어(730)를 통해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는 대상물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 중심부에는 와이어(730)를 통해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1)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50)의 양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하방향(Z축)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방향(X축)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는 가이드홈(122)과 확장부(124)가 구비되며, 가이드홈(122)은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상하방향(Z축)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2)은 승강부(70)에 의해 승강하는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의 상하방향(Z축)으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또, 상기 확장부(124)는 가이드홈(122)과 연이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홈(122)의 하부에 배치되고,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하부 전측방향(Y축 )으로 전,후의 폭이 확장된다.
상기 포크부(50)의 무게중심이 포크부(50)의 전측방향(Y축)에 위치함에 따라 포크부(50)가 지면에 다다를 때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가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내측에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안내되는 가이드홈(122)과, 상기 포크부(50)가 지면에 다다를 때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가 전측방향(Y축)으로 기울어지도록 가이드홈(122)의 하부에 전측방향(Y축)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부(124)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크부(50)가 후측에서 전측방향(Y축)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어 포크부(50)가 바닥에 안착된 무게가 무거운 중량물 등의 대상물을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의 하측과 확장부(124)의 상측 사이에 경사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부(126)는 상측에서 하측방향(Z축)으로 갈수록 일측 프레임(110) 및 타측 프레임(120)의 하부 전측방향(Y축)으로 하향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확장부(124)내에 위치하는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가이드홈(122)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수직프레임(10)의 롤러(11)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111)을 통해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폭이 넓은 양측 프레임(110,120)의 사이에서 포크부(50)가 승,하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비의 점유 공간으로 인해 비교적 좁은 통로를 갖추고 있는 사업장 내에서 운전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구조 자체가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제품 가격에 따른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
더구나, 상기 포크부(50)의 선단부가 경사진 상태에서 무거운 대상물을 들어 올리는 구조이므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주로 수작업 라인에서 조립용 부품이 담긴 박스를 힘들이지 않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수동 리프트로서, 첨부된 도 4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본체 프레임(20)과, 이 본체 프레임(20)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주(40)와, 이 지주(40)를 따라 승,하강하는 탑재용 포크부(60)와, 이 포크부(60)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저면 모서리부분에는 바퀴(21)가 장착되어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측 평판부(22)의 안쪽 가장자리에 요홈(23) 및 지지바(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퀴의 경우,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리프트의 방향 전환을 편리하게 행하거나 혹은 브레이크를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지지바(24)의 상단부 및 지주(40)의 측면에는 보강편(25)이 용접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주(40)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20)의 요홈(23) 내에 일체형으로 용접 처리되어 지지바(24) 및 보강편(25)에 의해 힘을 받도록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 형성된 절결홈(41)에는 축(42)을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43)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포크부(60)는 수직 하우징(61)을 포함하여 이 수직 하우징(61)의 하단부 양측에서 연이어져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 아암(62)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수직 하우징(61)의 후면에 제동수단을 구비한 롤러유닛(63)이 장착되어 지주(40)에 조립된다.
상기 롤러유닛(63)은 지주(40)의 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64a) 및 지주(40)의 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2롤러(64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롤러(64a,64b)는 양측의 평판형 브라켓(65)에 의해 결속되고, 이 제2롤러(64b) 중에서 하측에 장착된 롤러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66)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롤러유닛(63)에 구비된 제동수단은 양 브라켓(65)에 장착된 제1축(67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쌍의 링크(68) 및 제2축(67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받침편(69)을 포함하여 이 받침편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7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링크(68)의 상,하부 선단에는 와이어(W)에 밀착되는 제1지지롤러(71a) 및 받침편(69)의 일측 끝단부를 유지하는 제2지지롤러(71b)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편(69)의 타측 끝단부에는 지주(40) 및 제1롤러(64a) 사이에 배치되어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쐐기(7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유닛(80)은 손잡이(81)를 갖는 케이싱(82) 내에 배치되어 배터리(83)에 의해 전원이 제공되는 감속모터(84) 및 이 감속모터(84)의 작동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85)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권취보빈(85)에 감겨지는 와이어(W)가 지주(40)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43)를 통해 수직 하우징(61)에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작동모듈(86)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감속모터(84)를 정,역 회전시키게 되면 와이어(W)가 권취보빈(85)에 감기거나 풀려지면서 포크부(60)를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W)를 당겨 권취보빈(85)에 감아주게 되면 포크부(60)가 지주(40)에서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손잡이(81)를 이용하여 리프트를 수작업 라인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부품이 담긴 박스(B)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감속모터(84)의 역회전에 의해 권취보빈(85)으로부터 와이어(W)를 풀어줌에 따라 포크부(60)는 자중에 의해 지주(40)에서 하강하여 지면에 닿는 최 하단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부품 박스(B)를 탑재하여 타 조립라인으로 운반하거나 또는 부품 박스(B)를 들어올려 해당 작업자의 라인으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지주(40)의 하단부가 본체 프레임(20)에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23) 및 지지바(24)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포크부(60)가 롤러유닛(63)에 의해 지주(40)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 없이 부드럽게 이동하게 되며, 상기 포크부(60)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어 박스(B)를 보다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홈(23)의 일측 상단부 및 지주(40)의 하단부에 보강편(25)이 용접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유닛(63)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제2롤러(64b)에 공간부(66)가 형성됨에 따라 포크부(60)의 하강 이동을 방해하지 않고 지면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롤러유닛(63)에 구비되어 있는 제동수단에 의해 와이어(W)가 절단되는 경우에 작동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와이어(W)가 절단되는 순간 이 와이어(W)에 눌려 있던 제1지지롤러(71a)가 제1축(67a)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2지지롤러(71b)가 받침편(69)에서 해제되고, 이 받침편(69)은 스프링(70)의 인장력이 가해지면서 제2축(67b)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쐐기(72)가 지주(40) 및 제1롤러(64a) 사이로 상향 이동하여 제동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지주(40)를 따라 상,하 이동하던 포크부(60)는 그대로 운행을 정지함에 따라 사고 유발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에 의하면, 부품 박스를 좁은 작업장 내에서 수작업 라인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무거운 박스를 들거나 내려야 하는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소하여 제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단일 지주를 일체형으로 절곡 성형된 요홈 및 지지바에 의해 유지되도록 하여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포크부의 승,하강시에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포크부에 설치된 제동수단에 의해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더구나, 리프트 제작에 소요되는 철판 자재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용접작업을 최소화 하여 생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으며, 포크부를 지면에 완전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박스를 보다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20: 본체 프레임 21: 바퀴
22: 평판부 23: 요홈
24: 지지바 25: 보강편
40: 지주 41: 절결홈
42: 축 43: 롤러
60: 포크부 61: 수직 하우징
62: 수평 아암 63: 롤러유닛
64a: 제1롤러 64b: 제2롤러
65: 브라켓 66: 공간부
67a: 제1축 67b: 제2축
68: 링크 69: 받침편
70: 스프링 71a: 제1지지롤러
71b: 제2지지롤러 72: 쐐기
80: 구동유닛 81: 손잡이
82: 케이싱 83: 배터리
84: 감속모터 85: 권취보빈
86: 작동모듈

Claims (3)

  1. 저면에 바퀴가 장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20)과, 이 본체 프레임의 일측 중앙부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단일 지주(40)와, 이 지주를 따라 승,하강하는 박스 탑재용 포크부(60)와, 이 포크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유닛(8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 프레임(20)의 일측에 형성된 평판부(22)의 한쪽 가장자리에 요홈(23) 및 지지바(2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주(40)의 하부 선단은 본체 프레임의 요홈(23) 내에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지지바(24)에 의해 유지됨과 동시에 상부 선단에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43)가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크부(60)는 수직 하우징(61)을 포함하여 이 수직 하우징(61)의 하단부 양측에서 연이어져 전면으로 돌출되는 수평 아암(62)을 가짐과 동시에 수직 하우징의 후면에 제동수단을 구비한 롤러유닛(63)이 지주(40)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구동유닛(80)은 감속모터(84)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권취보빈(85) 및 이 권취보빈에 감겨지는 와이어(W)가 지주의 상부 선단에 장착된 롤러(43)를 통해 수직 하우징(61)에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63)은 지주(40)의 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1롤러(64a) 및 지주(40)의 후면 상,하측에 밀착되어 구동하는 제2롤러(64b)가 양 브라켓(65)에 의해 결속되어 이루어지며, 이 제2롤러 중에서 하측에 장착된 롤러(64b)는 중앙부분이 분기되어 공간부(66)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63)에 구비된 제동수단은 브라켓(65)에 장착된 제1축(67a)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한쌍의 링크(68) 및 제2축(67b)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받침편(69)을 포함하여 이 받침편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프링(7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68)의 상,하부 선단에는 와이어(W)에 밀착되는 제1지지롤러(71a) 및 받침편(69)의 일측 끝단부를 유지하는 제2지지롤러(71b)가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받침편의 타측 끝단부에는 지주(40) 및 제1롤러(64a) 사이에 배치되어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쐐기(7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20180078086A 2018-07-05 2018-07-05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04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86A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18-07-05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086A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18-07-05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994A true KR20200004994A (ko) 2020-01-15

Family

ID=6915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086A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18-07-05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49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13B1 (ko)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KR20230101363A (ko) * 2021-12-29 2023-07-06 윤여종 운반 대차 및 이를 이용한 운반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3B1 (ko) 2009-10-07 2010-04-22 이두현 수동 포크리프트
KR100994595B1 (ko) 2010-07-15 2010-11-15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1-08-30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93B1 (ko) 2009-10-07 2010-04-22 이두현 수동 포크리프트
KR100994595B1 (ko) 2010-07-15 2010-11-15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1-08-30 이두현 수동 리프트
KR101060486B1 (ko) 2010-12-17 2011-08-30 이두현 안전성이 향상된 수동리프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13B1 (ko)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KR20230101363A (ko) * 2021-12-29 2023-07-06 윤여종 운반 대차 및 이를 이용한 운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4994A (ko)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1355205B1 (ko) 이중적재형 무인지게차
CN107380936B (zh) 一种应用于织布车间的智能化中转系统
CN109720766B (zh) 移动存储库及移动存储系统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080088029A (ko) 봉함기
JP5421172B2 (ja) 溶接ライン
KR100500728B1 (ko) 모노레일형 자동화 운반장치
KR102306168B1 (ko) 핸드리프트 트럭
JP4899989B2 (ja) スペアタイヤ移載装置
CN217436875U (zh) 自动运行的物流周转牵引车
CN109279492A (zh) 一种工业工厂用安全型吊装运输桁车
CN214167170U (zh) 一种钢结构桥梁安装用吊装装置
KR20160051958A (ko) 이동식 공구박스를 구비한 지게차
JP3388422B2 (ja) 台車段積装置
JP2008100793A (ja) 被運搬物の起立補助装置
CN109229186A (zh) 一种工装车
CN220410635U (zh) 一种方便调头的建筑用小车
KR101280297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 차폐장치
JP4667139B2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機用運搬雇
KR102476112B1 (ko)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JP2574968B2 (ja) パレット交換装置
CN212830056U (zh) 一种具有自控升降功能的包装箱
JP7074569B2 (ja) アウトリガ装置の積載方法及び積載用治具
KR20170142736A (ko)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