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97B1 - 수동 리프트 - Google Patents

수동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497B1
KR101060497B1 KR1020100087973A KR20100087973A KR101060497B1 KR 101060497 B1 KR101060497 B1 KR 101060497B1 KR 1020100087973 A KR1020100087973 A KR 1020100087973A KR 20100087973 A KR20100087973 A KR 20100087973A KR 101060497 B1 KR101060497 B1 KR 10106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ower frame
fork
force transmission
rotatio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이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현 filed Critical 이두현
Priority to KR1020100087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써, 하부프레임상에 적재되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로 인해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포크부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상기 수동리프트가 전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인 무게추 등을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동리프트의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 리프트{A LIFT}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상에 적재되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로 인해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포크부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상기 수동리프트가 전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인 무게추 등을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동리프트의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수동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리프트(Forklift)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한 한쌍의 포크(Fork)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적재시킨 상태에서 임의의 높이로 리프트시켜 운송할 수 있도록 한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포크리프트(Forklift)의 전측에 구비된 포크부에 중량물이 올려질 경우 상기 포크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포크리프트의 전측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포크부에 중량물이 올려진 상태인 상기 포크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전도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 상기 포크리프트(Forklift)의 후측에 무게추 등이 구비시켜 상기 포크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포크리프트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포크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전도되지 않도록 하였으나, 상기 무게추는 상대적으로 고가이기 때문에 상기 포크리프트의 후측에 상기 무게추 등을 구비시킨 상태로 상기 포크리프트를 제조할 시 상기 포크리프트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하부프레임상에 적재되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로 인해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포크부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상기 수동리프트가 전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인 무게추 등을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동리프트의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수동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측부의 양측에 각각 캐스터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바퀴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와; 상기 포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과 포크부에 각각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판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부의 상부에 보조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고정판부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부의 보조롤러,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 및 상기 포크부의 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과 포크부에 각각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 및 상기 포크부의 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의 와이어 윈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와 축결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기 회전력전달축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 상부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 하부지지대 및 타측 하부지지대와;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 및 타측 하부지지대의 상측에 수평형성되고, 전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에 연결되는 일측 상부지지대 및 타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 및 타측 상부지지대의 후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축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후측 상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하부프레임은 전측부가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1일측 하부프레임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프레임과;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는 제 2일측 하부프레임 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과;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프레임과; 상기 전측 프레임과 후측 프레임에 전후측부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의 와이어 윈치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에 구비되고,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와 축결합되는 전측 회전력전달축과;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는 후측 회전력전달축과;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 및 후측 회전력전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의 상부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 하부지지대 및 타측 하부지지대와; 전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의 상측방향에 수평형성되는 제 1일측 상부 지지대 및 제 1타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제 1일측 상부지지대와 제 1타측 상부지지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고,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 및 타측 하부지지대의 상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제 2일측 상부지지대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와;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의 후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후측 상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폐쇄부재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판 및 타측판과; 상기 일측판 및 타측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은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전측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홈부가 구비되는 일측 프레임 및 타측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는 양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일측 프레임 및 타측 프레임의 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상부 롤러 및 하부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 프레임 및 타측 프레임의 가이드홈과 확장홈부 사이에 경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로드셀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가 연산한 대상물의 무게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상에 적재되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로 인해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포크부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의 전측방향으로 상기 수동리프트가 전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인 무게추 등을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동리프트의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부에 보조롤러가 구비되는 고정판부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부의 보조롤러, 수직프레임의 롤러 및 포크부의 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되는 승강부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기 포크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와이어가 상기 고정판부의 보조롤러로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포크부의 상하이동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하나, 상기 승강부가 수직프레임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 및 상기 포크부의 롤러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될 경우 상기 와이어가 상기 보조롤러로 하중을 가할 우려가 없음으로, 상기 포크부의 상하이동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와 축결합되는 회전력전달축과; 상기 회전력전달축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통해 상기 와이어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를 보다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를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 맞게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후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로 본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서도 상기 포크부를 통한 대상물 운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고정바로 이루어질 수 있는 폐쇄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적재된 중량물이 상기 하부프레임에서 외부로 이탈될 우려없이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판, 일측판, 타측판, 전측판 및 후측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폐쇄부재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상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공간내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수용시켜 상기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을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되는 전측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홈부로 인해 상기 승강부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상기 포크부가 지면에 다다를 때 상기 포크부의 상부롤러가 전측으로 기울어져 상기 포크부가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닥에 안착된 상태인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을 상기 포크부가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일측 프레임 및 타측 프레임의 가이드홈과 확장홈부 사이에 구비되는 경사부로 인해 상기 승강부를 통해 상하이동하는 상기 포크부의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가 상기 확장홈부에서 상기 가이드홈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의 롤러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을 통해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로드셀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연산하는 제어부를 통해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연산한 대상물의 무게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포크부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하부프레임상에 형성된 공간내에 물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에 확장홈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포크부가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 및 도 4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수동리프트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프레임(10), 수직프레임(30), 포크부(50), 폐쇄부재(80) 및 승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장방형의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 하부 양측에는 각각 캐스터(1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측부에 수직방향(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으로 설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부 양측에는 각각 이동바퀴(310)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승강부(9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이동한다.
한편, 종래의 수동포크리프트는 포크부 전측부 양측에 이동바퀴가 각각 구비되었다.
특히, 종래의 상기 포크부가 바닥에 안착된 상태인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과정 중에 상기 이동바퀴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종래의 수동포크리프트에서는 상기 이동바퀴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수동포크리프트는 상기 포크부의 전측부 양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이동바퀴의 크기가 작게 형성된 관계로 상기 수동포크리프트의 이동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인 수동리프트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동바퀴(310)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구비시켜 상기 이동바퀴(310)가 상기 포크부(50)의 후측방향(도 1 및 도 2의 Y축 참조.)에 위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포크부(50)가 바닥에 안착된 상태인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을 들어올리는 과정 중에 상기 이동바퀴(310)가 방해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인 수동리프트에서는 상기 이동바퀴(310)의 크기가 종래의 수동포크리프트의 이동바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으로 본 수동리프트의 이동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폐쇄부재(8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중량물(5)을 상하방향(도 2의 Z축 참조.)으로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 중량물(5)로써, 무게추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인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게 되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포크부(50)의 상부에 각각 롤러(350, 5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부에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수평형성되는 수평대(340)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롤러(350)가 전후방향(도 1의 Y축 참조.)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크부(50)의 후면에는 상기 롤러(550)가 좌우방향(도 1의 X축 참조.)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수직방향(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고정판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부(70)는 고정판(701)과 고정대(70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701)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수직방향(도 1의 Z축 참조.)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3)는 상기 고정판(701)의 상측 중심부 전면에 일체형으로 수직방향(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703)의 상부에는 보조롤러(710)가 전후방향(도 1의 Y축 참조.)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9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와이어윈치(910), 와이어(9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윈치(910)는 상기 고정판부(70)의 고정판(701) 상측 중심부 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930)의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930)의 타단부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70)의 보조롤러(710),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수평대(340) 하부면 타측에 중심부가 하측방향(도 1의 Z축 참조.)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31)의 중심부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감김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윈치(910)를 사용하여 상기 와이어(930)를 감거나 풀수 있고, 이때 상기 포크부(5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하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부에 상기 보조롤러(710)가 구비되는 상기 고정판부(70)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부(70)의 보조롤러(710),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와이어(930);로 구성되는 상기 승강부(90)에 의해 상기 포크부(50)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과 상기 포크부(50)에는 앞서 상술한 상기 롤러(350, 5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승강부(90) 역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윈치(910)와 와이어(930)로 구성되되,
상기 와이어 윈치(9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중심부상에 좌우방향(도 3의 X축 참조.)으로 일체형으로 수평구비되는 수평판부(301)의 후면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930)의 일단부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930)의 타단부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측 중심부 하부면에 중심부가 하측(도 3의 Z축 참조.)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상기 돌출부(31)의 중심부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감김고정될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상기 승강부(90)에 의해 상기 포크부(50)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도 1 내지 도 3의 Z축 참조.)하는 과정 중에 상기 와이어(930)가 상기 고정판부(70)의 보조롤러(710)로 가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포크부(50)의 상하이동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다분하나,
제 2실시예처럼 상기 승강부(90)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930);로 구성될 경우 상기 와이어(930)가 상기 보조롤러(710)로 하중을 가할 우려가 없음으로, 상기 포크부(50)의 상하이동(도 1 내지 도 3의 Z축 참조.)효율이 보다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90)의 와이어 윈치(9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는 회전력전달축(210)과 회전손잡이(2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은 상기 지지부재(40)의 상측에 전후방향(도 3의 Y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전측부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의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230)는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작업자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230)는 수직회전손잡이(231)과 수평회전손잡이(2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31)의 상단부는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에 수직(도 3의 Z축 참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손잡이(233)는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31)의 하단부에 전후방향(도 3의 Y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수평회전손잡이(233)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31)와 함께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타측 하부 지지대(430),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 및 후측 상부지지대(4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타측 하부지지대(43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 양측 상부면에 각각 수직(도 3의 Z축 참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는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타측 하부지지대(430)의 상측에 전후방향(도 3의 Y축 참조.)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의 전측부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후측면 중심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90)는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 후측부 사이에 좌우방향(도 3의 X축 참조.)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90)는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90)의 중심부 상측에는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가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와 축결합되는 상기 회전력전달축(210)과;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을 회전시키는 상기 회전손잡이(230);를 통해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930)를 보다 용이하게 감거나 풀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수동 리프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 전측 프레임(114), 제 2일측 하부프레임 (115)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 후측 프레임(117), 리드스크류(118) 및 핸들(11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전측부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부 후면 일측과 하단부 후면 타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프레임(114)은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 사이에 좌우방향(도 4의 X축 참조.)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 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은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의 내부와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내부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 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은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의 내부와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내부로부터 각각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프레임(117)은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 사이에 좌우방향(도 4의 X축 참조.)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전측부는 상기 전측 프레임(114)의 중심부 상부면에 상부방향(도 4의 Z축 참조.)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전측브라켓(114a)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후측부는 상기 후측프레임(117)의 중심부 상부면에 상부방향(도 4의 Z축 참조.)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후측돌출부(114b)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의 내부와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 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이 각각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
상기 핸들(119)은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후측부에 구비될 수 있고, 작업자는 상기 핸들(119)을 정역회전시켜 상기 리드스크류(118)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에서도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40)가 구비될 수 있다.
단, 제 3실시예의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측 회전력전달축(211), 후측 회전력전달축(213) 및 회전손잡이(21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은 단면형상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 역시 단면형상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을 포함한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 일부 단면형상은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은 상기 지지부재(40)의 전측 상부에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의 전측부는 상기 와이어 윈치(910)의 후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은 상기 지지부재(40)의 후측 상부에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은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은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의 내부로부터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215)는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 및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215)는 수직회전손잡이(215a)과 수평회전손잡이(21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15a)의 상단부는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에 수직(도 4의 Z축 참조.)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회전손잡이(215b)는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15a)의 하단부에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수평회전손잡이(215b)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수직회전손잡이(215a)와 함께 상기 전측 및 후측 회전력전달축(211, 213)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의 상기 지지부재(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타측 하부지지대(402), 제 1일측 상부 지지대(403) 및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 및 후측 상부지지대(4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타측 하부지지대(402)는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의 상부면에 각각 수직(도 4의 Z축 참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상부 지지대(403) 및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는 전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 후측면 중심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상부 지지대(403) 및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는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상측방향(도 4의 Z축 참조.)에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는 제 1일측 상부지지대(403)와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제 1일측 상부지지대(403)와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의 내부로부터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가 각각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인입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는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타측 하부지지대(402)의 상측에 각각 전후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07)는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의 후측부 사이에 좌우방향(도 4의 X축 참조.)으로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07)는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지지대(407)의 중심부 상측에는 단면형상이 원형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 일부가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5)이 적재된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50)를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에 따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후(도 4의 Y축 참조.)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 맞게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후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장소로 본 수동리프트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 및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협소한 장소에서도 상기 포크부(50)를 통한 대상물 운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폐쇄부재(80)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8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바(8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70)의 고정판(701) 상측 전면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측 상부면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도 1 및 도 2의 Z축 참조.)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판(701)의 전방방향(도 1 및 도 2의 Y축 참조.)으로 하향경사지게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바(81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450)와 상기 타측 상부지지대(470)의 후측 하부 외주연과 상기 하부프레임(10) 중심부 상부면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도 3의 Z축 참조.)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상기 타측 하부지지대(430)의 전방방향(도 3의 Y축 참조.)으로 하향경사지게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바(8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의 후측 하부 외주연과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의 전측 상부면 사이에 상부에서 하부방향(도 4의 Z축 참조.)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상기 타측 하부지지대(402)의 전방방향(도 4의 Y축 참조.)으로 하향경사지게 각각 일체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바(810)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폐쇄부재(80)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적재된 중량물(5)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 외부로 이탈될 우려없이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하부프레임(10)상에 형성된 공간(130)내에 물(7)이 수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폐쇄부재(80)는 바닥판(821), 일측판(823), 타측판(825),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821)은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 상부면에 용접된 상태로 안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판(823) 및 타측판(825)은 상기 바닥판(821)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수직(도 5의 Z축 참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은 상기 일측판(823) 및 타측판(8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821)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수직(도 5의 Z축 참조.)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821), 일측판(823), 타측판(825),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폐쇄부재(80)의 내측에는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130)에는 물 또는 모래 등이 일정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폐쇄부재(80)가 하나 이상의 상기 고정바(810)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는 상기 하부프레임(10)에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중량물(5)을 상하방향(도 2의 Z축 참조.)으로 순차적으로 적재시켜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을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방향(도 2의 Y축 참조.)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폐쇄부재(80)가 상기 바닥판(821), 일측판(823), 타측판(825),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으로 이루어질 경우 작업자는 시멘트 포대 대신에 상기 공간(130)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수용시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무게중심을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방향(도 5의 Y축 참조.)으로 위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821), 일측판(823), 타측판(825),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폐쇄부재(80)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형성된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상기 공간(130)내에 물 또는 모래 등을 수용시켜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을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방향(도 5의 Y축 참조.)으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수직프레임(10)의 내측에 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2)의 하부에 확장홈부(314)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포크부(50)가 하향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내측에 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2)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312)과 연통되는 전측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홈부(314)가 구비되는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는 양측부의 상부 및 하부(도 7의 Z축 참조.)에 각각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가이드홈(312)에 수용되는 상부 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축결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홈부(314)는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하부 전측방향(도 7의 Y축 참조.)으로 전후폭이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12)과, 상기 가이드홈(312)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312)과 연통되는 전측(도 7의 Y축 참조.)으로 폭이 확장되는 상기 확장홈부(314)로 인해 상기 승강부(90)를 통해 상하이동(도 7의 Z축 참조.)하는 상기 포크부(50)가 지면에 다다를 때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가 상기 일측 및 타측 프레임(320, 330)의 하부 전측방향(도 7의 Y축 참조.)으로 기울어져 상기 포크부(50)가 후측에서 전측방향(도 7의 Y축 참조.)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질 수 있기 때문에 바닥에 안착된 상태인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을 상기 포크부(50)가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가이드홈(312) 하측과 상기 확장홈부(314)의 상측 사이에는 상측에서 하측 방향(도 6 및 도 7의 Z축 참조.)으로 갈수록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하부 전측방향(도 7의 Y축 참조.)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가이드홈(312)과 확장홈부(314)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경사부(316)로 인해 상기 승강부(90)를 통해 상하이동(도 6 및 도 7의 Z축 참조.)하는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상기 확장홈부(314)에서 상기 가이드홈(312)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상하이동(도 6 및 도 7의 Z축 참조.)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90)에 의해 상기 포크부(50)가 승강할 시 상기 와이어(930)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는 상기 대상물의 무게에 따른 하중이 인가될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5,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중심부에는 상기 와이어(930)를 통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35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상기 로드셀(351)을 통해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보다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도 3 및 도 4의 디스플레이부(3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제어부(10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자동연산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90)가 자동연산한 상기 대상물의 무게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그 구비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제어부(9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될 수 있는 배터리(도 9의 91) 또는 외부의 별도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자동연산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90)의 와이어 윈치(910)의 후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자동연산한 대상물의 무게값을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할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00)의 전면 타측에는 상기 제어부(100)가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자동연산한 상기 포크부(50)의 상부면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영(零)의 상태로 되돌리는 리셋 스위치부(302)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연산하는 상기 제어부(100)를 통해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100)가 연산한 대상물의 무게값을 출력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작업자가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값을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적재되는 시멘트가 담겨 포장된 시멘트 포대 등을 포함한 중량물(5)로 인해 본 수동리프트의 무게중심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방향(도 2의 Y축 참조.)에 위치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포크부(50)에 운반하고자 하는 무게가 무거운 대상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수동리프트가 이동하는 과정 중에 상기 포크부(50)의 전측방향(도 2의 Y축 참조.)으로 상기 수동리프트가 전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상대적으로 고가인 무게추 등을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구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수동리프트의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5; 적재물, 7; 물,
10; 하부프레임, 110; 캐스터,
130; 공간, 30; 수직프레임,
310; 이동바퀴, 312; 가이드홈,
314; 확장홈부, 316; 경사부,
320; 일측 프레임, 330; 타측 프레임,
350, 550; 롤러, 50; 포크부,
532; 상부롤러, 534; 하부롤러,
70; 고정판부, 701; 고정판,
703; 고정대, 710; 보조롤러,
80; 폐쇄부재, 810; 고정바,
821; 바닥판, 823, 825; 일측판, 타측판
827; 전측판, 829; 후측판,
90; 승강부, 910; 와이어 윈치,
930; 와이어.

Claims (11)

  1. 후측부의 양측에 각각 캐스터(1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바퀴(3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하부프레임(10) 상에 중량물(5)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8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포크부(50)에 각각 롤러(350, 55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의 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판부(70)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부(70)의 상부에 보조롤러(710)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고정판부(70)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910)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판부(70)의 보조롤러(710),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와이어(9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2. 후측부의 양측에 각각 캐스터(1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바퀴(3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하부프레임(10) 상에 중량물(5)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8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포크부(50)에 각각 롤러(350, 5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910)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와이어(930);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90)의 와이어 윈치(9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와 축결합되는 회전력전달축(210)과;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30);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 상부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타측 하부지지대(430)와;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10) 및 타측 하부지지대(430)의 상측에 수평형성되고, 전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에 연결되는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와; 상기 일측 상부지지대(450) 및 타측 상부지지대(470)의 후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축(210)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후측 상부지지대(4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3. 후측부의 양측에 각각 캐스터(1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전측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단부의 양측에 각각 이동바퀴(310)가 구비되는 장방형의 수직프레임(30)과;
    상기 수직프레임(30)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포크부(50)와;
    상기 하부프레임(10) 상에 중량물(5)을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양측부를 폐쇄하는 폐쇄부재(80)와;
    상기 포크부(5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프레임(30)과 포크부(50)에 각각 롤러(350, 550)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9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는 와이어 윈치(910)와; 일단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 및 상기 포크부(50)의 롤러(5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기 수직프레임(30)에 고정되는 와이어(93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0)은 전측부가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하단부 일측과 하단부 타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과;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 사이에 형성되는 전측 프레임(114)과;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 및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는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 및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과;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 사이에 형성되는 후측 프레임(117)과; 상기 전측 프레임(114)과 후측 프레임(117)에 전후측부가 각각 나사결합되는 리드스크류(118)와; 상기 리드스크류(118)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리드스크류(118)를 회전시키는 핸들(119);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부(90)의 와이어 윈치(91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부재(20)와;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력전달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40)의 상측에 구비되고, 전측부가 상기 와이어 윈치(910)와 축결합되는 전측 회전력전달축(211)과;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는 후측 회전력전달축(213)과;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측 회전력전달축(211) 및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을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215);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0)는 상기 제 2일측 하부프레임(115)과 제 2타측 하부프레임(116)의 상부면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타측 하부지지대(402)와; 전측부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 하부프레임(112)과 제 1타측 하부프레임(113)의 상측방향에 수평형성되는 제 1일측 상부 지지대(403) 및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와; 상기 제 1일측 상부지지대(403)와 제 1타측 상부지지대(404)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인입출되고, 상기 일측 하부지지대(401) 및 타측 하부지지대(402)의 상측에 각각 수평형성되는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와; 상기 제 2일측 상부지지대(405) 및 제 2타측 상부지지대(406)의 후측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측 회전력전달축(213)의 후측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후측 상부지지대(40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80)는 하나 이상의 고정바(81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재(8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상부가 개방된 밀폐된 공간(130)이 형성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10)상에 형성되는 바닥판(821)과; 상기 바닥판(821)의 일측부와 타측부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일측판(823) 및 타측판(825)과; 상기 일측판(823) 및 타측판(8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판(821)의 전측부와 후측부에 각각 수직형성되는 전측판(827) 및 후측판(82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은 내측에 가이드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312)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홈(312)과 연통되는 전측으로 폭이 확장되는 확장홈부(314)가 구비되는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포크부(50)는 양측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가이드홈(312)에 수용되는 상부 롤러(532) 및 하부롤러(5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프레임(320) 및 타측 프레임(330)의 가이드홈(312)과 확장홈부(314) 사이에 경사부(3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롤러(350)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35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351)의 측정값을 근거로 상기 포크부(50)에 안착된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무게를 연산하는 제어부(100)와;
    상기 제어부(100)가 연산한 대상물의 무게값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리프트.
  10. 삭제
  11. 삭제
KR1020100087973A 2010-09-08 2010-09-08 수동 리프트 KR10106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73A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0-09-08 수동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973A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0-09-08 수동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497B1 true KR101060497B1 (ko) 2011-08-30

Family

ID=4493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973A KR101060497B1 (ko) 2010-09-08 2010-09-08 수동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14B1 (ko) * 2015-11-20 2016-10-28 이두현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CN110438901A (zh) * 2019-07-16 2019-11-12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架吊装机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20-01-15 김정민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20-05-25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102358213B1 (ko)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097U (ja) * 1982-08-18 1984-02-24 木下 正尾 計重機付フオ−クリフト
JP2004010260A (ja) 2002-06-06 2004-01-15 Ysm Corporation:Kk 手動式ポータブル・フォークリフト
JP2004359461A (ja) * 2003-02-13 2004-12-24 Nittokukan Seikyo Kk フォークリフト等のバランス取り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097U (ja) * 1982-08-18 1984-02-24 木下 正尾 計重機付フオ−クリフト
JP2004010260A (ja) 2002-06-06 2004-01-15 Ysm Corporation:Kk 手動式ポータブル・フォークリフト
JP2004359461A (ja) * 2003-02-13 2004-12-24 Nittokukan Seikyo Kk フォークリフト等のバランス取り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14B1 (ko) * 2015-11-20 2016-10-28 이두현 차량 탈부착용 리프트
KR20200004994A (ko) 2018-07-05 2020-01-15 김정민 박스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200056691A (ko) 2018-11-15 2020-05-25 로얄금속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CN110438901A (zh) * 2019-07-16 2019-11-12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架吊装机
CN110438901B (zh) * 2019-07-16 2024-04-26 中交一公局第七工程有限公司 一种钢管架吊装机
KR102358213B1 (ko) 2021-08-27 2022-02-08 이승우 수동 리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97B1 (ko) 수동 리프트
JP2010208790A5 (ko)
JP2011148559A (ja) 昇降旋回装置
KR101319605B1 (ko) 쇼핑카트
KR100994595B1 (ko) 수동 리프트
KR102225987B1 (ko) 원단 이송장치
CN105799754A (zh) 驮运小车
US2551174A (en) Portable hoist
KR101711883B1 (ko) 작업용 리프트
KR101099090B1 (ko) 무게 측정장치
ITUB20150881A1 (it) Dispositivo di carico e scarico per contenitori isotermici di trasporto di alimenti
KR102135248B1 (ko) 화물 적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핸드 리프트 장치
JP2019034704A (ja) 二輪車駐車装置
CN108861062B (zh) 一种便于放置不同宽度电缆盘的放置架
IT201800005000A1 (it) Elevatore e sistema elevatore comprendente lo stesso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KR20200056691A (ko) 중량물 운반용 수동 리프트
KR20140001888U (ko) 피아노 운반구
JP2012218941A (ja) 制御盤起立装置
EP2923916A1 (en) Sack truck
JPH0524795A (ja) 昇降装置
KR100821119B1 (ko) 석재 운반용 카트
CN220596849U (zh) 核电厂小重量移动式吊装机器人
CN206086815U (zh) 一种具有跨越功能轻便的重物搬运车
CN205998729U (zh) 稳定型收卷机卸料小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